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산문화, 현상과 쟁점

        김정열(Kim Jungryol)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6 No.-

        중국의 이른바 ‘東北’은 역사적으로 볼 때 줄곧 ‘중원’과 다른 독자적 문화가 발전한 지역이었다. 특히, 신석기시대 후기에 遼西 일대를 중심으로 번영한 紅山文化는 대형 積石塚과 독특한 형태의 토기, 옥기 등으로 말미암아 세간에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다. 홍산문화는 기원전 4000년기를 전후하여 약 1500년의 시간에 걸쳐 요서 지역의 대릉하와 시라무렌하 일원을 중심으로 번영했다. 홍산문화는 후 기 신석기문화의 한 유형으로, 농업과 수렵 등의 혼합경제를 바탕으로 세련된 옥기를 제작하고 특징 적인 적석총을 건설하였다. 이 문화에서는 원시신앙을 배경으로 한 복합사회가 출현했다. 홍산문화 유적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사유와 기술적 성취는 지역적 문화전통으로 수렴되고, 이렇게 형성된 문화 전통은 요서 지역뿐만 아니라 더 넓은 지역에도 다소간의 영향을 주었다. 홍산문화에 대한 이해는 그런 의미에서 동아시아 선사 고고학 연구에서 흥미로우면서도 유용한 작업이 될 것이다. 1980년대 이래 중국에서는 이 홍산문화가 ‘文明’의 출현을 알리는 여러 가지 지표를 갖추고 있으며, 따라서 중국의 ‘문명’이 바로 여기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적잖이 등장하였 다. 이런 견해는 中華民族多元一體論의 기치 하에 지금의 변경지역까지 ‘中華’의 틀 속에 포 섭하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반만년의 유구한 문명을 강조하여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려는 민족주의적 정서와 맞물리면서 중국에서 널리 수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의 일 부 지식인들은 홍산문화의 의례용 옥기의 장식에 곰[熊]이 소재로 사용되었다든지, 아니면 고조선의 墓制가 홍산문화의 적석총을 계승하였다는 생각에 근거하여 홍산문화를 한국의 역사에 편입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홍산문화의 성격을 둘러싼 논쟁은 홍산문 화에 대한 이해보다 오히려 그 문화의 계승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다분히 비학술적인 논의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홍산문화를 통해 입증하고자 하는 ‘문명’의 출현은 그 근거가 박약하다. 홍산문화의 사회는 아직 국가를 만들어 낼 만큼 성숙하지 않았다. 황제 역시 근대에 들어서야 중화민족의 국조로 추앙받게 된 신화속의 인물로서, 그에게 특정한 시공간과 문화적 실체를 부여하는 것은 허구이다. 홍산문화가 우리 것인지 아니면 중국 것인지에 대한 논쟁 역시 본디부터 근 대 국민국가 성립 이후의 관점을 선사시대까지 무제한 확장한 소모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 다. 그보다는 홍산문화에 대해 자세하고 정확히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선사시대 동북 아 지역의 인류문화 발전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우리에게 훨씬 유용하다. 홍산문화에 현실 적 요구를 담아 사실을 자의적이며 배타적으로 이해하려는 것은 우리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고, 자칫하면 역사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신념으로 변질되어 현실사회의 각종 모순을 희석하기 위한 도구로 악용될 우려도 있다. The ‘North-East’ region in China was constantly separated place from ‘central dis¬tricts of China’ in history, in which developed an unique culture. Especially, the Hong¬shan Culture, which prospered in the period of the New Stone Age around Liaoxi, is widely known for its large scale of Stone mound tomb, unique form of earthenware and jadeware. The Hongshan Culture developed around the Daling River and Siramoren River in Liaoxi region for 1500 years before and after B.C. 4000. The Hongshan Culture was a type of the culture of late New Stone Age, which produced polished jadeware and constructed distinct Stone mound tombs based on the mixed economy of hunting and agriculture. In this culture, a complex society was emerged based on primitive be¬lief. The unique reason and its technical achievement in Hongshan Culture were con¬verged in local cultural tradition, and this cultural tradition influenced on the wider re¬gion as well as Liaoxi region. In this sense, the understanding of Hongshan Culture was a useful and interesting task for study of prehistoric archaeology in East Asia. Since 1980’s, many scholars thought that this Hongshan Culture had the various of signs, which informed the emergence of civilization, so this culture is regarded as a starting point of Chinese ‘civilization’. This point of view is widely accepted by the policy support of government which sought to embrace the region of frontier in the mold of China under the banner of plurality and unit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hinese nation, and by the nationalist awareness which inspire the national pride stressing a long civili¬zation of a 5,000-years-old history. Meanwhile, some Korean scholars assert that the Hongshan Culture is subsumed under the Korean history based on the ground that the Tomb Structure of Gojoseon state succeed the Stone Mound Tomb of Hongshan Culture and the bear used in the ceremonial jadeware of Hongshan Culure for ornamental pur¬poses. This debate over the character of Hongshan Culture concentrated on the unaca¬demic discussion in who was the successor of culture rather than the understanding of this culture. The emergence of civilization, which was tried to prove with Hongshan culture, was based on insufficient evidence. The society of Hongshan culture was not enough fully-fledged to make a state. The Huangdi King was a mythical figure who was held in high mythical esteem as a founder of state just in modern period, so it is a fiction that in¬vested the specific space and time and cultural true nature on him. The debate on whether the Hongshan Culture belong to Korea or China is also wasteful to extend un¬limitedly the point of view afte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state to the pre¬historic times. It is more useful that we try to understand the Hongshan Culture more detailedly and accurately and from this, grasp the development aspects of human cul¬ture in Northeast Asia in prehistoric times. It is not helpful for us that sought to under¬stand the Hongshan Culture thetically and exclusively including the realistic demand. If we are not careful, it would be exploited by instrument to dilute the real social contra¬diction with corrupt conviction wrapping the terms of history.

