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화된 흰쥐 대뇌겉질에서 NOS 신경세포의 분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정윤희(Yoon Hee Chung),신정민(Chung Min Shin),이왕재(Wang Jae Lee),황덕호(Douk Ho Hwang),이병란(Byung Lan Lee),조사선(Sa Sun Cho),백상호(Sang Ho Baik),차중익(Choong Ik Cha)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4

        Nitric oxide (NO)는 생체 내에서 수많은 생리과정에 관여하며 특히 중추신경계통에서는 신경전달물질로서 synaptic plasticity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 노화 흰쥐에서는 NO의 생성이 감소했음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있지만 NO를 생성하는 세포의 노화에 따르는 형태학적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군 흰쥐와 대조군 흰쥐의 대뇌겉질 및 해마의 각 영역에서 nitric oxide synthase (NOS) 신경세포의 분포와 형태 양상을 면역세포화학 방법과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 흰쥐와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들은 대뇌겉질 및 해마의 전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2.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의 가지돌기는 가지치기 양상이 많이 감소했으며 길이도 짧아졌다. 3.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는데 부위별로 달랐다. 그 중 50% 이상 감소된 부위는 띠겉질 (cingulate cortex), 마루엽겉질 1영역 (parietal cortex area 1), 관자엽겉질 2, 3영역 (temporal cortex area 2, 3), 뒤통수엽겉질 2영역의 내측 부분 (medi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뒤통수엽겉질 1영역의 monocular와 binocular 부분 (monocular and binocular of occipital cortex area 1), 속후각겉질 (entorhinal cortex), 해마 (hippocampus proper), 치아이랑 (dentate gyrus), subiculum 등이다. 4.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는 대조군보다 염색성이 감소되었다. 5.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에 의하면 노화군 흰쥐에서 NOS mRNA 양성세포의 수가 대조군 흰쥐보다 감소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볼 때 노화에 따라 NOS 신경세포 수는 감소한다는 형태학적 증거를 파악하였고 이에 따라 NO 의 생성도 감소함으로써 학습과 기억 능력의 감퇴가 수반되는 노화의 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일부 원인이 될 수 있으리라고 추정된다. Nitric oxide (NO) involvement has been demonstrated in mechanisms of synaptic plasticity, particularly in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a mechanism that underlies certain forms of learning and memory. Further, NO has been shown to regulate various neurotransmitter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and memory. Several findings suggest that NO production may be decreased in the aged rat. Changes in the nNOS-containing neurons with aging were demonstrated by immunocy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NOS-immunoreactive cells in aged rats were present in all cortical areas and the hippocampus, and the pattern of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NOS-immunoreactive cells in the cerebral cort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ged rats, but the extent of changes was variable in each area, and ranged from mild decrease (<30%) to severe decrease (>50%). Severely decreased areas were the cingulate cortex, parietal cortex area 1, temporal cortex area 1, 2, 3, medi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monocular and binocular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1, entorhinal cortex, hippocampus proper, dentate gyrus and subiculum. Moderately decreased areas (30~50%) were frontal cortex area 1, 2, 3, parietal cortex area 2, forelimb, hindlimb, later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Slightly decreased area was insular cortex. Morphologically, the number of dendritic branches seemed to be decreased in aged group and the length of dendrites of NOS-IR neurons showed a tendency to shorte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nvolvement of neuronal system containing NOS in the aging brain, and provide the first morphological evidence for the loss of NOS neurons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aged rats by immunocytochemistry. Further multidisciplinary investigations involving normal aging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lzheimer’s disease are needed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nitric oxide changes in the cerebral cortex with ag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장기 수컷 흰쥐의 레지스턴스 운동에 의한 골형성증가 및 피질골 형태변화를 유도

