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기계호흡에 의존하는 중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마비성 장폐색과 관련된 인자들

        송지현 ( Ji Hyun Song ),정성애 ( Sung Ae Jung ),김성은 ( Seong Eun Kim ),송현주 ( Hyun Joo Song ),오희정 ( Hee Jung Oh ),유금혜 ( Kum Hei Ryu ),염혜정 ( Hye Jung Yeom ),김태헌 ( Tae Hun Kim ),심기남 ( Ki Nam Shim ),유권 ( Kwon Yo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1

        목적: 기계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는 여러가지 소화기계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나, 이들에서 관찰되는 마비성 장폐색이 기계호흡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기계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기계호흡 지표들과 전신상태를 반영하는 임상 지표들을 분석하여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2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계호흡을 시행받았던 817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기질적 병변이나 약물로 인한 장폐색이 확인된 환자는 제외하였고, 기계호흡 시행 전후의 단순복부촬영을 비교할 수 있었던 29명의 환자를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마비성 장폐색이 발생하였던 환자 14명(이하 마비성 장폐색군)과 발생하지 않았던 환자 15명(이하 대조군)의 내원 당시와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 여부를 진단한 시점에서 혈액검사 소견, 기계환기 관련 수치 및 임상지표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38℃ 이상의 고열이 있던 환자는 마비성 장폐색군에서 의미있게 많았다(p<0.05). 기계호흡을 시행할 당시의 저산소증, 저혈압 유무, 체중당 1회 호흡량, 기계호흡 방식 등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었던 시점의 혈액 소견 및 임상지표들을 비교해 보면, 마비성 장폐색군에서 혈중 백혈구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p=0.05), 입원 당시에 비해 CRP가 증가한 경우가 마비성 장폐색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1). 사망률은 마비성 장폐색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p=0.14). 결론: 기계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은 기계호흡관련 지표보다 기저질환 및 전신염증상태의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기계호흡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저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를 통하여 전신적 염증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develop paralytic ileus while on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817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ion from December 2001 to July 2004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ith the exception of ileus secondary to organic diseases, drugs and the diseases that affect bowel motility, 29 patients (14 in the ileus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were enrolled.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n admission, at the time of starting ventilator treatment and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ileu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High fever was more common in the ileus group (p<0.05). The prevalence of hypoxemia and hypotension and the parameters of ventilatory settings were not different at the initiation of ventilator treatment.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ileus, the ileus group tended to have a higher leukocyte count (p=0.05), a significantly more prominent rise in the CRP level (p<0.01) and a higher mortality rate (p=0.14). Conclusions: In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ion, the status of infection or inflammation appears to affect the development of ileus more significantly than the ventilatory settings. Control of underlying inflammatory conditions may be important to prevent ileu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55-62)

