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사론적 단어를 기준으로 하는 형태 분석 지침에 대하여: 세종 형태 분석 지침의 수정 방안을 중심으로

        이진병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3 No.-

        The issue raised in this paper is that existing guidelines for morphological analysis are lacking in terms of conceptual organization and utility. The problem is as follows. A mixture of word-formation theory and syntax, Less classification independence, etc. Morphological analysis, as a base work and basic process, is then linked to the morph-sense tagged corpus, syntactic corpus, and other discourse corpus. So that's important. The Sejong Guidelines can be improv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syntactic words is used as an analysis criterion. In addition, consider the division of lexical and functional categories. Second, Procedurally separates the analysis above and below the syntactic word. Thus it distinguishes between syntactic and morphological levels. Third, the syntactic level is used as the basic analysis step, and the morphological level is used as the additional analysis step. Thus, the analysis is dualized to increase flexibility and substantiveness in corpus construction and use. The main reasons for setting the morphological level as additional steps are as follows. Difficulties in component analysis, lack of utility.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tag can be used as it is. Doing so also allows for linkage with previously established corpus. This article presents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into the word analysis marker. 본고의 문제 제기는, 21세기 세종계획 지침을 위시한 기존의 형태 분석지침이 개념적인 체계성과 활용상의 효용성 측면에서 부족하다는 것이다. 문제점으로 조어론의 층위와 통사론의 층위가 혼재되어 있다는 점, 분류 단계의 독립성이 떨어진다는 점 등을 들었다. 형태 분석 작업은 중요하다. 원시 말뭉치를 형태·의미 분석 말뭉치, 구문분석 말뭉치, 기타 담화 분석 말뭉치 등으로 연계하는 밑 작업이자 기본 과정이기 때문이다. 세종 형태 분석 지침은 다음과 같이 개선할 수 있다. 첫째, 통사론적 단어의 개념을 분석 기준으로 삼는다. 아울러 어휘 범주와 기능 범주의 구분을 고려한다. 둘째, 통사론적 단어를 중심으로 상위의 분석 단계와하위의 분석 단계를 두어 통사론적 층위(통사 단위 구성의 층위)와 형태론적층위(단어 형성의 층위)를 구분한다. 셋째, 통사론적 층위를 기본 분석 단계로 삼고 형태론적 층위는 부가적인 분석 단계로 삼아서, 즉 분석의 이원화를취해서 말뭉치 구축 및 이용에 있어서 유연성과 실질성을 제고한다. 형태론적 층위를 부가적인 단계로 설정한 주요 이유는 조어의 성분 분석이 어려울뿐더러 효용성도 적다는 점이다. 한편, 말단의 태그는 기존의 것을 되도록그대로 사용하여서 기구축 말뭉치와의 연계도 취한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의결과를 통사론적 단어 중심의 분석 표지 안으로 제시하였다. 말뭉치 구축의 이론적 원리는 말뭉치를 구축할 때도, 이용할 때도 매우중요하다. 본고의 논의는, 말뭉치 구축 작업에 대한 하나의 제안이면서, 형태분석이라는 문법론적 연구 절차에 대한 고찰이기도 하다.