        이상직 ( Sang Jik Lee ),김형렬 ( Hyung Ryul Kim ),토시타카나카무라 ( Toshitaka Nakamura ),마사시게스즈키 ( Masashige Suzuki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2 체육과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격렬한 레지스턴스 운동이 성장기 수컷 흰쥐의 하지 골형성 및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검토되었다. 5주령된 SD계 수컷 흰쥐 53마리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운동군으로 구분하였다. 레지스턴스 운동은 최대근력의 75%강도, 주 3회, 8주 동안의 트레이닝을 흰쥐에 부하 하였다. 실험 전, 실험시작 4주, 8주 후에 흰쥐를 도살하여 대퇴골 및 경골을 적출 한 후 대퇴골의 골간부 및 경골단면의 골밀도는 DXA로서 측정하였다. 형태계측법을 통하여 경골단면의 2차 스폰자상 및 대퇴골 골간부 내막과 외막의 골량, 미세구조, 골세포관련 항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주간의 레지스턴스 운동에 의해 대퇴골 및 경골의 골미네랄 및 골밀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가져왔다. 또한 경골단면의 골형성률이 4주간의 레지스턴스 운동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파골세포의 활성(Oc.N/BS. Oc.S/BS)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대퇴골 골간부의 내막에서는 4주간의 레지스턴스 운동에 의해 골미네랄 침착률이 감소하여 골수공(내경)이 확장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외막에서는 골미네랄 침착률, 골형성률의 증가로 인하여 골횡단면적 및 피질골 면적이 넓어지는 결과(외경의 확대)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1) 성장기 흰쥐의 레지스턴스 운동은 경골단면의 골형성 증가 및 골흡수 감소를 유도하고 (2) 대퇴골 골간부의 운동유발성 피질골 형태변화를 유도하였다. Effects of a strenuous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hindlimb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were studied in growing male rats. Fifty-three Sprague-Dawley rats, 5 weeks of age, were assigned to control and training group. Resistance training consisted of squatting at 75% of one repetition maximum for 150 squat/day and 3 days/week for 8 weeks. Animals were sacrificed at 0 (start), 4, and 8 weeks of the training period. Bone mineral value was measured in the femur middiaphysis and the tibia proximal metaphysis by D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Using histomorphometric analysis, bone mass, structure and bone cellular parameters were estimated in secondary spongiosa of the tibial metaphysis and in periosteal and endocortical site of midfemur. As compared with the age-matched control group, significant increases in bone mineral content (BMC)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femur and tibia were apparent after 4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In tibial proximal metaphysis, bone formation rate/bone volume (BFR/BV)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4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but the number of osteoclast number/bone surface (Oc.N/BS) and osteoclast surface/bone surface (Oc.S/B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femoral middiaphysis, endocortical mineral apposition rate (MAR)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4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leading to an enlargement of bone marrow area. On the contrary, periosteal MAR and BFR/BV were increased resulting in increased cross-sectional and cortical bone area. In conclusion, resistance training in young growing rats (1) increased bone formation and decreased bone resorption in the tibial metaphysis, and (2) enhanced the exercise-induced cortical modeling drift in midfemur.

      • KCI등재후보

        노화에 따른 흰쥐 뇌의 nNOS mRNA 양성신경세포의 변화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박경한(Kyeong Han Park)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2

