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언 31장 문학 구조 및 주해를 통한 현숙한 여인 연구

        김정원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3 영산신학저널 Vol.- No.66

        잠언은 다양한 형태의 지혜 사상들로 이루어진 지혜문학의 정수라 말할 수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잠언의 지혜 사상은 모든 사람이 수용할 수 있는 교훈들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잠언 31본문의 문학적 구조 및 본문 주해를 통해 잠언의 결론으로 등장하는 현숙한 여인의 삶가운데 나타난 신학적 지혜와 실용적 지혜를 찾아내는 것이다. 잠언 31장의 주해 및 문학구조 연구 결과는 잠언 전체의 실용적 지혜와 신학적 지혜를 함축하고 있다. 잠언 31장은 잠언전체의 결론이며 지혜로운 자의 길이 무엇인지를 현숙한 여인의 다양한 행동을 통해 가르친다. 세부적으로 잠언 31:1-9은 르무엘 어머니의 말씀을 통해 왕에게 어리석은 여자에게 힘을 쓰지 말 것, 포도주와 독주를 마시지 말 것, 공의로 재판하며 궁핍한 자를 도울 것을 권면한다. 잠언 31:10-31은 현숙한 여인의삶을 통해 실용적 지혜의 가치가 무엇인지 보여주며, 여호와 경외 사상을 통해신학적 지혜의 정수를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잠언 31장 10절 <에셰트 하일>의 의미

        김유기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0

        잠언 31장 10절의 <에셰트 하일>을 개역개정은 “현숙한 여인”으로 번역한다. 그러나 새번역은 “유능한 아내”로 번역함으로써 이와는 전혀 다른 모습의 여성상을보여 준다. 히브리어 <하일>은 주로 물리적인 힘과 군사력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고,의미가 희석된 경우에도 모종의 힘을 가리키고 있다. 보아스는 자신의 힘을 사용하여 희생적으로 가족을 섬기고 공동체의 인정을 받는 룻에 관해 말할 때 <에셰트 하일>이란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며, 잠언 12장 4절도 공동체의 인정을 받아 남편을명예롭게 하는 여성을 <에셰트 하일>이라 부르고 있다. 잠언 31장 11-31절에서 본문이 묘사하고 있는 여자 역시 자신의 힘을 사용하여 가정과 공동체에서 칭찬 받는 여성이었다. 따라서 고착화된 전통적인 여성상을 강화하는 구실을 제공할 수 있는“현숙한 여인”보다는 “유능한 아내”가 좀 더 본문의 의미에 부합하는 번역이다.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renders the expression esheT hayil in Proverbs 31:10 as hyeonsukhan yeoin, which has a potential to reinforce the stereotypical images of woman in the Korean church. However, the Revised New Korean Standard Version translates it as yuneunghan anae, which portrays a very different picture.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Hebrew expression esheT hayil. The Hebrew term hayil basically refers to physical strength or military power. Even when its original meaning fades, the term still points to a certain virile power. In the Book of Ruth, Boaz uses the expression esheT hayil in reference to Ruth, who served her family to the utmost extent of her power, earning good reputation in her community. Proverbs 12:4 also considers esheT hayil as a woman who honors her husband by her good reputation. In the same vein, the woman portrayed in Proverbs 31:11-13 is being praised and honored by her family and neighbors as a result of her activities both in and outside her home. In sum, though it has its own shortcomings, yuneunghan anae is a better alternative to hyunsukhan yeoin. This type of work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meaning of the biblical terms in question and to rectifying stereotypical images of a group of people in the church.

