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식민주의 예술의 정치적 전복 가능성으로서 다시쓰기

        이봉욱 ( Lee Bongwo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2

        오늘날 문화다원주의는 보편화된 사상으로써, 소외된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주변인들의 타자성과 정체성을 동등한 위치에서 수용되어야 한다는 생각들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과거 식민 지배를 받아왔던 지역이나 국가들이 정치적으로 독립을 경험한 이후에도 경제적 혹은 문화적으로 아직도 서구의 헤게모니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문화 다원주의 속에서 문화의 다양성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동일성을 추구하며 초국가적 동질화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선상에서 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문화적 현실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하여 호미 바바(Homi Bhabha)의 이론인 탈식민주의를 바탕으로 서구를 대표하는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인 우위를 비판하고, 동시대 미술의 예술적 실천 가능성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호미 바바가 탈식민주의의 식민지 담론이 서구의 우월한 위상을 바탕으로 유럽의 타자들을 열등한 존재로 규정했던 바를 알아보고, 비서구 주체들로 하여금 서구의 우월한 식민주의적 헤게모니를 해체하고 극복하는 탈식민주의적 이론을 제시한다. 호미 바바는 그의 이론의 핵심인 문화의 ‘혼성성(hybridity)’을 식민지 담론에서 저항 담론으로 사용하고 있다. 혼성의 공간은 식민지 문화, 권력을 흉내 낸 것으로 식민지적 정체성을 해체하고 동질화 과정을 전복하고 있다. 이러한 혼성성에서 나타나는 차이의 공간은 경계와 틈새의 공간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패러다임 내부의 한계를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균열을 내고 새로운 사고의 전환을 요청하는 근본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겠다. 탈식민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2장에서는 호미 바바의 탈식민주의의 이론에서의 혼성성과 흉내내기에 대해 알아보고, 3장에서는 흉내내기에서의 다름을 통한 정치적 전복을 일으키는 예술에 대해 다룰 것이다. 4장에서는 식민주의적 동질화인 전지구화 담론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예술의 실천으로써 다시쓰기를 다룰 것이다. 피식민지에서 서구화의 확산은 문화의 혼성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혼성성의 틈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저항의 가능성과 주변인들의 주체성, 정체성을 발견하는 것으로 ‘다시쓰기’라는 동시대 미술의 저항의 방법으로 제시한다. Multiculturalism is universal in today's world where there is growing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equality. But even though colonized regions or nations had achieved political independence, they are still influenced by western hegemony financially or culturally. And these bring about cultural homogenization rather than cultural diversity, and move in supernational homogenization. In this cultural reality this thesis is to criticize culturally, socially, politically dominant position of Western Europe and to suggest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contemporary art to deconstruct cultural colonization, based on the post-colonialism of Homi Bhabha.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cultures of imperialism in a 'post-colonial neo-colonized world' and to present the work of Homi Bhabha to deconstruct the western dominant colonial hegemonies. Bhabha suggests "hybridity" as a resistant discourse against the colonial culture. In the hybrid place the other mimic the colonial culture or identity, but they don't supplement the dominant ways but deconstruct them and overset the homogenization. Diffusion of western imperial culture appears in cultural hybridity, and the in-between place is seen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resistance and the other's identity. To practice the postcolonial art, we need to attention to 'Re-writing' of art. Based on this postcolonial discourse, chapter 2 is to find out hybridity and mimicry in the work of Homi Bhabha. Chapter 3 deals with the postcolonial art for political overthrow through difference of mimicry. And chapter 4 is to present re-writing for practice of the postcolonial art against colonial homogenization.

