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교철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25 스포츠인류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호흡재활운동의 필요성에 관한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호흡질환자의 문헌적 견해를 알아보았다. 호흡재활운동은 활동 지침에 있어서 호흡질환자에 대해 매우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호흡재활운동은 호흡 재훈련, 호흡 근육 휴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호흡기 질환자에게 호흡재활운동을 실시함으로써 호흡기능의 점진적 회복 및 증진시킬 수 있으며, 사후에도 지속적인 운동을 실시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호흡기 환자에게 호흡재활운동은 호흡 증상을 완화 및 조절하고 호흡기합병증을 예방한다. 마지막으로 만성폐쇄성 폐질환 등의 전통적인 호흡기 질환자는 호흡재활의 효과가 입증에도 불구하고, 국내 임상에서는 호흡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현재 권역별 호흡기재활센터가 건립되어 사정이 나아진 곳도 있지만, 여전히 낮은 수가와 병원의 접근성 등을 해결해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In this study, clinical cases of the effects of exercise on pulmonary rehabilitation were examined. Pulmonary rehabilitation exercise is known to be very effective for respiratory patients in terms of activity guidelines. Pulmonary rehabilitation exercise consists of respiratory retraining, respiratory muscle relaxation, airway secretion removal, readjustment exercises, Respiratory rehabilitation exercise can be performed for patients with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to gradually recover and improve respiratory function, and continuous exercise should be performed after death. Consequently, pulmonary rehabilitation exercise for respiratory patients relieves and controls respiratory symptoms and prevents respiratory complications. Finally, despite the proven effectiveness of respiratory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traditional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t is difficult to provide respiratory rehabilitation services in domestic clinical settings. Currently, there are places where the situation has improved due to the establishment of respiratory rehabilitation centers in each region, but it is still necessary to address low fees and accessibility to hospitals.
정경화 한국무용연구회 2007 한국무용연구 Vol.25 No.2
호흡은 춤 동작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 주는 원천적인 요소로서 충의 내적, 외적 흐름을 결정지어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이 호흡과 충의 동작은 서로 떼어 놓고 생각 할 수 없을 만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성준(韓成俊) 류 (類) 태평무(太平舞) 터벌림 과장 춤사위의 호흡구조 분석을 통하여 그 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추출하여 알아봄으로써 이 춤을 보다 과학적이고도 객관적으로 분석, 그 실체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태평무 터벌림 과장의 호흡구조를 들숨, 날숨, 멈춤의 호흡표기법에 의해 분석해 본 결과, 10박 1호흡(회)과 10박 2호흡(회), 그리고 10박 3호흡(회)과 10박 4호 흡(회)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터벌림 과장에서 들숨 • 날숨 • 멈춤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살펴보았을 때, 들 숨 75회와 날숨 81회, 그리고 멈춤 12회로 들숨보다 날숨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들숨과 날숨의 다양한 변화는 터벌림 춤사위의 기교적인 측면이 부각되었다고 볼 때 이는 멈춤 호흡의 정적인 멋과 더불어 그 역동성이 강조되는 춤을 이루는 원천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터벌림의 호흡유형을 추출하여 분석해본 결과 큰호홉과 중간호홉 그리고 작은호 홉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 호흡의 기교에 따라 들숨과 날숨이 대칭을 이루는 호흡선 뿐만 아니라 멈춤을 나타내는 수직선 부호로 인하여 비대칭형의 변형된 호흡선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터벌림 춤사위의 호흡유형과 연관하여 특성을 분석해 정리해 본다면, 길고 깊은 호흡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빨라지면서 짧고 얕은 호흡으로 맺음과 어름 그리고 풀음 기법에 의한 점一선一원의 호흡선으로 이어져 필체 • 학체 • 궁체의 춤사위가 되었다. 특히, 이때의 춤에서는 학체와 궁체의 춤사위가 주를 이루어 매우 부드러우면서 기교적이고 역동적인 춤사위를 드러냈다. As the original element of providing vitality to dancing motion, breathing become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deter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flows of dancing. Also, it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motion. Thu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breathing structure of a Han, Sungjun style of Taepyeongmu (Peace Dance) motion, extract breathing patterns and features from the analysis and explore them, analyze the dance more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and understand its substance. If 