      • KCI등재

        나혜석 문학의 공간과 젠더지리학

        송명희(Song Myung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3

        이 논문은 나혜석의 소설과 희곡에 설정된 공간을 젠더지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나혜석은 「경희」에서 가부장적 질서가 지배하는 집을 탈주하는 여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집을 탈주한 신여성은 「회생한 손녀에게」의 자취방, 「어머니와 딸」과 「현숙」의 여관과 같은 임시적인 체류지에서 거주한다. 그리고 「파리의 그 여자」의 경우 도 일시적인 여행지에 머문다. 하지만 그들은 임시적인 체류지에서 민족의식을 자각 하고 소설을 쓰며, 사람들과 친밀감을 나누고 서로를 보살피며, 사랑을 나누고 이별을 받아들인다. 그들은 가부장적 집의 허울뿐의 안도감에 집착하는 허상에서 벗어나 일시적 체류지지만 보다 더 넓은 공간에서 허울뿐인 안도감이 아니라 열린 안도감을 획득한다. 반면 「원한」과 「규원」에서 가부장적 집은 여성이 정절을 상실하자 그녀를 추방한다. 집으로부터 축출된 구여성은 자신만의 공간을 갖지 못한 채 남의 집 삼간대청이 나 더부살이 단칸방에서 장소상실을 경험하며 타자화 된 삶을 살아간다. 그녀들은 자신들의 억울함만을 호소할 뿐 허울뿐인 집과 허울 뿐의 안도감에 집착하는 허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녀들은 가부장제의 허위의식을 통찰할 수 있는 근대교육을 받지 못한 구여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녀들은 장소상실에 빠져 있을 뿐 일시적 체류지를 위험한 공간이 아니라 보호공간으로 만들며 참된 거주를 실현할 수 없다. 바로 여기에서 신여성과 구여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신여성이든 구여성이든 근대의 시기에 집이라는 공간은 여성이 진정으로 주체성과 자유를 실현할 수 없는 공간이었다. 신여성이 집이 아닌 자취방, 여관과 같은 일시 적인 체류지에서 주체성과 자유를 추구했다는 것은 그들의 삶의 불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가부장제의 허상을 통찰한 신여성들은 기꺼이 일시적이고 불안정한 공간을 그녀들의 자유와 주체성을 실현할 공간으로 변화시켜 나갔다. 반면 가부장제 의 피해자이면서도 가부장제의 허상을 통찰하지 못한 구여성들은 허울뿐인 집과 허울뿐인 안도감에 집착할 뿐 참된 거주를 위한 노력을 결여한 채 신세한탄에 빠져 있을 뿐이다. 나혜석의 문학적 공간은 모두 일시적인 체류지라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자발적으 로 집을 나온 신여성은 그곳에서 주체성과 자유를 추구한 반면 집에서 강제로 축출된 구여성은 주체성과 자유를 실현할 수 없었다. 렐프의 장소개념에 의한다면 신여성이 머무는 자취방, 여관, 여행지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이며 진정한 장소감을 일으키는 장소지만, 구여성이 머무는 행랑채와 단칸방은 수동적이거나 강제적이며 비진정한 장소감(장소상실)을 일으키는 장소일 뿐이다. 나혜석은 신여성의 집으로부터의 자발적 탈주를 통해 가부장주의에 저항하는 페미니즘을 보여주었지만 강제적으로 집에서 축출된 구여성을 통해서는 가부장주의를 비판하는 페미니즘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space set in the short stories and plays of Na Hye-seok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geography. In “Gyeong-hee(경희)”, Na Hye-seok portrayed a woman who escapes from the home where the patriarchal order of the father dominates. However, the modern women who have escaped from the home lives in a rented room in Japan as shown in “To the Grand Dauter Who Revived(회생한 손녀에게)”, or in the poor and temporary places of sojourn like an inn as depicted in “Mother and Daughter(어머니와 딸)” and “hyeunsook(현숙)”. And in “The Woman in Paris(파리의 그 여자)”, too, the woman stays in momentary places in Paris, New York, and Wonsan Beach. But in those places of temporary sojourn, which are communities not bound by blood, they awake to national consciousness, write novels, get intimate with people, care for each other, and put open marriage into practice. In other words, they realize independence and freedom there. On the other hand, in “Sorrow of Woman(규원)” and “Resentment(원한)” the patriarchal home banishes the women who have lost their chastity. The old-fashioned women banished from home cannot find their own spaces, and live their lives as complete others in spaces like the floored room of someone else’s house or a small room as a resident servant. What the spaces in the works of Na Hye-seok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all temporary places of sojourn. But while the modern women who have escaped from home of their own free will pursue independence and freedom, the old-fashioned women who have been forced out of their home experience alienation and otherness. That the modern women could not take root in a place, but sought independence and freedom in temporary places of sojourn such as rented rooms, inns, or holiday places shows the instability of their lives. But the old-fashioned women, who are expelled from home and live in servants’ quarters of someone else’s house or in small rooms as resident servants, experience far worse alienation and instability than the modern women. According to Edward Relph’s concept of place, the rented room, inn, holiday place where the modern women stay are places that arouse an active, independent and authentic sense of place; yet the servants quarters and small rented room where the old-fashioned women stay are places in which they experience passive, enforced and inauthentic sense of place, that is, places in which they experience placelessness. Through the voluntary escape of the modern women, Na Hye-seok showed a feminism that resists patriarchalism; yet through the old-fashioned women who were forced to get out of the home, she showed a feminism that criticizes patriarchalism.

