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종대 북원의 팽창과 황희 - 황희의 국방활동을 중심으로 -

        이주희(Lee, Ju-Hui)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7

        황희(1363~1452)는 여말 선초의 격변기에 국가의 동량으로서 4대 임금을 모셨던 인물이다. 그러한 그의 청렴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본 논문은 황희에게 만일 공직자 윤리에 부정적인 면이 있었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종이 그를 심복처럼 의지한 이유를 살폈다. 즉 재상인 그가 이끌어간 세종대의 시대적 상황을 살피고 재상으로서 황희가 국방 분야에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세종대는 국제적 긴장이 고조된 시기였다. 세종은 백성을 살폈고, 그것이 가능하려면 황희가 필요했다. 北狄(몽골)이 언제 조선을 침공해 올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축성 등의 대규모 토목공사가 필요했지만 그것 때문에 나라가 기울어지는 것은 막아야 했다. 황희는 국가에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을 전제로 국방책을 입안하고 밀고나갔다. 1428년 황희는 현실에 맞추어 북방의 방어체계를 개선했고, 1432년부터 4군 6진 개척을 배후에서 지휘했다. 그러한 가운데도 황희는 많은 추문에 휘말렸고, 세종은 거듭 황희를 보호했다. 청렴한 국정을 운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北狄(몽골)의 침공으로 나라가 망하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어려운 시기였기에 세종에게 황희의 혐의는 더 중요하지 않았다. 설사 황희가 부정을 저질렀다고 해도 난국을 타개하고 해쳐나갈 인물을 내친다는 것은 어려웠다. 세종에게 청렴하기만 하고 능력이 없는 인물은 필요가 없었다. 어느 특정 인물이 유학적인 소양이 높더라도 냉혹한 현실을 다루는데 서툴다면 어디에 쓰겠는가. 오히려 나라를 지키는 일에는 야수와 날카로운 시선과 바위와 같은 인내심이 필요했다. 세종은 황희의 아들들이 자기 자식들의 물건을 훔쳐 나누어 가진 이 사건을 보고 굉장히 불쾌했을 것이다. 그것은 존엄에 위해를 가하는 대역죄였다. 하지만 이 사건을 적당한 선에서 봉합했다. 戰雲이 감도는 시기에 세종에게 황희는 없어서는 안 되는 漢元帝때의 ‘史丹’과 같은 존재였으며 충직한 명재상이었다. Hwang Hui (1363-1452) served four kings as a pillar of the state during the turbulent period of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his integrity. This paper examined Hwang Hee"s reasons why Sejong relied on him like a henchman, nevertheless, if there were any negatives to the ethics of public officials. In other words, we looked at the times of King Sejong"s reign, led by his father-in-law, and found out what role Hwang Hee played in the defense sector as prime minister. The Sejong era was a time of heightened international tension. Sejong looked at the people and needed Hwang Hui to make it possible. At a time when Mongolia might invade Joseon,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were needed, but the country had to be prevented from tilting due to it. Hwang Hee drafted and pushed ahead with the defense plan on the condition that it would not harm the nation. In 1428, Hwang Hui improved the defense system of the north in line with the reality, and from 1432 he led the development of the sixth division of the fourth division. In the meantime, Hwang-Hui was embroiled in many scandals, and King Sejong repeatedly protected her. It is also important to run clean state affairs, but what good is it if the country collapses due to the invasion of Mongolia? Hwang Hui"s charges were not more important to Sejong because it was a difficult time. Even if Hwang Hee was dishonest, it was difficult to break the impasse and make a person who would harm him. There was no need for a person who was only clean and incapable of Sejong. Even if a certain person has a high level of studying abroad, what would he use if he is not good at dealing with the harsh reality? Rather, defending the country required patience, such as wild beasts, sharp eyes, and rocks. Sejong must have been very upset to see the incident in which Hwang Hee"s sons stole and shared their children"s belongings. It was a high-handed crime of inflicting harm on dignity. However, the case was sealed to a moderate extent. In times of war, Hwang Hui was an indispensable "Stan" of the Han Dynasty and a loyal master.