      • KCI등재

        홍산문화(紅山文化)의 연구사 검토 : 동산취 유적과 우하량 유적을 중심으로

        김재윤(Kim, Jae Youn) 한국신석기학회 202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41

        홍산문화는 홍산후 유적으로 정의되었으며, 사과둔 유적과 함께 북방의 세석기문화로써 앙소문 화의 채색토기를 받아 들인 문화로 초기에 연구되었다. 하지만, 1980년대 동산취 유적과 우하량 유적이 발굴된 이후로는 의례중심으로 연구가 급변했 다. 동산취 유적은 제단이 있는 제사 유적이고, 우하량 유적은 무덤의 묘역을 구분하는 이른바 ‘적 석총’ 이 있는 무덤으로 채색토기와 옥기 등이 대량 출토된다. 동산취 유적과 우하량 유적 발견 당시 홍산문화의 연대는 5000~3000년 전으로 추정되었으나, 현재는 홍산문화의 취락과 무덤 유적 을 모두 포함시킨 결과 6500~5000년 전으로 정리되었다. 초창기에 비해서 홍산문화의 물질문화 특징과 연대는 크게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홍산문화는 절대연대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6000~4400년 전에 해당된다. 그 기간 중에 가장 늦은 5기(4700~4300년 전)에 우하량 유적 및 적석총이 있는 무덤 유적이 나타난다. 이전에 석관묘 유적이 있지만 우하량 유적의 복잡한 무덤구조와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채색토기 및 압인 ‘之’자문토기의 기형이 다양화 되며, 굽은 동물형 옥기를 비롯한 다양한 옥기도 대다수 이 기간에 나타난다. 즉, 현재 알려진 홍산문화의 의례적 특징은 5000년 전 이후 홍산문화 5기에 집중되어 나타나며, 1~4기에서는 볼 수 없다. 북방의 세석기문화로 연구된 초기 연구와 문화적 성격이 크게 벌어졌는 데, 앞으로 이에 대한 다양한 고민이 필요하다 The Hongsan culture was defined as the Hongshanhou site, which were previously excavated from the Shaguotun ruins and were studied as a Northern prehistoric blade culture. However, since the discovery of the Dongshanzui ruins and Niuheliang ruins, the research has been rapidly focused on rituals, but simply explaining that Hongshan s research has deepened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sites. Dongshanzui site are altar ruins and Niuheliang ruins are tombs with so-called “ Jeokseokchong Tomb” that distinguish the tomb s grave. Jeokseokchong Tomb is the latest in Hongsan culture, and has been confirmed since 5,000 years ago. Still, is it okay to be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relic of Hongsan culture that began 6,000 years ago? Before the appearance of Jeokseokchong Tomb, there is a stone tomb site, bu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from the complex tomb structure of the Niuheliang site In addition, the Jade and earthenware of Hongsan culture are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generation and the time when the Jeokseokchong Tomb appeared. Therefore, tomb sites with Jeokseokchong Tomb including Dongshanzui site and Niuheliang ruins, need to be separated from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 KCI등재

        홍산문화론

        김정열(Kim Jung-ryol)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6

        기원전 5000년기에 요하 일대에서 성립하여 발달하기 시작한 신석기문화의 한 유형, 紅山文化는 중국은 물론 우리 학계도 커다란 관심을 가지는 주제이다. 그것은 이 문화에서 형성된 거대한 규모의 유적과 독특한 형태의 유물이 세인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했을 뿐만 아니라, 이 문화에서 나타난 갖가지 문화 현상이 매우 흥미로우면서도 논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홍산문화에 대한 지견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학계에서, 특히 牛河梁 유적에서 발견된 대형 적석총, 여신묘 등의 대형 유구를 바탕으로 홍산문화가 이미 문명의 단계에 도달했다고 견해가 만연하고 있다. 게다가 일부 연구자는 이 문화가 황제와 그 부족이 창조한 것이며, 따라서 홍산문화는 ‘황제’로부터 시작되는 중국 문명의 원류가 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한편 국내에서는 특히 유사역사학자를 중심으로 홍산문화는 황제가 아닌 고조선과 관련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홍산문화는 오히려 우리 민족사의 원류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어 있다. 홍산문화의 유적과 유물에서 관찰되는 일련의 현상이 과학적으로 정의된 문명의 그것에 부합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그것은 홍산문화의 유적과 유물을 통해서 문명의 출현을 입증할 만한 증거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홍산문화에서 제사장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된 사회구성원의 계층화가 진전되었을 뿐만 아니라, 취락 사이에서도 일정한 상호관계와 서열화가 진행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해도, 그 정도가 아직 문명의 탄생, 즉 국가의 출현을 의미하는 단계까지 도달했다고 볼 수 없다. 게다가 황제는 신화 속의 인물로서, 漢代 이후에야 중국인의 조상으로서 인격화되는 존재이며, 따라서 홍산문화와 황제와의 관계를 상정하는 것 역시 일종의 넌센스에 불과하다. 현재 중국학계에서 유행하는 홍산문화의 성격에 대한 주장은 사회적, 정치적 요구에 의해 선험적으로 정의되었으며 과도하게 포장된 혐의가 짙다. 그러므로 홍산문화에서 중국 최초의 문명과 황제의 흔적을 찾으려는 시도는 사실에 부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엄정성을 담보하고 있지도 않다. 홍산문화를 고조선과 연관시키려는 시도 역시 그와 같은 불합리성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e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is the main subject of academic circles of Korea, as well as of China, which is a type of neolith culture developed on the Liaohe river遼河 about 4000 B.C.. This is because not only dose the large scale of ruins built in this culture attracts public attention, but the variety of cultural phenomena in this culture has the character of interesting and disputatious. The knowledge of Hongshan Culture is today insufficient. Nevertheless, at the part of Chinese academic circles,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Hongshan Culture reached already at the level of civilization, on the ground of the Stone mound tomb and Goddess temple excavated in the ruins of Niuheliang site牛河梁遺址. Moreover, while some of scholars claimed that this culture was created by Yellow Emperor king黃帝 and his tribe, thereby that Chinese civilization originated in the Hongshan Culture, in Korea particularly around Pseudogistorian, it was argued that the Hongshan culture related with Gojoseon state古朝鮮, not Yellow Emperor king, so that the culture was rather regarded as the origin of Korean nation. However, it is doubtable whether the series of phenomena presented in remains and relics of Hongshan Culture would be accorded with the those of that civilization defined with scientific conceptions. Because through the remains and relics of Hongshan Culture it is difficult to collect the evidence enough to demonstrate rise of civilization. Although we admit the fact that in the Hongshan Culture the mutual relation and ranking among the Settlement was progressing, as well as the social stratification was advancing with the chief priest as the peak, it could not be seen at the level of the birth of civilization, that is, the emergence of state. Given the Huangdi King was the character in myth, and only after the Han漢 dynasty he could be personification as the ancestor of Chinese, to postulate the relation the Hongshan Culture with Yellow Emperor king do not make sense. The claims of current trends in Chinese academic circles of the character of Hongshan Culture are defined and exaggerated intuitively by the social and political needs. Therefore, the attempts to find the first civilization of China in the Hongshan Culture did not meet with the historical fact, as well as damaging the historical exactness. The claim also that could find the evidence of Gojoseon in the Hongshan Culture pay particular attention to prevent from repeating that irrationalism.