      • KCI등재

        현대 미술의 비인간-되기와 정동 연구 : 홍이현숙의 근작을 중심으로

        배혜정(Bae Hyejeo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본 논문은 한국의 중견 작가 홍이현숙의 근작에서 보이는 비인간에 관한 주목을 정동 개념과 매체이론을 통해 분석한다. 1980년대 이래 활발하게 활동하며 타자와의 연대를 사유해 온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고래에서 고양이, 바위에 이르는 비인간을 사유하고 청각, 촉각과 같은 다중의 감각으로 번역해낸다. 이러한 비인간과의 관계 맺기의 경험은 심해의 고래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기능성 녹음기, 고사양의 스피커의 힘을 빌리는 것이자 실시간 CCTV와 같은 통신 도구를 매개로 하는 것이다. 이 기술의 매개가 비인간-되기의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측면은 레비 브라이언트의 기계지향존재론을 경유하였다. 또한 작품이 제공하는 경험이 정동의 수준에서 우리의 신체에 체현된다는 점에서 브라이언 마수미를 중심으로 그 경험의 성격을 정동 개념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은 홍이현숙의 작품에서의 경험이 우리의 삶의 선택에 있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힘이 되리라는 점에서 마수미와 제인 베넷의 정동에 대한 정치적 해석을 통해 논의되었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resent works of Korean artist Hong Lee Hyunsook through the concept of affect and media theory. Since her first exhibition in 1988, the artist has used a variety of media, such as installation, moving image and performance to discuss the free and independent subject that resists patriarchal Korean society and perspectives. In resent works, sh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nonhuman by using sense of acoustic and tactile. Moreover, in Ejght Lightvessels and Each One’s Own Ieodo, media allow audiences to relate with nonhuman. I explore this aspect through Levi Bryant’s Machine-oriented Ontology. Also,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is addressed through the concept of affect, focusing on Brian Masumi, in that the experience provided by works is embodied in our body at the level of affect. At last I analyse the affective experience in Hong Lee Hyunsook’s resent works through Massumi and Jane Bennett’s perspectives related political aspect of affect.

      • 근암 최옥의 망실 제문 연구

        강석근 한국동학학회 2007 동학연구 Vol.0 No.22집

        This paper is written out for explaining the literary value of the cherishable writing for deceased wife in the Keun-am Choi-ok(1762~1840)'s literature. Choi Ok is the father of Donghak(東學) originator, Su-woon(水雲) Choi Jae-woo(崔濟雨). Mhang-sil(亡室) Jea-moon(祭文) is the cherishable writing for deceased wife which is written by husband. In this writing, the objects are the first and second wife. Jea-moon(祭文) is a literary sketch which is recited in a funeral. Jea-moon is work that sublimate the pain of separation by death to comfort the departed and express the sorrow. So, Jea-moon is recognized as a ceremonial and practical writhing, not a work of art. But Jea-moon is the genre which have special character and literary taste. This study investigate the special feature of 「The funeral oration for the first wife Mrs. Jung」 and 「The funeral oration for the second wife Mrs. Seo」. So, we can see that how Choi-ok recognized and estimated the life of two wives and his sorrow and pain after separation by death. The former was written at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death and described as a form of a biographical sketch. But the latter was written at the funeral and described by passionate styl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se two Jea-moon which have a common feature and also difference in the concrete. 이 논문은 東學의 교조 水雲 崔濟愚의 부친인 최옥(1762~1840)이 지은 두 편의 亡室 祭文에 나타난 문학적 가치를 해명하기 위해서 작성되었다. 망실제문은 사별한 부인의 삶을 추모하고 죽음을 애도하기위해서 지은 제문인데, 이 글에서 대상이 된 부인들은 최옥의 첫 번째와 두번째 부인으로서 최제우에게는 큰 어머니가 되는 분들이다. 제문은 망자의 喪葬禮 때 奠禮의 현장에서 직접 구술되는 산문 小品으로 知 人을 상실한 슬픈 감정을 승화시켜 죽은 자를 위로하고 남은 자의 아픔과 슬픔을 토로하는 글이다. 따라서 제문은 예술성보다는 실용성이 강해서 문학성이 소홀히 여겨지는 경우도 있지만, 제문은 제문만의 독특한 문학적 특징과구조를 가진다. 본고는 이런 특징을 가진 「祭故室孺人鄭氏」와 「祭故室孺人徐氏」에 나타난특징을 점검해서 최옥이 두 부인의 생애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평가했으며, 부인 사별 후 최옥이 느낀 슬픔과 아픔이 어떠했는지를 고찰하려 한다. 전자는 小祥 때 지어진 제문인데, 최옥은 정씨부인의 일생을 담담하게 略傳의형태로 진술하였고, 후자는 장례식 때 지어진 것인데, 최옥은 사별의 아픔과슬픔을 격정적으로 진술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이처럼 이질성과 동질성을 가진 두 편의 제문이 가진 문학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여성의 상태와 나혜석의 글쓰기 - "경계"와 "아브젝트" 체험의 표현-

