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실주의 동화의 교육적 의미 탐색을 위한 일 고찰 : 문학 교사들의 현실주의적 인식을 중심으로

        임성규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2

        본고는 현실주의 동화의 교육적 함의(含意)를 탐색하기 위하여 리얼리즘의 세계관에 기반을 둔 현실주의 동화의 리얼리즘 구현 양상을 밝히고,예비 문학 교사들의 현실주의적 인식을 고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현실주의 동화 교육의 현황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실제로 아동 문학 교육 중에서도 가장 논의가 부족한 부분이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대학의 아동문학 교육임을 인식하고,현재적 난점을 넘어 아동문학의 독자성과 개별성을 살릴 수 있는 문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아동 서사문학 중에서도 비판적 리얼리즘에 입각한 현실주의 동화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갈등을 핍진하게 형상화함으로써 아동문학의 독자인 초등학교 아동들과 교육대학의 예비 문학 교사들에게 현실을 비판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인식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전형과 형상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는 현실주의 동화의 미학적 세계관은 기존의 통념을 넘어 새롭게 재조명 될 필요가 있으며,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보다 온전한 아동 서사문학의 지형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 실제로 아동 서사문학과 교육은 판타지 동화와 전래동화 그리고 현실주의 동화가 서로 조밀하게 엮어 짜인 구조를 지향해야 한다. 하지만,현실주의 동화의 경우 현행 초등 문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철저하게 배제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정치성의 우위를 짐작할 수 있으며,그러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압력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현실주의 동화 교육의 기초적 토양 마련을 위해 보다 본원적인 문학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는 작업 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자본의 지배와 목표 지향적 단순 논리로 인해 점차 획일화되고 있는 아동들의 현재적 삶 속에서 현실주의 동화가 지니는 가치들이 기존의 상투적이고 고형화 된 인식을 전복시키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의 정신을 걸러주는 일에 일조할 수 있음에 천착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비판적 사고를 추동하는 현실 인식의 힘을 길러주기 위한 현실주의 동화 교육은 아동문학 교육의 한 축으로 기능해야 하며,이에 대한 정치하고 심도 있는 모색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search educational meaning of realism juvenile story through realistic perception of prepared literary teacher. Realism juvenile story have centered position in the children's narrative literature. It is late that finding direction of realism juvenile story education. Actually, realism juvenile story have important presence in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low. It's cause based on dullness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study being contrary to activity of children's literature study. Improvement of literary teacher education is another task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t is relation to children's literature teaching-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classroom. So, it is narrow problem that simple substitution realism to popular vision and critical view. Realism juvenile story is basic structure of all children's literature narrative literature and based on realism that have aesthetic philosophical world view and technique.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start to reading best literary text first. Theoretical system infusion is secondary issue. Specially, best realism juvenile story reading is enable to healthy perception development through actualization of typical character and event. It reflect structural contradiction and nature of actuality. Problem of actuality have to perform not simple reading but debate culture with literary teachers. Because It enable children to changing surface thinking, quest of realism juvenile story reading and educational meaning is beginning now. The suggestion for realism juvenile story education have to made through more sophisticated and deep study.