1 say the result here first,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breathing structure of a Taepyeongmu dance Episode Tubullim by the breathing notation of inhalation, exhalation and stop showed that Episode Tubullim one breath(twice), two breaths(four times), three breaths(eight times) and four breaths(nine times) of tenfold time. Secondly, exploring the percentages accounted for by Episode Tubullim Quantifying them in detail showed that inhalation appeared 75 tines, exhalation 81 times and stop 12 times. In particular, the various changes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here revealing the technical aspects of Taepyeongmu dance motion highlighted indicated that they became the origin for the dance whose dynamicity is emphasized together with the static taste of stop breathing. Thirdl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breathing pattern of a Taepyeongmu dance Episode Tubullim showed that most of Episode Tubullim consisted variously of big, middle and small breaths. But not only a breath line of symmetrical inhalation and exhalation according to the techniques of the breaths but also a vertical sign expressive of stop caused two aspects of asymmetrical transformed breath lines. Fourthly, analyzing and arranging the episode-specific feature of a Taepyeongmu dance Episode Tubullim in connection with the breathing pattern of its motion showed that Episode Tubullim had bow-shaped, crane-shaped, and brush-shaped dancing motions from long and deep breaths through short and shallow breaths with progressive speed to breath lines of dot, line and circle by the techniques of fastening, tightrope dancing and unfastening. In particular, crane-shaped and bow-shaped dancing motions which were very soft, technical and dynamic formed the mainstream of the dance at that time. Also, they showed Korean static, middle and dynamic feature with outstanding internal breathing technique by adding stop breathing between
류현열,임용자,황보유순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23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횡경막 호흡발성(성악) 수련과정의 치유경험이 수련자 자신의 삶과 일상에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현상주의 질적연구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발성 위주의 성악교육을 담당한 전문 성악가, 그리고 수련과정에 참여관찰자인 상담전문가(2인)이 2000년 초반부터 2022년까지 치유과정을 경험한 횡격막 중심의 호흡발성 수련자 23명을 대상으로 성악수련과정에서 주요 교육적 도구인 횡격막호흡발성의 중요성에 기초하여 성악예술 표현이나 기술적 측면보다는 그 이면의 심층심리와 소마몸 상태의 변화와 발달에 초점을 두어 그 치유효과를 질적연구 방법론으로 연구하였다. 2023년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인터뷰와 응답지를 수집하여 호흡발성 수련자들의 호흡발성의 효과로 인한 정서적, 인지적, 소마몸의 3가지 분야의 변화과정과 수련자의 삶의 의미를 통찰하는 치유성장 과정을 탐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다음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시간성 차원에서 호흡발성 수련자의 신체심리과정의 변화는 어떠하였는가? 둘째, 상호작용 차원에서 호흡발성 수련자의 삶에 어떤 의미를 형성하였는가? 셋째, 환경차원에서 호흡발성 수련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결과, 연구문제 1의 결과는 긍정적 소마틱정서의 체화경험이라고 개념화하였다. 연구문제 2의 결과는 횡격막 호흡발성 수련자들이 통찰한 삶의 의미는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의 중간과정에 인지적 매개과정인 긍정경험 기억의 내적/외적 상호작용이라는 규정에 의해 상향통합되어 수련자들의 영적 의미있는 삶의 의식화로 결론지었다. 연구문제 3의 결과는 강한 내적 동기 성취는 외적환경의 제한을 받지만 외적 환경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수련자들은 가장 어려운 동기성취의 도전을 계속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ㅡ 본 연구의 최종적 핵심개념으로 수련자들의 경험의 메타인식은 횡격막 발성에 의한 치유 및 성장 경험이라고 결론지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표현예술치료의 관점에서 볼 때 예술표현의 매체들이 단지 공연지향적으로 외향화되는 표현이 아니라 더 나아가서 개인의 고유한 특질의 내적 심리상태를 진정하게 외향화하는 내적/외적 양방향 활동지향적 예술치료임에 의의를 두며, 우리의 치유전문성이 각각의 분화된 치료기법들에 의존하지 않고 예술매체별/심리치료기법별로 통합된 메타방법론을 실천할 수 있다는데 큰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요인에서 보면, 20~30대의 청년포함, 50~60대의 중장년을 비롯하여 특히 70대 이상 노인층에서도 높은 호응을 보이는 바, 발성호흡 수련을 통해 노인기의 필수 과제인 통합적 발달을 가져오는 심신의 건강과 긍정적 삶의 의미를 찾는 전인적 치유성장과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제언으로는 소마틱 호흡운동기법들을 심리치유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생명호흡의 예술이라는 측면을 통합하여 호흡댄스로 일반화시키는 방법은 심신통합치유에 도움이 될 것이며 남녀노소 막론하고 노인기를 비롯한 전 연령층의 모든 사람에게 본 연구의 주제인 횡격막 호흡발성의 성악 실천 연구를 후속적으로 적극 촉진할 것을 제언한다.