      • KCI등재

        혼성화 이론으로 바라본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감소 -새로운 개신교 문화담론을 향한 한 시도

        장형철 ( Hyung Chull J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담론 201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감소를 문화적 혼성화 이론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금까지의 한국 개신교에 대한 사회적이고 윤리적인 비판과는 다른 새로운 개신교 종교문화 담론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논문은 혼성화 이론을 탐구한다. 그리고 나서 문화적 혼성성을 중심으로 한국 개신교를 성장과 감소의 시기로 나누어 분석한다. 먼저 성장의 시기에는 개신교가 자본주의의 영향 아래에서 타종교 전통과 결합하거나 또는 민중신학과 같이 사회운동에 민감한 양상을 드러내며 독특한 한국 개신교만의 문화적 혼성성을 형성 하였다. 반면에 감소의 시기에 한국 개신교는 근본주의적 성격이 강화되고 자본주의 적 가치에 전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 개신교는 문화적 혼성성을 잃어가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growth and decline of Korean Protestantism in terms of cultural hybridization. It also attempts to produce a new academic discourse on Korean Protestantism rather than replicating similar socio-ethical critiques in regard to modernism. Thus, the article initially considers theories of cultural hybridization. Afterwards, it analyzes the growth and decline by observing how Korean Protestantism has formulated its own cultural hybridity. In the period of growth, Korean Protestantism constituted the cultural hybridity by means of encountering with other religious traditions and produced a local theology such as minjung theology within socio-political concern. Whilst, most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put an overemphasis on the purity of Gospel, namely fundamentalism, and have been captured by the capitalist value in the period of the decline. Presumably, these two factors lead lessening the cultural hybridity of Korean Protestantism.

      • KCI등재

        김수영 시의 혼성성과 탈근대성

        이영섭(Lee Young-sup)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4 No.-

        이글에서 김수영의 후기시로서 정점에 도달해 있는 「풀」에 대한 시학적 관점인 알레고리적 혼성성과 동양의 관계론적 인식이 그의 초기시에서부터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는 삶의 모든 경계선이 서구 자본의 잉여욕망으로 해체되는 죽음의 현실 앞에 양가성을 띤 문화적 전략을 통해 그것을 해체하고 넘어설 수 있는 기회로 삼고자 했다. 김수영의 현실인식은 서구 문화를 추종한 당대의 다른 모더니스트들과 달리 서구문화론의 근간인 실체론과 대립한 동양의 전통 문화론인 관계론에 근거하고 있다. 김수영의 ‘온몸의 시학’은 모호성을 띠고 있지만, 삶의 가치를 인간의 외부에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종교적이고, 개인의 내부에 두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개인주의적이지 않은 동양사상의 핵심인 관계론과 닿아 있다. 동양학의 인간주의는 인간을 배타적 존재로 상정하거나 인간을 우주의 중심에 두는 인본주의가 아니다. 인간은 자연의 한 부분이며, 그 자체가 어떤 질서와 장의 일부분이면서 동시에 전체이다. 김수영의 ‘온몸’은 서구의 존재론적 개인주의의 모순을 넘어서기 위한 혼성성의 개념으로서 인간을 관계론의 맥락에서 파악하는 중요한 술어이며, 그의 참여시론은 탈근대성을 띤 담론으로서 근대 자본주의 문화의 모순을 가로지르는 한국 현대 시학의 뚜렷한 문학사적 이정표를 새겨놓았다. This essay examines that his allegorical double-axiology and the oriental relation perception of ‘Grass’, which is his zenith of his poetry, started in his early poetry. He tried to overcome the dead reality, dissolved with surplus desire of the western capitalism, by way of the cultural strategy with the double-oxiology. Kim Suyeong’s reality perception is based on the relation theory of the traditional oriental culture concept opposing the reality theory of the western culture concept,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modernists who were friendly with the western culture. Though Kim Suyeong’s whole body poetics is a little ambiguous, it is not religious in that its value does not aim at the outside of human, and it is connected with the relative theory of the oriental idea in that its value does not aim at the inside of human. Humanism of the oriental study does not consider human as the exclusive being. Human being is the one element of nature and it’s both the one part and at the same time the whole of the order and the place. His ‘whole body’ is the concept of mult-oxiology to overcome the western ontological individualism and the phrase to apprehend human being in the context of relation theory. His poetic engagement theory as the discourse having the post-modernity is the outstanding milestone of the Korean modern poetics which teaches us the cultural discrepancy of the Korean modern capitalism.

