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위생(학)과의 맨눈해부학 교육 현황과 운영방안

        김다혜(Da-Hye Kim),하정은(Jung-Eun Ha)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3

        해부학은 치과위생사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학문이며, 치위생학의 학문 체계 정립을 위해서는 치과위생사의 핵심 역량과 관련이 있는 기초치위생 분야에 대한 연구도 소홀히 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에서 운영하는 맨눈해부학 관련 교과목의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82개 치위생(학)과와 대한치과위생사협회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해부학 관련 교과목의 개설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해부학 담당 교수 중 21명 (25.6%)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해부학 교과목의 개설 및 운영현황, 담당 교수자의 일반적 특성과 교과목 운영에 대한 요구도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해부학 교과목의 운영현황을 제외한 모든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 (SPSS Inc.)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국 치위생(학)과의 해부학 교과목 개설 학기는 1학년 2학기가 56.2%, 개설명은 구강해부학이 45.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설문에 참여한 해부학 담당 교수의 일반적 특성은 치과위생사 면허 소지자의 비율이 85.0%로 가장 높았다. 해부학 실습의 운영 방법은 모형, 드로잉, 시청각자료의 활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부 실습을 진행하는 기관은 조사 대상 가운데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치위생(학)과의 해부학 교육에 대하여 대부분 임상 교과목과의 통합교육과 사람시신 (cadaver) 실습, 교육매체의 개발, 용어의 통일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해부학 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교육 내용의 표준화, 실습의 체계화와 더불어 장기적인 발전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치위생 해부학 교육의 질적 향상과 전공영역의 확립을 통한 치과위생사의 전문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natomy is an essential subject for dental hygienists. As such, in order to form academic systems for dental hygiene program, we cannot ignore research related to basic dental hygiene, which is related to the main competency of a dental hygienist.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gross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led by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was performed in order to propose a new direction regarding academics. This research analyzed the offering status of the anatomy curriculum using shared information, released by both the Association of Korean Dental Hygienist and the homepage website of the national dental hygiene, as a foundation. In addition, we conducted a survey of 21 (25.6%) professors out of 82 dental hygiene institutions in the nation. The fill-in survey was composed in order to obtain knowledge on each department’s offering and operation system of the anatomy curriculum,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ofessor and demand for the anatomy education. The SPSS 20.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all of the materials with the exception of operation statuses of anatomic curriculums constructed via open questions. Nationally, the subject related to the gross anatomy was opened in Semester 2 during the first year 56.2% of the time, and the oral anatomy class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of 45.3%. The general trend of the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as the highest recording of 85.0% for holders of dental hygiene license. Those who acquired doctoral degrees were found to be 17 individuals (85.0%) and 45.0% majored in health science. The operation methods of anatomic practices were revealed to be models, drawings, and audiovisuals while external practices failed to meet even the half-point of the study. The consensus opinion has indicated the need for a integrated education with clinical subjects, cadaver practices, developments of educational media, and standardization of anatomic terminology. Standard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systemization of practices are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anatomic studies of students studying dental hygiene. Cultivating anatomy specialists and sharing activities between academia are required for long-term development. We expect this research to contribute to overall quality improvement and the dental hygiene profess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majors.

      • KCI등재

        해부학용어가 걸어온 길

        정인혁(In-Hyuk Chung),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1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0 No.4

        이 연구에서는 해부학용어의 기원과 국제해부학용어가 만들어진 과정, 국제해부학용어 제정원칙을 살폈다. 또한 우리나라에 영향을 많이 끼친 일본해부학용어가 발전해 온 과정을 기술하였다. 과거 우리나라 해부학용어는 일본해부학용어를 그대로 받아 사용하였다. 그러나 차츰 대한해부학회에서는 우리용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용어위원회를 구성하여 용어를 다듬기로 하였다. 용어위원회에서는 우선 용어 다듬는 방향을 세웠고 용어개정의 기본 원칙을 만들었다. 많은 회의를 통해서 용어를 다듬었으며 용어집으로 만들었다. 해부학용어집은 1979년 첫째판을 발행한 이후 다섯 차례 개정하여 2014년 여섯째판 용어집을 만들어 사용중이다. 여기서는 일본용어와의 차이점과 우리말 용어를 다듬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In this study, the origin of anatomical terms, the process by which international anatomical terms were made, and the making principles of international anatomical terminology were confirmed. We also describe the process in which the Japanese anatomy terminology (Termonologia Anatomica Japonica), which has been influential in Korea, has developed. Most of the past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used the Japanese term. However, the Korean association of anatomists gradual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own terminology and decided to refine the terms by forming a terminology committee. The terminology committee first laid down the direction for refining terms and made the basic principles of revising them. Through many meetings, the terms were refined and made into terminology book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The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has been revised five times since its first edition in 1979 to the sixth edition in 2014. Here, we illu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terms and Korean terms and the process of refining Korean terms using examples.