      • KCI등재

        홍산문화의 祭天 유적·유물에 나타난 ‘韓國仙道’와 중국의 ‘先商문화’적 해석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6 고조선단군학 Vol.34 No.-

        본고는 홍산문화의 표지인 단·묘·총 유적과 옥기 유물을 ‘선도 제천’ 유적 유물로 분석함으로써 홍산문화가 한국선도에 기반한 선도문화임을 밝히고 선도문화의 시각에서 중국측의 예제문화적 해석이나 선상문화적 해석을 비판한 연구이다. 홍산문화가 한국선도에 기반한 배달국의 문화임은 단·묘·총 유적과 옥기 유물이 오직 한국선도의 일·삼·구론(삼원오행론, 기·화·수·토·천부론, 천부조화론, 마고신화)적 세계관과 선도수행적 시각을 통해서 비로소 해석가능한 ‘선도 제천’ 유적·유물이라는 점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반면 중국측은 중국의 오랜 음양오행론 전통에 따른 ‘현상적’ 접근법을 취하였던 때문에 단·묘·총과 옥기의 이면에 자리한 삼원오행론적 세계관과 선도수행적 상징성을 읽어내지 못하고, 주로 겉으로 드러난 형태 분석을 중심으로 하게 되었다. 단·묘·총과 옥기에 대한 중국측의 해석은 대체로 ‘禮制문화’로 정리되는데 이는 후대 중국왕조의 예제를 투영한 것으로 내용적 실체가 분명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중국측이 제시한 예제문화의 내용을 잘 살펴보면 실상 은상문화를 기준으로 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곧 중국측은 홍산문화의 주된 흐름을 ‘홍산문화 → 하가점하층문화 → 은상문화’로 보았는데, 은상문화가 기준이 되었기에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 양대 문화는 ‘先商문화’로 개념화되었다. 후대문화를 선대문화에 투영함으로써 얻어진 ‘선상문화’라는 개념의 부적절함은 중국측이 홍산문화나 하가점하층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준다. 홍산문화나 하가점하층문화가 선도문화에 기반한 배달국·단군조선문화로 중원지역을 비롯한 수많은 지역으로 흘러 들어가 만개하였고 그중 하나가 은상왕조였다면 ‘선상문화’라는 개념은 마땅히 폐기되어야 한다. Altar•Shrine•Tomb and jade tools that is the sign of Hungshan Culture are the remains and relics for Heaven rituals of Korean Sundo. And those can be made an interpretation only by the idea of One-Three-Nine一•三•九論[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the idea of ‘Ki氣•fire火•water水•earth土•Chunbu天符’氣•火•水•土•天符論, the Chunbu harmony theory天符調化論] that is the core theory of Korean Sundo. So we get to know that Hungshan Culture is Baedalkook倍達國 Culture based on Korean Sundo. On the other hand, Chinese scholars make an interpre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Hungshan Culture as ‘Ritual Culture’, but they can’t adduce the core of ‘Ritual Culture’.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Ritual Culture’ has many interpretative probl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n Sundo. Factually chinese interpretation of ‘Ritual Culture’ is complied with the ‘Shang Culture’. That is, chinese scholars consider the main spreading route of Hungshan Culture as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As chinese scholars think that the central axis is Shang Culture in these route, 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is conceptualized as ‘Pre-Shang Culture’. ‘Pre-Shang Culture’ is a inappropriate concept because it is generalized by reflecting the later culture(Shang Culture) to the early culture(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On this account we get to know that chinese scholars don’t go to the core of 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are the culture of Baedalkook and Dangun Chosun檀君朝鮮 based on Korean Sundo culture, and those culture are diffused throughout many regions including China and flourished. As Shang is just one of many regions, the concept of ‘Pre-Shang Culture’ have to be discarded as a matter of course.