        조미숙 ( Mi Sook J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릴 때부터 부덕을 종용받으며 자랐다. 그렇기 때문에 신여성들이 공부하기 위해서는 견고한 사회의 벽에 부딪쳐야 했다. 우리 근대 초기, 여성들에게 있어 글쓰기는 치열한 저항의 의미였다. 나혜석은 최초의 신여성 그룹, 최초의 여성화가, 최초의 현대소설 작가였다. 나혜석 소설은 공통적으로 여성 문제에 집중하면서도 10년단위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양상이다. 나혜석 소설세계 변천의 과정은 결혼과 이혼이라는 여성으로서의 상태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고 사회와의 관계와도 관련이 있다. 나혜석은 결혼제도에 들어가지 않고자 반항을 했다. 그 반항은 1910년대 작품들 처럼 경희 로 나타나기도 했고 회생한 손녀에게 처럼 타협의 제스처를 보이기도 했다. 결혼 전 내면 시점을 채택하여 내면에서부터 일어나는 현실 변화 의지를 쓰던 나혜석은 결혼 후 다른 성향의 글을 쓴다. 1920년대 작품들의 주인공은 신여성이 아니며 소재 역시 계몽이라거나미래에 대한 전망과 거리가 멀다. 인물의 고생담에 그친다. 1930년대로가면 나혜석의 소설은 다시 한 번 변화를 보인다. 1910년대의 논리와 1920년대 현실 모두를 잃고 있다고 여겨지는 글들을 쓴다. 1910년대의 작품들은 지식인 신여성의 걸어야 할 길에 대한 나혜석의 주장이라고 본다면 1920년대 공부하지 못한 전통 구식 여성들의 아픈 이야기는 그에 대한 반으로 읽힌다. 그렇다면 1930년대 나혜석 소설의 방향은 둘사이의 변증법적 지양, 곧 지식인 여성들에 의한 현실 삶의 개선 같은것이 그려졌어야 하리라고 보인다. 하지만 그러지 못했다. 나혜석 소설세계 변천의 또 다른 원인인 사회의 아브젝시옹 현상 때문이다. 1930년대 나혜석은 정확한 주제의식이나 목적의식 없이 초점 잃은 글들을 쓰고 있다. 그것은 그녀가 겪은 극심한 정신적 충격 때문으로 파악된다. 여성의 상태 변화를 온몸으로 겪으면서 저항하던 나혜석은 사회적 아브젝트가 되었고 이런 상황에서 받은 커다란 정신적 충격을 작품에 반영시켰던 것이다. Korean women must trained from an early age to receive . In order to study the early modern to the New Woman had to endure many attacks. Therefore, to New Woman Writing a means of resistance was fierce. Na Hyesuk, the first group of the New Woman, the first female painter, was the first modern novel writer. In particular, Na Hyesuk was excluded of the community. Changes in the Na Hyesuk reflected her changing status to the work exactly. Her novels are her own mental representation. Na Hyesuk`s novels are related deeply the change of her state as a woman, marriage and divorce in other words is virgin, headquarters, divorced. Na Hyesuk`s writing can be seen as follows-writings from her maiden to her marriage are the ‘inner perimeter writing``, writings after her divorce are ‘borderline writing`` Na Hyesuk do not want marriage was rebellious. The rebellion in the 1910s, was like the work "Kyung-Hee" and also appeared a gesture of compromise like in "to Resurrected Granddaughter" . Na Hyesuk wrote transforming will the inner reality in fiction before marriage. But after she married writing patterns vary greatly. The heroines of the 1920s works, Kyuwon and Wonhan, are not New Women, The theme of her novels are not enlightened people and outlook on the future. The theme of her novels are only one person`s suffering story. Na Hyesuk seems to change once again in the 1930s novel, In 1910s and 1920s novel, Na Hyesuk seemed to be as a logical and real tendency, but her works in the 1930s-Hyunsook and The Mother and the daughter-are lost that tendency. In the 1910s works, writer was to argue for the Intellectuals New Woman to do then. This can be considered as a ‘These’ of the dialectic. The misery story of traditional old-fashioned women appeared as the ‘Antithesis’. Then the direction of the Na Hyesuk`s novel in 1930s had to describe the sublation between the two, for example the improved method the reality of life by women intellectuals-‘Synthese’. But she did not do so. She only wrote the articles, the exact subject matter with a sense of purpose and lost focus. It was because of the society that made Na Hyesuk can not be a normal writing. It was because of Korea`s closed society what drove out the genius woman, that is abjection. She suffered as resistance to change of state the female body then becomes the social abject. Na Hyesuk genius of the age of the result, would be shaken mentally in that society. And it would have been reflected in her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