      • KCI등재

        방촌 황희의 재상 리더십

        김문준 ( Kim Moon-jo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6

        방촌(厖村) 황희(黃喜, 1363~1452)는 태종과 세종을 보필한 명재상이다. 그는 세종을 보필하여 국정을 운영하면서 세종의 신중한 조언자로서, 왕도사상에 기반하여 군신(君臣)이 공치(共治) 협치(協治)하는 전형적인 왕도적 재상의 더십을 발휘하였다. 황희가 정승으로서 발휘한 리더십은 두 가지의 개인 량에 기반한 것이었다. 한 가지는 인물됨의 신중함과 큰 국량, 그리고 또한 가지는 정사를 처리함에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결과를 이끌어내는 실무 량이었다. 첫째, 황희는 급변하는 권력의 향배에 관심을 두지 않고 인생동안 환국 시기마다 신중한 처세로 일관하였고, 관대한 인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정에 임해서는 실익을 우선하고 원칙을 중시하여 백성에게 혹한 처사도 불사하기도 했다. 둘째, 황희는 태종 때부터 도승지와 6조 판서 등 정부의 주요 요직을 두루 역임하면서, 국정 전반을 보는 시각이 뛰어나 각종 국정 현안에 대하여 현실적인 결단력과 안정된 국정 운영 능력을 발휘했다. 황희가 행한 재상의 리더십은 유교정치의 왕도사상에 기반한 신도 臣道)를 행한 것이다. 왕도사상의 입장에서 재상이 임금을 섬기는 임무는 임 금에게 바른말로 직언하고 아랫사람을 잘 거느리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황희는 임금에게 강직한 직언을 많이 하고 인재를 적재적소에 추천했다. 황희는 세종이 개혁 정치의 핵심 정책으로 추진한 국정 현안들에 대하여 적극적인 비판적 조언자의 역할을 했다. 황희는 재상으로 재직하면서 주요 정책 시행에 세종과 의견을 달리하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세종이 추진했던 방정책과 조세제도 개혁, 그리고 세자[문종] 대리청정 문제이다. 이러한 제에 대하여 황희는 조정의 구심에서 임금과 신하들의 이견을 조정하고 합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였다. 황희에 대한 역사적 평가로는 장유(張維)와 허목(許穆)은 황희가 재상으로서 탁월하여 임무를 훌륭하게 수행했다고 평가하였고, 이이(李珥)와 허균(許筠)은 도학적 견지에서 평가할 때 황희가 현신(賢臣)이었으나 요순시대를 열기에 미흡했다고 평가했다. Hwang Hee(1363-1452) was a famous the prime minister who supported King Taejong and King Sejong. He supported Sejong and ran state affairs, and as a careful advisor to Sejong, he demonstrated the leadership of the prime minister, who worked together with the king. Hwang Hee's leadership as prime minister was based on two individual competencies. One was the prudence and great competence of character, and the other was the practical competence that led to reasonable and practical results in dealing with affairs. First, Hwang Hee was not interested in the rapidly changing direction of power, but remained cautious during every sudden political change during his life, and is widely known for his generous personality. However, in national affairs, he put priority on practical interests and emphasized principles, so he tried to treat the people coldly. Second, Hwang Hee has served as a major government post since King Taejong's reign, including the king's chief of staff and the chief executive of all Government departments, showing realistic determination and stable ability to manage state affairs due to his excellent view of state affairs. Hwang Hee's leadership was based on Confucian moral political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moral political idea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prime minister to serve the king is to speak frankly to the king and treat his subordinates well. Hwang Hee said many words that were strongly correct to the king. Hwang Hee served as an advisor critical of the national policy issues that Sejong promoted as a core policy of reform politics. Hwang Hee disagreed with Sejong on major national policies while serving as prime minister.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northern military policy promoted by Sejong, the reform of the tax system, and the issue of his son (Munjong) governing state affairs instead of Sejong. In response to these issues, Hwang Hee played a role in coordinating and reconciling differences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in the center of state affairs. Jang Yu(張維) and Heo Mok(許穆) evaluated Hwang Hee as excellent as prime minister and performed his duties well, while Lee Yi(李珥) and Heo Gyun(許筠) evaluated Hwang Hee as a wise minister, but from a view of the spirit of neo-Confucianism it was not enough to create the period of great peace.