안병희(An, Byong-hee)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This is a study on ‘Mindfulness of Breathing(Ānāpānasati)’ and its application to the Psychosomatic therapy. According to the Pāli texts in the Theravāda tradition, Mindfulness of Breathing has some unique features. The Mindfulness of Breathing is the meditation practised by the Buddha himself, which comprises the Four Satipaṭṭhāna; it can be applied to the both Samatha and Vipassanāmeditation and fulfills all of four conditions which are presented for the comparison to the other methods of meditation. Therefore it can be asserted that among the fifty kinds of meditation-subjects which were taught by the Buddha, the Ānāpānasati is the most important meditation with a complete system to cover the whole spiritual journey from the start to the final goal. The Ānāpānasati has an excellent function of psychotherapy as we see the benefits and fruits of Ānāpānasati described in Pāli texts. So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Ānāpānasati has been applied to the various programs of western psychosomatic therapy. In the MBSR program, the Mindfulness of Breathing is treated as an significant method and is applied throughout the whole eight weeks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s. The MBCT also provides the Mindfulness of Breathing as the ‘3 Minutes Breathing Space’ in the third week to escape from unconscious automatic reactions. The DBT also uses the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everal ways. Application of Buddhist meditation to psychosomatic therapy is a new trend in modern times. Although the western therapeutic programs aim to cure just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through Buddhist meditation, it is worthy to note that this meditation also cures suffering and gives the light of wisdom and insight to the people involved. 본 논문은 남방 상좌불교 전통에서의 호흡관 수행과 이 호흡관의 심신치유 적용에 관한 것이다. 빨리(Pāli) 문헌들과 상좌불교 수행전통에 의하면, 호흡관 수행은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즉, 호흡관은 석가모니 붓다가 직접 수행하였고 깨달음을 얻었던 수행법이라는 점, 신수심법 4념처를 다 성취하고 포섭한다는 점, 사마타 수행과 위빠사나 수행으로 다 적용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다른 수행법들과의 비교분석에서 제시한 4가지 조건들을 모두 다 충족시킨다는 점이다. 붓다가 가르친 50여 가지의 다양한 수행법들 중에서 각각의 수행법들이 가진 기능과 역할을 비교 분석 해볼 때, 호흡관 수행은 수행의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 다 가능하게 하는 가정 완벽한 수행체계를 가진 가장 중요한 수행법이라는 점이다. 빨리(Pāli) 문헌에 나타난 호흡관 수행의 이익과 결실들에 의하면, 호흡관 수행은 탁월한 심리치유 기능을 가졌다. 서양의 심신치유 프로그램에서 이 호흡관 수행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몇 가지 예들을 살펴보았다. ‘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완화(MBSR)’프로그램에서는 호흡명상뿐만 아니라 바디스캔, 정좌명상, 걷기명상, 마음챙김 요가명상 등에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을 기본적으로 다 수반시키기 때문에, 8회기 전반에 걸쳐 호흡명상이 직접 간접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치료(MBCT)’에서도 3회기에 3분 호흡 공간’이란 방법으로 제시되는데, 무의식적 자동반응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잘 구조화되어 있었고,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에서도 호흡명상을 몇 가지 측면으로 변화 있게 제시한다. 또한 심리치료 현장에서 상담자가 내담자를 상담하면서 호흡 명상의 원리를 잘 적용하고 있음도 나타난다. 불교수행을 서양의 심신치유 프로그램에서 적용하는 것은 분명 현대의 새로운 흐름이다. 이제는 불교수행이 불교라는 테두리를 넘어서서 고통 받는 수많은 사람들을 치유하고 지혜와 통찰의 빛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시사점이 많다.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재활 단계가 인공호흡기 이탈에 미치는 영향