      • KCI등재

        인접 형태 사이의 통사 제약에 대한 기술 - 방언 및 구어 자료의 자동 분석을 위하여

        이진병(Yi, Jinbyeong)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형태 분석은 문법 연구의 기본 절차이며 형태 분석 자료는 보다 많은 양을 구축하여서 객관성과 활용성을 늘려야 한다. 따라서 형태 분석기의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는 이에 대해서 통사적으로 인접하는 형태 사이에 통사적인 배열 제약을 설정하고 이를 정규 표현 식으로 기술하여 축적하자는 의견을 제안한다. 이러한 제안의 배경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그간 주류 통사론에서 취해 온 문법 기술에 형태 분석의 측면에서 빈자리가 있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둘째 개별 용례 기반으로 학습을 시켜서 형태 분석기의 성능을 높여 온 방식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인접 형태의 통사 제약은, 구체의 용례와 추상의 설명력을 동시에 취해야 하며, 기존의 통사 규칙과 어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수식화(數式化)하여서 기술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서, 통어 관계를 표시하는 정규 표현 식으로 기술하고 축적할 것을 제안한다. 국어학계에서 이러한 정규식에 대해 검토와 축적을 지속한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을 것이다. 첫째, 규칙 기반으로 학습하는 형태 분석기를 발전시킬 수 있다. 둘째, 문법 관계에 대해서 용법 기반의 세밀한 논의를 명시적으로 공유하고 논의하는 방법을 마련할 수 있다. Morphological analysis is a basic procedure of grammar research. The analysis corpus should be constructed in a larger amount to increase objectivity and usability.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the processing power of the morphological analyzer. In this regard, this paper proposes setting an array constraint between syntactically adjacent constituents and accumulating it by describing it as a regular expression. There were two main backgrounds for this proposal. First, there has been a vacancy in the aspect of morphological analysis in the grammar description that has been used in mainstream syntax. Second, there was a limit to the way that has improved the performance of the morphological analyzer through learning based on individual examples. Constraints on the arrangement of adjacent components must take both concrete usage and abstract explanatory power. The constraints should be set relatively freely from the previous syntax rules and lexical constraints, and it must be formulat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description. This paper describes these constraints as a regular expression expressing a syntactic relationship. If the Korean academia continues to review and accumulate these regular expressions, the following effects will be obtained. First,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a rules-based morphological analyzer. Second, it can be a method to explicitly share and discuss usage-based detailed discussions about grammar relations.

      • KCI등재

        한국어와 튀르키예어의 사동 범주 대조 연구(Ⅰ)-기본동사의 형태적 사동을 중심으로-

        김성주 국제언어문학회 2023 國際言語文學 Vol.- No.54

        This paper compares the types of causative constructions at the historical stage of Korean and Turkic languages with the derivative phenomena of the morphological causative of the 100 basic verbs of modern Korean and modern Turkish language. The types of modern Korean include lex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NPsiki- causatives, while the latter includes lexic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Looking at the morphological causative derivation of 100 basic verbs in modern Korean and Turkish language, 48 in Korean and 92 in Turkish can be formed as morphological causative verbs. Ancient Korean ha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Pre-modern Korean ha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and modern Korean has lex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NPsiki- causatives. In the case of Turkish language, ancient and Ottoman Turkic languages have only morphological causative, but modern Turkish has all lexic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however the most powerful causative is still morphological one. 이 글은 한국어와 튀르키예어의 역사적 단계에서 사동문의 유형과 현대 한국어와 현대 튀르키예어의 기본 동사의 형태적 사동의 파생 상황을 비교한 논문이다. 현대 한국어 사동의 유형은 고유어 동사의 경우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이 있고, ‘하다’ 동사의 경우 어휘적 사동, 통사적 사동, ‘(-)시키다’ 사동이 있다. 현대 튀르키예어 사동의 유형은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이 있다. 현대 한국어와 현대 튀르키예어의 100개의 기본 동사의 형태적 사동 파생 상황을 살펴보면 한국어는 48개, 튀르키예어는 92개의 파생 사동소 형성이 가능하다. 고대 한국어는 형태적 사동, 중세한국어는 형태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 근대한국어는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 (-)시키다 사동이, 현대 한국어는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 ‘(-)시키다’ 사동이 있다. 튀르키예어의 경우 고대 튀르크어와 오스만 튀르크어는 형태적 사동만 있고, 현대 튀르키예어는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이 모두 존재하지만, 고대 튀르크어, 오스만 튀르크어, 현대 튀르키예어를 통틀어 가장 강력한 사동 형식은 여전히 형태적 사동이다.

      • KCI등재

        Quelques propriétés morpho-syntaxiques du français québécois

        SUH Duck-Yull(서덕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9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30 No.-