      • KCI등재

        신앙공동체의 실천과 기독교 현실주의와의 관계성 연구 - 기독교 현실주의의 재해석 필요성을 중심으로 -

        박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9

        본 논문은 사회 정치적 영역에 놓여있는 신앙공동체인 교회가 실제적인 도덕적 숙고와 실천을 이루어가기 위 한 도움을 기독교 현실주의의 재해석으로부터 얻고자 하는 관심으로부터 출발한다. 기독교 현실주의와 신앙 공동체의 실천의 관계성에 관심하는 이유는 기독교 현실주의가 여전히 인간의 집단적 죄성에 관한 깊은 인식 과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전적인 개입이란 역사발전에 관한 이해를 통해 사회 정치적 영역에서 신앙공동체가 직면하는 사회적 악의 문제를 보다 사실적합하게 이해할 사고의 틀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 다. 니버가 인간의 자기초월성과 유한성, 역사 가운데 이상과 한계, 절대와 상대의 영역을 긴장관계로 이해함 으로써, 신앙공동체가 쉽게 빠질 수 있는 자기만족적 실천보다는 자기성찰적 실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기독교 현실주의가 체제유지적 경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 정치 영역 내의 힘없는 자들을 소외시킨다는 비판, 그리고 현실 사회 정치영역에서 타협주의적 성격을 보인다는 비판을 점검하면서도, 본 논문은 기독교 현실주의의 지속적 관심인 집단적 이기성에 관한 자기 비판적 사고와 현실분석적 사고를 강조한다. 이러한 특성들이 신앙공동체의 도덕적 성찰과 실천에 지속적인 자기 교정적 실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보았다. 타협적 힘의 균형이란 관심으로부터 시작해서 대항적 권력을 형성하는 과제에 신앙공동체가 참여하도록 하 는 동기와 과제로, 그리고 타협주의적인 ‘근사치적 접근’이 아니라 부단한 자기성찰적/ 자기교정적 실천이란 접근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기독교 현실주의 재해석을 위해서, 1) 해방신학자 호세 미구에즈 보니노로부터 유토피아적 사고로서의 기독교 소망을 강력한 실천의 추동력으로 현실주의적 사고에 접목하려 시도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고, 2) 존 베네트의 지적처럼, 억눌린 자들에 대한 전략적 집중이 기독교 현실 주의와 신앙공동체의 관계성에 지속적인 성찰의 지점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서 신앙공동체가 사회 정치적 영역에서의 도덕적 주체로 자리매김하는 기회를 삼아야 할 것이다. The article starts with the notion of reinterpreting Christian realism that can help a community of faith to reflect and practice its shared values and beliefs in the socio-political realm. The reason why I am concerned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of church as a community of faith and Christian realism is this: Christian realism’s deep understanding of human collective sinfulness and of history interrupted by God could provide us with a basic framework with which we can more relevantly understand social evils that a community of faith cannot help but confront in the socio-political realm. By understanding of the paradoxical tensions between self-transcendence as freedom and finitude in human beings, ideal and limitation in history, and the absolute and the relative in the socio-political realm, Reinhold Niebuhr shows a community of faith a possibility of self-correcting process rather than self-sufficient practices in the society. Christian realism can be criticized because of its tendency to maintain the status-quo, to be compromised with dominant political powers, and to ignore the marginalized /the decentered. However, its self-critical power on collective sinfulness and social analytical power on distorted relations make it possible that church as a community of faith continues to participate in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as a whole’ as a self-correcting process. The notion of ‘balance of power’ can be reinterpreted as a process of building countervailing powers in which a community of faith can participate and the notion of ‘an approximate approach’ can be reinterpreted not as a compromising process but as a ongoing self- metanoia, that is, a self-corrective process. To support these reinterpretations, on the one hand, Bonnino’s emphasis on “utopia-genetic potentiality of Christian hope” as a radical motivating power has to be included in realistic thinking and approach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Bennett’s revision of Christian realism, a strategic concentration on the oppressed/the marginalized/the decentered has to be located in the juncture between a community of faith and Christian realism in order to support continual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as a whole’ in the socio-political realm.