      • KCI등재

        헌장(憲章)의 수호자: 세종시대 황희(黃喜)의 정치적 역할

        송재혁 한국정치사상학회 2019 정치사상연구 Vol.25 No.2

        Hwang Hee(黃喜, 1363-1452) served King Sejong(世宗, 1397-1450), the 4th king of Joseon Dynasty as a top ranked official for nearly two decades until his retirement at the age of eighty-seven. He, on the other hand, was implicated in quite a few charges, including corruption and bribery. In addition, Hwang Hee was already in his 60s when Sejong came to throne. In this light, it is more likely that Hwang Hee is far from a favorable candidate for Sejong. Then, why did Sejong appoint Hwang Hee? This paper argues that Hwang Hee as the “Guardian of the Principles (憲章)” is irreplacable. From Sejong’s perspective, the Principles (憲章) refers to political legacy of his forefathers, namely Taejo and Taejong. Fully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practices of the Principles, Hwang Hee was assigned to preserve the tradition and to prevent ill-considered reforms. In the 18th year of his reign, Sejong implimented Euijeongbu Seosa System. For the most of the time when the system was working, Hwang Hee served as Yeonguijeong, a prime minister and maintained a critical view toward various political changes. This paper will examine Hwang Hee’s role under the Euijeongbu Seosa System and Sejong’s recognition of Hwang Hee by reviewing three historical cases of Nothern policy, tax reform, and surrogate governing. 황희(黃喜, 1363-1452)는 87세의 나이로 관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최고위 재상으로서 조선의 제4대 국왕 세종(世宗, 1397-1450, 재위 1418- 1450)을 보좌했다. 그러나 그는 양녕대군에 대한 후원이라는 전력, 고령의 나이, 비리와 부패 등의 약점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세종은 황희를 중용했을까. 이 글은 그 이유를 ‘헌장(憲章)의 수호자’라는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헌장(憲章)’이란 세종에게 있어 선대의 국왕인 태조와 태종이 이뤄놓은 정치적 유산이다. 세종은 황희를 “헌장(憲章)에 밝다(『세종실록』 14/04/20).”고 평가했다. 황희의 졸기는 황희의 정치적 기여에 대해 “조종(祖宗)의 예전 제도를 경솔하게 변경할 수 없다(『문종실록』 02/02/08).”는 입장을 견지하고 무분별한 제도 개혁을 막은 점을 제시하고 있다. 세종은 재위 18년(1436) 4월, 육조직계제에서 의정부서사제로 통치체제를 전환했다. 황희는 세종이 의정부서사제를 채택한 대부분의 기간 동안 영의정으로 재직하며, 정책 사안들의 변화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이 글은 의정부서사제 하에서 황희의 역할, 세종의 황희에 대한 인식, 그리고 사례 논증으로서 북방의 경략, 공법의 개혁, 세자의 대리청정 세 가지 정책 사안에서 황희의 구체적인 역할을 순서대로 검토한다.

