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압둘 카힐 알-줄자니의 형태학 연구가 지닌 독창성과 현대성

        유니스무함마드 ( Mohamed Moustafa Ahmed Younes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압둘 카힐 알-줄자니 의 형태학에 대한 연구를 독창성과 현대성의 관점에서 연구했다. 본 연구는 형태학에 관한 압둘 카힐 알-줄자니 의 연구는 “굴절”, “명사와 동사에 포함된 글자 수” “글자들의 교차변형” 및 “동화” 등의 단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음운론에 관한 연구에 기초를 두었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이는 음운론, 형태학 및 문법학은 상호보완적이며, 각각의 영역이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여 서로 구분할 수 없는 하나의 총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 영역이 `언어의 특성과 특징의 연구`라는 궁극적 목표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거로 형태학은 음운론 없이 존재할 수 없다. 압둘 카힐 알-줄자니가 인지한 바와 같이, 문법학은 어휘와 통어법을 함께 연구하는 것처럼 형태학은 문법학의 일부이며, 이러한 사실은 현대 언어학 이론에 배치되지 않는다. 문법학과 형태학을 구분하고자 하다면, 그러한 구분은 연구의 성격 또는 전통적인 교육과정에 따라 임시적인 목적으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study I explored morphology according to Abdul Qahir in light of originality and modernism.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morphological research on Abdul Qahir greatly benefited the phonological studies such as “Inflection”, “The number of characters in nouns and verbs”, “Substitution characters with one another”, or “Assimilation”. This is because phonology, morphology and grammar all complement one another, and they integrate as a collective whole to the point that each field is linked with the other, and it is not possible to completely separate one from the other. This is because ultimately they all lead to one goal; to study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language. On this basis morphology does not exist without phonology. As Abdul Qahir realized, morphology is a part of grammar; for grammar studies vocabulary and syntax together, which does not contradict modern linguistic theory. If we were to attempt to separate grammar and morphology, it would only be for temporary purposes necessitated by the nature of research or traditional educational curricula.

      • KCI등재

        형태학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이용한 효율적인 영상분할

        김영우,임재영,이원열,김세윤,임동훈,Kim, Young-Woo,Lim, Jae-Young,Lee, Won-Yeol,Kim, Se-Yun,Lim, Dong-Hoon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4

        본 논문은 형태학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잡음에 강한 효율적인 영상분할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기존의 형태학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에 의한 영상분할은 크게 형태학적 연산자에 의한 영상의 단순화, 경사 영상 생성, 워터쉐드 알고리즘 수행 그리고 영역 병합 등의 여러 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형태학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에 의한 영상분할은 과분할이 많이 일어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분할을 줄이기 위해 잡음에 강한 형태학적 연산자에 의한 경사영상을 생성하고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 후 통계적인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을 사용하여 인접한 영역 간의 픽셀 값 분포를 비교함으로써 부적절한 영역 병합을 최소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영상분할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과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비교뿐 만아니라 영상분할에 소요되는 계산시간까지 비교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an efficient image segmentation using morphological watershed algorithm that is robust to noise. Morphological image segmentation consists of four steps: image simplification, computation of gradient image and watershed algorithm and region merging. Conventional watershed segmentation exhibits a serious weakness for over-segmentation of imag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morphological edge detection methods for detecting edges under noisy condition and apply our watershed algorithm to the resulting gradient images and merge regions using Kolmogorov-Smirnov test for eliminating irrelevant regions in the resulting segmented images. Experimental results are analyzed in both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visual inspec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with percentage error as well as computational time needed to segment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can efficiently improve segmentation accuracy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speed of computational time.

      • KCI등재후보

        Wavelet과 반복적 수리형태학을 이용한 레이더 클러터의 점진적 제거에 관한 연구

        정기룡(Gi-Ryong Jeo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6 No.2

        웨이브렛과 수리형태학적 3x3 SQ(square)형태소를 사용한 다해상도 분석(MRA; Multi-resolution analysis) 알고리듬은, 선박용 레이더 영상의 클러터 (Clutter)를 점진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탐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특성이 있다. 반복적 수리형태학(RMM; Recursive Mathematical Morphology)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리형태학(Morphology) 보다 평활화(Smoothing)에 훨씬 좋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들보다 점진적 클러터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웨이브렛(Wavelet)과 반복적 수리형태학을 결합시킨 하이브리드(Hybrid) 메디언 필터를 사용하는 다해상도 분석(MRA; Multi-resolution analysis)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이때 사용되는 형태소는 RMM 연산용의 3x3 RHR(rhombus) 형태소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PSNR에서 0.65~1.5db 정도 향상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MRA(Multi-resolution analysis) algorithm by Wavelet and Morphology with 3x3 SQ(square) SE(structure element) is efficient to remove ship’s radar clutter progressively and enhances detecting performance. Smoothing efficiency of RMM (Recursive Mathematical Morphology) is better than that of Morphology. So, to get a better result than that of old algorithms, this paper proposes a new MRA algorithm which uses Wavelet and Recursive Mathematical Morphology with 3x3 RHR(rhombus) SE. Simulation result of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that PSNR is 0.65~1.50db better than that of old method.