      • KCI등재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요체와 평가

        한배호(Bae-Ho Ha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2

        기독교 현실주의는 비관주의도 낙관주의도 아니라는 점에서 역설적 이면서 변증법적이다. 아마 그래서 패터슨 (Patterson) 이 니버에게 “현실 적인 낙관주의자” (realistic optimist) 라는 새로운 호칭을 붙이고 있는지도 모른다. 니버를 현실주의적이라고 보는 이유는 니버가 인간의 본성을 죄를 짓기 쉬운 존재로서 현실적으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가 낙관주의적이었다면 하나님이 인간에게 자유와 그것을 활용하는 능력으로서 창의성을 주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기독교 현실주의는 교리는 아니다. 인간 본성이 지닌 죄와 창의성을 동시에 중요시하면서 정치와 윤리 (도덕) 문제를 현실적으로 파악하려는 기독교적, 신학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사상은 일찍이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에서 싹트기 시작하면서 기독 교적 시각에서 사회 전반의 문제들을 다루려는 운동으로 발전했다고 할수 있다. 그것이 더 깊은 내용을 지닌 것으로 진전하게 된 배경에는 유럽 에서 벌어진 1차 대전과 2차 대전이 미친 영향도 한몫했다. 두 번의 전쟁을 겪은 유럽과 미국에서, 신학자들의 국제 정치 문제와 전쟁에 대한 기독교 현실주의 주장이 더 설득력을 더해 갔다.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와 정치를 다룬 두 권의 책이, 히틀러가 폴란드를 침략한 얼마 후, 1940 년대 초에 출판된 것은 단지 우연은 아니다. 니버는 미국의 국내 정치와 윤리 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글을 썼지만, 특히 독일, 이탈리아, 소련에 등장한 전체주의 세력의 팽창을 심각하게 우려하였다. 미국만이 그 세력에 대항할 수 있는 국가라는 것을 강조하였으며, 후에 미국의 유럽 전쟁 참전을 위해 교회가 적극적인 역할을 하도록 노력했다. 이 글에서는, 기독교 현실주의 사상에서 논의되는 몇 가지 논점들, 도덕 이원론, 기독교 시각에서의 자유주의와 마르크스주의 비판, 구조에 대한 강조, 정의와 사랑, 전쟁과 평화, 죄와 타락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또 기독교 현실주의에 대한 중요한 비판으로 국제 정치학자들과 해방신 학의 비판을 간략히 다루었다. As early as in the 1920s, some Protestant theologians in the U.S. were already searching for ideas for coping with important social issues emerging in rapidly changing industrial America. For instance, McIntosh at Yale Divinity School co-authored a book, entitled Religious Realism. But it was in the work of Reinhold Niebuhr (1892-1971) that the idea about Christian realism came to its fruition when he first published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and subsequently a number of books in which he expounded many profound thoughts on various themes of Christian realism. Undoubtedly Niebuhr is, and deservedly so, recognized as the major and leading theologian who had developed and succeeded in providing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substance to the idea of Christian Realism. In short, Christian Realism refers to a Christian response to the realities of politics and ethics (morality) . Basing its arguments on biblical faith and insights on the sin and fall, it asserts that the Christian perspective on human nature and political phenomena must be realistic, rather than pessimistic or optimistic. In this paper, I have briefly elaborated seven points which may be considered to be recurrent themes closely identified with Christian realism, and some critical views of Christian realism raised by some political scientists and liberation theologians. They are: emphasis on structure; criticism of both liberalism and Marxism from the Biblical standpoint; peace and war; democracy; dual ethics in political phenomena; Justice and love; and sin. Toward the end of the paper, a question as to whether Christian realism is still relevant in the 21st Century is raised. I am inclined to give apositive response, particularly because Christian realists are increasingly called upon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world threatened by increasingly horrendous wars in various parts around the world.

      • KCI등재

        Offensive Real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North East Asian Regional Order

        In Hyo Seol(설인효),Taek Sun Lee(이택선)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4 전략연구 Vol.- No.62

        국제정치이론은 우리가 미래의 국제정치를 예측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예측을 위해 이론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탈냉전 이후 지난 20여 년간 적어도 강대국 사이에서 안정적이고 평화적인 국제관계가 유지되면서 평화와 안정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었고, 현실주의는 그 이론적 설명력을 의심받게 되었다. 현실주의 내에서도 다양한 분파들이 논쟁을 벌였지만 강대국의 방어적 행태를 가정하는 방어적 현실주의가 주류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미어세이머(John J. Mearsheimer)의 공격적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은 체제이론의 엄밀한 정교함을 유지하면서도 ‘정치 현실주의(realpolitick) 전통’에 입각한 고전적 현실주의의 지혜를 상당 부분 살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이 이론은 현실주의의 주요 대항 이론인 자유주의, 민주평화론, 구성주의 등에 대해 설득력 있는 비판과 반론을 제시하고 있으며, 현실주의 내에서도 방어적 현실주의와 달리 강대국이 공격적 행동으로 나아가게 되는 이유와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사태 이후 동북아 지역의 군사적 긴장은 나날이 고조되고 있다.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G2로서 초강대국의 위상을 확립한 중국은 점차 자신의 영향권을 확대하고, 영향권 내에서 미국의 접근을 차단하고 배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현실은 현실을 분석하는 새로운 시각을 요구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미어세이머의 공격적 현실주의가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론이 우리의 미래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현 시점에서 다양한 이론적 시각의 상대적 강약은 무엇이며 그것이 동북아의 현실과 미래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은 시의 적절한 일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debates between offensive realism and other alternative theoretical approaches including liberalism, democratic peace, constructivism, and defensive realism, and to predict the future order of North East Asian region from the view point of offensive realism. The article first presents the outline of Mearsheimer’s offensive realism based on his various papers and books, and after that, it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offensive realism and other theories, showing why they are different and how they differently interpret the realit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fter the Incident of Cheonan Battleship, bombardments of Yonpung Island and more recently the disputes arising from claimed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some disputed islands among South Korea, Japan, and China, the military tension between United States and China has been more and more escalated, which requires more realistic explanation of the whole situation. At the same time, in anticipating future North East Asian regional relations, we will come to need to interpret the real intention of China from the viewpoint of offensive realism, as time goes by. Thus it will be proper and necessary now to illuminate the essence and implications of offensive realism and relative advantages of the theory over other alternative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current and future situation of North East Asian region.