        400여 년 전 캐나다 퀘벡에서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프랑스어는 오늘날 퀘벡 사람들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언어로서 그 지위를 확고히 다지며 나름대로 고유한 자율성을 가지고 오랜 시간에 걸쳐 진화해 왔다. 18세기까지만 하더라도 퀘벡에서 사용되었던 프랑스어는 원래 프랑스 파리에서 사용되던 프랑스어와 형태론적으로, 통사론적으로, 그리고 음성학적으로 매우 유사했었다. 이러한 것은 퀘벡 프랑스어가 퀘벡에 정착된 이후 다른 언어로부터 영향을 심하게 받지 않았으며, 오히려 초기 프랑스어의 옛 요소들을 잘 간직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퀘벡 프랑스어는 형태론적으로, 통사론적으로, 그리고 음성학적으로 프랑스 본토 프랑스어와는 매우 다른 양상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측면, 즉 형태론적, 통사론적 양상들을 중심으로 퀘벡 프랑스어의 몇 가지 특성을 분석하여 그 진화과정의 결과를 파악하고 몇 가지 새로운 통사론적 규칙들과 형태론적 체계의 새로운 조직 원리들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우전 인칭 대명사에 있어서 그 형태론적 체계는 프랑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태와 다른 몇 가지 특별한 형태를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고, 통사론적 규칙은 프랑스어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Je le lui dirai 대신에 J;y dirai가 Donne-le-lui 대신에 Donnes-y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았다. 이 두 문장에서 공통적으로 직접목적보어 le가 소멸됨으로써 인칭대명사의 배열 순서상 예외적인 규칙에서 벗어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긍정 명령문에서도 간접목적보어가 직접목적보어 앞에 위치함으로써 프랑스어의 인칭대명사 배열 규칙과는 다른 통사적 규칙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주목하였다. 또한 부정 명령문에서도 인칭대명사는 항상 동사 뒤에 놓이는 통사적 특이성을 보인다. 퀘벡 프랑스어에서 이러한 것은 자율성이 없는 어떤 대명사에 의해 문장이 시작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규칙에서 연유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어서 관계대명사와 의문대명사의 사용에 있어서도 프랑스어와는 다른 통사론적 규칙의 차이를 몇 가지 예문들을 통해 적절히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양적인 표현에 관해서는 bien(ben), gros, tout 등이 프랑스어와는 약간 달리 사용되고 있는 경우와 특별한 용례에 해당하는 경우를 적합한 예문들을 통해 그 통사론적인 특성과 형태론적인 특성을 집중 조명해 보았다. 요컨대,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간혹 표준 프랑스어에서 허용되지 않는 용례들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랑스어 사용법의 차이와 변화가 오늘날 퀘벡 프랑스어의 자율성을 더욱 굳건히 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어서 퀘벡 프랑스어의 동사 체계에 관한 몇 가지 특징적인 차이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몇몇 동사에 관한 형태론적인 고찰을 시작으로 동사 체계의 기능과 형태의 용법들을 다양한 예문들을 통해 드러내 보였다. 퀘벡 프랑스어에 대한 본고의 형태론적, 통사론적 묘사를 통해 정확한 가치를 띠는 규칙의 존재를 이제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personne 와 rien은 부정적 요소라기보다는 부정대명사로 간주되는데, 이러한 것은 프랑스어에서 jamais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결국 이러한 언어학적 현상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분석해 볼 때 막연하고 무질서한 생각이 어렴풋이 사라지리라. 어쨌든 오늘날 프랑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랑스어에서 보다 퀘벡 프랑스어에서 더 많은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고 얘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 KCI등재

        통사론적(統辭論的) 구성(構成)과 단어(單語) 형성(形成) - ‘통사적 합성어’와 ‘통사론적 구성의 단어화’를 중심으로 -

        정한데로 ( Jeong Hander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3

        한국어 문법 연구에서 ‘어린이, 끼어들-’과 같은 단어를 기술하는 과정에 ‘통사적 합성어’, ‘통사론적 구성의 단어화’ 등의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 이 글은 위 주제를 중심으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용어 사용의 문제, 공시와 통시의 문제, 단어 형성 부문(형태부, 통사부)의 문제를 두루 살펴보고자 한다. 크게 세 가지 입장이 제시된다. 첫째, 종래의 ‘통사적 합성어’는 용언의 활용형과 후행 성분의 결합을 ‘합성’으로 파악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보고, 이를 대신할 용어로 ‘통사적 복합어’를 제안하였다. 둘째, 단어 내부의 ‘-ㄴ, -ㄹ, -어, -고’ 등은 접사보다는 어미로 파악하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고 보고, ‘통사론적 구성의 단어화’ 과정을 주장하였다. 셋째, ‘통사론적 구성의 단어화’는 통시적 접근과 공시적 접근이 모두 가능한데, 신어와 임시어 등의 자료를 근거로 공시적 접근의 설명력을 강조하였다. Syntactic compound and wordization of syntactic construction are used for description of words such as ‘eo-rin-i’(어린이), ‘kki-eo-dul’(끼어들-) in Korean grammar study. This paper aims to review some related previous study and examine intensively three topics, which are terminology, synchrony & diachrony, and morphology & syntax. Firstly, we suggest that syntactic complex word is more appropriate than syntactic compound (word). Secondly, internal forms of syntactic complex words such as ‘-n(ㄴ), -l(ㄹ), -eo(어), -ko(고)’ are endings, not affixes. Thirdly, synchronic approach of wordization of syntactic construction is better than diachronic approach because it can explain more word formation including neologisms and nonce words.