        산화질소 (nitric oxide, NO)는 신경계통 및 비신경계통 조직에서 작용하는 신경전달물질, 신경조절물질 또는 이차전령물질로서 연접형성성 (synaptic plasticity)의 기전 등에 관여하며, 특히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기전인 해마의 장기적 활성화와 밀접한 관련이 알려진 자유래디칼이다. 산화질소는 산화질소합성효소 (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하여 arginine으로부터 합성되며 노화에 따라서 그 합성이 감소한다고 보고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산화질소합성 효소인 nNOS의 mRNA에 상보적인 digoxigenin-labelled riboprobe를 이용한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적용하여 mRNA 수준에서 노화에 따른 nNOS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노화된 흰쥐의 대뇌겉질과 해마, 소뇌겉질에서 nNOS mRNA 양성 신경세포가 관찰되었으며 그 분포 양상은 성숙 흰쥐와 동일하였으나 그 염색성은 성숙 흰쥐에 비하여 매우 약하였다. 노화 흰쥐는 성숙 흰쥐에 비하여 대뇌의 뒤통수엽겉질에서 86.2%, 마루엽겉질에서 81.2%, 관자엽겉질에서 79.4%, 해마의 conus ammonis 1 (CA1)에서 86.2%, 치아이랑에서 92.3%, 소뇌의 조롱박세포는 73.9%로 각각 감소하여 해마의 CA1과 치아이랑에서 가장 뚜렷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노화된 흰쥐 뇌의 nNOS mRNA 감소로 인하여 신경세포의 NOS가 감소하고 그 결과 산화질소의 합성이 감소하여 중요한 기능적 변화가 유발된다고 생각되며, 특히 해마에서의 감소가 노화에 따른 기억 및 학습 기능의 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Nitric oxide (NO) is a diffusible cellular mediator generated by the enzyme nitric oxide synthase (NOS). NO involvement has been demonstrated in mechanisms of synaptic plasticity, particularly in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a mechanism that underlies certain forms of learning and memory. Several data have shown that NO production is decreased in the aged rat. Changes in the nNOS mRNA-containing neurons with aging were demonstrated by in situ hybridization. nNOS mRNA-positive cells in aged rats were present in all cortical areas, hippocampus, and cerebellum and the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young adult group. The number of nNOS mRNA-positive cel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occipital (86.2%), parietal (81.2%), and temporal cortices (79.4%), also in hippocampal CA1 (86.2%), dentate gyrus (92.3%), and cerebellar Purkinje cells (73.9%). The most severe decrease was found in hippocampal area.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ormer studies showing NO decrease in aging brain and nNOS mRNA decrease indicates the involvement of neuronal system containing NOS in the aging brain, especially for learning and memory.

      • KCI등재

        체지방 감소 다클론 후보 항체가 흰쥐의 체중, in vivo 타장기 안전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최창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3

        Sixteen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lyclonal antibody candidate against abdominal (AAb) and subcutaneous adipocyte membrane proteins (SAb) on body weight, in vivo cytotoxicity and blood substances. Treatments were no injection (control), non-immunized antibody (NAb), AAb and SAb,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lower feed and water intakes occurred in the SAb group during 1 week post-injection, but no differences appeared among the treated groups thereafter. Although numerically lower body weight appeared in the SAb group during 1-2 weeks post-injection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no significant (p>0.05) changes in body weight occurred among the groups. AAb injection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kidney weight of rats compared to control. But significant reduction of kidney weight also appeared in the NAb group (p<0.05), indicating that the reduction by AAb may has resulted from injection stress and/or individual variation. Except for kidney, the other major organs (heart, liver, lung and spleen) weights were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mong the groups. None of glucose, triglyceride o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plasma were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the antibodies, and each concentration was normal level according to referred data. In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the present AAb and SAb have safety in nutritional physiological metabolism in rats. Further in vivo study on fat reduction of AAb and SAb of rats should be required for investigating body fat-reduction by the antibodies. 본 연구는 Sprague-Dawley 흰쥐 16마리를 이용하여 흰쥐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 항체가 체중, in vivo 타장기 안전성 및 혈액성상 등 영양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무처리구(control), 비면역항체 처리구(NAb), 면양을 이용하여 기 개발된 흰쥐 복강(AAb)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 항체(SAb)를 복강 주사하였을 때 주사 후 1주차에 SAb 처리구에서 사료 및 물 섭취량의 일시적인 감소가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보아 항체의 효과보다는 개체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흰쥐 체중의 경우 항체 주사 처리 전․후 및 실험구 간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SAb 처리구에서 나타난 주사 처리 후 1-2주 동안 일시적인 체중 감소 현상이 발생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후보 항체 주사 시 흰쥐 AAb 처리구는 control과 비교해서 생체 신장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하지만, NAb 처리구의 신장 무게 역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p<0.05) 결국 AAb 처리구의 신장 무게 감소는 주사에 의한 스트레스 또는 개체 간의 변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신장을 제외하고는 후보 항체에 의한 주요 장기들(심장, 간장, 폐 및 비장)의 무게에는 실험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후보 항체에 의해 혈중 glucose, triglyceride 및 total cholesterol 농도에는 실험구 간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각 혈액대사물질의 농도는 일반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이용된 흰쥐 AAb 및 SAb는 in vivo 영양생리대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항체로 판단된다.