      • KCI등재후보

        조세의 중립과 공평을 추구한 황희의 위민(爲民) 사상

        오기수(Ki-Soo Oh) 한국조세연구포럼 2014 조세연구 Vol.14 No.3

        본 논문은 황희를 중심으로 15년 동안 조정에서 논의된 공법의 입법 과정을 살펴보고, 그 논의 과정에서 나타난 황희의 백성을 위한 조세사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세종대왕이 만든 공법의 가치를 재조명하면서, 조세법의 입법자로서의 자세와 사상에 대한 교훈을 얻기 위한 것이다. 황희는 세종대왕의 공법에 대해서 무려 15년 이상 끝까지 굽히지 않고 반대하였다. 연구 결과 세종대왕이 추진하는 공법을 황희가 반대하는 이유엔 다음과 같이 백성을 위한 조세원칙과 사상이 있었다는 것이다. 단순히 세종대왕의 조세정책을 발목 잡기 위한 것이 아니라 조세의 중립성을 통한 위민사상과 공평과세를 위해서 이다. 첫째, 황희는 맨 처음의 공법안이 조세의 중립성 측면에서 부익부 빈익빈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반대하였다. 세종대왕의 명에 의하여 공법안을 연구한 호조에서는 1결에 10말의 공법을 제시하였다. 황희는 공법에 의해 시행한다면 이는 부자에게 행(幸)일 뿐, 가난한 자에게는 불행한 일이 되고 말 것이다.”라고 하였다. 둘째, 황희가 재상(災傷)의 면세점을 낮출 것을 주장한 것은 위민(爲民) 사상이다. 세종대왕은 공법만이 답험손실법의 폐단을 없앨 수 있는 유일한 방편이며, 공법만이 백성들을 위한 세법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세종대왕은 공법을 시행하면서 재상에 따른 조세 감면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였다. 하지만 황희는 10결이 잇따라 재해를 입은 경우 면세하는 것은 ‘부익부 빈익빈’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상의 면세점을 3~4결로 낮추자고 하였다. 그러나 황희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셋째, 황희의 반대는 공법의 공평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최종 공법은 세종 26년(1444)에 완성되었는데 세종대왕이 황희와 논의를 시작한지 15년만이다. 최종 공법은 결부법에 따른 전분6등 연분9등법이다. 이 최종 공법은 전답을 비옥도에 따라 6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1결의 면적을 계산하여 1차적인 공평을 실현하고, 다시 그 해 농사의 풍흉에 따라 9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1결당 20말에서 4말까지 차등 있게 세액을 산정하고 징수하게 하여 2차적인 공평을 실현하도록 하였다. 백성이 소유한 각 토지의 조세등급을 무려 54단계로 세분화하여 공평과세를 실현한 것이다. 그래서 15년 이상이나 반대한 황희도 전분6등 연분9등의 공법이 완성되면 조세법이 바르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In this article, it"s to examine the legislative process of Gongbeop discussed and led by Hwang Hui in the royal court for 15 years and to analyze his idea of taxation for the people mentione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This is to learn a lesson from attitude and idea one of lawmakers should have in order to make tax laws, shedding new lights on value of Gongbeop King Sejong mad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ason why Hwang Hui objected to the Gongbeop King Sejong intended to introduce was to realize principles of taxation and ideology for the people as follows. First, Hwang Hui expressed himself against the first bill of Gongbeop because it could give rise to phenomenon of the rich get richer and the poor get poorer, in the aspect of neutrality of taxation. The Ministry of Finance who studied the bill of Gongbeop by order of King Sejong proposed the Gongbeop with 10 mal of tax(Korean unit of measure)in 1gyeol(Korean unit of land). Hwan Hui spoke out, “If the Gongbeop is enforced, the rich will be happy and the poor be unhappy.” Second, it"s an ideology that politics should be practised for the people that Hwang Hui insisted to lower the tax exemption limit for disaster & injury. King Sejong was convinced that only the Gongbeop was a sole way to remove side effects of Dabheomsonshil law(old Korean regulation of tax rate), and was the tax law for the people. Thus King Sejong had not granted the tax break due to disaster & injury in enforcing the Gongbeop. Hwang Hui, however, insisted the tax exemption limit be lowered at 3~4 gyeol as the phenomenon of "the rich get richer and the poor get poorer" could occur if 10 gyeol was exempted from taxation in case of the ensuing disaster & injury. But the suggestion of Hwang Hui was not accepted. Third, the opposition of Hwang Hui contributed to the fairness of Gongbeop. The final Gongbeop, which was completed in the 26th year of King Sejong(1444), was composed of jeonbun 6 classes and yeonbun 9 classes of law(old Korean tax law) in accordance with gyeobu law(old Korean unit of measuring land and crop). With this final Gongbeop, the fair taxation is ensured by subdividing the taxation class at a surprising 54 levels of each land the people owned.

      • KCI등재

        동방의 소공(召公) 방촌 황희의 리더십 ―황희 관련 몇 가지 상징요소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이종성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4