      • KCI등재

        호흡 동조 구동 팬톰을 이용한 호흡패턴에 따른 4DCT, Slow-CT의 내부표적체적 변화 연구

        이순성,최상현,민철기,지영훈,김미숙,유형준,김찬형,김금배,Lee, Soon Sung,Choi, Sang Hyoun,Min, Chul Kee,Ji, Young Hoon,Kim, Mi-Sook,Yoo, Hyoung Jun,Kim, Chan Hyeong,Kim, Kum Bae 한국의학물리학회 2014 의학물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호흡 동조 구동 팬톰을 이용하여 5가지의 호흡패턴에 따른 4DCT와 Slow-CT의 내부표적체적(ITV)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호흡패턴마다 호흡주기 1~4초와 표적 진폭 1~3 cm를 적용하여 4DCT와 Slow-CT를 각 3회 촬영하였다. 촬영한 영상들은 Eclipse 치료계획 시스템으로 표적을 윤곽 묘사하고 내부표적체적(ITV) 길이와 체적을 측정하였으며, 4DCT, Slow-CT의 ITV 길이와 체적의 평균값을 이론값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4DCT에서의 ITV 길이와 체적은 호흡주기가 길수록, 표적 진폭이 짧을수록 이론값과의 차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low-CT에서는 표적 진폭이 커질수록 4DCT와 마찬가지로 이론값과의 차이가 커졌으나 호흡주기에 따른 ITV 길이와 체적의 변화는 호흡주기 1초에서 가장 이론값 비슷하였고 2~4초 내에서는 재현성의 변화가 근소했다. 호흡패턴에 따라서는 4DCT, Slow-CT 모두 ITV 길이와 체적에 대해 A패턴에서 가장 높은 재현성을 보였고, B, C, D패턴은 서로 비슷한 차이를 보였으며 E패턴은 다른 네 패턴에 비해 이론값과의 차이가 가장 컸다. 4DCT에 대한 Slow-CT의 ITV 길이와 체적의 차이는 모든 호흡패턴에 대하여 호흡주기가 길수록, 표적 진폭이 클수록 증가하였다. 4DCT와 Slow-CT 영상간의 ITV 길이 및 체적에 대한 재현성을 비교했을 때 Slow-CT가 4DCT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22% 낮았으며, 호흡패턴에 따라 상, 하 방향에 대해 표적의 재현성이 달라졌다. A, B, C패턴의 경우 상, 하 방향으로 3 mm, E패턴은 상 방향에 비해 하 방향에서 5 mm의 차이를 보인 반면에 D패턴에서는 상 방향으로는 차이가 없었으나 하 방향으로 1.45 cm의 차이가 났다. 따라서 4DCT에 대하여 Slow-CT에 표적 움직임을 고려한 여유를 설정할 경우에는 호흡패턴에 따라 상, 하 방향에 다른 여유를 정의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향후 환자의 호흡신호를 바탕으로 CT 영상을 분석할 때 본 연구에서 수행한 데이터가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ITV lengths and ITVs between 4DCT and Slow-CT images according to respiratory patterns using a respiratory motion phantom. The respiratory periods 1~4 s and target motion 1~3 cm were applied on each respiratory pattern. 4DCT and Slow-CT images were acquired for 3 times. 4DCT and Slow-CT ITVs were measured with contouring the target in the Eclipse RTP system. The measured ITV lenghts and ITVs in 4DCT and Slow-CT images were compared to the known values. For the ITV lengths and ITVs in the 4DCT, the difference of them were reduced as the respiratory period is longer and target motion is shorter. For the Slow-CT, there was same tendency with change in 4DCT ITV lengths and ITVs about target motion. However, the difference of ITV lengths and ITVs for the respiratory periods were the lowest in respiratory period 1 second and different slightly within respiratory period 2-4 seconds.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patterns, pattern A had the highest reproducibility. Pattern B, C and D were showed the differenc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for pattern E, the reproducibility was the lowest compared with other four patterns. The difference of ITV lengths and ITVs between Slow-CT and 4DCT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respiratory periods and target motion for all respiratory patterns. When the difference of Slow-CT ITV lengths and ITVs were compared with that of 4DCT ITV lengths and ITVs, Slow-CT ITV lengths and ITVs were approximately 22 % smaller than 4DCT, and the representations of target were different in each pattern. In case of pattern A, B and C, length difference was 3 mm at S (superior) and I (inferior) direction, and the length difference of pattern D was 1.45 cm at only "I" direction whereas the length difference of pattern E was 5 mm longer in "S" direction than "I" direction. Therefore, the margin in SI directions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respiratory patterns when the margin of Slow-CT is compensated for 4DCT ITV lengths. Afterward, we think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analyze the ITV lengths and ITVs from the CT images on the basis of the patient respiratory signals.

      • KCI등재

        정상인과 음성질환자의 호흡 패턴 및 호흡 기능의 운동학적 특성

        최성희(Seong Hee Choi),남도현(Do-Hyun Nam),최흥식(Hong-Shik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3

