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후숙, 저온층적 및 GA₃ 처리가 제비동자꽃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류선희(Sun Hee Ryu),이용하(Yong Ha Rhie),이승연(Seung Youn Lee),고충호(Chung Ho Ko),이정호(Jeong Ho Lee),이해주(Hae Joo Lee),이기철(Ki Cheol Lee) 한국원예학회 2017 원예과학기술지 Vol.35 No.5

        제비동자꽃은 위기종 식물로 주로 강원도 습지에 자생한다. 본 연구에서 제비동자꽃의 현지외 보존과 대량증식법을 개발하고자 종자에 후숙처리(실온에서 0, 3, 6, 9주 처리), 저온층적처리(5°C에서 0, 3, 6, 9주 처리), 그리고 GA3처리(0, 10, 100, 1000mg·L<SUP>-1</SUP>)가 종자휴면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제비동자꽃 종자에 후숙처리, 저온층적처리, 그리고 GA₃처리한 뒤 발아조건으로 옮겨 배양하였다(20°C, 명조건 또는 암조건). 0, 3, 6, 9주 후숙처리 시 각각 명조건에서 0, 0.7, 2.3, 33.2%와 암조건에서 1.6, 1.9, 2.3, 22.6%의 발아율을 보였다. 저온습윤처리(0, 3, 6, 9주) 시 각각의 처리기간에 따라 명조건에서 0, 80.5, 77.0, 83.3%와 암조건에서 1.6, 77.8, 58.4, 그리고 83.1%의 최종발아율을 나타내었다. 0, 10, 100, 그리고 1000mg·L<SUP>-1</SUP> 농도의 GA₃처리 시 명조건에서 각각 0, 0, 0, 56.3%와 암조건에서 1.6, 0.8, 2.7, 73.2%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000mg·L-1의 GA₃처리 시 평균발아소요일수가 명조건에서 대략 5일, 암조건에서 3일로 단축되었다. 결과적으로 24시간동안 1000mg·L<SUP>-1</SUP>의 GA₃처리와 6주 이상의 저온층적처리를 통하여 제비동자꽃 종자의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대량증식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Lychnis wilfordii (Regel) Maxim is an endemic plant species that occurs in the wetlands of Gangwon-do, Kore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fter-ripening treatment (0, 3, 6, or 9 weeks at 20-25°C), cold stratification (0, 3, 6, or 9 weeks at 5°C), and GA₃ treatment (0, 10, 100, or 1000 mg·L<SUP>-1</SUP>) on L. wilfordii seed germination. Seeds were transferred to germination conditions (20°C, 12 h photoperiod of florescent lamps with 26.1 μmol·m<SUP>-2</SUP>·s<SUP>-1</SUP> PAR or darkness) following after-ripening, cold stratification, or GA3 treatment. In after-ripening experiments,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FGP) of seeds with 0, 3, 6, and 9 weeks of after-ripening was 0, 0.7, 2.3, and 33.2% in the light condition and 1.6, 1.9, 2.3, and 22.6% in darkness, respectively. In cold stratification experiments, the FGP of seeds treated with 0, 3, 6, and 9 weeks of clod stratification was 0, 80.5, 77.0, and 83.3% in light conditions and 1.6, 77.8, 58.4, and 83.1% in darkness conditions, respectively. The mean germination time of 1,000 mg·L<SUP>-1</SUP> GA₃ treatment was approximately five days in light and three days in darkness condition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ed germination in L. wilfordii can be improved with 1,000 mg·L-1 GA₃ and cold stratification (3 or 6 weeks) was effective for the mass propagation of L. wilfordii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