      • KCI등재

        홍산문화 유물에 보이는 인장의 기원과 고조선문화

        朴仙姬(Park, Sun-hee)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9

        홍산문화(서기전 4,500~서기전 3,000)에 속하는 내몽고자치구 哲理木盟 奈曼旗 境內에서 두 개의 옥인장이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이 옥인장에는 몸체에 모두 구멍이 뚫려있어 끈을 꿰어 의복에 차거나 달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기할 것은 인면에 홍색의 안료가 남아있는 점이다. 중국학자들은 이 옥인장을 ‘중화민족제일인(中華民族第一印)’이라 명명했다. 그러나 이 옥인장들이 실제로 나만기 境內에서 출토된 것이라면, 홍산문화유적에서 보이는 유적과 다양한 복식유물들은 중국이나 북방지역의 것과 달리 고조선문화의 특징적 요소들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어, 중국학자들이 이 옥인장을 ‘중화민족제일인’으로 분류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 홍산문화는 주로 복식품으로 사용되었을 옥기뿐만이 아니라 적석총, 제단, 성곽과 취락유적들이 함께 두드러진 문화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사용되었을 악기와 도구 등의 유물에서 보여지는 문화적인 의미와 상징적 가치 역시 뛰어나다. 특히 홍산문화 후기의 우하량유적은 제단과 여신묘, 적석총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규모의 유적으로 상당히 수준 높은 사회발전의 단계를 이루고 있다. 홍산문화에서 보여지는 이러한 문화현상들은 중국문화와 확연히 구별되고, 고조선문화와 이후의 여러나라시대 문화 특징에 지속적인 발달 양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홍산문화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옥인장을 ‘중화민족제일인’으로 해석하는 중국학자들의 견해는 중화주의에 따른 헛된 집착일 뿐이다. 중국학자들은 아주 단순히 오늘날 만주가 그들의 영토이기 때문에 그곳에 대한 고대의 연고권을 주장하는 의도적인 경향이 많다. 홍산 옥인장에 대한 해석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중국학자와 일본학자들은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옥기를 가장 이른 시기에 사용했던 것으로 보고 있지만, 옥기의 사용은 중국보다 한반도와 만주지역이 훨씬 이르다. 인장의 출현은 사회발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마련이다. 옥인장이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나만기의 유적들에서는 성벽이 발견되었다. 성곽유적은 정치적 지도자가 무리를 통치하며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공동체의 자취를 보여주는 정치적 구조물이다. 인장은 정치지도자가 직권을 행사하는 상징물이며 공구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만기의 여러 유적들에서는 한민족 문화의 특징인 새김무늬질그릇이 출토되었다. 중국에서는 곡옥을 비롯한 옥기들이 위의 동북지역보다 약 1,000년 정도 늦게 만들어졌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인장의 경우는 현재까지의 출토물로 보아 중국 최초로 일컬어지는 상시대의 동인장(銅印章)을 기준으로 하면, 홍산 옥인장 보다 만들어진 시기가 적어도 약 2,000년 정도 늦다. 이와 같은 내용에 근거하면 오히려 인장을 비롯한 옥기 등의 문화가 한반도나 만주지역에서 기원하여 중국에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종래와 같이 동아시아의 모든 문화가 황하유역으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으로 보는 선입관이 수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인장의 기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삼국유사??에 실린 단군사화의 내용에 보이는, 천부인(天符印)을 주목한다. 단군사화와 고고학 자료는 한국의 상고시대를 해석하는데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 나만기 境內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옥인장이 만들어졌을 시기는 이 유적이 홍산문화시기에 속하므로 서기전 4,500~서기전 3,000무렵의 고조선 건국 이전 단계로 환웅의 ‘신시’시대에 속한다. 복식문화와 채색기법, 부호문화, 종교유적과 유물, 옥의 재질, 옥기의 양식 등의 대한 분석으로부터 홍산문화의 모든 내용과 성격들이 고조선문화의 원형임을 입증해 주고 있다. 아울러 홍산옥인장의 주체는 고조선 이전 환웅천왕 ‘신시’문화의 산물인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홍산 옥인장을 중심으로 분석된 홍산문화의 성격은 중국이나 북방지역의 것과 크게 구별되고, 고조선과 여러나라시대 문화에 그 특징적 요소들이 그대로 지속되고 있어 그 실체와 정체를 한민족 문화의 원형으로 귀속시켜야만 한다. 최근 중국에서는 홍산문화를 포함한 만주의 고대문화를 총칭하여 하나의 강 이름으로 포괄하여 ‘요하문명’이라 부르며 이를 중국의 황제문화로 포함시키려 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요하문명’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면 중국학계의 단순한 설명을 용납하고 동북공정을 따르는 것이나 다름없게 된다. 우리는 이 문화를 반드시 ‘고조선문명’이라 불러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홍산 옥인장의 주체도 ‘중화민족제일인’이 아니라 환웅천왕 ‘신시’문화의 상징물로 올바르게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Two jade stamps have been excavated from Inner Mongolia Naman era ruins which is a part of the Hongsan Culture. The special thing about it is that the red pigments are still left on the stamp. Chines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se stamps are China’s first stamps. However the remains and other clothing artifacts found at the Hongsan remains have indicated that it is different from China’s northern region and instead showed characteristics of Old Joseon hence we are not able to agree with what the Chinese scholars have claimed. The Hongsan culture is a noticeable culture not only because of the use of jade in clothing but also due to stone mound tombs, altar, fortress and remains of settlements. Furthermore it has high symbolic value and cultural meaning which was shown through the remains of instruments and tools. Especially from the Woo Ha Ryang remains which is the latter part of Hongsan culture, the large scale remains which consists of altars, female temples, stone mound tombs shows a rather high standard of social development. These cultural phenomenon from Hongsan Culture can be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Chinese culture and since the Old Joseon culture we can see that there has been a consistent cultural development in various countries’ periodic cultures. Therefore the jade stamp excavated from the Hongsan culture which is claimed as the first Chinese stamp by the Chinese scholars is only just an empty obsession brought down from the Chinese belief. Also the Chinese and Japanese scholars believe that China was the first country in all of East Asia to have used the jade stamp however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have been using these stamps much earlier than China. It is shown that in China these jade stamps based off Quwo has been made 1,000years later than the east northern region. Also as for the stamp, by looking at the excavations up to today, it is set as the first ever Chinese bronze stamp. These bronze stamps in comparison with the jade stamps have been invented around 2,000years later. If we take this as evidence we are abel to deduce that stamps and other jade related culture could have spread to China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As it was in the past, the idea that all East Asian culture have been spread to other regions through the Chinese Yellow River Basin should be revised and amended.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hell-and-bone or or the forbidden gates from China’s Shang Dynasty have similar engravings as the remains of pottery and jade excavated from the Hongsan culture; in which this culture was advanced by about 2,000 years. About the origin of stamps in Korea, we can take a closer look at Cheon wife from Dangun history tale from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time in which jade stamps were created would be between 4,500 to 3,000BC. This is a period before Old Joseon known as Hwanung’s ‘Sisin’ era. Not only was it clearly stated through the sucession of Old Joseon from Hongsan culture and that the jade stamps’ principals are from the Heavenly King Hwanung’s Sinsi culture but it has also come to open after analyzing the jade stamp’s material. After analyzing the clothing culture and coloring techniques, signing culture, religious remains and artifacts, quality of jade, jade patterns shown by the Hongsan culture proves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circularness of Old Joseon. Additionally the main agent of Hongsan’s jade stamp has been identified to be a product of Heavenly King Hwangung’s ‘Sinsi’ culture before Old Joseon. Therefore centering the Hongsan jade stamp, the analyzed Hongsan culture’s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from the Chinese northern regions and as Old Joseon along with many other countries cultures’ characteristical factors are consistent, we need to reverse the reality and stagnance to the Korean race’s original form. Recently, in China have included Manchuria (including Hongsan Culture)