        본 연구는 정상적인 발성 중에 호흡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발성 시 공명, 조음기관에 영향을 주지 않고 호흡과 성문 및 발성 기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음성, 성문 및 호흡 통합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정상 성인 집단 55명, 성문의 불완전한 폐쇄를 보이는 양성성대질환자 20명 및 성대마비환자 15명을 포함한 총 90명을 대상으로 /아/모음 연장발성 시 호흡의 패턴과 호흡의 운동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아/모음 연장 발성 시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희귀분석 결과, 호흡의 동적 기능 중 전체 폐용량에 대한 흉부와 복부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비교햇을 때, 흡기와 호기 시 흉부의 기여도는 양성성대 질환군이 정상군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성대마비군은 정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최대 흡기량 및 호기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호흡 패턴의 형태를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항 로지스틱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양성성대 질환군과 성대마비환자는 정상군에 비해 역행(paradoxical)호흡, 흉식호흡, 그 다음으로 복식호흡을 하는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성대 내전 위치와 질량 변화로 인하여 호기류의 밸브 기능인 후두에 문제가 생길 때, 적절한 성문하압을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기존의 흉부를 주로 사용하는 호흡 패턴으로는 효율적인 음성 산출이 어렵다. 따라서 일상 대화와 같이 긴 발화나 큰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복식 호흡을 통해 적절한 성문하압을 형성하고, 호기류를 증가시켜 성대 진동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성치료 시 호흡 훈련이 병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KCI등재

        영상 정합 및 통계학적 패턴 분류를 이용한 호흡률 측정에 관한 연구

        문수진(Su-jin Moon),이의철(Eui Chul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영상을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생명 유지를 위한 호흡 신호 측정기술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존 기술은 사람의 몸에서 방출하는 열을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하여 호흡 신호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간으로 사람의 흉부 움직임을 분석하여 호흡률을 측정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하지만, 적외선 열화상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를 하는 것은 외부 환경 요인으로 인해 호흡 기관의 탐색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호흡률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들이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 기관의 영역 탐색을 강화하기 위해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하였다. 그리고 두 영상을 기반으로 얼굴 인식, 영상 정합 등의 과정을 통해 호흡 기관 영역의 특징을 추출한다. 추출한 특징 값을 통계학적 분류 방법 중 하나인 k-최근접 이웃 분류기를 통해 호흡 신호의 패턴을 분류한다. 분류한 패턴의 특성에 따라 호흡률을 계산하며, 측정한 호흡률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호흡률과 비교 과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호흡률 측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iomedical signal measurement technology using images has been developed, and researches on respiration signal measurement technology for maintaining life have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The existing technology measured respiratory signals through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measures heat emitted from a person s body. In addi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respiration rate by analyzing human chest movement in real time. However, the image processing using the infrared thermal image may be difficult to detect the respiratory organ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emperature change, noise, etc.), and thus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rate is low.In this study, the images were acquired using visible light and infrared thermal camera to enhance the area of the respiratory tract. Then, based on the two images, features of the respiratory tract region are extracted through processes such as face recognition and image matching. The pattern of the respiratory signal is classified through the k-nearest neighbor classifier, which is one of the statistical classification methods. The respiration rat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patterns and the possibility of breathing rate measurement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measured respiration rate with the actual respiration rate.

      •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Respiratory Guidance System in the 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herapy

        이영철,김선명,도경민,박근용,김건오,김영범,Lee, Yeong-Cheol,Kim, Sun-Myung,Do, Gyeong-Min,Park, Geun-Yong,Kim, Gun-Oh,Kim, Young-Bum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2012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4 No.2