      • KCI등재

        해부학 개념이 들어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송창호(Chang Ho So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3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론적 철학자와 논리학자로 잘 알려져 있으나, 그는 위대한 자연주의 과학자이었다. 사실 그는 현대적 의미에서 최초의 해부학자이며 해부학을 학문들 중 하나의 전문분야로 이끌어낸 해부학의 창시자이었다. 비록 그가 사람을 직접 해부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태아의 일부를 관찰하였고 동물들의 계통학적 분류를 시도하였다. 그가 남긴 사람해부학의 업적과 아울러 동물비교해부학의 업적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는 장기들을 정확하게 묘사하였고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해부학적 연구방법의 토대를 확립했다. 또한 그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는 전문 해부학 용어들을 만들었으며, 그의 관찰 기법은 너무나 정교하여 놀랄 정도이다. 비록 그의 생리학 개념에 많은 오류가 있었지만, 장기들과 몸의 각 부위에 대한 형태학적 설명은 당시에 그가 최고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해부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논의하는 데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연구한 해부학 분야의 업적을 살펴보고, 그의 해부학 연구의 오류를 알아보고, 해부학 개념이 들어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또한 오늘날 해부학자들에게 아리스토텔레스가 해부학의 위대한 선구자로 그의 훌륭한 업적을 알리고자 하는 것이다. Although Aristotle is commonly known as a theoretical philosopher and a logician, he was also a great natural scientist. Actually in modern terms he was the first ever anatomist who originated anatomy. Despite the fact that he didn’t directly dissect humans, he observed parts of fetus and tried systematic analysis of animal bodies. The achievements he has accomplished in human anatomy and animal comparative anatomy are countless. He accurately described organs and built a foundation for presenting scientific reasons in anatomical research. Furthermore, he made modern nomenclature which is still being used today and his observational skills were so precise it was hard to even believe. Even though there were a lot of errors in his physiological concepts, his structural descriptions about organs and body parts were the best at that tim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how Aristotle’s anatomy and philosophy are closely related. It’s aim is to take a look at his anatomical achievements, errors and Aristotelian philosophy in its bearing on anatomical thoughts. In addition, the goal is to knowledge today’s anatomists about Aristotle’s astonishing achievements as a great pioneer in anatomy.

      • KCI등재후보

        대한해부학회와 한국생물과학협회의 해부학용어 비교

        박경한(Kyeong Han Park)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3

        A number of Korean terminologies describing same anatomical structures have been found different between biological and medical fields. These differences can make scientific miscommunication in biomedical fields. So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official Korean biological terminologies (2005), and compared them with Korean anatomical terminologies (2005). Of all Korean biological terminologies, 791 were founded to describe anatomical structures. And concordance rate of 791 biological terminologies with Korean anatomical terminologies was 37.4%,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igh school biology terminologies with anatomical terminology (50.3±2.7%). This difference in concordance rates is thought to result mainly from the fact that many Sino-Korean terminologies and eponyms are used in biological field. Above results can be served as valuable basic resources for revision and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ies used in biomedical fields. Collaboration among anatomists, biologists, and college students is thought to be prerequisite. 생물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해부학용어와 의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해부학용어의 차이로 인해 두 학문분야 사이의 학술 및 인적 교류에 어려움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저자는 한국생물과학협회에서 제정한 공식 생물학용어 (2005)와 대한해부학회의 새 해부학용어 (2005)를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물학용어 중 인체해부학 분야의 용어는 모두 791개였으며, 791개 용어 중 두 학회 용어 사이의 일치율은 37.4%였다. 이 수치는 고교 생물교과서 용어와 해부학용어 사이의 일치율인 50.3±2.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일치율이 37.4%에 불과한 이유는 한국생물과학협회 용어 791개에는 순수한자용어 (578개, 73.1%)와 사람이름용어 (17개)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에 반해 대한해부학회의 해부학용어 791개 중 순수한자용어는 모두 181개로, 그 비율은 22.9%였으며, 사람이름용어는 하나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대한해부학회와 한국생물과학협회의 해부학 분야 용어의 개선 및 통일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단체 간의 협조와 공동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의 맨눈해부학 지식에 대한 임상교수의 인식도 조사