서희정,김은영,서가진,홍상범,임채만,고윤석,허진원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인공호흡기를 적용 하는 환자에서 재활치료는 인공호흡기 적용 기간의 감소, 중환자실 재실 및 병원 재원일수 감소, 신체기능 향상 등과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재활 단계가 인공호흡기 이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상급종합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의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 중 호흡부전 재활치료와 수동적 관절운동을 받은 환자 65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2.7±14.6세였고, 남자가 73.8%였으며, 평균 중환자실 재실일수는 32.7±25.7일이었다. 호흡부전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는 36명, 수동적 관절운동만 시행 받은 환자는 29명이었다. 인공호흡기 적응증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호흡부전 재활치료군에서 간질성 폐질환 환자의 비율이 높았고(16.7% vs. 6.9%), 패혈성 쇽 환자의 비율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7.1% vs. 12.0%). APACHE II score는 호흡부전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23.7±7.1 vs. 31.7±8.1), 연령 또한 낮았다(59.6±16.1세 vs. 66.5±11.5세, p=0.032). 인공호흡기 적용 시간이 500시간 이상인 경우는 호흡부전 재활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63.9% vs. 37.9%, p=0.037), 인공호흡기 이탈 성공은 호흡부전 재활치료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75% vs. 62.1%, p=0.262). 결론: 호흡부전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와 수동적 관절운동만 시행 받은 환자의 인공호흡기 이탈 성공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추성실(Sung Sil Chu),조광환(Kwang Hwan Cho),이창걸(Chang Geol Lee),서창옥(Chang O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0 No.1
목적: 호흡주기에 따른 위치변동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종양의 위치가 일정위치에 있을 때만 방사선을 치료하는 호흡동기치료기구를 제작하고 일정한 호흡주기 상태에서 수행된 CT simulation과 3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에 따라 방사선을 치료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호흡유무에 따른 종양의 치료 마진(margin)을 측정하고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의 크기에 따른 선량체적표(dose volume histogram: DVH)와 종양억제확률(tumor control probability:TCP), 건강조직손상확률(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NTCP) 및 선량 통계자료를 통하여 치료성과를 평가하고 선량증강 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종양이 비교적 작고 전이가 없는(T1N0M0) 5명의 폐암환자를 선택하여 X-선 조준장치를 이용하여 횡격막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내부장기의 운동을 평가하였다. 호흡동기치료기구는 끌어당김 센서가 부착된 허리띠 모양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흉곽 또는 복부에 부착하여 호흡주기에 의한 흉곽의 크기변동에 따라 센서의 회로가 개폐되고 이것을 선형가속기의 조종간에 연결하는 간단한 기구로서 감도와 재현성이 높았다. 호흡을 배기한 후 일시적 호흡이 정지된 상태에서 Spiral-CT (PQ-5000)로 3차원 영상을 획득하고 Virtual CT-simulator(AcQ-SIM)에 의하여 종양의 위치와 주위 장기들을 확인 도시하였으며 3차원 치료계획장치(Pinnacle, ADAC Co.)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조형치료를 계획하였다. 치료계획의 평가는 호흡동기치료기구의 사용유무에 따른 PTV의 크기에 따라 최적 선량분포를 구사하였으며 각각의 DVH, TCP, NTCP 및 선량통계자료를 도축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X-선 simulation에서 폐암환자의 횡격막 이동은 약 1㎝에서 2.5㎝로서 평균 1.5㎝로 측정되었고 자유호흡시 PTV는 CTV(clinical target volume)에 약 2㎝ 마진을 주었으며 호흡동기치료기구를 사용하였을 때는 0.5㎝ 마진이 적당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종양의 PTV는 연장 마진의 거의 자승비로 증가하였으며 TCP의 값은 마진 범위 (0.5~2.0 ㎝)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고 NTCP의 값은 마진 크기에 따라 평균 65%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결론: 호흡주기에 따른 위치변동 감지센서를 이용한 호흡동기치료기구는 종양의 위치가 일정할 때만 방사선이 조사되는 간단하고 정확한 장치로서 3차원 입체조형치료 및 강도변조방사선치료에서 매우 유용한 장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호흡조절 방사선입체조형치료방법의 기술과 시술절차를 확립시키고 정량적인 선량평가를 위하여 DVH, TCP, NTCP 등의 정량분석과 종양의 투여 선량 증가량(dose escalation)을 