      • KCI등재

        지역 문화의 예술 콘텐츠화 과정 연구

        임수정(Su Jeong Lim)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1

        본 연구는 사라져가는 지역의 문화를 춤으로 기록하는 과정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하여 지역문화콘텐츠 연구의 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춤을 위한 기록 <호모나랜스_홍산 모시 이야기>’는 충남문화재단에서 실시하는 충남 무용 예술지원의 개인 분야에 선정된 프로젝트이다. 본 프로젝트는 기록과정에서 발견된 콘텐츠를 작품에 녹여내어 기존의 예술작업과는 차별성이 있다. 사라질 위기에 있는 홍산 모시를 기록하기 위해 홍산문화보존회 최병헌 회장, 홍산보부상보존회 진수범 회장, 홍산 모시 직조 명인 임양순과 조온숙 총 4인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홍산문화보존회 최병헌 회장은 잊혀져 가는 홍산의 문화를 보존 발전시키기 위해 예전의 홍산 모습을 노래로 만들어 고향의 문화를 지켜내려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홍산 지역민의 홍산 모시 이야기를 기반으로 ‘Dance Film <기억 2nd Story>’가 제작되었다. 작품의 내용은 모시를 하며 홀로 자식을 키워낸 임양순 명인님의 삶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홍산문화보존회 최병헌 회장의 《홍산 모시 타령》이 음원으로 사용되었고 인터뷰에 참여한 직조 명인이 짠 모시에 천연 쪽 염색을 들인 원단을 활용하여 의상을 제작하였다. 문화를 예술에 반영하는 작업은 그 문화를 경험하고 자란 지역민들과 함께 만들어진다는 것을 본 프로젝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즉, 콘텐츠화 작업은 예술가 혼자만의 작업이 아닌 함께 협업해야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예술을 활용한 지역 문화연구의 방향성 제시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recording disappearing local culture in the form of dance and explores its meaning. The main purpose is to present a research direction for local culture contents by focusing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Record for Dance <Homonarrans_Hongsan Mosi Story>’ is a project selected for the individual field of Chungnam Dance and Arts Support conducted by the Chungnam Cultural Foundation. This project differs from existing art work by reflecting the content found in the recording process into the work. In order to record Hongsan Mosi, which is in danger of disappearing, four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hoi Byung-hun, chair of the Hongsan Cultural P reservation Society, Jin Soo-beom, chair of Hongsan Peddler Preservation Society, and two weaving masters, Lim Yang-soon and Cho Onsook. During the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Choi Byung-hun, chair of the Hongsan Cultural Preservation Society was trying to protect his hometown's culture by making songs of the old Hongsan’s image to preserve and develop the forgotten Hongsan culture. ‘Dance Film <Memory 2nd Story>’ was produced based on the Hongsan Mosi story of the local Hongsan people. The content of the dance film symbolically expresses the life of Lim Yang-soon, a master who raised his children alone while weaving a Mosi. In addition, 《Hongsan Mosi Taryeong》 by C hoi Byung-hun was u sed a s a sound source, and costumes made of naturally dyed Mosi, which were woven by a weaving master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were utilized. The work of reflecting culture in art is conducted with local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nd grown up with the local culture, and from this point of view, contentization work is only possible when artists work together, not alone.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local cultural research utilizing art.

      • KCI등재

        요하(遼河) 문명론(文明論)과 홍산문화(紅山文化)의 고찰(考察)