        임선주(Sun-Ju Im),감비성(Bee-Sung Kam),이상엽(Sang-Yeoup Lee),우재석(Jae-Seok Woo),이종태(Jong-Tae Lee),이상화(Sang-Hwa Lee),임학(Hak Im),조경제(Gyeong-Je Cho),백선용(Sun-Yong Bae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4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에 통합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임상실습 기간의 확대로 기초의학의 강의 시간이 줄어들었으며, 대학에 따라서 맨눈해부학 교육의 시간과 내용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재학생과 졸업생의 해부학 지식의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해부학 교수와 학습의 방향 설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임상실습 과정 학생들의 맨눈해부학 지식과 교육과정 내에서 해부학 교수법의 현 상태에 대하여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임상 교수의 인식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였다. 부산·경남지역의 5개 의과대학에 근무하는 임상교수를 대상으로 학생들의 맨눈해부학 지식에 대한 인식도를 설문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임상교수의 입장에서 졸업생의 임상해부학 지식 정도(2.4±0.6)와 고학년 학생의 전반적인 해부학 지식(2.6±0.7)의 저하를 우려하였으며, 선택 집중해부실습(3.8±0.9)과 해부학 교육 시기 확대(3.3±1.0)에 긍정적이었다. 학생들의 전반적 국소해부학 지식의 수준에 대해서는 외과계열과 영상의학, 외과계열과 기타계열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외과 계열이 해부학 지식수준의 저하를 가장 우려하였다. 해부학교육 시기의 확대에 대해서는 영상의학이 내과, 외과 및 기타 계열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가장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p?0.001). 학생들이 해부학 지식이 낮은 원인으로는 임상맥락이 적은 해부학교육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해부학의 정체성 감소였다. There is concerns about the perceived decline in the knowledge of gross anatomy of the medical students and postgraduate trainees. It is partly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medical curriculum and the shortage of basic medical science program and the extension of clinical clerkship consequently. There is widespread variability in the teaching style and anatomical curricular content at the medical school in Korea. Despite these changes in the anatomical education,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to assess the opinions of senior clinical teachers on the state of anatomical knowledge of students and the place of anatomy teaching within the curriculum. We sought the views of the clinical teachers on the adequacy of the anatomical knowledge of current students and recent graduates of 5 medical schools in Pusan and Gyeongsang-Nam do areas. Most of the clinical teachers were of the opinion that current medical students have an insufficient anatomical knowledge. They indicated the causes of decline were the clinical irrelevant anatomical teaching content and weakness of identity of anatomy by the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medical education program. There was widespread support for both the concepts of spreading anatomy teaching throughout the medical course, and an optional, clinically related final year student project in the anatomy.

      • KCI등재

        일반인을 위한 해부학 만화

        황성배(Sung Bae Hwang),정민석(Min Suk Chung),박진서(Jin Seo Park)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5