        이 글은 조선 최고의 재상이자 청백리로 알려진 방촌 황희의 리더십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이 글은 특히 황희 관련 몇 가지 상징요소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황희 리더십의 특징과 의의에 다가가 보려는 목표를 갖는다. 이 글이 주목하는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황희의 시호인 ‘익성’(翼成)에 내재된 리더십의 내용이다. 황희는 평생 왕을 잘 보필한 현명한 신하의 역할에 충실한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이러한 삶이 가능했던 이유는 그가 매미가 가지고 있는 다섯 가지 덕을 실천하는 리더의 인품과 자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다섯 가지는 배움(文), 청백(淸), 염결(廉), 검소(儉), 믿음(信)이다. 둘째, ‘소공대’(召公臺)에 새겨진 사랑의 리더십이다. 황희는 주나라 소공과 같이 가난을 구제하고 실업자를 없앤 한편 탐관오리를 처벌하는 등 민생을 위해 헌신한 결과 백성들에 의해 그의 선정을 기리는 소공대가 세워졌다. 황희는 사랑의 리더십을 통해 이미 자신의 살아생전에 ‘동방의 소공’이라고 불렸던 것이다. 셋째, 말년에 세운 ‘반구정’(伴鳩亭)에 내재된 물러남 또는 은퇴의 리더십이다. 리더가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를 제대로 아는 것도 리더십의 한 특징이다. 그것은 ‘시중지도’(時中之道)에 충실한 것이기도 하다. 황희의 은퇴는 자연주의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명교주의적 은퇴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넷째, ‘광한루’(廣寒樓)의 전신인 ‘광통루’(廣通樓)에 새겨진 소통의 리더십이다. 세상과 넓게 통하기 위한 장소적 특성을 새긴 광통루에서 황희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 사람과 세상, 사람과 우주 등의 자기 확장성을 갖는 소통의 리더십을 모색하였다. 이것은 이 땅에 이상세계를 구현하고자 한 그의 희망의 리더십이 반영된 결과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논의는 역사적인 장소의 현장성에 기초한 구체적 상징요소를 검토의 대상으로 삼아 그 안에 내재된 이념적 요소 내지는 철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논의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글은 향후 여전히 미진한 황희연구의 디딤돌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효과를 예상한다. This writing is to seek for the leadership of Bangchon Whang Hee known for the best chancellor and clean government employee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aim of this writing is to approach the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Whang Hee's leadership, centered on th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several symbolic elements about him. The contents that this writing pays attention to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e content of the leadership inherent in Ik Sung (翼成), Whang Hee's posthumous epithet. Whang Hee was the person who lived a faithful life suitable for the role of a wise retainer helping the king all his life. The reason this kind of life was possible was that he had the personality and quality of the leader practicing cicadas' five virtues. The five are learning (文), cleanness (淸), sense of shame (廉), thrift (儉), and belief (信). The second is the leadership of love inscribed on the Zaogong platform (召公臺). Like Zaogong in the Zhou Dynasty, Whang Hee devoted himself for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relieving poverty, eliminating the unemployed, and punishing corrupt officials. As a result, the Zaogong platform was set up to honor his good politics for the people. Through the leadership of love, Whang Hee was already called 'East Zaogong' while living. The third is the leadership of recession or retirement inherent in Bangujeong (伴鳩亭) set up in his later lif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is to know well when to proceed and recede. That is also to be faithful in the way of time (時中之道). Whang Hee's retirement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eaching of Confucius in that it had a natural characteristic. The fourth is the leadership of communication inscribed on Gwangtongru (廣通樓), its predecessor Gwanghanru (廣寒樓). On Gwangtongru inscribing the local characteristic for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wide, Whang Hee sought for the leadership of communication to be self-extensible, with the viewpoint of person and person, person and nature, person and world, or person and universe. This is significant in that his leadership of hope was reflected to embody a ideal world on this earth. This kind of discuss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discussed in the way in which the ideological element and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are grasped inherent in it with the object of examination of the concrete symbolic elements based on the on-site nature of the historical place. This writing is expected to act as a stepping stone the studies on Whang Hee, which is still incomplete.