      • KCI등재

        압둘 카힐 알-줄자니의 형태학 연구가 지닌 독창성과 현대성

        무함마드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3

        In this study I explored morphology according to Abdul Qahir in light of originality and modernism.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morphological research on Abdul Qahir greatly benefited the phonological studies such as “Inflection”, “The number of characters in nouns and verbs”, “Substitution characters with one another”, or “Assimilation”. This is because phonology, morphology and grammar all complement one another, and they integrate as a collective whole to the point that each field is linked with the other, and it is not possible to completely separate one from the other. This is because ultimately they all lead to one goal; to study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language. On this basis morphology does not exist without phonology. As Abdul Qahir realized, morphology is a part of grammar; for grammar studies vocabulary and syntax together, which does not contradict modern linguistic theory. If we were to attempt to separate grammar and morphology, it would only be for temporary purposes necessitated by the nature of research or traditional educational curricula. 본 연구는 압둘 카힐 알-줄자니 의 형태학에 대한 연구를 독창성과 현대성의 관점에서 연구했다. 본 연구는 형태학에 관한 압둘 카힐 알-줄자니 의 연구는 “굴절”, “명사와 동사에 포함된 글자 수” “글자들의 교차변형” 및 “동화” 등의 단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음운론에 관한 연구에 기초를 두었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이는 음운론, 형태학 및 문법학은 상호보완적이며, 각각의 영역이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여 서로 구분할 수 없는 하나의 총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 영역이 ‘언어의 특성과 특징의 연구’라는 궁극적 목표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거로 형태학은 음운론 없이 존재할 수 없다. 압둘 카힐 알-줄자니가 인지한 바와 같이, 문법학은 어휘와 통어법을 함께 연구하는 것처럼 형태학은 문법학의 일부이며, 이러한 사실은 현대 언어학 이론에 배치되지 않는다. 문법학과 형태학을 구분하고자 하다면, 그러한 구분은 연구의 성격 또는 전통적인 교육과정에 따라 임시적인 목적으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 KCI등재

        골밀도를 이용한 대퇴근위부 형태 변화의 상관관계 평가

        김다혜(Da-hye Kim),고성진(Seong-Jin Ko),강세식(Se-Sik Kang),김정훈(Jung-Hoon Kim),김동현(Dong-hyun Kim),예수영(Soo-Young Ye),김창수(Changs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2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골다공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서구화된 식생활로 암질환이 증가하였고 항암치료과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된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는 고관절 골절의 위험을 나타내는 요인이다. 본 연구는 T-score변화에 따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여 각 군별로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의 D종합병원의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T-score변화로 질환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연령, 성별에 따라 골다공증의 발병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T-score변화에 따른 질환 분류와 대퇴근위부 형태학적 특성의 7가지 파라미터로서 Cortical ratio calcar, Cortical ratio shaft, Hip/shaft Angle, Strength index, Section modulus, CSMI, CSA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골다공증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연구 결과는 T-score변화에 따른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상관관계 분석함으로써 골다공증을 진단하는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가 지표로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되며, 향후에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파라미터가 골다공증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예측인자로서 임상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Osteoporosis is increasing in Korea as it becomes an aging society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Osteoporosis also develops due to chemo and radiation therapy of cancer which also increases owing to Westernized diet. Osteoporosis is caused by reduced bone density,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of geometry of proximal femur, which is a factor of hip fracture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osteoporosis and the change of geometry of proximal femur, which was observed according to T-score variance. The 350 male and female patients are chosen from D hospital in Busan, who were classified by age, sex and T-score values (normal, osteopenia, and osteo poro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age and gender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the diseas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score value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ometry of the proximal femur such as Cortical ratio calcar, Cortical ratio shaft, Hip/shaft Angle, Strength index, Section modulus, CSMI, and CSA, and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change of the geometry of the proximal femur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in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could enhance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in the future, and could be used as a clinical predictive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T-score variance and the geometry changes of the proximal femur.