예측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Purpose: 3D conformal radiotherapy, the optimum dose delivered the tumor and provided the risk of normal tissue unless marginal miss, was restricted by organ motion. For tumors in the thorax and abdomen,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is decided including the margin for movement of tumor volumes during treatment due to patients breathing. We designed the respiratory gating radiotherapy device (RGRD) for using during CT simulation, does planning and beam delivery at identical breathing period conditions. Using RGRD, reducing the treatment margin for organ (thorax or abdomen) motion due to breathing and improve dose distribution for 3D conformal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he internal organ motion data for lung cancer patients were obtained by examining the diaphragm in the supine position to find the position dependency. We made a respiratory gating radiotherapy device (RGRD) that is composed of a strip band, drug sensor, micro switch, and a connected on-off switch in a LINAC control box. During same breathing period by RGRD, spiral CT scan, virtual simulation, and 3D dose planing for lung cancer patients were performed, without an extended PTV margin for free breathing, and then the dose was delivered at the same positions. We calculated effective volumes and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ies (NTCP) using dose volume histograms for normal lung, and analyzed changed in doses associated with selected NTCP levels and tumor control probabilities (TCP) at these new dose levels. The effects of 3D conformal radiotherapy by RGRD were evaluated with DVH (DOSE Volume Histogram), TCP, NTCP and dose statistics. Results: The average movement of a diaphragm was 1.5 cm in the supine position when patients breathed freel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umor, the magnitude of the PTV margin needs to be extended from 1 cm to 3cm, which can greatly increase normal tissue irradiation, and hence, results in increase of the normal tissue complications probability. Simple and precise RGRD is very easy to setup on patients and is sensitive to length variation (+2 mm), it also delivers on-off information to patients and the LINAC machine. We evaluated the treatment plans of patients who had received conformal partial organ lung irradiation for the treatment of thorax malignancies. Using RGRD, the PTV margin by free breathing can be reduced about 2 cm for moving organs by breathing. TCP values are almost the same values (4~5% increased) for lung cancer regardless of increasing the PTV margin to 2.0 cm but NTCP values are rapidly increased (60~70% increased) for upon extending PTV margins by 2.0 cm. Conclusion: Internal organ motion due to breathing can be reduces effectively using our simple RGRD. This method can be used in clinical treatments to reduce organ motion induced margin, therapy reducing normal tissue irradiation. Using treatment planning software, the dose to normal tissues was analyzed by comparing dose statistics with and without RGRD. Potential benefits of radiotherapy derived from reduction or elimination of planning target volume (PTV) margins associated with patient breathing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lung cancer patients with 3D conformal radiotherapy.