        목 적: 호흡동조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herapy, RGRT)에서 호흡의 안정성은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이러한 호흡의 안정을 위해 본인의 호흡주기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시청각시스템을 이용한 호흡유도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6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본원에서 호흡동조방사선치료를 받은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청각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자유호흡을 먼저 측정하고 자체개발한 호흡유도시스템을 이용한 호흡을 측정하였다. 시청각시스템을 이용한 호흡연습 후에는 치료실내에서의 자가호흡과 시청각시스템을 이용한 호흡을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호흡주기, 호흡함수의 면적을 구하여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치료전후의 호흡변화를 알아 보았다. 결 과: 자유호흡과 오디오 유도시스템, 시청각 유도시스템의 표준편차는 PTP (peak to peak)가 각각 0.343, 0.148, 0.078이다. 호흡주기는 각각 0.645, 0.345, 0.171이며, 호흡함수의 면적은 각각 2.591, 1.008, 0.877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의 CT실과 치료실에서의 차이를 평균한 값은 PTP가 0.425, 호흡주기가 1.566, 호흡면적이 3.671로 측정되었다. 호흡유도시스템 적용전후의 표준편자는 PTP가 0.265, 호흡주기가 0.474, 호흡면적이 1.714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유호흡과 시청각유도시스템 적용전후의 값을 T-검정한 결과에서는 PTP, 주기, 호흡함수면적에서 각각 P-value 0.035, 0.009, 0.010의 값을 나타냈다. 결 론: 호흡동조방사선치료에서 호흡조절은 치료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인자이다. 자유호흡이나 청각에 의존한 호흡주기 획득에 비해 시청각 호흡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경우에 보다 안정적인 호흡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치료실에서도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호흡을 조절함으로써 호흡주기의 재현성이 뛰어났다. 이러한 시스템은 호흡불안정에 의한 치료시간의 지연을 줄이고 좀 더 정확하고 정밀한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Purpose: The respi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herapy (RGRT). We have developed an unique respiratory guidance system using an audio-visual system in order to support and stabilize individual patient's respiration and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is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received the RGRT at our clinic from June 2011 to April 2012. After breathing exercise with the audio-visual system, we measured their spontaneous respiration and their respiration with the audio-visual system respectively. With the measured data, we yielded standard deviations by the superficial contents of respiratory cycles and functions, and analyzed them to examine changes in their breathing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Results: The PTP (peak to peak) of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ree breathing, the audio guidance system, and the respiratory guidance system were 0.343, 0.148, and 0.078 respectively. The respiratory cycles were 0.645, 0.345, and 0.171 respectively and the superficial contents of the respiratory functions were 2.591, 1.008, and 0.877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s of the differences in the standard deviations among the whole patients at the CT room and therapy room were 0.425 for the PTP, 1.566 for the respiratory cycles, and 3.671 for the respiratory superficial contents. As for the standard deviation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TP respiratory guidance system, that of the PTP was 0.265, that of the respiratory cycles was 0.474, and that of the respiratory superficial contents. The results of t-test of the values before and after free breathing and the audio-visual guidance system showed that the P-value of the PTP was 0.035, that of the cycles 0.009, and that of the respiratory superficial contents 0.010. Conclusion: The respiratory control c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RGRT which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a treatment. We were able to get more stable breathing with the audio-visual respiratory guidance system than free breathing or breathing with auditory guidance alone. In particular, the above system was excellent at the reproduction of respiratory cycles in care units. Such a system enables to reduce time due to unstable breathing and to perform more precise and detailed treatment.