      • KCI등재

        『영화조선』 창간호에 나타난 ‘조선영화’ 담론의 혼성성

        허의진 ( Hur Eui-jin ),안숭범 ( Ahn Soong-beu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3

        『영화조선』 창간호에는 1930년대 영화인들이 세계영화계와 상상적 관계를 맺으며 ‘조선영화’의 가능성과 진로를 찾아가는 모습이 여실히 드러나 있다. 그러나 그들이 주장하는 ‘조선영화’의 비전은 자기 안의 타자성에서 비롯되는 것처럼 보인다. 일본과의 관계에서는 피식민자이고, 서구 영화에 대해서는 후발주자라는 입장이 ‘혼성성(hybridity)’의 담론장을 만든 것이다. 『영화조선』이 말하는 조선영화계의 가능성과 한계는 비교적 명확하다. 서구 영화산업과 시스템에 비교할 때, 자본 부족은 현격한 난제였고, 이는 조선영화의 산업적 취약성, 미학적 조악함으로 이어졌다. 그 연장선에서 보면, 『영화조선』에 등장하는 분업 시스템을 갖춘 영화의 기업화 논리, 향토영화 추구의 논리는 대안 모색의 결과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조선영화’에 대한 관념적 자의식, ‘조선에서 영화를 한다는 것’에 대한 현실적 자의식은 식민지 시기 영화 지식인의 내적 모순과 특수한 혼성성을 드러낸다. 이는 당대의 영화인들이 가지고 있던 불완전한 대타적 욕망을 함축한다고 할 것이다. The first issue of “YounghwaChosun” clearly depicts that filmmakers in the 1930s are seeking the possibility of Chosun cinema and finding their careers through their imaginativ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cinema. However, the vision of Chosun cinema which they claim seems to originate from the otherness found in themselves. Since Chosun cinema was positioned as the Colonial in relation with Japan, and a latecomer in connection with the western cinema, These conditions created the discourse of “hybridit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Korean Cinema which “YounghwaChosun” refers to are relatively clear. Compared to the western cinema, Chosun cinema was in the lack of capital leading to the industrial vulnerability and aesthetical crudity in its film. From that extension, the logic of film industrialization discourse with the division of labor featured in “YounghwaChosun” and the pursuit of local-themed films was the result of the search for alternatives. Nevertheless, the ideological self-consciousness of Chosun cinema and the realistic self-consciousness of “making films in Chosun” do not harmonize. This implies imperfect and substitutive desire between the majority of young film makers who studied in Japan in 1930.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시의 개방 수용과 혼성성

        정수자 한중인문학회 2007 한중인문학연구 Vol.21 No.-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은 조선족 시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개방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1986년 이후부터는 시들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에 있어서의 개인화다원화가 두드러지는 것이다. 이는 조선족 작가들이 민족문학전통의 비판적 계승만 아니라 외국 문학성과들의 적극 수용을 당대의 문학적 과제로 인식한 때문이다. 개방의 적극적인 수용에 따른 조선족 시의 변화는 여러 층위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본고가 주목하는 것은 문화대혁명의 반성과 치유, 개인의 재발견과 전경화, 개방의 후유증 그리고 혼성성이 유발한 변모의 양상들이다. 개방에 따라 강화되는 혼성화 와중의 조선족 시가 지니는 주변적 특성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중앙의 정책을 따르면서도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소수민족으로서의 문화적 공존이라는 조선족 특유의 생존 방식이 작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조선족 시문학은 변두리 소수민족의 주체성과 문화적 응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국의 뿌리 깊은 중화사상 속에서도 고수하는 조선족의 문화적 독자성은 세계화시대의 소수문화와 공존 방식을 환기한다. 거대 중앙에 흡수당하지 않고 변두리에서 자신의 언어와 문화를 지키는 조선족 시문학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주변문화의 탈식민적 가능성 때문이다. Reception of Opening and Hybridity in Korean Chinese Poetry Jeong, Soo-ja China's reform and open policy also affects Korean Chinese poetry significantly. Especially since 1986 when the influence of opening showed more clearly, poetry became more individualized and multilateralized. The reason for this lies in the fact that poets perceived critical inheritance of national literary tradition and full reception of foreign literature as their mission after the opening. Change in poetry world as it fully accepted opening occurs in various levels. The most noticeable of all is how reflection and healing of the Cultural Revolution, personal rediscovery and foregrounding, aftermath of the opening and hybridity changed things. It clearly shows periph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poetry in the vortex of hybridity enhanced by the opening. Coexistence is at work here as a way of survival for minority literature to maintain its identity as well as conform to government policy. In this context, Korean Chinese poetry may be said to show identity of minorities and their literary challenge. In such deeply rooted Sinocentrism, literary identity of Korean Chinese awakens the way of coexistence with minority culture in this global era. Without being absorbed in the gigantic center, Korean Chinese poetry guarding its own language and culture in the periphery implies the post-colonial possibility of peripheral culture.