      • KCI등재

        朝鮮 太宗代 厖村 黃喜의 정치적 활동

        소종(So, Jong) 효원사학회 2015 역사와 세계 Vol.- No.47

        황희는 재상직을 탁월하게 수행하여 세종에게 수많은 업적을 남기도록 도운 인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앞선 시기에 행했던 사실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태종대에 그가 행했던 활동은 세종대에 재상직을 해내는 배경이 되었다는 점을 생각할때,이 시기의 활동은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의 역할은 태종조에서 정치적으로나 사상적으로나 유력 인물들에 비해 덜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며, 도리어 국왕의 지근거리에서 더많은 핵심적인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고려말에 과거에 급제했는데, 조선 건국 직후에는 관직생활이 그리 평탄치 못하다가 태종이 즉위하고 박석명의 추천을 받으면서 태종이 행한 정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지신사 임명 후에는 외척세력 제거를 비롯한 공신세력 견제에 크게 공헌하였고, 승진하여 육조의 여러 판서직을 수행하면서는 각종 제도나 법령을 제정하는데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지신사 시절부터 판서 시절에 이르기까지 태종과 매일같이 면대하여 정사를 논할 정도로 친밀하였으나 양녕대군을 지지한 탓으로 조정에서 퇴출되었는데, 태종이 그를 퇴출하면서 구구절절하게 이유를 드는 모습은 태종이 그를 얼마나 신임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태종이 그를 한가족처럼 여기고 양육하다시피 했다는 발언을 볼때. 그는 처음부터 태종에 의해 철저하게 키워지고 길러진 관료였고 태종의 공신세력 견제 및 국정운영을 위해 크게 쓰여진 인물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면모는 황희에 대한 이전의 시각과는 다르게 바라 보아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한다. It is widely known that Hwang Hee(黃喜) excellently carried out the job of prime minister and help King Sejong(世宗)’ remained lot’s of achievement, but unknown the fact of his actually work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太宗). It is necessary to see carefully his activity on that time, because that works came to background of his activities as prime minister.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太宗), It seems that his role of politics and political idea is not short as compared with influential people, and that accompanied more important roles within easier distance between him and the King on the contrary.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last period of Koryo Dynasty(高麗), was not going very well in life of government service immediatelt after begin of Choson Dynasty. But Taejong’s acceding to the throne and Park Suk-Myoung(朴錫命)’s recommendation, He began to accompany the important role of Taejong’s reign. After appoint Chief of Presidential Secretary(知申事) he contributed to restrain meritorious retainer(功臣)’s power including removal of maternal relative influence, after moving up Minister(判書) he remained much excellent achievement for establishing laws and social system. During Almost time of the reign of King Taejong(太宗), he was on intimate terms with King so much as to talk about political issue meeting face to face everyday. But the King expelled him from political circles in the last time of throne, becase He supported YangNyoungDaeGun(讓寧大君) as the Crown Prine(世子). That time his being leaved, the King especially gave a suitable reason. Hereby we can see how much King Taejong trust him. Seeing Taejong’s comment that considered him as one of same family and bring him up, Hwang Hee was the person growed thoroughly from the beginning and employed for restraining meritorious retainer(功臣)’s power and administrating state affairs by King Taejong. This point make us take different sight about Hwang Hee.

      • KCI등재

        조선후기 상주 白玉洞影堂의 운영과 陞院

        김순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본 논문은 16세기에 건립된 방촌(厖村) 황희(1363~1452)의 제향처인 상주 백옥동영당의 건립과 운영 및 승원 과정을 검토하였다. 백옥동영당은 ‘백화당(白華堂)’에서 출발하여 1580년 황희의 5대손 황돈(黃惇, 1510~?)의 주도로 건립한 사우이다. 그러나 영당은 임진왜란기 전소되었고, 1595년(선조 28) 우복 정경세의 제자이자 황희의 7대손인 황뉴(黃紐, 1578~1626)의 주도로 재건되었다. 서원으로 승격 전 영당은 상주 입향조인 황보신(黃保身, 1401~1456)의 후손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황보신이 상주로 낙향하면서 자신의 백화당에 황희 영정을 모시고 향사를 지내는 한편, 백화당을 문중 회합 장소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이후 황보신의 후손들이 과거급제 및 사환을 통해 상주 향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이 과정에서 영당은 향내 사족들의 공적 장소로 활용되면서 그 규모도 확장되었다. 18세기 초반에. 상주 근암서원에서 개최한 도회에서 사서(沙西) 전식(全湜, 1563~1642)을 배향하여 승원하자는 공론이 처음으로 취합되었으나 실패하게 된다. 그로부터 12년 후 근암서원 원장 전수장(全守長)의 주도로 2차 발의가 시도되었고, 이어 상주 충렬사 재회(齋會)에서 3차 발의 후 상주 전 사림의 공론이 취합되어 1714년 11월 19일 ‘옥동서원 (玉洞書院)’으로 승원하였다. 옥동서원의 승원은 18세기 초반 집권당의 영남 남인 강경책에 대응할 한 방편으로 백옥동영당의 승원을 두고 상주 향촌 사회의 남인 세력과 향론을 결집했다는 점에서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朝鮮初 典章制度 확립과정에서 黃喜의 역할과 그의 社稷祭論 고찰