      • KCI등재

        환자고유의 호흡 패턴을 적용한 호흡 연습장치 개발 및 유용성 평가

        강성희,윤제웅,김태호,서태석,Kang, Seong-Hee,Yoon, Jai-Woong,Kim, Tae-Ho,Suh, Tae-Su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2 의학물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환자 고유의 호흡 패턴을 적용하여 호흡의 규칙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호흡 연습장치(respiratory training system)를 개발하여, 호흡에 의한 움직임이 고려된 4D-RT (4-dimension radiation therapy) 또는 4D-CT (4-dimension computed tomography) 수행 시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고자 했다. 개발한 호흡연습장치는 푸리에 급수(Fourier series)를 기반으로 환자 고유의 호흡패턴을 만들어 환자에게 편안한 호흡 유도를 제공한다. 호흡연습장치를 사용했을 때 호흡의 규칙성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5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10개의 자유호흡신호를 획득하여 실험 대상자의 고유한 호흡패턴(guiding waveform)을 만들고, 자유호흡(free breathing)을 3분 동안 시행한 후, 고유한 호흡패턴을 이용하여 호흡을 유도하는 신호모니터-호흡(guide breathing)을 3분 동안 시행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자유호흡과 신호모니터-호흡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호흡크기(displacement)와 호흡주기(period)의 변동성을 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호흡의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신호모니터-호흡은 자유호흡과 비교하여 호흡크기의 경우 최대 40%, 호흡주기의 경우 최대 76%까지 RMSE 값이 감소하였으며, 모든 지원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호흡주기의 경우 RMSE 값이 55% 감소되었고, 호흡크기의 경우 33%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호흡연습장치는 실험대상자의 고유한 호흡패턴을 이용하여 규칙적인 호흡을 유도했기 때문에 피실험자는 큰 노력 없이도 신호모니터-호흡을 따라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규칙적인 호흡을 오랜 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으며, 4D RT, 4D CT를 시행 할 경우 규칙적인 호흡을 통해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spiratory training system using individual characteristic guiding waveform to reduce the impact of respiratory motion that causes artifact in radiotherapy. In order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respiratory regularity, 5 volunteers were included and their respiratory signals were acquired using the in-house developed belt-type sensor. Respiratory training system needs 10 free breathing cycles of each volunteer to make individual characteristic guiding waveform based on Fourier series and it guides patient's next breathing. For each volunteer, free breathing and guided breathing which uses individual characteristic guiding waveform were performed to acquire the respiratory cycles for 3 min.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as computed to analyze improvement of respiratory regularity in period and displacement. It was found that respiratory regularity was improved by using respiratory training system. RMSE of guided breathing decreased up to 40% in displacement and 76% in period compared with free breathing. In conclusion, since the guiding waveform was easy to follow for the volunteers, the respiratory regular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using in-house developed respiratory training system. So it would be helpful to improve accuracy and efficiency during 4D-RT, 4D-CT.

      • KCI등재

        한성준류 태평무 터벌림 과장의 호흡유형과 특성 연구

        정경화 한국무용연구회 2007 한국무용연구 Vol.25 No.2

        호흡은 춤 동작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 주는 원천적인 요소로서 충의 내적, 외적 흐름을 결정지어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이 호흡과 충의 동작은 서로 떼어 놓고 생각 할 수 없을 만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성준(韓成俊) 류 (類) 태평무(太平舞) 터벌림 과장 춤사위의 호흡구조 분석을 통하여 그 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추출하여 알아봄으로써 이 춤을 보다 과학적이고도 객관적으로 분석, 그 실체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태평무 터벌림 과장의 호흡구조를 들숨, 날숨, 멈춤의 호흡표기법에 의해 분석해 본 결과, 10박 1호흡(회)과 10박 2호흡(회), 그리고 10박 3호흡(회)과 10박 4호 흡(회)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터벌림 과장에서 들숨 • 날숨 • 멈춤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살펴보았을 때, 들 숨 75회와 날숨 81회, 그리고 멈춤 12회로 들숨보다 날숨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들숨과 날숨의 다양한 변화는 터벌림 춤사위의 기교적인 측면이 부각되었다고 볼 때 이는 멈춤 호흡의 정적인 멋과 더불어 그 역동성이 강조되는 춤을 이루는 원천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터벌림의 호흡유형을 추출하여 분석해본 결과 큰호홉과 중간호홉 그리고 작은호 홉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 호흡의 기교에 따라 들숨과 날숨이 대칭을 이루는 호흡선 뿐만 아니라 멈춤을 나타내는 수직선 부호로 인하여 비대칭형의 변형된 호흡선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터벌림 춤사위의 호흡유형과 연관하여 특성을 분석해 정리해 본다면, 길고 깊은 호흡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빨라지면서 짧고 얕은 호흡으로 맺음과 어름 그리고 풀음 기법에 의한 점一선一원의 호흡선으로 이어져 필체 • 학체 • 궁체의 춤사위가 되었다. 특히, 이때의 춤에서는 학체와 궁체의 춤사위가 주를 이루어 매우 부드러우면서 기교적이고 역동적인 춤사위를 드러냈다. As the original element of providing vitality to dancing motion, breathing become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deter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flows of dancing. Also, it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motion. Thu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breathing structure of a Han, Sungjun style of Taepyeongmu (Peace Dance) motion, extract breathing patterns and features from the analysis and explore them, analyze the dance more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and understand its substance. If 1 say the result here first,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breathing structure of a Taepyeongmu dance Episode Tubullim by the breathing notation of inhalation, exhalation and stop showed that Episode Tubullim one breath(twice), two breaths(four times), three breaths(eight times) and four breaths(nine times) of tenfold time. Secondly, exploring the percentages accounted for by Episode Tubullim Quantifying them in detail showed that inhalation appeared 75 tines, exhalation 81 times and stop 12 times. In particular, the various changes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here revealing the technical aspects of Taepyeongmu dance motion highlighted indicated that they became the origin for the dance whose dynamicity is emphasized together with the static taste of stop breathing. Thirdl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breathing pattern of a Taepyeongmu dance Episode Tubullim showed that most of Episode Tubullim consisted variously of big, middle and small breaths. But not only a breath line of symmetrical inhalation and exhalation according to the techniques of the breaths but also a vertical sign expressive of stop caused two aspects of asymmetrical transformed breath lines. Fourthly, analyzing and arranging the episode-specific feature of a Taepyeongmu dance Episode Tubullim in connection with the breathing pattern of its motion showed that Episode Tubullim had bow-shaped, crane-shaped, and brush-shaped dancing motions from long and deep breaths through short and shallow breaths with progressive speed to breath lines of dot, line and circle by the techniques of fastening, tightrope dancing and unfastening. In particular, crane-shaped and bow-shaped dancing motions which were very soft, technical and dynamic formed the mainstream of the dance at that time. Also, they showed Korean static, middle and dynamic feature with outstanding internal breathing technique by adding stop breathing between