      • KCI등재

        인도 연극의 문화적 혼성성 -기리쉬 카나드(Girish Karnad)의 < 하야와다나(Hayavadana) >를 중심으로-

        변영미 ( Byun¸ Youngmi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8

        기리쉬 카나드의 <하야와다나>에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상충하고 융합하는 문화적 혼성성이 잘 드러난다. <하야와다나>는 인도의 원전 『카타사릿사가라』 에 심리학적 해석을 덧붙인 토마스 만의 『뒤바뀐 머리』를 다시 인도의 양식으로 드라마투르기한 작품이다. 카나드는 패러디와 역설로 기존의 가치를 전복시키기도 하고, 역수입한 극의 내용에 반전을 넣어 존재론적 가치관을 다시 인도의 그것으로 되돌려놓기도 한다. 그것은 몸으로 환유한 여신중심의 토착문화와 머리로 환유한 남신중심의 아랴 문화, 그리고 이성 중심의 근대적 서구 문화 사이의 갈등과 혼합이라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세 문화의 혼성성은 산스크리트극, 민속극과 인형극, 연기 양식의 융합으로 형식화했다. 이 극을 이끄는 중심 에너지인 여성적 힘은 빳뜨미니를 통해 모순된 형태로 공존한다. 빳뜨미니 안에 존재하는 창조적인 에너지로서의 샥띠와 모든 것을 신께 바치는 헌신의 박띠는 아랴가 만든 가부장 사회의 이상적 가치인 사띠로 소멸된다. 빳뜨미니가 불로 뛰어든 것은 가부장제에 의해 구조적으로 희생당한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높은 차원의 존재로 탈바꿈하기 위한 몸부림이기도 하다. 카나드는 인도 전통극 미학의 정수인 라사를 구현하기 위해서 진지함과 심각함보다 골계와 해학으로 전개한다. 이는 울음과 눈물, 불과 물로 병치한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무는데 기여한다. 모순성도 수용하는 기리쉬 카나드의 연극관을 대변하는 <하야와다나>는 충돌과 혼성의 문화 담론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Hayavadana by Girish Karnad is one of representative drama for the cultural hybridity of Indian Theatre. There are conflict and compound between indigenous and foreign cultures in forms and contents as well. Also there are co-existence of dichotomous concepts and contradictory figures of woman.