정상인과 음성질환자의 호흡 패턴 및 호흡 기능의 운동학적 특성
최성희(Seong Hee Choi),남도현(Do-Hyun Nam),최흥식(Hong-Shik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3
본 연구는 정상적인 발성 중에 호흡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발성 시 공명, 조음기관에 영향을 주지 않고 호흡과 성문 및 발성 기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음성, 성문 및 호흡 통합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정상 성인 집단 55명, 성문의 불완전한 폐쇄를 보이는 양성성대질환자 20명 및 성대마비환자 15명을 포함한 총 90명을 대상으로 /아/모음 연장발성 시 호흡의 패턴과 호흡의 운동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아/모음 연장 발성 시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희귀분석 결과, 호흡의 동적 기능 중 전체 폐용량에 대한 흉부와 복부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비교햇을 때, 흡기와 호기 시 흉부의 기여도는 양성성대 질환군이 정상군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성대마비군은 정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최대 흡기량 및 호기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호흡 패턴의 형태를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항 로지스틱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양성성대 질환군과 성대마비환자는 정상군에 비해 역행(paradoxical)호흡, 흉식호흡, 그 다음으로 복식호흡을 하는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성대 내전 위치와 질량 변화로 인하여 호기류의 밸브 기능인 후두에 문제가 생길 때, 적절한 성문하압을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기존의 흉부를 주로 사용하는 호흡 패턴으로는 효율적인 음성 산출이 어렵다. 따라서 일상 대화와 같이 긴 발화나 큰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복식 호흡을 통해 적절한 성문하압을 형성하고, 호기류를 증가시켜 성대 진동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성치료 시 호흡 훈련이 병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신은혁(Eunhyuk Shin),박희철(Hee-Chul Park),한영이(Youngyih Han),주상규(Sang-Gyu Ju),신정석(Jung Suk Shin),안용찬(Yong-Chan A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6 No.3
목 적: 호흡을 고려한 사차원방사선치료의 효용성 증대를 위하여, 규칙적이고 안정된 호흡주기 및 호흡량을 갖도 록 환자를 교육하고 호흡을 연습시키는 호흡연습장치 및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호흡연습장치를 사용시 및 사용후의 호흡의 규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11명(자원자 9명, 환자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유롭게 호흡하는 ‘자유호흡(free-breathing)’법, 자유호흡 시 시뮬레이션 된 표준 호흡주기를 따라함으로써 일정한 호흡주기를 만드는 ‘신호모니터-호흡(guided-breathing)’법 및 호흡연습 후 시뮬레이션 신호 없이 호흡하는 ‘연습 후 호흡(postguided-breathing)’법 등 3가지 방법으로 호흡주기를 기록하여 호흡주기(PTP (Peak To Peak))와 호흡크기(Amplitude) 및 호흡패턴(Area, RMS (Root Mean Square))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결 과: 호흡주기를 보여주는 PTP 값은 ‘신호모니터-호흡’에서 표준편차 값(standard deviation)이 의미 있게 감소하여 호흡주기가 더 규칙적이었고(자유호흡 0.568 vs 신호모니터-호흡 0.344, p=0.0013), ‘연습 후 호흡’법에서는‘자유호흡’ 시보다 표준변동치가 낮아 호흡주기가 보다 안정적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자유호흡 0.568 vs 연습 후 호흡 0.512, p=ns). 호흡량 측정 결과는 ‘자유호흡’보다 ‘신호모니터-호흡’의 경우 호흡량의 표준편차 값이 낮아 호흡량이 보다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자유호흡 1.317 vs 신호모니터-호흡 1.068, p=0.187). 호흡 패턴은 ‘자유호흡’과 ‘모니터 호흡’ 사이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연습 후 호흡’에서는 호흡주기 내 호흡함수의 평균 면적이 7% 감소하였고 RMS 값은 5.9% 감소를 보였다. 결 론: ‘신호모니터-호흡’에서 호흡주기 및 호흡량이 가장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호흡연습의 효과는 시뮬레이션 신호 없이 호흡하는 ‘연습 후 호흡’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호흡연습장치 및 프로그램은 호흡의 주기의 규칙성과 호흡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으로 평가되었다. Purpose: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piratory gated 4-dimensional radiation therapy for more regular and stable respiratory period and amplitude, a respiration training system was designed, and its efficacy was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respiration regularity following the use of a training system. A total of 11 subjects (9 volunteers and 2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s. Three different breathing signals, including free breathing (free-breathing), guided breathing that followed training software (guided-breathing), and free breathing after the guided-breathing (post guided-breathing), were consecutively recorded in each subject. The peak-to-peak (PTP) period of the breathing signal, standard deviation (SD), peak-amplitude and its SD, area of the one cycle of the breathing wave form, and its root mean square (RMS) were measured and computed. Results: The temporal regular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guided-breathing since the SD of breathing period reduced (free-breathing 0.568 vs guided-breathing 0.344, p=0.0013). The SD of the breathing period representing the post guided-breathing was also reduced,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ree-breathing 0.568 vs. guided-breathing 0.512, p=ns). Also the SD of measured amplitude was reduced in guided-breathing (free-breathing 1.317 vs. guided-breathing 1.068, p=0.187), although not significant. This indicated that the tidal volume for each breath was kept more even in guided-breathing compared to free-breathing. There was no change in breathing pattern between free-breathing and guided-breathing. The average area of breathing wave form and its RMS in postguided-breathing, however, was reduced by 7% and 5.9%, respectively. Conclusion: The guided-breathing was more stable and regular than the other forms of breathing data. Therefore, the developed respiratory training syste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emporal regularity and maintaining a more even tidal volume.