      • KCI등재후보

        횡격막의 움직임을 이용한 최적화된 호흡 위상의 선택

        김명주(Myoungju Kim),임인철(Inchul Im),이재승(Jaeseung Lee),강수만(Suman Kang) 한국방사선학회 201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7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ntitatively movement of planning target volume (PTV) and change of PTV volume through movement of diaphragm according to breathing phas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optimized respiration phase for radiation therapy of lung cancer. Simulated breathing training was performed in order to minimize systematic errors which is caused non-specific or irregular breathing. We performed 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4DCTi) in accordance with each respiratory phase in the normalized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procedures, then not only defined PTVi in 0 ~ 90%, 30 ~ 70% and 40 ~ 60% in the reconstructed 4DCTi images but analyzed quantitatively movement and changes of volume in PTVi. As a results, average respiratory cycle was 3.4±0.5 seconds by simulated breathing training. R2-value which is expressed as concordance between clinically induced expected value and actual measured value, was almost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so movement of PTVi according to each respiration phase 0 ~ 90%, 30 ~ 70% and 40 ~ 60% were 13.4±6.4mm, 6.1±2.9mm and 4.0±2.1mm respectively. Change of volume in PTVi of respiration phase 30 ~ 70% was decreased by 32.6±8.7% and 40 ~ 60% was decreased by 41.6±6.2%. In conclusion, PTVi movement and volume change was reduced, when we apply a short breathing phase (40 ~ 60%: 30% duty cycle) range. Furthermore, PTVi margin considered respiration was not only within 4mm but able to get uniformity of dose. 본 연구는 각 호흡 위상에 따른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의 움직임 및 체적(PTV volume)의 변화를 횡격막(diaphragm)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폐암의 호흡 동기 방사선치료를 위한 최적화된 호흡 위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특이적 호흡이나 불규칙적인 호흡에 의한 체계적 오류(system error)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의 호흡 훈련을 시행하였다. 정규화된 호흡 동기 방사선치료 절차에 따라 각 호흡 위상 i에 따른 4차원 전산화치료계획(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4DCTi)을 시행하였으며 0~90%, 30~70%, 40~60% 호흡 위상으로 재구성된 4DCTi 영상에서 PTV를 정의하고 PTVi의 움직임 및 체적의 변화를 정략적으로 분석하였다. 모의 호흡 훈련에 의한 평균 호흡 주기는 3.4±0.5초로 나타났으며 임상적으로 유도되는 예상 값과 실제 측정값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R-제곱 값은 1에 근접하여 유의하였다. 또한 각 호흡 위상 i에 따른 PTVi의 움직임은 0~90% 호흡 위상의 경우 13.4±6.4mm, 30~70% 호흡 위상의 경우 6.1±2.9mm, 40~60% 호흡 위상의 경우 4.0±2.1mm 이었으며 PTVi의 체적 변화는 30~70% 호흡 위상의 경우 32.6±8.7%, 40~60% 호흡 위상의 경우 41.6±6.2%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짧은 호흡 위상(40~60%: 30% duty cycle) 폭을 적용하였을 때 PTV의 움직임 및 체적의 변화가 감소되어 호흡을 고려한 PTV 마진이 4mm 이내이면서 PTV 내 선량의 균일성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나이에 따른 수면무호흡증 임상적 특성의 변화