        손흥철 (재) 우계문화재단 2023 牛溪學報 Vol.45 No.-

        방촌(厖村) 황희(黃喜, 1363~1452)는 조선이 새로운 국가의 면모를 갖추는 데 많은 공헌을 한 관료이자 학자이다. 이 논문은 조선초기 국가의례(國家儀禮)의 정립 과정과 그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방촌의 역할과 사직제에 관한 그의 의론을 검토하고, 그가 확립한 국가의 전장제도(典章制度)는 사직제(社稷祭)를 강조한 제도이며, 또한 그것은 중국의 예제(禮制)와 다른 조선의 특수성을 확립한 제도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신생국으로서 조선이 국정 전반에 대한 엄격하고 치밀한 전장제도(典章制度)를 확립하는 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요약⋅정리하였다. 즉 조선의 예제는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에 대한 제사를 중시하였다. 조선왕은 명(明)나라 황제보다 한 등급 아래인 친왕(親王) 등급의 예제를 받아들였으며, 황제의 의전인 천제(天祭) 가운데 하나인 기우제(祈雨祭)만 지내게 되었다. 제3장에서는 방촌의 출사(出仕)와 입법활동을 통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방촌이 제시한 예제의 특징이 중국 명나라와 외교관계와 유교 경전과 조선의 특수한 상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음을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사직제(社稷祭) 의식(儀式)에 관한 방촌의 사상과 그 특성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선왕조의 기틀이 서경(書經) 과 주례(周禮) 및 송대(宋代)의 제례(祭禮)에 근거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조선의 예제는 중국 각 왕조의 예제를 일부 인용하여 확립되었지만, 조선의 독창적이고 독립적인 예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조선이 독립된 국가로서 면모를 갖추었고, 나아가 의전과 의례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Bangchon(厖村) Hwang Hee(黃喜, 1363-1452) was a bureaucrat and scholar who contributed a lot to Joseon's establishment of a new state. In this paper, we briefly examine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tate Ceremony(國家儀禮)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role of Bangchon in this process and Bangchon's discussion on the ceremony for Gods of earth and grain(社稷祭) was review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Joseon’s institutional laws and regulations(典章制度) established by Bangchon was a system that emphasized the ceremony for Gods of earth and grain.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was a system that established the specificity of Joseon that was different from China's ritual system(禮制). Chapter 2 summariz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trict and elaborate institutional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overall national politics as a new countr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Joseon‘s ritual system emphasized the rituals for ancestral temple(宗廟) and the Gods of earth and grain(社稷). The Joseon king accepted the example of the level of royal highness(親王), which is one grade lower than the emperor of the Ming(明) Dynasty, and only the ritual for rain(祈雨祭), one of the emperor's ceremonies, was held. Chapter 3 statistically summarizes Bangchon's become government officials(出仕) and legislative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explain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angchon's ritual system aroun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Chinese Ming Dynasty,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special situation of Joseon. Chapter 4 explains the main thoughts and characteristics of Bangchon on tthe ceremony for Gods of earth and grain. Through this, it was explained that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was based on the Shu Jing(書經), Zhou Li(周禮) , Song Dynasty’s sacrificial rit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ritual system of Joseon was established by citing ritual system of each Chinese dynasty,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an original and independent ritual system of Jose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Joseon as an independent country, and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protocol and ritual system.

      • KCI등재

        방촌 황희의 경세사상과 그 의의

        이영자 ( Young Ja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5 No.-

        본고에서는 방촌 황희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경세사상의 유학적 기반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그의 경세사상이 위민, 애민사상으로부터 발로된 것임을 밝히었다. 즉, 그의 경세사상의 핵심이 ``인권존중과 민본의식, 개혁을 통한 백성의 불편과 고통 해소``를 목표로 하고 있음과 더불어 구체적인 경세 정책으로는 ``기강 확립 방안, 치안과 국방강화책, 빈민구제책, 교육정책, 언론과 여론 중시``의 5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그의 경세사상은 일반유학의 경세사상의 정신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으면서, 더 나아가 유학의 이상세계인 대동사회를 목표로 왕도정치를 몸소 실천함으로써 당대를 태평성대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무엇보다 황희는 공맹의 왕도정치보다 훨씬 더 평등의식에서 앞서 있으며,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권존중 정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실천하였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다. 황희의 삶과 경세사상은 자본주의의 노예로 전락하여 사치와 낭비를 일삼는 현대인 및 선심정책 남발로 국가재정을 위협하는 위정자들에게 자기반성과 성찰의 기회를 마련해 주고 있다. 또한 우리 사회의 여러 불평등한 문제를 해소하고 민주시민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우리는 황희의 평등주의 및 인권존중의식을 본받아 사회적 불평등의 해소 및 박애주의 실천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In tl1is study, we outlined the life of Bangchon Whang Hee,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Confucian basis for his governing thought and found that his governing thought was from the for the people spirit and love for the people and aimed to relieve the people``s inconvenience and sufferings via respect for human rights, people-centeredness, and reforms. We also investigated his governing thought in terms of five concrete governing policies: strategies to set the country in order, reinforce public order and national defense, and give aid to the poor as well as education policy and respect for public opinion and the media His governing though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aiming at the great harmony society, an ideal society based on Confucian teachings, he maintained the entire country at peace while in office by putting into practice politics of kingship. faithfully following the spirit of governing teachings of Confucianism at the Same time. Whang Hee has a profound significance in that his governing philosophy was far better than politics of kingship advocated by Confucius and Mencius in terms of equality and he made and put into practice detailed policies to protect human rights of the disadvantaged in tile society. Moreover, his life and governing thought provides a chance to take time for self-reflection and examination to those who are reduced to a slave of capitalism, indulging in luxury and extravagance and policy makers who pose a threat to national finance by thoughtlessly pouring policies that make them seem caring. In order to solve many problems of inequity in our society and reborn as a democratic citizen, we should take his example of egalitarianism ,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furtl1errnore, make efforts to eliminate il1ffJuity of society and practice philanthropy.