        량대언 ( Dae Eon Yang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5

        本稿는 現在中國에서 着實히 進行하여온 國家的인 歷史再正立計劃인 "古代文明探源工程의 結果이다. 기원전 약 7000여년으로 推算되는 新石器文明의 遺物과 遺跡들이 중국의 동북지방과 中原을 가르는 遼河를 중심으로 遼西, 遼東지방에 속하는 현재 중국 내몽고자치구의 赤峰, 요녕성의 朝陽, 凌原, 建平地域을 포함하여 遼東의 沈陽, 遼陽, 阜新지역에 걸쳐 存在하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신석기문화의 眞髓를 접할수가 있어 중국으로서는 역사 고고학 분야의 모든 분들이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계속 쉴 사이 없이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기원전 약 4500년으로 추산되는 홍산문화는 신석기후기문화로서 중국의 내몽고 자치구의 동남부 일대와 요녕성 서부지역의 접경지대인 赤峰朝陽, 凌源, 建平, 喀喇沁左旗등을 중심으로 광활한 지역에 분포 되어 있다. 그 중 능원시와 건평현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牛河梁지역에서 발견된 유적은 거대한 제단, 여신묘, 적석총을 두루 갖춘 상당히 발전된 유적 유물로 미루어 볼 때, 이미 초기국가 단계에 진입된 문화를 紅山문화라 명명하였을 뿐만아니라 초급문명 사회로 보는 경향이 농후하다. 그래서 중국학계에서는 일찍부터 이 지역을 중국의 본류문화와 동떨어진 소위 미개민족으로 취급하던 東夷族이 이룩한 문화 지역으로 여기가 바로 중원의 문화를 시기적으로 1000여년 앞섰던 곳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그 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는 유적과 유물이 중원의 그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정교하고 찬연하다. 이로 인해 현재의 중국영토 내에서 일어났던 그 문화를 중국은 얼마 전까지 주장하던 그대로 放觀할 수가 없고 새로운 역사편성 작업인 古代文明探原工程을 완성함으로써 遼河地域에서의 문명을 중국의 원류 문명으로 編入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중국 中華族의 신화적 존재로서 始祖로 여기는 黃帝를 등장시켜 이 지역에서 요하문명을 이룩한 사람들인 東夷族을 黃帝의 後裔로 보는 견해가 지금의 중국의 입장이다. 따라서 동이족 역시 고대로부터 중화민족의 一員이었다는 것이 현재 중국의 다민족 국가 건설에 타당한 입장으로서 새로운 歷史解釋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일련의 문제들을 주변의 관련 국가들과 어떻게 이 문제들을 마찰 없이 해결하고 세계 最古의 문명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이 요하문명은 현재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이 지역 문명 중 가장 오래된 小西河문화로서 기원전 7000여년이다. 이 문화를 이어발전시켜 紅山文化晩期에 나타난 牛河梁유적에서 보이고 있는 거대한 祭壇, 女神廟, 정교한 績石塚등은 신석기문화의 진수이다. 그렇다면 이 지역의 문명을 이룩한 사람들이 과연 누구였을까 하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사람들을 동이족으로 보고 있으며 그 주류가 우리 韓民族의 祖上인 濊貊이라 데는 별로 異說이 없다, 그리고 또 주목해야 할 것은 시기적으로는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檀君朝鮮이 자리 잡고 있던 지역이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 요하문명의 핵심문화인 홍산 문화를 최초발견하는데 있어 1906년 이후 일본인들에 의하여 조사가 되었고 일부 프랑스인 선교사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또한 1931년 만주사변이후 만주국의 영토가 되었을 때 일본인들이 독점적으로 발굴하는 등 활발하게 연구를 했지만 체계적인 연구발표가 없었고 1945년 이후 중국에 의하여 연구가 시작되고 1970년대 이후 본격적인 연구결과가 실로 엄청난 문화의 偉容을 맞게 되었다. 그러면 이 오래되고 찬란한 문화를 이룩한 사람들을 중국에서는 오랜 기간 야만족으로 취급하면서 중국의 중원문화의 영향을 받은 방계 문명으로 인정되고 있다가 하루아침에 중국에서 종전의 주장을 접고 요하문명을 중국문명의 起源으로 등장 시키는 문제는 간단하지가 않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지역과 관련된 역사를 갖고 있는 국가나 민족 모두가 지나친 민족주의를 떠나 서로 각자 나름대로 역사의 始原으로 서로를 인정해 주면서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21세기 동북아 시대를 맞아 주변 각국의 새로운 세대들에게 <어디는 우리 땅이다><언제 우리 땅이었다>식의 폐쇄된 공간을 전제로 한 역사(國史)교육은 좀 문제가 있다. 과거에 집착하고 주변의 남을 배척하는 닫힌 민족주의(國粹主義)를 버리고 서로 협력하면 모든 면에서 협력을 이룩하여 서로의 획기적인 발전은 물론 인류공영에 크게 기여 할 수 있으며 번영하는 동북아 시대를 열어 가는데 공헌할 것으로 본다. 目前在中國正紮紮實實地推進中的屬於國家級歷史重新定位計劃之壹"古代文明探源工程",其年代約爲公元前7000年,據推測,屬於新石器時代的文物和遺跡在中國的東北與中原以壹江之隔的遼河爲核心,包括雖屬遼西、遼東地區,但從行政上屬於中國內蒙古自治區的赤峰以及遼寧省的朝陽、凌源、建平地區,還有遼東的沈陽、遼陽和阜新等廣闊區域裏可以發掘到新石器文化的精髓。由此而引起了中國資深歷史考古學家們的極大興趣,更使他們無法掩飾內心的喜悅。目前正處於夜以繼日地發掘之中。而其中,公元前約4500年的紅山文化亦屬於新石器後期文化,分布在位於中國內蒙古自治區的東南部壹帶與遼寧省西部地區的交界地帶--赤峰、朝陽、凌源、建平和喀喇沁左旗爲中心的廣闊區域。在位於凌源市和建平縣之間的牛河梁地區發現的遺跡裏發現的巨大的祭壇、女神廟、積石塚等相當發達的遺物上來看,不僅將已經進入初期國家階段的文化稱之爲紅山文化,而且,將其視作初級文明社會的傾向比 較濃厚。在中國學界□早以前就將這壹地區視爲遠離中國主流文化的所謂未開化民族--東夷族建成的文化區域,然而,正是這裏的文化從年代上來講比中原文化整整提前了1000年!而在這裏出土的遺跡和遺物,其精致與燦爛的程度則與中原地區出土的簡直無法相比!然而,至今在中國歷來主張的所謂中國文化源自中原文化的理論顯然不能持續下去了。隨著重新編撰歷史的巨大工程"古代文明探源工程"的完成,爲把遼河區域的文明編入中國文明的淵源,時至今日,突然把傳說中的中華民族的始祖黃帝登臺亮相,將建成遼河文化的東夷族視作黃帝的後裔,這就是中國的立場。所謂東夷族自古以來就屬於中華民族的壹員壹說,已被中國視爲建設多民族國家的觀點和立場而成爲新的歷史解釋。這壹系列的問題,如何才能不與周邊國家産生摩擦而能得到確認爲世界最古老的文明□?關於遼河文明,從至今人們所掌握的資料上來看,在這壹地區的文明中最古老的當屬公元前7000多年的小西河文化,將這壹文化繼承和發展的紅山文化晩期出現的牛河梁遺跡發掘出的祭壇、女神廟和精致的積石塚等均爲新石器文化的精髓。那□,實現這壹地區的文明的人到底是誰□?這無疑是壹個巨大的問號。世世代代在這裏繁衍生息的民族稱之爲東夷族,然而,其主流便是我們韓民族的祖先--穢貊這壹說□沒有什□異議。此外,更需要關註的是,從時間上來講,盡管有相當大的差距,但我認爲這裏可能就是檀君朝鮮曾經的所在。可是在這壹地區,最初發現遼河文明的核心--紅山文化始自1906年以後,壹些日本人開始進行了調査,還有壹些法國傳敎士也關心起來了。到了1931年,滿洲事變以後,成了滿洲國的領土,日本人便開始單獨發掘,展開了相當活躍的硏究,然而,□未能發表系統的硏究成果。1945年以後,才開始由中國進行了考察,1970年代以後才有了正式的硏究成果,才展露出了他巨大的古文明的偉岸!然而,曾經在這裏創建了如此悠久而又如此燦爛文化的人們,曾幾何時,壹直被中國認爲是野蠻民族,稱該地區爲曾經受到了中國的中原文化影響的旁系文明的地區。可是,突然壹夜間,中國□不得不收起從前的主張,將遼河文明作爲中國文明的起源來改寫歷史,恐□不是那□太容易的事情!但是,與這壹地區有關的國家或民族,理應超越過分的民族主義,相互確認各自歷史的發源地而共享歷史才是正確的歷史觀。然而,如果向已經進入21世紀東北亞時代的周邊各國的後代繼續灌輸所謂《``□裏``是我們的領土》,《曾經是我們的領土》這種封閉式的空間爲前提的國史敎育方式顯然是有問題的。我們應該抛棄那些執著於過去曾經的歷史,排斥別人的閉關鎖國的國粹主義,互相協作,就能在各個領域達成合作,不僅可以獲得劃時代的發展,還可以爲人類的共同繁榮,爲開創繁榮强盛的東北亞時代的到來,做出自己的貢獻!