      • KCI등재

        흰쥐 가슴샘상피세포 아형의 미세구조학적 특성

        김봉선(Bong-Seon Kim),이경희(Kyeong-Hee Lee),이희우(Hee-Woo Lee),김재봉(Jae-Bong Kim),김성일(Sung-Il Kim),윤 식(Sik Yoon)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4

        Thymic epithelial cells constitute a major component of the thymic microenvironment. The thymus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he proliferation, matu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ymocytes. There is some controversy about the classification of thymic epithelial cell types. Traditionally, thymic epithelial cells have been divided into cortical and medullary epithelial cell types. In general, the thymic epithelium can be broadly subdivided into subcapsular, cortical and medullary epithelial cells, and Hassall’s corpuscles by immunocytochemical methods. Although a few studies were performed on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types of thymic epithelial cells, there is still some controversy about the classification of thymic epithelial cell subsets. Thu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ultrastructural features of thymic epithelial cell subsets in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hich are the most commonly used species of rat for biological researches,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o shed more light on the heterogeneity of thymic epithelial cells. On the basis of ultrastructural features, we could identify and classify eight subsets of epithelial cells in normal rat thymus.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d a clear and easy way to identify the type 3 epithelial cells by their characteristic ‘perinuclear arrangement pattern of relatively short bundles of tonofilaments’. This is an important finding since the type 3 epithelial cells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most difficult type to identify among various thymic epithelial cell typ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ultrastructural study of thymic epithelial cells provided more insight into the heterogeneity of thymic epithelial cells, and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roles played by different types of thymic epithelial cells. 가슴샘상피세포는 가슴샘세포의 증식, 성숙 및 분화에 관여하는 가슴샘미세환경의 가장 주된 구성요소이다. 이전에는 가슴샘상피세포를 겉질상피세포 및 속질상피세포로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하였으나, 현재에는 일반적으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피막밑상피세포, 겉질상피세포, 속질상피세포 및 가슴샘소체의 네 종류로 분류하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 고 있다. 비록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를 더 세부적으로 분류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가 있어왔지만, 아직 이들 각 아형에 대한 자세한 미세구조학적 특성 및 이러한 특성에 따른 세부적인 분류방법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Sprague-Dawley계 성체 웅성 흰쥐 가슴샘상피세포의 미세구조학적 특성을 자세히 관찰하고 이러한 미세구조학적 특성에 따라 가슴샘상피세포를 세분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미세구조학적 특징에 따라 흰쥐 가슴샘상피세포를 8가지 아형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제1형은 피막밑/사이 막옆/혈관주위에 위치하였으며, 제2형은 가슴샘겉질에 널리 분포하며 전자밀도가 매우 낮은 핵을 가지고 있었다. 제3형도 대부분 가슴샘겉질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제2형과 제4형 사이의 중간 정도의 미세구조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제4형 은 주로 가슴샘겉질에 분포하고 있었으나 가끔 가슴샘속질에도 분포하였으며 세포질과 핵이 모두 높은 전자밀도를 가지 는 것이 특징적인 소견이었다. 제5~8형은 모두 가슴샘속질에 분포하였다. 제5형은 다소 미분화된 세포의 형태학적 특징 을 지녔고, 제6형은 다른 종류의 가슴샘상피세포보다 크기가 매우 컸으며 대부분 세포질내에 포도송이 모양의 액포집합 체를 포함하고 있었다. 제7형은 세포질 돌기가 매우 잘 발달하였으며 세포질돌기내에는 매우 잘 발달된 당김미세섬유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매우 특징적인 소견이었다. 제8형은 가슴샘소체를 형성하고 있는 가슴샘상피세포이었다. Sprague-Dawley계 흰쥐는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험동물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흰쥐 가 슴샘의 미세구조학적 연구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흰쥐 가슴샘을 실험대상으로 하는 여러 형태학적 혹은 기능적 연구에도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흰쥐에서 한쪽 고환 거세 후 고환간질세포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안동춘(Dong-Choon Ahn),태현진(Hyun-Jin Tae),나성진(Sung-Jin Na),이석원(Seok-Won Lee),이영덕(Young-Deok Lee),강형섭(Hyung-Sub Kang),박상열(Sang-Youel Park),이기창(Ki-Chang Lee),양홍현(Hong-Hyun Yang),김인식(In-Shik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1 No.4