호흡구조 분석을 통한 태평무 호흡표기법 연구 : 한성준류 강선영의 태평무를 중심으로
임현선 한국무용연구회 2006 한국무용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춤 호흡을 표기할 수 있도록 고안된 호흡표기법을 이용하여 태평무의 호흡을 문석하고, 그 결과에 대한 과학적 타당성을 확보함으로써 태평무의 호흡을 체계적으로 정형화하는 방법론 모색에 역점을 두었다. 특히 한국춤의 실기 현장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호흡에 대한 분석은 그 호흡의 기본원리를 이해하는 기초가 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춤 호흡의 객관적 근거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태평무의 무용동작 특성과 호흡표기의 과학적 검증을 위해 태평무의 동작과 각 동작에 따른 호흡의 유형을 실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무보나 동작표기 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호흡의 형태와 흐름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정형화하고 이를 통해 호흡표기의 과학적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1. 태평무의 호흡유형은 들숨, 날숨, 멈춤의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2. 태평무의 호흡유형은 호흡의 크기에 따라 세분화된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3. 들숨, 날숨, 멈춤의 태평무 호흡유형과 호흡곡선의 일치도는 매우 높게 니티날 것이다. 태평무의 충동작에 따른 호흡표기의 과학적 검증을 위해 태평무의 동작과 각 동작에 따른 호흡유형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여 호흡표기와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1. 호흡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이를 세부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호흡표기와 호흡곡선은 매우 높은 일치도를 나타냈다. 2. 호흡을 들숨, 날숨, 멈춤으로 분류한 세 유형 중에서는, 멈춤의 유형에서 그 일치도가 100%로 가장 완벽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들숨의 유형 또한 93.4%의 중앙값을 보임으로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날숨의 유형에서는 65.6%의 중앙값을 보임으로서, 멈 춤이나 들숨에 비해서 다소 떨어졌으나 평균 이상의 일치를 이루었다. 3. 들숨의 크기로 분류한 큰들숨, 중간들숨, 작은들숨의 세 유형에서 각각의 중앙값은 92.5%, 97.1%, 93.8%로 나타나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그리고 날숨의 크기로 분류한 큰날숨, 중간날숨, 작은날숨의 세 유형에서 각각의 중앙값은 12.1%, 61.9%, 62.5%로 나타나 들숨이나 멈춤보다는 다소 낮았다. 또한 멈춤의 분류에 따른 각각의 중앙값은 큰멈춤, 중간멈춤, 작은멈춤 모두에서 100%의 완벽한 수준의 일치를 이루었다. In this study I analyze the breathing in Taepyeongmu, using the system designed to transcribe the breathing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aim to develop a methodology that systematically standardizes the breathing in Taepyeongmu, by scientifically analyzing the result. In particular, I seek an objective ground for breathing in dance, for an analysis of breathing enables an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breathing, which is of absolute importance in performing Korean dance. This study, therefore, analyzes through experiments each movement and the breathing thereof in Taepyeongmu, then comprehensively theorizes and systemizes such modes and flows of breathing that cannot be explained through dance steps or movement direction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may be clarified and the system of transcribing breathing may secure its scientific validity. After analyzing each movement and the breathing thereof in Taepyeongnut and comparing them with the system of transcribing breathing, 1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 1. A classification of breathing modes and its subsequent analysis shows that the transcribed breathing coincides with the breathing curve. 2. Among the three categories of inhaling, exhaling, and pausing, the coincidence rate is perfect and the highest in pausing. In inhaling, the coincidence rate is very high—93-4%. The coincidence rate in exhaling is 65.6% — somewhat lower than in pausing and inhaling but relatively high. 3. In the further classified analysis, the coincidence rates in long inhaling, medium inhaling, and short inhaling are respectively 92.5%, 97.1%, and 93.8% — all very high. In long exhaling, medium exhaling, and short exhaling, the coincidence rates are respectively 73-7%, 61.9%, and 62.5% — all lower than in inhaling and pausing. In case of pausing, long pausing, medium pausing, and short pausing all showed the perfect coincidence rate of 100%.