      • KCI등재

        遼河文明論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홍은경(Hong Eunkyung)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2 No.-

        Liaohe civilization(遼河文明) and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are the major issues in ancient Chinese history. Hongshan culture is one of neolithic cultures thrived in the Liao River(遼河). In some Chinese academic circles, it is accepted that the Hongshan culture already reached a level of civilization, based on the goddess temple, stone mound tombs and elaborate jade artifacts in Niuheliang site(牛河梁遺蹟). Thus the Liaohe civilization has been claimed to be the origins of later Chinese civilizations.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series of phenomena presented in remains and relics of Hongshan culture would fit in the level of civilization defined with scientific and commonly accepted concepts. Although we admit the fact that in the Hongshan culture the ranking among the tombs and ritual sites had been established, as well as the advanced social stratification with the chief priest at its height, it is not sufficient enough to reach a the level of the civilization. In particular, the settlement sites and stone artifacts in Hongshan culture did not show clear evidence to reflect a high level of social stratification on the basis of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Due to the lack of archaeological indication of social stratification in Hongshan culture, it appears that Liaohe civilization cannot be regarded to reach the level of civilization discussed in archaeological dis-courses. 요하문명론에 따르면, 홍산문화(紅山文化)를 대표로 한 요서지역은 지금으로부터 약 5,000년 전 가장 먼 저 문명시대에 진입함으로써 동북지역뿐만 아니라 중국 대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문화적 중심지의 하나 가 되었다. 그러나 실제 고고학 자료에서 확인되는 양상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요하문명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홍산문화의 고고학 자료인 주거(취 락) 및 무덤과 유물을 살펴 당시 사회계층화의 수준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통해 홍산문화가 이미 문명단계 에 이르렀다는 주장이 타당한지를 검토하였다. 홍산문화의 취락은 분명 그 이전 시기보다 수적, 공간적 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대형 취락의 출현과 이를 중심으로 한 중소 취락의 집체화가 나타나고, 이러한 현상이 높은 수준의 사회복합도를 보여준다는 주장은 유구 및 유구 간의 구체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진하고, 시간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한계로 인해 그 근거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홍산문화의 계층화와 문명론에서 무덤과 제사 유적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며, 특히 우하량유적은 거의 절대적 자료로 제시되고 있다. 우하량유적의 적석총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무덤은 묘실의 구조와 규모, 부장품과 묘역 여부 등을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형식으로의 구분이 가능한데, 중국학계는 이 를 사회계층화의 뚜렷한 증거로 판단하였다. 이는 적석총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축조되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그러나 토기를 기준으로 우하량유적의 분기를 설정한 대부분의 연구는 유적이 짧은 시간에 걸쳐 조성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절대연대측정치 또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하량유적 내 무덤들은 그 위치와 구조에서 차별성이 드러나긴 하지만, 부장품 의 종류와 수량에서 현격한 차이가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무덤의 등급을 통해 홍산문화를 고도로 계층화된 사회라고 평가하기 어렵다는 견해도 제시되었다. 생계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홍산문화의 농업생산력은 높은 수준의 계층화를 이룰 수 있을 정도로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식량자원의 공급 수단이 되지는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 과 관련한 석기(농공구)가 어느 정도 규격화되고 기능에 따라 분화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장 기간에 걸친 농경과 일정 수준 이상의 발달을 추측하는 연구자도 있지만, 유적에서 출토되는 농 공구의 절대적 수량이나 비중, 탄화식물에서 농작물이 차지하는 비율 등은 전체 생산경제에서의 농업 의존도가 그리 높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고고학적 자료의 종합적 양상은 홍산문화가 이전 시기에 비해 사회적 복합도가 증 가했음을 드러내고 있지만, 그 수준은 문명단계로의 진입을 논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며, 오히려 족장사회의 특징과 부합한다. 즉 홍산문화 시기부터 요하지역이 문명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이른바 ‘요하문명론’은 그 고고학적 근거가 빈약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홍산문화와 중원 앙소문화의 관계 고찰

        배현준(Bae Hyunjoon)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4

        중국고고학에서 홍산문화 단·묘·총 유적군의 발견은 기존의 ‘중원중심론’을 해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여러 다양한 지역문화를 평등하고 대등한 관점으로 바라보는 ‘구계유형론’, ‘중국상호작용권’과 같은 새로운 관점이 출현하도록 하였다. 물론 여러 지역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중원지역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복합적인 관점도 출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다원일체론’의 기본 바탕이 되었다. 다양하고 독립적이며, 때로는 중원지역보다 선진적인 문화를 가진 지역문화를 하나의 중국 안에 편입시키기 위해서는 각 지역을 연결할 수 있는 실체적 근거가 필요하다. 홍산문화의 경우, 중원 앙소문화 묘저구유형에서 유행하던 채도가 출현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중원문화와 홍산문화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이들이 교류하던 통로(Y형 문화대)를 당시 중국에서 문화의 교류와 충돌이 제일 활발한 용광로로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채도 문양의 차이와 용도, 기반 문화와 사회적 성격의 차이는 공통점보다 차이점이 많으며, 채도의 교류 역시 홍산문화와 묘저구유형 양자의 직접적인 교류보다는 묘자구문화를 통한 간접적인 교류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홍산문화와 중원지역의 신석기문화는 생각보다 긴밀한 관계를 갖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홍산문화를 중국문명의 일부로 여기는 근거는 묘저구유형의 채도와의 관계를 다소 과장하였기 때문이다. 채도에서 보이는 일부 유사성 외에는 고고학적 물질문화 및 사회 성격의 차이가 크다. In Chinese archaeology, the discovery of Hongshan culture promoted the disintegration of the ‘Central Plains Center Theory’, and the emergence of the ‘Regional System Theory’ and ‘Chinese Interaction Circle Theory’, which observed the cultures of each region without bias. Of course, there still existed theor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Central Plains, while respecting the diversity of regional cultures. These theories finally became the ‘Diversity in Unity Theory’. In an attempt to put regional cultures, that are diverse, independent and sometimes more advanced than the Central Plains, in one China, evidences connecting them become necessary. For instance, popular painted pottery of Miaodigou type in the Yangshao culture of the Central Plains are also found in the Hongshan culture, imply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wo.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Central Plains culture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Hongshan culture, and the chann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se is regarded as the most active cultural belt in China. But there exists the differences and functions of painted pottery patterns, in addition, basic culture and social characteristics have more differences than commonalities. And the communication of painted pottery is not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but the communication through Miaozigou type is more likely. Therefore, the basis for taking Hongshan culture as a part of Chinese civilization is not solid. The reason why the Hongshan culture is usually considered as part of Chinese civilization is because it exagg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ed pottery in Hongshan Culture and Miaodigou culture. In fact, apart from the few similarities that can be seen on painted pottery, there exists no common ground between the two cultures in either archaeological culture or soci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 확대와 백두산의 ‘선도(仙道) 제천(祭天)’ 전통