      • KCI등재후보

        15세기 한국어 의문법 종결어미의 형태론

        최명옥 진단학회 2017 진단학보 Vol.- No.129

        This study aims to set the morphemes of interrogative final endings in 15th century Korean from transformational grammatical viewpoint. The earlier studies on 15th century Korean morphology shows two problems. One is that the set morpheme can not reasonably explain the derivation of all the allomorphs, and the other is that all of the forms other than the final ending of all the predicate endings are recognized as prefinal endings. The result of morphological analysis based on syntagmatic and paradigmatic relations is not necessarily synchronic morphs or morphemes, and do not always become prefinal endings. Korean prefinal endings should be condition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language itself. In 15th century Korean, certain forms of the predicate ending can be the prefinal endings i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form must be able to integrate with connective endings(especially //-ko//) and final endings (especially //-{t-l}a//) which can be freely integrated with authorized prefinal endings of that time, //-ɯsi-//, //-{s-c-z}ɐβ-//, //-ə{is-(i)si}-//. If a certain form dose not satisfy this condition, the form can not be the prefinal ending. Therefore, the form should be part of final endings. According to the consideration results, the morphemes of interrogative final ending in 15th century Korean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one is a single or unique morpheme //XAY// which can be a underlying form in phonological component. The second one is a complex morpheme //X{a-b}Y// which includes lexicalized allomorph //XaY// and //XbY//, and the lexicalized allomorph should be sellected by the lexical sellection rules in syntactic․semantic component. It is noteworthy that this lexicalized allomorph is chosen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rogatives in the sentence. 이 논문은 변형문법론의 관점에서 15세기 한국어 의문법 종결어미의 형태소 설정을 목적으로 한다. 15세기 한국어에 대한 기존의 형태론적 연구에는 다음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하나는 설정된 형태소가 모든 이형태의 도출을 합당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서술어의 어미에서 종결어미 이외의 모든 형태를 선어말어미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통합관계와 계열관계에 의한 형태분석의 결과가 한국어에서 모두 공시적인 형태나 형태소가 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에서 선어말어미가 될 수 있는 조건은 한국어 자체에서 발견해야 한다. 15세기 한국어의 경우, 서술어 어미에서 종결어미 이외의 형태들이 선어말어미가 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 시기의 한국어에서 선어말어미라고 공인되는 //-으시-//(//-ɯsi-//), //-{ㅅ-ㅈ-ㅿ}-//(//-{s-c-z}ɐβ-//), //-어{잇-(이)시}-//(//-ə{is-(i)si}-//)가 모두 통합할 수 있는 연결어미(특히 //-고//)나 종결어미(특히 //-{ㄷ-ㄹ}ㅏ//)와 통합할 수 있다면, 그런 형태는 선어말어미가 될 수 있다. 서술어 어미에서 종결어미 이외의 형태가 이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그 형태는 선어말어미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그런 형태는 종결어미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그 결과 15세기 한국어 의문법 종결어미의 형태소에는 음운부의 기저형이 될 수 있는 단일 형태소 //XAY//와 통사ㆍ의미부에서 어휘선택규칙에 의해서 선택되어야 할 어휘화한 이형태 //XaY//와 //XbY//를 포괄하는 복합형태소 //X{a-b}Y//가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복합형태소 중에서 대부분의 어휘화한 이형태들이 각각 문 속의 의문사의 유무에 의해서 선택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국어의 형태,통사적 공손 표지에 대한 연구

        유혜령 ( Hye Ryeong Yu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0 청람어문교육 Vol.41 No.-