      • KCI등재

        이미지의 역사 분석, 혹은 역사의 이미지 분석

        다나카 준(田中純),최경국(번역자) 한국미술연구소 2005 美術史論壇 Vol.- No.20

        이 논문은 아비 바르부르크(Aby Warburg)의 〈므네모시네〉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파사주論 Passage-Werk』(『아케이드 프로젝트 The Arcades Project』라고도 함)에서 이미지 기억의 형태학적 변형(Metamorphose)을 분석한 것이다. 바르부르크의 프로젝트로서 유명한 도상 아틀라스〈므네모시네〉는 서적이나 잡지, 신문, 광고 등을 스크랩해 도상의 ‘성좌’를 검정 스크린 패널 위에 구성한 것이었다. 〈므네모시네〉에서 바르부르크는 수천 년에 걸쳐 고대의 상징적 조상이 경험한 변형 과정을 도해하려고 하였다. 그는 괴테 자연학의 영향을 받았다. 〈므네모시네〉로 結晶화된 바르부르크의 이코놀로지는 고대에서 유래한 상징을 형태 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르네상스와 종고개혁시대가 발견한 고대의 생생한 현재적인 의미란 ‘고대’ 에 이미 있었던 근원적인 순수한 부활이 아니라 반복과정을 통하여 어디까지나 사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소급적 의미 부여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인 事象은 통상 그것이 의미를 지닌 동시대적인 맥락이나 단선적인 시간적 연속성에 기초한 전후관계에서 일단 격리되어, 각각 공시적인 시니피앙(signifiant)으로 보이지 않으면 안 된다. 바르부르크는 〈므네모시네〉를 통해 시니피앙을 변형시키는 반복적인 출현과 그것에 대한 소급적 의미 부여의 과정을 거쳐, 그것을 통해 유럽의 문화사적 기억에서 정신분석학 개념인 ‘사후성(Nachtraglichkeit)’을 탐구하였다. 바르부르크는 이미지가 네트워크화하는 이 기억의 공간을 ‘중간공간(Zwischenraum)’이라 불렀다. 이 네트워크의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44번 패널 위의 도상 배치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바르부르크의 〈므네모시네〉와 벤야민의 『파사주論』 둘 다 인용의 몽타주라는 구성원리가 비교적 자명하게 공통되어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중요한 사실은 시각적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바르부르크뿐만 아니라, 벤야민에게도 괴테적인 ‘원현상’에 해당하는 역사의 ‘원형’ 이, 눈에 보이는 ‘이미지 (Bild)’ 로 파악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미술작품의 역사’와 ‘도시의 역사’뿐 아니라 ‘심적 현상의 역사’를 지향했는데, 그곳에 출현한 이미지 변용의 논리를 분석하기 위해 형태학적인 방법이 요청되었던 것이다. 간과해서는 안 되는 바는 1920-1930년대에 작품 중심의 미술사를 대신해서 이런 ‘이미지의 형태학’ 이 착상된 배경에는 예술작품을 둘러싼 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같은 시대인 1925년에 간행된 일본인 미술사가의 영문저서 『산드로 보티첼리』도 중요하다. 이 연구는 보티첼리 작품의 부분사진을 대량으로 사용했던 점에서 주목을 받았고, 뒤에 미술 연구나 미술서의 체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므네모시네〉와 야시로의 저서에서 사진적인 프레이밍은 사후에 어떤 세부를 새로운 종류의 이미지로 변화시켰다. 시각적 이미지를 변형시키는 테크놀로지는 그 이미지를 둘러싼 ‘知’를 변용시켜 간다. 이미지의 형태학은 과학적인 역사인식과 이미지를 매개로 한 예술적인 인식이 만나서 융합하는 장을 열고자 한다. 이 방법은 이미지에 의한 사고와 기호에 의한 과학적 사고가 교착하는 사이에서 전개되기 때문에 바르부르크는 스스로의 방법에 ‘중간공간의 이코놀로지’라 는 이름을 붙였다. 몽타주라고 히는 사고형식에 의한 이미지의 형태학은 또한 미술사를 이미지 과정의 새로운 기술에 연결시키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morphological metamorphosis of image memory in Aby Warburg's "Mnemosyne" and Walter Benjamin's "Passagen-Werk." Warburg's renowned "Mnemosyne" image atlas project is a "constellation" of images which consists of the plates of books, magazines, newspapers, advertisements and other visual documents on black panels. In "Mnemosyne" Warburg tried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metamorphosis over thousands of years experienced by ancient symbolic images. He was influenced by Goethe's study of nature. Warburg's iconology which crystallized to form "Mnemosyne", is, so to speak, a morphological analysis of symbols originating in antiquity. The vivid meaning of the antique images discovered in the Renaissance or the Reformation was not a pure revival of the original antique meaning, but was produced retroactively through the process of reusing those images. In order to establish such a retroactive meaning, every historical phenomenon must once be isolated from the contemporaneous context based on linear time through which its meaning is usually given, and all must be considered as synchronic signifiants. This is how Warburg investigated "deferred action (Nachtraglichkeit)" in the memory of European cultural history through his "Mnemosyne," Warburg called the space of memory "the interval (Zwischenraum)" where images are connected by a network. In order to show the structure of this network, I examined the panel 44 in detail. Both Warburg's "Mnemosyne" and Benjamin's "Passagen-Werk" use a montage of quotations as their constituting principle.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not only Warburg who analyzed visual images, but also Benjamin grasped the prototype of the history, which corresponds to Goethe's "primary phenomenon (Urphanomenon)" as visual "image (Bil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either me real work of art nor me urban space of actual Paris. It is rather the metamorphosis of their images as psychic phenomenon. "Mnemosyne" and "Passagen-Werk" are more man a "history of works of art" or "history of a city," they are "morphologies of images." The background of this move from art history based on me work of art to such a "morphology of images" in the 1920s and the 30s was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surrounding the works of art. In this context, Japanese art historian Yukio Yashiro's book Sandro Botticelli is also important. This research published in English in 1925 attracted attention because it used partial photographs of Botticelli s works in large quantities, and had a large influence on research methods and on me appearance of art history books. In both "Mnemosyne" and Yashiro's book, thanks to photographic framing, certain details retroactively turned into a new kind of image. The technology to transform visual images also changes our knowledge about those images. The purpose of the morphology of images is to create a space where the scientific analysis of history and knowledge through art meet and unite. Because this method is developed in an interval in which thinking by images and scientific thinking by signs are interwoven, Warburg named his method "iconology of interval," "The morphology of images" by thinking through montage must also connect art history with the new technologies of image processing.