      • KCI등재

        한국문학과 탈식민

        나병철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4 No.-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seek the perspective of decolonization through the negotiation between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postcolonialism. It is due to appearing a part of postcolonialism from the tradition of national literature that the negotiation is possible. This thesis studied the interstitial space appearing in Yum Sang Sub's novels and Im Hwa's theory of culture. Yum Sang Sub's novels show the interstitial space through the space of escape and the space of dialogue. And Im Hwa's theory of culture shows the interstitial space through the dialectic between transplantation and creation. Another charateristic of Im Hwa's theory of culture is that it shows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problem of class and the problem of nation. But Im Hwa's theory of culture and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think that class relationship is the last instance, and they neglect plural materiality in the spheres of race, class, and gender. While Homi Baba insists on the articulation the spheres of plural materiality depending on genealogical materialism. But he neglects grand discourse of marxism. Thus we need negotiation between grand discourse and slender narrativ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postcolonialism. This thesis studied to seek the perspective of decolonization through that negotiation in the interstitial space. 이 논문에서는 민족문학론과 탈식민주의 이론의 ‘교섭’을 통해 새로운 탈식민의 전망을 모색해 보았다. 민족문학론과 탈식민주의 이론의 교섭이 가능한 것은 민족문학의 전통 자체에서 이미 탈식민주의적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본고는 염상섭의 소설과 임화의 문화론을 통해 제국과 식민지 사이의 틈새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그런 탈식민주의적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예컨대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김창억의 건축의 공간을 통해 서구의 식민주의를 거부하면서 서구를 수용한 새로운 문화를 생성시키려는 혼성성의 감각을 보여준다. 또한 사랑과 죄에서는 카페에서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논쟁을 통해 식민주의적를 전복시키는 틈새의 공간을 드러낸다. 그 같은 혼성성의 틈새의 공간을 보여준 것은 임화의 문화론도 마찬가지였다. 이식과 창조의 변증법으로 불리는 임화의 문화론은 서구문화와 고유문화의 교섭을 통해 식민주의에서 벗어난 새로운 문화가 창조되는 과정을 논의한다. 임화가 설명하고 있는 것은 양자의 틈새에서의 교섭을 통해 제3자로서 신문화의 창조되는 과정이었다. 그것은 단순히 고유문화가 외래문화를 전유하는 과정과는 구분되는, 식민지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문화적 교섭의 과정이었다. 임화의 문화론의 또 다른 특성은 계급문제와 민족문제가 접합된 지점에서 새로운 탈식민적 문화가 창조됨을 말한 점이었다. 그러나 임화의 문화론이나 민족문학론은 결국 계급관계를 최종심급으로 설정함으로써, 민족계급성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물질적 복수성에 유념하지 않는 한계를 지닌다. 반면에 탈식민주의자 바바는 계보학적 유물론에 의거해 복수적인 물질성의 영역들의 연계를 주장하면서, 계급문제로 환원될 수 없는 물질적인 민족문화의 영역에서 탈식민주의를 논의한다. 하지만 바바는 임화가 근거하고 있는 마르크스주의 같은 대서사를 소홀히 함으로써 그의 혼성성은 저항이 거세된 유희로 전락할 위험에 처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탈식민주의의 미시이론과 마르크스주의 등의 대서사의 접합에 의해, 그처럼 도둑맞은 저항을 다시 소생시키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오늘날 같은 전지구적 자본주의시대는, 미시이론과 대서사의 접합에 의한 새로운 탈식민 이론이 어느 때보다도 시급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촛불시위 등 광장문화에서 실제로 그런 접합이 실현된 예들이 나타난 것으로 보았으며, 민족문학론과 탈식민주의 이론의 교섭을 통해 새로운 틈새의 공간으로서 또 하나의 광장이 열릴 것으로 판단했다.

      • KCI등재

        이주배경청소년 정체성에 대한 독일의 논의

        최대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5 EU연구 Vol.- No.40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the nation and the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 preposition that the German self-understanding as an ethnic nation-state plays the decisive role on enforcing German national identity to the people with migration background. It focuses on the idea of post-colonialist hybridity, breaking with the logic of binary opposition inherent in the "identity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hybridity, German national homogeneity is a hybrid construct which stays for a relative long time. Therefore, it is only a comparative "nativity". The article further dismantles the "national cultural construct" between "Germans" and "Non-Germans" and discusses the people with hybrid identity as "another Germans". This article views German youth with migration background as a being representing border-crossing interaction and new "location" of identity. 본 논문은 인종적 민족국가로서의 독일의 자기이해가 이주배경청소년에 대한 독일의 민족 정체성 강요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민족(nation)과 문화 정체성의 관계를 논의한다. 이때 ‘정체성 사고’에 내재된 이항 대립적 논리를 거부하면서 민족 정체성을 대체할 탈식민주의적 혼성성 구상을 제시한다. 혼성성의 관점에서 보면 독일의 민족적 동질성 역시 기껏해야 상대적 ‘토착성’으로 비교적 긴 시간 머물러 있는 혼성적 구성물에 불과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독일인’과 ‘비독일인’ 사이에 ‘민족적 문화 구성물’을 해체하고 ‘또 다른 독일인들’로서 혼성적 정체성 담지자에 대한 분석으로 나아간다. 본 논문은 독일의 이주배경청소년이라는 사회문화적 집단을 경계를 뛰어넘는 문화적 상호작용과 정체성의 새로운 ‘장소화’를 대변하는 존재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 KCI등재