        수컷 흰쥐에서 각기 다른 일령에 한쪽 고환을 제거하고 일정한 시간경과 후 남아 있는 고환 간질세포의 형태계측학적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출생 후 20, 30, 40, 50 및 60일령 (n=18마리/일령)의 흰쥐 한쪽 고환을 거세한 후 100일령에 희생시켜 실험에 이용하였다. 흰쥐를 전신관류고정하고 고환을 적출 한 후 조직 처리과정을 거쳐 초박절편한 다음 methylene-blue 염색을 하여 일반적인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형태계측을 시행하였다. 황체형성호르몬 자극에 대한 고환내 테스토스테론 생성과 혈청내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몸무게는 차이가 없었지만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그 값이 높았으며 고환 무게도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30, 40 및 60일령에 거세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간 높았다. 곱슬정세관, 간질조직 및 간질세포의 용적치밀도는 영향이 없었으나 절대용적은 20, 30 및 40일령에 거세한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 하였다(p<0.05). 고환조직 당 간질세포의 총 숫자는 60일령을 제외한 전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간질세포의 평균용적, 혈청내 테스토스테론농도 및 황체형성호르몬자극에 대한 고환내 테스토스테론 분비는 30일과 40일령에 거세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을 종합하면 흰쥐에서 30일령과 40일령에 한쪽 고환을 거세하면 성 성숙후에 남아 있는 고환의 보상작용으로 간질세포의 크기와 분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흰쥐에서 성 성숙이 이루어지는 즈음에 거세를 하면 간질세포의 보상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emicastration and age at hemicastraion on the subsequent Leydig cell morphology and function of male rats. Sprague Dawley rats were left intact or hemicastrated at 20, 30, 40, 50, or 60 days of age (n=18 rats per group). At 100 days of age, all rats were sacrificed. Testes were fixed by whole body perfusion using a fixative containing 2.5% glutaraldehyde in cacodylate buffer, processed and embedded in Epon-araldite. Using 1 ㎛ sections stained with methylene blu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orph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Testis incubations were used to determine lutenizing hormone (LH; 100ng/㎖) stimulated testosterone secretory capacity per testis in vitro. Testosterone levels in the incubation medium, and testosterone and LH levels in serum of these six groups of rats were determined by radioimmunoassay. Body and testis weights were not changed by hemicastration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Volume density of seminiferous tubules, interstitium, and Leydig cell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hemicastration. Absolute volume of seminiferous and interstiti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unilaterally castrated rats at 20, 30 and 40 days of age compared to control.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total number of Leydig cells per testis occurred in rats hemicastrated at 20, 30, 40 and 50 days of age compared to control. A significant increase in average volume of a Leydig cell was noted in the hemicastrated rats at 30 and 40 days compared to intact rats of the same age bu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60 days of age. Serum testosterone levels and LH-stimulated testosterone production per testis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the hemicastrated rats at 30 and 40 days. In summary, when rats were unilaterally castrated at 20, 30, 40, 50, and 60 days of age, those rats hemicastrated at 30 and 40 days showed compensatory hypertrophy/hypersecretion of Leydig cells when killed at 100 days of age. Especially, these data suggested that compensatory hypertrophy/hypersecretion of Leydig cells in rats hemicastrated around the time of puberty occurs in the remaining testis.