      • KCI우수등재

        한강 유역의 형태학적 특성과 강우-유출의 상관분석

        이지행,이웅희,최흥식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2

        The basin characteristics reflect the attributes of geomorphological pattern of basin and stream networks affect the rainfall-runoff.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n runoff and stream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27 water-level observation stations on 19 rivers in the Han River basin using Arc-map. The morphometric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linear, areal and relief aspects for calculation while the annual mean runoff ratio as a basin responseby rainfall was estimated using the measured precipitation and discharge to analyze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 among the morphometric parameters were schematiz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among them.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for rainfall-runoff ratio was provided with morphometric parameters of stream length ratio, form factor ratio, shape factor, stream area ratio, and relief ratio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691. The RMSE and MAPE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estimated annual runoff rates were found as 0.09, 11.61% respectively, the suggested regression equation showed good estimation. 유역 특성은 유역과 하도망의 지형학적인 구성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유출 특성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형태학적 특성과 유출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한강 유역의 19개 하천의 27개 지점을 대상으로 유역 형태학적 특성을 Arc-map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하천 형태학적 특성은 선형, 면적, 기복 측면으로 구분하여 산정하였고, 강우에 의한 유역의 반응인 연평균 유출률은 실측 강수량과 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각각의 형태학적 매개변수에 대한 상관을 도식화하고, 상관특성을 분석하였다. 길이비, 형상계수, 형상인자, 면적비, 기복비, 함몰도에 의한 연간 유출률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식을 제시하였고, 결정계수는 0.691로 나타났다. 실측과 회귀분석식에 의해 계산된 연간 유출률과의 RMSE와 MAPE는 각각 0.09, 11.61%로 나타나 비교적 정확히 예측하였다.