        `공손성`은 상위언어적 현상이기 때문에 언어 형식에 고정된 문법으로 나타나지 않고, 음운, 형태, 어휘, 통사, 담화 층위 전반에 걸쳐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 특히 첨가어인 국어는 매우 다양한 형식적 요소들이 공손성을 실현하는 데에 관여한다. 본고에서는 형태·통사적 층위에서 공손성을 실현하는 언어 형식을 형태·통사적 공손 표지라 하고, 이들의 의미적 특성과 기능성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형태·통사적 공손 표지의 의미적 특성은 화자가 명제를 간접적으로 다루는 방식과 관련되었다. 허용, 추측, 선호, 희망, 가능성, 능력, 피동·사동 표현, 시혜나 시도와 같은 보조용언의 양태의미 외에도 부정문이나 간접인용의 형식을 취하여 간접성을 드러내는 요소들이 공손성 실현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형태·통사적 공손 표지는 기능적으로 볼 때, 맥락에 의존하여 공손성을 드러내며, 공손 실현 요소가 많이 결합할수록 공손성의 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통해 공손성의 정도가 다원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형태·통사적 공손 표지가 결합한 문장은 공손성을 실현하는 동시에 발화수반력을 약화시킴으로써 헤지(hedge)의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semanti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orphosyntactic politeness markers. Morphosyntactic politeness markers are linguistic forms that express politeness in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level.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morphosyntactic politeness markers ar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speakers indirectly deal with the propositions. It was explore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semantic indirectness-such as passive form, causative form, speculative expressions, modality category, negative sentence and so on-were operating as politeness expressions. And this paper discusse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orphosyntactic politeness markers. Those are as follows. Firstly, politeness is not fixed to the linguistic forms, so it is context-dependent. Secondly, the degree of politeness is stepwise, and the more the politeness factors are included, the higher the degree of politeness is. Thirdly, the sentence to which morphosyntactic politeness markers are attached does not only express politeness but also does hedging though mitigating illocutionary force.

      • KCI등재

        한국어 통사론의 나아갈 방향: 논항 구조에서 인칭 구조로의 전환

        목정수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6

        A comprehensive Korean syntax must begin by establishing basic syntactic units. The grammatical statuses of josa (조사) and eomi (어미) are so problematic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 consensus. Korean grammarian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regard to this issue. The first group holds the synthetic view, that josa and eomi are not syntactic units. The second group holds the analytic view, that they are syntactic units. The third group holds the eclectic view, that josa is a syntactic unit but eomi is no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analytic view, which holds that “학교-에서-는” and “먹-었-겠-더-라” are syntactic constructions, not morphological constructions, and are composed of syntactic units in the following orders: noun (lexical element), postposition (grammatical element), and determiner (grammatical element); and verb (lexical element), prefinal ending (grammatical element), ending (grammatical element), respectively. This study proposed a dynamic tree diagram which shows the realities of the nominal expansion structure of josa and verbal expansion structure of eomi.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erson structure should be used in addition to the argument structure because the person structure’s information is derived from endings. Using both structures allows for the complete analysis of Korean sentences. 이 논문은 한국어의 통사론이 정합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통사 단위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서야 한다는 기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형태론이 단어의 내적 구조를 다루는 데 비해 통사론이 단어의 외적 구조를 다룬다고 한다면, 한국어의 ‘학교가 (많다)’, ‘학교에서 (놀다)’, ‘학교와는 (멀다)’ 등의 성분은 단어 내적 구조로서 형태론적 구성으로 볼 것인가, 단어 외적 구조로서 통사적 구성으로 볼 것인가의 문제가 제기된다. 어미도 유사한 문제를 제기한다. ‘밥을 먹던 (사람)’, ‘돈 많으신 (분)’, ‘학교에서 먹겠다’, ‘내일 먹을 것이라는군’ 등에서 보듯이, 복합적인 어미를 하나의 동사 범주 내의 형태적 구성 요소로 볼 것인지, 아니면 통사적 구성 요소로서 독자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통사 단위로 볼 것인지의 문제가 제기된다. 본고는 조사와 어미를 일정한 기능을 담당하는 통사 단위로서 취급하는 이른바 분석적 단어관에 입각해서 조사와 어미의 지위를 규정하고 일정한 체계를 세운다. 또한 통사 단위로서 조사와 어미가 담당하는 기능을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명사구 확장 구조와 동사구 확장 구조를 표상할 수 있는 동적 수형도를 제안한다. 끝으로 한국어 문장의 온전한 분석을 위해서는 논항 구조에 입각한 문장 분석에다 어미의 구조로부터 끌어낼 수 있는 통사적 정보를 활용한 인칭 구조 기반의 문장 분석을 추가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다.