      • KCI등재

        흰쥐 대뇌겉질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생후 발달에 관한 연구

        정윤영(Yoon-Young Chung),김남훈(Nam-Hoon Kim),김종중(Jong-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박영란(Young-Lan Park),류소연(So-Yeon Ryu),김현곤(Hyun-Kon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생후 발달중인 대뇌겉질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이들 각각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뿐 아니라 두 가지 단백질을 동시에 함유하는 신경세포를 구분하여 각 세포의 발달 양상을 조사하였다. TGF-α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출생 시에 이미 분자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에서 관찰되었으며 생후 20일에 마루겉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TGF-α 면역반응 양성 세포의 염색 강도와 수는 생후 15일에서 20일 사이에 가장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생후 20일경에 성숙 흰쥐의 세포 양상과 유사하였다. EGFR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출생한 날에는 등쪽 안배모양겉질에서만 출현하였으며 생후 3일에 이마겉질, 마루겉질, 뒤통수겉질, 관자겉질 등에서 소수 나타났다. EGFR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생후 90일, 즉 성숙 흰쥐의 마루겉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성숙 흰쥐의 IV, V, VI층에서 EGFR 면역반응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세포들은 이마겉질과 마루겉질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가 가쪽의 섬겉질로 이행하면서 감소하였고, 생후 10일과 그 이후에 성숙 흰쥐의 세포 양상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EGFR 면역반응의 출현시기와 분포위치 등은 서로 다른 겉질 영역의 기능적 활동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TGF-α와 EGFR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신경아교세포는 관찰할 수 없었다. TGF-α과 EGFR 면역반응은 대부분 신경세포에서 관찰되었고 TGF-α와 EGFR를 공유하는 세포도 모두 신경세포였다. TGF-α와 EGFR 공유신경세포는 생후 3일에 대부분의 대뇌겉질에서 관찰되었으며 생후 10일까지는 대부분 미성숙한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출생한 날을 제외하고 생후 발달중이거나 성숙 흰쥐 모두에서 대뇌겉질 신경세포에 TGF-α와 EGFR이 광범위하게 발현되었으며 대부분 EGFR 함유 신경세포가 TGF-α를 분비하는 세포였다. 한편 TGF-α와 EGFR 함유 신경세포의 생후 출현시기 및 세포 형태의 발달상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이는 정상적으로 발달중인 대뇌겉질에서 TGF-α가 생후 연령별로 여러 가지 다른 조절 기전에 의해 EGFR을 활성화하여 신경세포에 작용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mmunoreactivities were examin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ra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at birth in all cortical layers except the molecular layer.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parietal cortex at P20. The intensity and number of the TGF-α-immunoreactive cells increased at postnatal days 15 or 20 (P15-P20). Mature patterns of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achieved at P20. EGFR-immunoreactive cells appeared only in dorsal endopiriform cortex at P0. The first EGFR-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in the neocortex at P3. These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parietal cortex at P90. In adult, the most prominent EGFR immunoreactivity occured in layer IV, V and VI. These cells were numerous in the frontal and parietal cortex, diminishing laterally towards the insular cortex. Adult patterns were reached on and after P10. The time of appearance and localization of EGFR immunoreactivity correlated with functional activity in the different cortical areas. No clear labelling of glial cells with TGF-α and EGFR antibodies was found. TGF-α and EGFR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majority of neurons in the postnatal developing and adult cerebral cortex of the rat. Also double-immunohistochemistry with antibodies to TGF-α and EGFR showed co-localization of TGF-α and EGFR in neurons of the cerebral cortex. Co-localization of TGF-α and EGFR was first detectable in most cortices at P3. By P10, these neurons showed immature neuronal features. The present results showing TGF-α and EGFR immunoreactivity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postnatal developing (except P0) and adult cerebral cortex, mainly localized in neurons. And TGF-α and EGFR co-localize in most neurons, thus indicating that most EGFR-containing cells are TGF-α-synthesizing cells. In addition to difference of time of appearance and mature neuronal pattern suggest that TGF-α has the capacity of activating the EGFR in the normal postnatal developing cerebral cortex, therefore, TGF-α and EGFR may interact within cortical neurons through many different mechanism according to postnatal ag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