        버내큘러와 제도의 관계에 대한 미국에서의 연구

        나수호(Charles La Shure)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원래 ‘땅에 붙어있는 말’이라는 의미를 지니던 버내큘러(vernacular)라는 개념은 미국에서 언어학 분야를 비롯하여 문화 인류학, 건축학, 문학비평, 수사학, 민속종교학, 민속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많이 언급되어 왔다. 1960년대부터는 문화인류학 분야에서 제도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고 건축학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건축학계나 고급 디자인과 차별되는 요소를 가리키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특히 최근 들어 건축학에서는 ‘버내큘러’란 용어가 아직도 유용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버내큘러를 초월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고 버내큘러를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어느 쪽이든 버내큘러와 제도가 대립되는 관계에 있으면서도 혼성적인 관계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으며 수사학이나 민속학 등의 분야에서도 그 둘의 대립적이면서도 혼성적인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버내큘러도 많이 논의되고 있는데 특히 하워드의 ‘전자 혼성성’과 ‘버내큘러적 웹’이라는 개념이 유용하다. 버내큘러적 웹을 통해 사람들이 디지털 공간에서 움직이고 행동하면 버내큘러와 제도의 전자 혼성성 덕분에 버내큘러적 권위를 행세하면서도 자신도 모르게 제도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다른 많은 학자들도 이와 같은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버내큘러적 지식의 형성, 시장원리라는 제도적 요건의 불가피성, 음악이나 정치적 담론에서 버내큘러와 제도의 충돌, 버내큘러적 권위와 문화적 전용(轉用), 버내큘러와 디지털 현장성의 관계, 버내큘러적인 연행에서 버내큘러적 관행으로의 이행, 버내큘러적 표현의 양가성과 부정적인 요소의 증폭 위험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논하고 있다. 이전의 아날로그 버내큘러와 오늘날의 디지털 버내큘러의 차이가 있다면 공간에 대한 인식에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이 소통하는 방법과 공동체라는 개념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확장된 공동체에서 버내큘러를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소위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디지털 버내큘러가 남용될 가능성이 있다. The concept of vernacular, which originally refers to a language rooted in the land, has been mentioned often in a variety of fields in the United States, from linguistics to cultural anthropology, architecture, literary criticism, rhetoric, folk religious studies, and folklore. In the 1960s, the term was used in cultural anthropology to contrast with the institutional;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it was used in similar fashion to refer to elements that were distinguished from the academy or high design. More recently in architectural studies, there has been a discussion over whether “vernacular” is still a valid term, with some calling for leaving it behind and others calling for a rethinking of the concept. Both sides, though, agree that the vernacular and the institutional exist in a relationship that is at once oppositional and hybrid. In other fields as well, such as rhetoric and folklore, this oppositional yet hybrid relationship is also emphasized. Recently,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concerning the digital vernacular, and Robert Glenn Howard’s concepts of “electronic hybridity” and the “vernacular web are useful here. As people move and act in digital space through vernacular webs, they both exercise vernacular authority and are influenced - often unknowingly - by the institutional, all thanks to the electronic hybridity of the vernacular and the institutional. Many other scholars have dealt with the topic of the digital vernacular as well, dealing with subjects including the formation of vernacular knowledge, the inevitability of the institutional condition of the market principle, the clash of the vernacular and the institutional in the arenas of music and political discourse, vernacular authority and cultural appropri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nacular and digital locality, the move from vernacular performance to vernacular practice, and the ambivalence of vernacular expression and the dangers of amplification.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nalog vernacular of the previous era and the digital vernacular of today, it is in the perception of space. That is, the ways in which people communicate, and their concepts of community, have changed. Thus there is the need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vernacular in these global communities. Without such an understanding, we may be vulnerable to misuses of the digital vernacular, as can be seen in recent events such as the “Druking Online Comment Manipulation Scandal.”