        신윤경,윤인영,홍민철,윤영돈,Shin, Yoon-Kyung,Yoon, In-Young,Hong, Min-Chul,Yun, Yong-Don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1

        목 적:본 연구에서는 노인 수면 무호흡증과 성인 수면 무호흡증에서의 특성들을 비교하고, 이미 알려진 성인 수면무호흡증에서의 위험인자들과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의 호흡장애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 노인 수면무호흡증의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호흡장애지수가 5 이상이면서 연령이 20세 이상인 275명의 수면 무호흡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대상에게 간단한 신체검사, Pittsburgh 수면질척도, Epworth 졸림증 척도 등을 포함한 설문지 평가, 수면다원검사를 시행 하였다. 60세 미만의 성인 수면무호흡증 집단과 60세 이상의 노인 수면무호흡증 집단 간에 자료들이 비교, 분석 되었다. 결 과:노인과 성인 수면무호흡증에서 호흡장애지수, 무호흡지수, 90% 미만 산소포화도 기간의 백분율, Pittsburgh 수면질척도 등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노인 수면무호흡증은 성인 수면무호흡증에 비해 폐쇄성 무호흡지수와 산소포화도저하지수가 낮았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최저 산소포화도와 중추성 무호흡지수가 높았다.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 체질량지수와 목둘레가 성인 수면무호흡증에 비해 작았다. 확장기 혈압도 노인에서 성인 수면무호흡증에 비해 낮았으나, 수축기 혈압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 성인에 비해 Epworth 졸림증 척도 점수가 낮았다. 성인 수면무호흡증에서는 호흡장애지수와 체질량지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는 두 변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유사한 결과가 호흡장애지수와 목둘레, 수축기 혈압, 그리고 확장기 혈압 사이에서도 나타났다. 결 론:노인 수면무호흡증 집단은 비만하지 않았고, 노인에서의 수면무호흡증의 심각도는 체중과 관련이 없었다. 또한, 노인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행동과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하지 않았는데, 이는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 성인에 비해 산소포화도저하지수가 낮고, 최저 산소포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에 의해 일부 설명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체중 증가보다는 정상 노화과정이 합병증이 적은 노인 수면무호흡증 발생에 좀 더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sleep apnea syndrome (SAS) in the elderly because of its high prevalence. It is expected that SAS in the elderly ha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ompared to SAS in the young or middle-aged popul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of SAS in the elderly. Methods: In this study we included 210 young or middle-aged adults between 23 and 59 years (20 women and 190 men) and 65 older adults between 60 and 83 years of age (16 women and 49 men). Respiratory disturbance indices (RDIs) of the study subjects were more than 5 in an overnight polysomnography. They completed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an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Informations about body mass index (BMI), neck, waist, and hip measurements, and blood pressure were obtained. Results: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older adults with SAS (older SAS) and adults aged under 60 with SAS (SAS aged under 60) in RDI, apnea index, % time of oxygen saturation less than 90%, and PSQI. Obstructive apnea index and 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were lower in older SAS. Compared to SAS aged under 60, lowest oxygen saturation and central apnea index were higher in older SAS, but they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BMI and neck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lder SAS compared to SAS aged under 60.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lower in older SAS compared to SAS aged under 60 with no difference in systolic blood pressure. Older SAS showed lower scores in ESS than SAS aged under 60.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RDI and BMI in SAS aged under 60, but not in the case of older SAS. The relationships between RDI and neck circumference,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 and ESS were similar. Conclusions: The elderly with SAS were not over-weight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the severity of SAS. Also, the behavioral and cardiovascular effects of SAS were not marked in the elderly, which might be partly explained by decreased ODI and relatively higher lowest oxygen saturation in older SAS. The normal aging process, aside from increased body weight, migh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AS in the elderly with modest complications.