      • KCI등재

        조사와 어미의 형태론적 성격에 대하여

        황화상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1 No.-

        조사와 어미는 선행 요소에 형태론적으로(그리고 음운론적으로) 의존적일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의미를 갖지도 못한다는 점에서 그 형태 범주는 접사이다. 접사로서 조사와 어미는 형식적으로는 각각 단어로서 의 체언과 용언에 결합한다. 그러나 조사와 어미의 기능은 단어가 아니라 통사 단위와 관련된다. 조사와 어미는 통사부에 독자적으로 입력되는 통 사론적인 요소(통사 원자)이며, 통사부에서 혹은 음운부에서 체언과 용언 에 형식적으로 결합한다고 보기도 하는 것은 바로 이런 까닭에서이다. 그 러나 조사와 체언, 어미와 용언의 형식적 결합은 본질적으로 통사론적 과 정이 아니며, 조사와 어미의 의존성은 단순히 음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 는 것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와 어미의 문법적 기능이 통사적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형식적 결합은 형태론적인 것이라고 본다. 곧 조사와 어미는 어휘부에서 각각 체언과 용언에 결합하고 그 결합형이 통사부에 입력되는 것으로 본다. 이때 조사와 어미의 문법적 기능은 통사부에서 각 결합형이 갖는 자질을 통해 실현된다.

      • KCI등재

        현대 중국어 다품사어 ‘自+X’의 형태-통사적 특징

        장호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3

        This paper aims to identify its morphosyntactic features by extracting, cataloging, classifying, and analyzing all of the multi-parties of speech vocabulary (the ‘zi+X’ structure) listed on “Xiàndài Hànyǔ Cídiǎn”(7th e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zì(自)+X’ structure could be recognized by reanalysis of its internal structure. Its identity is that it is a structure that generates and derives an covert distributed morphological compound. Second, the ‘zì(自)+X’ structure alone cannot specify each of the individual parts of speech in the multi-parties of speech vocabulary. Thus, the structure’s syntactic generation and derivation process requires a comprehensive look at the anaphora and coindexing of ‘zì(自)+X’, the features of noun, verb, adjective and adverb in ‘zì(自)+X’ to identify its identity. Third, in the process of syntactic derivation, adjectives are derived as AdvP without adverbial marker, or adverbs are merged with the adverbs with the adverbial marker ‘de(地)’ to be derived as AdvP. This phenomenon also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vert distributed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zì(自)+X’ structure. In conclusion, the ‘zì(自)+X’ structure of Modern Chinese does not reveal clear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criteria that classify parts of speech. However,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structure showed that it had the characteristics of an covert distributed morhpological synthetic compound word and not only stayed in the morphological dimension, but also connected to the syntactic layer. 본고는 『现代汉语词典』(第七版) 표제어의 2음절 ‘自+X’ 구조 가운데 2개 이상의 품사를 갖는 다품사어를전수조사(全數調査)하여 추출한 후 목록화하고 분류하여 그 형태 – 통사적 특징을 규명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自+X’는 내부 구조의 재분석을 통해 형태 – 통사적 특징을 알 수 있는데, 그 정체성은 내현적 분산형태의 통합합성어로 생성·도출된다. 둘째, 다품사어인 ‘自+X’ 구조는 그 형태만으로는 다품사 중의 개별 품사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그 구조의통사적 생성·도출 과정을 통해 ‘自+X’ 중 ‘自’의 재귀성과 조응성, ‘自+X’의 명사성, 동사성, 형용사성, 부사성등을 함께 종합적으로 살펴야 그 정체성을 규명하여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통사적 도출 과정에서 형용사가 격 표지의 도움 없이 부사어로 도출된다든지, 부사가 부사어격 표지‘地’와 함께 병합하여 다시 부사어로 도출되는 현상은 ‘自+X’ 구조의 내현적 분산형태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 중국어의 다품사어 ‘自+X’ 구조에서 품사를 구분 짓는 명확한 형태적·구조적 기준은 드러나지 않고있다. 그러나 내부 구조의 재분석을 통해 그것이 내현적 분산형태의 통합합성어 특징을 가지면서 형태론 차원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통사적 층차까지 연결되어 형태 – 통사적 면모를 함께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