      • KCI우수등재

        현실주의를 통해 본 중국의 세계관: 정치지도자들의 대외정책에 담긴 합리성 분석

        신봉수(Bongsu Shin) 한국국제정치학회 2021 國際政治論叢 Vol.61 No.4

        이 글은 현실주의진영 내부에서 합리성에 대한 해석을 놓고 벌어지고 있는 이론적인 분화현상을 배경으로 삼아 중국의 세계관을 분석한다. 현실주의는 국가, 생존, 자구라는 가설을 공유하고 있지만, 합리적인 행위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해 여러 현실주의가 공존하고 있다. 합리적인 행위에 대한 추론은 도구적, 가치적인 측면에서 관찰하거나 혹은 도덕적, 전통적, 의사소통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합리성에 대한 해석은 이처럼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실주의는 대체로 도구적 합리성을 가설로 삼고 있다. 그리고 합리성에 대한 도구적인 해석도 행위의 결과를 다르게 전망하게 되면 다른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데, 공세적 현실주의와 구조적 현실주의가 패권경쟁의 결과에 대해 서로 다른 전망을 내놓는 것은 대표적이다. 중국인들은 공동체의 도덕적인 질서를 강조했던 유교의 영향으로 인해 도구적이기보다 가치적 혹은 도덕적 합리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인식을 전제로 삼으면 합리성을 도덕적으로 이해하려는 중국의 현실주의는 합리성을 도구적으로 해석하는 기존의 현실주의와 다를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런 추론의 사실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 글은 중국의 정치지도자들이 수립했던 대외정책과 이들 대외정책에 담긴 합리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런 분석작업을 바탕으로 중국적 현실주의의 특징을 탐색한다. This paper analyzes Chinas worldview with the background of the theoretical differentiation that is taking place within the realist camp over the interpretation of rationality. Although realism shares the hypothesis of state, survival, and self-help, various realisms coexist due to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of rational behavior. Reasoning for rational behavior can be observed from the instrumental and value perspectives, or from the moral, traditional, and communicative perspectives. Although the interpretation of rationality is made in various aspects like this, realism generally assumes instrumental rationality as a hypothesis. Also, the instrumental interpretation of rationality leads to different conclusions when the results of actions are projected differently. It is typical that offensive realism and structural realism offer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outcome of the competition for hegemony. There have a strong tendency to rely on values or moral rationality rather than instruments in China. This tendency stems from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which emphasized the moral order of the community. It can be inferred that Chinas realism, which tries to understand rationality morally, will b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alism that interprets rationality instrumentally. To prove this reasoning, this article analyzes the foreign policies established by Chinas political leaders and the rationality contained in these foreign policies. And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realism.

      • KCI등재

        연구논문 : 신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국제정치 현상의 포착과 그 이해

        정병호 ( Byoung Ho Ch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3 인문사회 21 Vol.4 No.2