김명주(Myoungju Kim),임인철(Inchul Im),이재승(Jaeseung Lee),강수만(Suman Kang) 한국방사선학회 201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7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ntitatively movement of planning target volume (PTV) and change of PTV volume through movement of diaphragm according to breathing phas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optimized respiration phase for radiation therapy of lung cancer. Simulated breathing training was performed in order to minimize systematic errors which is caused non-specific or irregular breathing. We performed 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4DCTi) in accordance with each respiratory phase in the normalized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procedures, then not only defined PTVi in 0 ~ 90%, 30 ~ 70% and 40 ~ 60% in the reconstructed 4DCTi images but analyzed quantitatively movement and changes of volume in PTVi. As a results, average respiratory cycle was 3.4±0.5 seconds by simulated breathing training. R2-value which is expressed as concordance between clinically induced expected value and actual measured value, was almost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so movement of PTVi according to each respiration phase 0 ~ 90%, 30 ~ 70% and 40 ~ 60% were 13.4±6.4mm, 6.1±2.9mm and 4.0±2.1mm respectively. Change of volume in PTVi of respiration phase 30 ~ 70% was decreased by 32.6±8.7% and 40 ~ 60% was decreased by 41.6±6.2%. In conclusion, PTVi movement and volume change was reduced, when we apply a short breathing phase (40 ~ 60%: 30% duty cycle) range. Furthermore, PTVi margin considered respiration was not only within 4mm but able to get uniformity of dose. 본 연구는 각 호흡 위상에 따른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의 움직임 및 체적(PTV volume)의 변화를 횡격막(diaphragm)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폐암의 호흡 동기 방사선치료를 위한 최적화된 호흡 위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특이적 호흡이나 불규칙적인 호흡에 의한 체계적 오류(system error)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의 호흡 훈련을 시행하였다. 정규화된 호흡 동기 방사선치료 절차에 따라 각 호흡 위상 i에 따른 4차원 전산화치료계획(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4DCTi)을 시행하였으며 0~90%, 30~70%, 40~60% 호흡 위상으로 재구성된 4DCTi 영상에서 PTV를 정의하고 PTVi의 움직임 및 체적의 변화를 정략적으로 분석하였다. 모의 호흡 훈련에 의한 평균 호흡 주기는 3.4±0.5초로 나타났으며 임상적으로 유도되는 예상 값과 실제 측정값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R-제곱 값은 1에 근접하여 유의하였다. 또한 각 호흡 위상 i에 따른 PTVi의 움직임은 0~90% 호흡 위상의 경우 13.4±6.4mm, 30~70% 호흡 위상의 경우 6.1±2.9mm, 40~60% 호흡 위상의 경우 4.0±2.1mm 이었으며 PTVi의 체적 변화는 30~70% 호흡 위상의 경우 32.6±8.7%, 40~60% 호흡 위상의 경우 41.6±6.2%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짧은 호흡 위상(40~60%: 30% duty cycle) 폭을 적용하였을 때 PTV의 움직임 및 체적의 변화가 감소되어 호흡을 고려한 PTV 마진이 4mm 이내이면서 PTV 내 선량의 균일성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