      • 호흡동조 방사선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RPM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Respiratory Gating System의 호흡변화에 따른 정확성에 대한 고찰

        나준영,강태영,백금문,권경태,Na, Jun Young,Kang, Tae Young,Baek, Geum Mun,Kwon, Gyeong Ta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3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5 No.1

        목 적: 본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호흡동조 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RGRT)는 RPM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Respiratory Gating System (version 1.7.5, Varian, USA)을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호흡변화에 따른 방사선치료의 정확성을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움직임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구동 팬텀(Motion Phantom)인 QUASAR Programmable Respiratory Motion Phantom (Moudus Medical Device Inc. CANADA)을 이용하였다. 폐암과 간암 환자 50명의 호흡을 분석하여 호흡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기준으로 주기 3초, 진폭 1.5 cm인 총 60초간의 기준호흡에서 매번 기저호흡(Baseline)을 기울기를 갖고 점진적으로 내려가는 경우와, 간헐적으로 기준 기저호흡 보다 더 내려가는 경우의 호흡 모양을 만들어 본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Phase gating, 보통 30~70% gating 치료 방법과 동일하게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결 과: 점진적으로 매번 기저호흡이 0.01 cm, 0.03 cm, 0.05 cm씩 내려가는 호흡의 경우 모든 조건에서 방사선이 조사되었다. 간헐적으로 기저호흡이 0.2 cm, 0.4 cm, 0.6 cm, 0.8 cm 내려가는 경우도 모든 조건에서 방사선이 조사되어 RPM Respiratory Gating System에서 Phase gating 방식은 기저호흡 변화에 대하여 방사선이 모두 조사되었다. 결 론: 최적의 방사선치료를 위해 종양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시행하는 호흡동조 방사선치료에서 RPM Respiratory Gating System의 Phase gating 방식은 본 연구에서와 같이 기저호흡의 변화가 호흡동조에 정확히 반영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호흡동조 방사선치료에는 무엇보다 환자의 호흡 관찰이 중요하다고 사료되며 호흡의 변화가 관찰되었다면 즉시 방사선치료를 멈추고 호흡을 관찰한 후 변화된 호흡상태에서 투시를 시행하여 치료부위를 다시 확인한 후에 치료를 재개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Purpose: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RGRT) has been carried out using RPM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Respiratory Gating System (version 1.7.5, varian, USA) in Asan Medical Center.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accuracy of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RGRT) according to variation of respiration. Materials and Methods: Making variation of respiration using Motion Phantom:QUASAR Programmable Respiratory Motion Phantom (Moudus Medical Device Inc. CANADA) able to adjust respiration pattern randomly was varying period, amplitude and baseline by analyze 50 patient's respiration of lung and liver cancer. One of the variations of respiration is baseline shift gradually downward per 0.01 cm, 0.03 cm, 0.05 cm. The other variation of respiration is baseline shift accidently downward per 0.2 cm, 0.4 cm, 0.6 cm, 0.8 cm.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same way that is used RPM Respiratory Gating System (phase gating, usually 30~70% gating) in Asan Medical Center. Results: It was all exposed radiation under one of the conditions of baseline shift gradually downward per 0.01 cm, 0.03 cm, 0.05 cm. Under the other condition of baseline shift accidently downward per 0.2 cm, 0.4 cm, 0.6 cm, 0.8 cm equally radiation was exposed. Conclusion: The variations of baseline shifts didn't accurately reflect on phase gating in RPM Respiratory Gating System. This inexactitude makes serious uncertainty in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So, Must be stabilized breathing of patient before conducting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also must be monitored breathing of patient in the middle of treatment. If you observe considerable changes of breathing when conducting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Stopping treatment immediately and then must be need to recheck treatment site using fluoroscopy. If patient's respiration rechecked using fluoroscopy restabilize, it is possible to restart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