      • KCI등재후보

        전북 순창 진주강씨 묘역의 석인상 복식 고찰

        이은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9 한국 복식 Vol.- No.4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value of the stone statues' historical databy estimating the costume of the stone statues wearing a Gamtu standing at the JinjuKang Clan(晉州姜氏) tomb, the great-grandmother of Hwang Hui(黃喜, 1363∼1452),located in. First, the stone statues of Jinju Kang Clan tomb, which lived in the early 14thcentury, were made by Hwang Hui in the mid-15th century. But the costumes of stonestatues were made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costumes where the ownerof the tomb lived. Second, there are one pair of stone statues in the Jinju Kang Clan tomb, which issmall in size. However, the specific form of costumes was difficult to identify due toserious damage such as wear and corrosion over the years. Third, the stone statue of Jinju Kang Clan tomb was wearing a low height Gamtu (甘套), which were lowly expressed in the form of Gamtu. Since the end of the Goryeo,the characters wearing a Gamtu were confirmed in the literature and painting materialsthat they wore a Gyoimhyeong (交袵形) Cheollik (帖裏) or a Daegeumhyeong (對襟形)Cheolrik, a Bangnyungpo (方領袍), a Dapho (褡 ) and a Jikryeung (直領). Among them,it was estimated the stone statue of Jinju Kang Clan tomb was wearing a GyoimhyeongCheollik. Fourth, a long object held by both hands of the stone statue of Jinju Kang Clan tombwas judged as a sword-like weapon, and accordingly the stone statue was named as astone statue of military official protecting the owner of the tomb. Fifth, the stone statue of Jinju Kang Clan tomb, the great-grandmother of Hwang Hui,was a rare exampl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made in the province, which turnedout to be valuable as a historical material for the stoneworks research in JoseonDynasty. 이 연구는 전라북도 순창군에 위치한 익성공 황희(黃喜, 1363∼1452)의 조모 진주강씨(晉州姜氏, 14세기 전기 생존) 묘역에 조성된 감투형 석인상을 통해 석인상이 지닌 사료적 가치를 밝히고 여말선초 남자복식을 추정해 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4세기 전기에 생존한 인물로 추정되는 진주강씨 묘역에 조성된 1쌍의 석인상은 손자 황희가 세종 24년(1442)에 조성하였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진주강씨 묘역에 조성된 석인상은 높이 111cm, 117cm 정도의 작은 크기이다. 현재 마모되고 부식된 상태여서 복식의 세부적인 형태 파악은 어려웠으나 그 중 확실하게 파악되는 것은 관모‘감투’였다. 황희 일가 묘역의 감투형 석인상의 감투 형태를 비교해본 결과, 진주강씨 묘 석인상의 감투는 여말선초(麗末鮮初)의 형태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말선초에 감투와 함께 착용할 수 있는 복식을 석인상 자료와 문헌・회화자료를 토대로 살펴본 결과, 교임형 철릭이나 대금형 철릭, 방령포, 답호, 직령 등 5종의 복식을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검과 같은 무기를 들고 있는 진주강씨 묘역의 감투형 석인상 복식으로는 교임형 철릭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넷째, 진주강씨 묘역의 석인상이 양손으로 잡고 있는 긴 물체를 검 등의 무기로 판단함에 따라 묘주를 보호하는 무인석으로 파악하였다. 다섯째, 진주강씨 묘역의 석인상은 조선전기 석인상 연구의 사료적 가치 뿐만 아니라 조선 초 지방에 조성된 드문 석인상 사례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큼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