        본 연구는 ‘신현실주의’ 국제정치 이론이 어떻게 국제정치 현상을 포착하고 이해하려 하는지를 살펴본 후, 이 이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해 보았다. ‘신현실주의..는 구조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전통적 현실주의 이론이 국가 행위를 행위자, 국가 단위로 귀속시키려 했던 정치관을 환원주의로 규정하고, 국제체제의 구조 속에서 국가행위를 추론하고자 하였다. 신현실주의..는 구조개념을 통해 전통적 현실주의가 갖지 못했던 국제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보다 엄격하고도 체계적으로 보완했다고 볼 수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현실주의..는 전통적 현실주의 이론과 마찬가지로 환원주의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구조를 개념화시키려는 과정에서 국가의 능력이나 힘에 의해 국제체계를 설명하려 했던 점에서 국가를 선험적으로 제시하고있기 때문이다. 결국 국제체제의 구조를 다시 국가로 환원시킨 것과 다름없는 결과였다. 이는..신현실주의..를 포함한 전체적인 현실주의 국제정치 이론의 뿌리 자체가 국제관계의 중심행위자로서 국가의 단일성과 대표성에 지나치게 집착하였던 데서 그 원인을 찾을수 있었다. 결국,..신현실주의..국제정치 이론은 사회내부의 다양한 사회적 갈등과 충돌가능성에 대한 고려를 포함해 집단 내부의 동적인 본질을 함의하기에는 지나치게 추상적인 이론으로 단일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is pointed out a theory and controversial after see through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y of ‘new realism’ which is how to apprehend and understand international political circumstance. ‘New realism’ is draw an inferenced national act in international intercourse system and prescribe politician who would be revert as a national unit, traditional realism theory is national act for performer as a restoration principle by introducing structure concept. ‘New realism is able to figure out improve insight about international problem which was not got traditional realism is more severely, systematically from structure concept. But, In spite of its effort, new realism could not perfectly escape from restoration principle like traditional realism. Because it suggested that is mentioned nationality perfectly in the point of would be made clear that international intercourse system by nationality’s capability and strength in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structure. In the result, it is similarly to restore structure of international intercourse system again. It would be able to found including ‘New realism’ to all part of realism inroot’s body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ory as a key performer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in adhere excessively nationality’s unity and representation. Eventually, ‘new realism’ international politics theory is including inner of society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ocial trouble and possibility of crash, in order to cultivate to dynamic essence, it must be simplification of excessively abstract theory.

      • KCI등재

        옌쉐퉁의 도덕현실주의 국제관계이론: 포괄적인 검토

        YUE WU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1 국제학논총 Vol.34 No.-

        Established by Professor Yan Xuetong from Tsinghua University, the theory of moral real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presents the achievement of Chinese scholars in innovation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theory aims to use political leadership measured by morality as an explanatory variable to analyze the reason and logic of the rising power replacing the dominant position of the dominant power. However, extant literature on the theory fails to systematically review moral realism in Yan’s work, reflecting fragmentation and misunderstand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review moral real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refute and correct problematic understandings, and explore potential applications for theoretical development. It argues that moral realism corresponds to classical realism more than neoclassical realism as a theoretical paradigm and that it is not a theory with ideological purposes serving China’s grand strategy. The study further argues that the theory has not matured owing to issues with concept definition, logical contradictions, and biases of case analysis. Moreover, the influence of ancient Chinese thought in Yan’s moral realism and the limited research object and field may impede its theoretical application. This study proposes applying moral realism to the study of foreign aid and holds that the field of foreign aid conforms to moral realism, alleviates some moral realism deficiencies, and expands the application scope of the theory. 칭화대 옌쉐퉁 교수가 정립한 국제관계론 도덕현실주의는 국제관계 혁신에 대한 중국 학자들의 업적을 대변한다. 이 이론은 도덕이 측정한 정치적 리더십을 설명변수로 삼아 지배적 권력의 지배적 지위를 대신하는 신진 권력의 이유와 논리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에 대한 현존하는 문헌들은 단편화와 오해를 반영하여 옌쉐퉁의 작품에서 도덕 현실주의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데 실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관계에서 도덕현실주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문제가 있는 이해를 반박하고 바로잡으며, 이론적 발전을 위한 잠재적 응용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덕현실주의가 이론 패러다임으로서 신고전주의 현실주의보다 고전주의 현실주의에 부합하며, 중국의 대전략에 봉사하는 이념적 목적을 가진 이론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 연구는 또한 개념 정의, 논리적 모순, 사례 분석의 편향에 대한 문제 때문에 이론이 성숙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게다가, 옌쉐퉁의 도덕현실주의에 대한 고대 중국 사상의 영향과 제한된 연구 목적과 분야는 그것의 이론적 적용을 방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외원조 연구에 덕현실주의를를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며, 대외원조 분야가 덕현실주의에 부합하고, 도덕현실주의의 결핍을 일부 완화하며, 이론의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공격적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과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안문석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2