      • KCI등재

        미국 Seip 토루의 직물유물 중 인피섬유에서 관찰되는 형태학적 손상에 관한 연구

        안춘순 한국의류학회 1998 한국의류학회지 Vol.22 No.6

        미국 오하이오주 남서쪽에 위치한 Seip 토루군(100 B.C.-A,D. 500경)의 출토유물들에 대하여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손상을 분석하였다. 형태학적 손상이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혹은 화학적 요인에 의해 섬유의 표면과 내면에 발생하는 형태변천을 말한다. Seip직물에 포함된 인피섬유와 형태학적 손상 정도는 본 연구를 위해 제작된 인피섬유손상지표(IBFM)의 점수의 합으로 나타내었다. Seip 직물들은 육안으로 보았을 때 우선 숯과 같이 검은 색을 띄고 있는 직물들과 그렇지 않은 직물군으로 분류되었는데 발굴보고서에 설명된 시신과 관련 부장품들의 수습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검게 된 직물군은 부분적으로 화장된 시신의 부장품이었으며 검게 되지 않은 직물군은 일반매장된 시신의 부장품으로 보였다. Seip직물들은 다시 서로 다른 조직에 따라 분류되는 직물군으로 나뉘어 질 수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중 가장 빈번히 보이는 교차쌍 위사 트와인조직(Spaced alternate-pair weft-twining)으로 만들어진 직물군과 그 밖의 조직으로 되어 있는 직물군으로 나누고 이들을 각각 얼터네이트(Alternate)와 기타조직(Pooled)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eip직물들 간에 매장방법에 의해 손상정도의 차이가 발생했으며 특히 부분적으로 화장된 직물과 그대로 묻혀진 직물들 간에 섬유손상 정도의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보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검게된 직물군과 검게 되지 않은 직물군 간에, 그리고 얼터네이트와 기타조직으로된 직물군들 간에 IBFM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섬유의 형태학적 손상은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총 샘플수는 총 132개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t-test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T-test의 분석결과 Seip 직물들은 검게된 직물군과 검게되지 않은 직물군 사이에서 유의한 손상 정도의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반면에 조직에 따른 분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IBFM 평균점수를 비교하면 검게된 직물군보다 검게되지 않은 직물군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후자가 더 많이 손상된 것으로 보여졌다. 7개의 손상형태를 독립적으로 보았을 때 섬유속의 분리정도 (degree of bundle separation), 횡금(transverse crack), 그리고 횡선(transverse striations) 이 검게된 직물군과 검게 되지 않은 직물군 사이에서, 섬유속의 분리정도, 종금(lengthwise Striations)과 횡금이 얼터네이트와 기타조직 사이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컬러 영상 에지에 강건한 퍼지 웨이브렛 형태학 신경망 알고리즘 제안

        변오성(Byun Oh Su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2

        본 눈문에서는 영상 에지 검출에 있어서 명암차에 의해 불분명한 경계 부분을 강건하게 하고, 방향성에 덜 민감한 에지 검출 알고리즘인 퍼지 웨이브렛 형태학 신경망을 제안한다. 이는 복잡하고 많은 연산 수행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DTCNN 구조에 데이터의 손실없이 강건하게 영상 단순화가 가능한 퍼지 웨이브렛 형태학 연산자를 적용한다. 또한 컬러 영상에서 효과적으로 에지 경계면의 특징 정보를 손실없이 가지고 있는 Y 영상을 YCbCr 공간 컬러 모델을 이용하여 분할 한다. 본 논문은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을 위해 50개의 컬러 영상의 모의 실험을 제공한다. In this paper, it can propose that Fuzzy Wavelet Morphology Neural Networks for the edge detection algorithm with being robustly a unclear boundary parts by brightness difference and being less sensitivity on direction to be detected the edges of images. This is applying the Fuzzy Wavelet Morphology Operator which can be simple the image robustly without the loss of data to DTCNN Structure for improving defect which carrys out a lot of operation complexly. Also, this color image can segment Y image with YCbCr space color model which has a lossless feature information of edge boundary sides effectively. This paper can offer the simulation of color images of 50ea for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proposal algorithm.

      • KCI등재

        CO2농도 및 온도 상승이 하천변 잠재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 잎의 형태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조규태,김해란,정헌모,유영한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2

        한반도의 참나무 중 하천변 잠재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를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의 핵심 요소인 CO2농도와 온도 를 상승시킬 때 잎의 형태학적 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유리온실 내에서 대기 중의 CO2농도를 그대로 반 영한 대조구와 이보다 CO2농도는 약 1.6배와 온도는 2.2℃상승시킨 온난화처리구에서 실험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졸 참나무와 갈참나무는 CO2농도와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잎폭 길이, 잎몸 무게 그리고 엽면적이 증가하고 잎 수와 비엽 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졸참나무는 잎폭 길이, 잎몸 길이, 잎몸 무게, 잎 수, 엽면적 그리고 비엽면적 모두 대 조구와 온난화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갈참나무는 잎폭 길이와 잎몸 무게의 증가, 비엽면적의 감소가 뚜렷하 였다. 이상의 잎의 형태학적 반응으로 볼 때, 갈참나무는 CO2농도와 온도에 대하여 졸참나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성분분석 결과, 두 종은 요인 1과 2에 의해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에서 배열에 차이가 있었고, 온난 화처리에 대한 변화는 졸참나무보다 갈참나무에서 명확히 구별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