      • KCI등재

        한국 대중문화의 혼성적 형성과정과 한류문화 담론

        송도영 ( Do Young So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9 No.4

        2000년대 초기부터 현재까지 동아시아 여러 곳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 산업 상품들의 역사적 의미를 우리는 어떤 맥락 위에 위치시켜 해석할 수 있을까? 특히 한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한류`` 담론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 안에서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게 될 것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개항기 이후 한국에서 ``대중문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형성되는 초기에서부터 절대적인 자리를 차지했던 해외문화의 유입 현상들을 정리함으로써 한국 대중문화 형성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고찰하고, 그 결과 한국 대중문화 안에서 자리 잡은 혼성성의 성격과 그에 대한 담론적 반응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는 대중문화 성립의 전제인 대중사회의 등장과 산업화의 진전, 그리고 그를 포함한 자본주의적 근대화가 한국에서는 어떤 문화적 바탕위에서 이루어졌는지를 주목하는 작업이 된다. 즉 한류 대중문화 담론을 낳기까지에 이른 현 단계 한국 대중문화의 내용상 위치를 점검함에 있어서 한국사회의 근대화 과정 자체에 대한 고찰로 잠시나마 다시 회귀해서 그 맥락을 짚음으로써, 그것이 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형성에 실질적으로 미친 영향과 작용의 내용들을 다시 검토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발생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중 한국 대중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친 외부문화의 성격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그 실제와 성격이 어떠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두고 현재 전개되는 담론은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를 검토함으로써 담론들의 위치를 매길 수 있게 된다. 한국 대중문화의 실질적인 발전사를 검토해보면 이는 곧 수입된 해외 대중문화의 절대적 영향력을 받아들이는 역사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본의 식민지배를 중심으로 일본의 대중문화가 사실상 한국대중문화를 그 기초적 형태부터 형성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이후 해방이 이루어지고 미국의 대중문화가 더욱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도 일본과 중국 문화의 영향은 단절되지 않았으며, 각국간 대중문화 요소의 상호유입 및 시장 통합의 경향은 강화되어왔다. 그러나 후기 근대적 상황에 이른 현재 소비의 전지구화와 문화 콘텐츠의 혼성성 강화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의 각국간 영향력 경쟁 담론은 결코 감소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새로운 형태로 재등장하고 있다. 정치경제적 환경의 힘은 애초에 일상성의 상업화를 전제로 출연한 대중문화산업과 문화소비 현상의 기초적 환경으로서 강고하게 존재하며, 매체의 전지구화와 경제의 전지구화가 단일한 형태의 세계문화(Global Culture)가 아닌, 각 지역권과 각 지방의 특성에 맞게 전지구적 요소들이 지역적으로 재구성되고 조합되는 현상을 보여 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historical context of current ``Korean Wave`` phenomenon. Contemplating the process of Korean mass culture industry from its daunting period,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influences of ``foreign`` cultural industry in the history of Korea`s mass culture industry. And following short analysis on the ``Korean Wave`` discourses is based on this historical context. Korean mass culture had started with the strong influence of Japanese and Western mass culture. It was, therefore, not an exceptional case in the general process of modernization for the Third World countries. Because, as well known, their modernization process was more or less directed in each country`s ``colonialized`` condition. In other words, it was a kind of unilateral communication where the dominant cultural power of the World System had a quasi-absolute influence on the weaker part. As the Chinese culture had been highly significant during Korea`s middle age, the influence of Western and Japanese mass culture has been also considerable since the beginning of Korea`s mass culture industry. Recent success for some part of Korean mass culture products --known as ``Korean Wave`` (``Hallyou`` for Korean pronunciation) - would be probably the first meaningful export of Korean mass culture industry. As the consequence, we can understand the enthusiasm of a part of discourses concerning this success. This discourse of enthusiasm for the ``Korean Wave`` can be even more significant when we consider actual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aspects of post-modern period. Maybe this Korean case is not exceptional. Competition for the hegemony of cultural industry, and re-territorialization of identity with that, can be a part of understandable reactions from each region, before the strong tendency of today`s cultural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