        정경희 ( Jung Kyung-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4 No.-

        요하문명론의 요체인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론’은 애초 중원이나 요서 지역에 대한 이론으로 출발하였으나 점차 요하문명의 동쪽, 곧요동·한반도 지역으로도 확대되었고 이 과정에서 요하문명의 동진 이론으로서 ‘장백산문화론’이 등장하였다. 장백산문화론의 기본 구도는 한민족(예맥족)계의 종족적, 문화적 의미를 철저히 배제한 위에 종족적 주체로 숙신계(후금·청대 이후 화하족(한족)화하였기에 화하계로 인식), 문화적 주체로 화하계를 드는 방식이다. 요하문명론의 ‘홍산문화→하가점하층문화→은상문화’ 계통론은 장백산문화론에 이르러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하가점하층문화→은상〕→(연·)기자조선→위만조선→한사군→고구려·부여→발해’ 계통론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계통 인식은 요하문명론의 은상족 중심의 역사인식을 확장한 것으로 연과 기자조선은 물론 고구려·부여까지도 은상계국가임이 강조되었고, 이로써 한국사가 뿌리에서부터 말살되었다.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른 모든 부면의 주제들이 실상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론’의 확대·부연이기에 그 오류 교정에 있어 ‘홍산문화(선도문화·배달국문화)’의 기준점은 한결같이 중요해진다. 1990년대 후반 중국측은 장백산문화론을 입증하기 위해 백두산 일대에서 발견된 고제단들에 ‘홍산문화(예제문화, 선상문화) 계통론’을 투영하였다. 결국 홍산문화기 요서 홍산문화 일대와 요동 백두산 일대를 관통하였던 제천 문화의 양대 중심이 확인,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의 오류가 드러났다. 홍산문화기 요서 홍산문화 일대와 요동 백두산 일대를 관통하였던 제천 문화의 양대 중심에 대한 문헌 기록으로는 배달국의 양대 중심지로 신시(백두산 지역)와 청구(홍산문화 지역)를 제시한 한국측 선도사서가 있다. 중국측은 장백산신앙을 화하계 문화로 몰아가는 것이 불가능해지자 장백산신앙의 중심을 숙신계 샤머니즘으로 변경한 후, 숙신족이 중원왕조화한 금·청대 이후 장백산신앙이 샤머니즘의 차원에서 중원왕조의 산악숭배 차원으로 변모되어갔음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장백산신앙의 중국적 귀속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숙신계 샤머니즘은 단순한 숙신계 고유의 샤머니즘이 아니라 배달국·단군조선 이래 선도문화권이었던 동북아 일대의 보편적 선도 제천 문화가 숙신화한 형태였다. 중국측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도 불구하고 결국 예맥족계의 선도 제천 문화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The cor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Hungshan Culture(Ritual禮制 Culture, Pre-Shang先商 Culture) theory’ started as a historical theory on Zhongyuan中原 and Liaoxi遼西 region in the first place. It was gradually expanded to the east region of Liaoxi, Liaodung 遼東 and Korean peninsula. In this process, ‘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was emerged as the easting theory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The basic structur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is that the ethnic center is Manju people(prescribed as a Chinese people since Jin and Qing dynasty) and the cultural center is Chinese people excluding the primary status of Korean people in terms of ethnic group and culture. The genealogy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had broadened to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Yen dynasty·)Kija Chosun箕子朝鮮→Wiman Chosun衛滿朝鮮→ Four Commanderies of Han dynasty→Goguryeo·Buyeo→Balhae’. This genealogy is the extansion of the historical awareness focused on Shang dynasty, the basic historical awareness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According to this historical awareness, Goguryeo, Buyeo and Balhae as well as Yen dynasty and Kija Chosun were emphasized as a descendant of Shang dynasty. With this, Korean history was abolished from the root. As the starting point for all distortions by China is ‘Hungshan Culture(Ritual Culture, Pre-Shang Culture) theory’, the starting point for all correction of it is just ‘Hungshan Culture(Sundo仙道 Culture, Baedalkook倍達國 Culture) theory’. In the late 1990’s, chinese scholars began to apply ‘Hungshan Culture(Ritual Culture, Pre-Shang Culture) theory’ to the ancient altars that were found in the region of Mt. Baekdu to prove their ‘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At last, the two main centers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Hungshan Culture region and Mt. Baekdu region has come into view and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is exposed to error. Here we can understand that the tradition of Sundo Heaven rituals was diffused from Liaoxi to Liaodung since Hungshan Culture. According to history books of Korean Sundo, Sinsi神市(Mt. Baekdu region) and Cheonggu靑邱(Hungshan Culture region) were just the two main centers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during Baedalkook period. When chinese scholars got to know that they were unable to drive Mt. Changbai culture - especially ‘Mt. Changbai Faith’ to the chinese culture, they changed the center of ‘Mt. Changbai Faith’ to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as the next best thing. And they advocated that the ‘Mt. Changbai Faith’ belongs to chinese culture because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was changed to chinese Mountain worship(Ritual Culture) since Jin and Qing dynasty. But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was not merely their inherent shamanism, just but a type of the universal Sundo Heaven rituals of northeast asia since Baedalkook period. In spit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China just got to meet Korean Sundo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