        This paper analyses and evaluates the Lee Myung-bak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by using offensive realism. While defensive realism argues that states pursue an appropriate amount of power to secure their survival, offensive realism holds that they seek to maximize relative power. On the basis of this argument, offensive realism doubts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prefers containment to appeasement and takes precautions against nationalism. The Lee government has a negative attitude to North-South economic cooperation and carries out the contain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stimulated the North's nationalism by often mentioning the issue of human rights and the possibility of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disregarding the warning of offensive realism that states should be careful about promoting nationalism in enemies. On the other hand, the Seoul government strives to balance North Korea's military force equipped with nuclear capabilities by advancing strategic weapons system and demands that the North should take some actions for denuclearization, following the assumption of balance of power valued by defensive realism. In sum, the Lee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by and large, follows the assumptions of offensive realism, but acts on defensive realists' arguments in terms of military and nuclear strategies. Meanwhile, the Seoul government's policies caused by offensive realism have resulted in deadlock, the delay of confidence-building and strengthening enm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y, therefore, need to be reviewed thorough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two Koreas' relationship. 이 논문은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neorealism)의 이론적인 틀을 바탕으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분석, 평가한다. 방어적 현실주의(defensive realism)는 국가가 안보확보를 위해 '적절한 양의 힘’(appropriate amount of power)‘을 추구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은 권력의 최대화(power-maximizing)를 추구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입장을 바탕으로 공격적 현실주의는 국제협력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유화정책보다는 봉쇄정책을 선호하고, 민족주의의 심화에 대해서는 강한 경계를 촉구한다. 공격적 현실주의가 제시하는 명제를 중심으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평가한다면, 우선 이명박 정부는 남북경제협력에 대한 회의적 태도를 견지하며 봉쇄정책을 선호하는 공격적 현실주의의 주장을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공격적인 태도로 북한인권문제와 급변사태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은 공격적 현실주의가 경계하는 민족주의의 심화를 자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에 비해 압도적 우위에 있는 경제력을 바탕으로 전략무기체계를 선진화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상대적 국력의 최대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있는 측면이 있고, ‘개혁·개방·3000’을 통해 비핵화 선행조치를 요구하는 것도 북한 국력에 대한 약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읽힐 수도 있겠으나 이들 정책은 핵실험을 실시한 북한에 대한 세력균형 추구, 즉 방어적 현실주의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공격적 현실주의 명제에 따른 남북관계 경색, 남북교류와 협력을 통한 신뢰관계 구축의 지연, 남북한 상호간의 적대감 확대 등은 한반도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측면에서 비판의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의사랑과 정의의 이해로 본 한반도통일 원리에 대한 연구

        이동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7 기독교사회윤리 Vol.38 No.-

        본 논문은 분단 이후 남한 정부의 대북정책에 음양(陰陽)으로 영향을 미치는미국의 대북정책을 포함한 미국의 대외정책이 주로 ‘정치적 현실주의(現實主義)’ 철학에 기반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정치적 현실주의는 ‘힘의 사용’의 정당성을주장하는 ‘정전론’(正戰論)의 입장으로 9.11테러 이후 그 정당성이 강화되고 있다. 그런데 본 논문이 미국의 정치적 현실주의에 특별히 주목하는 이유는 이 철학이 기독교사회윤리학자인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의 영향을 크게받았기 때문이다. 그가 미국의 정치적 현실주의에 공헌한 것은 국제정치현실에서 가장 첨예한 논쟁 중 하나인 전쟁/폭력과 외교 문제를 신학적 논리로 지원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기독교 현실주의 사상이 한국교회 내 대립적 통일담론에 미치는 영향은 정복주의 혹은 승리주의에 의한 통일담론의 신학적 정당성이다. 그러나 이는 그의 사상을 정당하게 이해하지 못한 결과다. 이에 본 논문은그의 사상의 핵심인 ‘사랑과 정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중심으로 그의 핵심사상인 ‘기독교 현실주의’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되, 특히 그가 말하는 기독교 현실주의에 입각한 ‘힘의 사용’에 대해 한국교회가 갖고 있는 오해를 살펴본 결과, 다음의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1. ‘정치신학’(힘의 사용)을 넘어 ‘화해신학’(윤리적 정당성)으로, 2. ‘미국 중심주의’에서 ‘세력균형’으로, 3. 역사 ‘너머’의 ‘은혜’로. 분단으로 인한 대립과 갈등, 긴장과 공포의 확대재생산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힘의 사용’의 정당성을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힘의 이기성/부패성’을 경계(警戒) 하고 그 제재책(制裁策)을 강구하는 것에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이 발견하는 바다. This research delves into North-Korea policy and foreign policy of America affecting directly or indirectly North-Korea policy of South-Korea since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segmented based on mainly ‘political realism’. Since 9.11 attacks, a political realism as standing of ‘just war’ assertive legitimacy of ‘use of force’ gains strength as a righteousness. However, a reason that this thesis interests political realism of America is because of taking affect of christian social ethicist Reinhold Niebuhr. That he has contributed for political realism of America is that has supported by theological theory war, violence, and foreign problems one of the sharp debates in international real. His christian realism affects to oppositional discourse for unification is for theological right with conquestism or triumphalism. But it is a resultant that does not understand his thought. Hereto, this thesis studied critically his main thought ‘christian realism’ within understanding his main conceptions ‘love and justice’, and especially studied misunderstandings to ‘use of force’ within christian realism in Korean churches. This resultant suggests threes: to ‘theology of reconciliation’(ethical righteousness) over ‘political theology’(use of force); to ‘balance of power’ in ‘US-centrism’; and to ‘God’s grace’ of ‘trans’ history in order to find a way escapable from enlarge-reproduction of opposition and confliction, nervous and fear due to segregation is not to be enlarge righteousness of ‘use of force’ but to beware of ‘self-interest and corruptibility of force’ and to take sanction methods.

      • KCI등재

        국가 동기의 복합성과 구조적 현실주의의 생존동기 편향성

        이지원 신아시아연구소 2017 신아세아 Vol.24 No.4

        The assumption that every state pursues security in an anarchical international system is considered a foundational proposition of realist theory. In the long history of the realist tradition, however, this assumption was more of a deviation that has emerged since Waltz, rather than a universal proposition. For classical realists, including Thucydides, the complexity of national motives was considered an essential aspect of international politics, so they sought to establish a theory of national motives. Waltz, who advocated structural realism, reduced the national motive to that of a ‘security-motive’ to propose a simple scientific international system theory, and his intellectual descendants generalized that approach. As structural realism dominated stud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est in national motivation waned, while the assumption of ‘security-motive’ has been used uncritically in analyzing international political phenomena, such as the cause of war. This article examines the occurrence of bias in the realist tradition and points out the need for reflection on the complexity of national motives based on the discussion of ‘constructivist realists’. Constructivist realists argue that the behavior of states under anarchy can change when the assumption of 'security-motive' is replaced by the assumption of the ‘self-esteem-motive’. 무정부적 국제체제 속에서 모든 국가는 생존을 추구한다는 ‘생존동기’ 가정은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대표적 명제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주의 전통의 긴 역사 속에서 생존동기 가정은 보편적 명제라기보다는 월츠 이후로 나타난 일탈에 가까웠다. 투퀴디데스(Thucydides) 이후 고전적 현실주의자들은 국가행위 동기(motive)의 복합성을 인식했으나, 월츠에 의해 생존동기 ‘편향성(bias)’이 시작되었으며, 그의 후예들에 의해 그 현상이 보편화되었다. 투퀴디데스를 비롯한 고전적 현실주의자들에게 국가 동기의 복합성은 국제정치의 본질적 측면이었으며, 그래서 그들은 국가 동기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반면에 구조적 현실주의를 제창한 월츠는 간결하고 과학적인 국제체제이론을 만들기 위해 국가 동기를 생존동기로 단순화 하였다. 구조적 현실주의가 국제정치학계를 지배하면서, 국제정치이론에서 국가의 동기에 대한 관심은 거의 사라졌고, 전쟁의 원인 등 국제정치현상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무비판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현실주의 전통에서 생존동기 편향성이 나타나는 과정을 살펴보고, 생존동기 가정을 ‘자존동기’ 가정으로 치환할 경우 무정부상태 하에서 국가들의 행동이 달라진다고 주장하는 ‘구성주의적 현실주의자’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국가 동기의 복합성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