        Anatomy must be known not only by medical students but also by health science students. Furthermore, common people had better know anatomy because anatomy helps them keep their own health and dig up their own curiosity of body. It is desirable that common people learn morphology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using easy, familiar, and interesting anatomy cartoon. But we could not find such a Korean anatomy cartoon, so that we tried to make anatomy cartoon for common people as follows. For anatomy cartoon, anatomist decided anatomy contents to write sentences. Based on the sententces, raw illustrations of anatomy cartoon were drawn on the paper with a pencil. Final illustrations of anatomy cartoon (931 cuts) were drawn on Adobe Illustrator of the personal computer. In addition, anatomy comic cartoon composed of four cuts (100 episodes) were drawn. Anatomy term explanations, anatomy photographs, and anatomy movies were created and hyperlinked with the anatomy cartoon, all of which were distributed through homepage (anatomy.co.kr), CD title, and book. The anatomy cartoon will be helpful not only to anatomy study of the common people and health science students but also to preliminary anatomy study of the medical students. 해부학은 의과대학의 학생뿐 아니라 다른 보건의료계통의 학생도 알아야 한다. 또한 일반인도 해부학을 알면 좋은데, 이것은 자기 몸의 호기심을 풀고, 자기 몸의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일반인은 만화를 보면서 해부학을 익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일반인이 쉽고, 친근하고, 재미있는 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만화를 보면서 사람 몸의 생김새와 쓰임새를 익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제까지 해부학자가 제대로 그린 해부학 만화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일반인이 해부학을 쉽게 익힐 수 있는 해부학 만화를 다음처럼 만들었다. 해부학자가 해부학 만화에 담을 내용을 결정한 다음에 만화에 들어갈 글을 썼다. 이 글을 바탕으로 해부학 만화의 밑그림을 종이에 연필로 그렸다. 이 밑그림을 바탕으로 해부학 만화의 덧그림(931칸)을 컴퓨터에서 그렸다. 더불어 네 칸으로 이루어진 해부학 명랑만화 100편을 그렸다. 관계 있는 해부학 용어 풀이, 사진, 동영상을 만들어서 해부학 만화에 덧붙인 다음에 해부학 만화를 홈페이지(anatomy.co.kr), 씨디 타이틀, 책으로 퍼뜨렸다. 이 해부학 만화는 일반인과 보건의료계통 학생이 해부학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되고, 의과대학 학생이 해부학을 예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발생학 학습에 필요한 적절한 해부학적 지식수준

        이영일(Youngil Lee)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3

        본 연구는 최근 단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발생학 (embryology)의 교수법 개선을 위해 새롭게 적용한 방법과 이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과 희망하는 부분들에 대해 분석하고 나아가 교과목 편성에 있어서 시기적으로 발생학 강의가 해부학과 병행되거나 먼저 진행되는 경우에 발생학 교과목 운영의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각각의 계통 (system)별 발생과정을 강의하기에 앞서 연관된 해부학적 내용을 간단한 조별발표의 형식으로 진행한 군과 이 과정을 생략하고 계통별 발생과정에 대한 강의가 바로 진행된 군으로 나누어 각각 시행하였다. 설문내용은 공통적으로 발생학 수강 전에 해부학 관련 교과목을 배운 경험, 발생학을 배우기 전의 해부학적 지식의 필요성과 그 수준에 대한 인식, 그리고 발생학강의 전반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조별발표를 시행했던 학년에서는 해부학발표의 적절한 분량과 수준, 조별발표 중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는 주제, 발생학 수업을 이해하기 위해 조별발표보다 더 효과적이라 판단되는 해부학 선행학습 방법에 대한 의견 등이 추가되었다. 결과에서 조별발표형식을 통한 해부학 선행학습을 시행한 군과 달리 그렇지 않은 군에서 오히려 해부학적 지식의 필요성을 인지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발생학을 해부학에 앞서 배우면서 일정 수준의 해부학적 지식이 필요함을 학생들 스스로 인지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조별발표의 내용들 중에서는 심장혈관계통(cardiovascular system) (27%)과 소화기계통 (digestive system) (27%), 그리고 뼈대근육계통 (musculoskeletal system) (25%)이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발생학 강의와 병행되는 해부학 선행학습의 가장 적절한 방식에 대해서는 현행대로의 발표와 보충강의 (52%), 강의위주 (30%), 온라인강의 (online lecture) (13%), 토론위주의 수업 (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발생학을 해부학에 앞서 배우는 경우, 학습자의 요구에 앞서 교수자 스스로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계통별 발생에 대한 강의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해부학 선행학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교수자 차원의 노력은 학습자들의 요구와 필요사항들에 대한 적극적인 피드백(feedback)이 동반되는 과정에서 이뤄져야 할 것이다. Embryology is essential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of medical college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mechanisms related to both normal and abnormal development. In almost all medical colleges, anatomy class precedes embryology or at least begin simultaneously with embryology even when the anatomy related subjects including embryology are operated as integrated process during the course of basic medical science curriculum. However in the medical college of Dankook University, embryology begins in premedical course and also precedes anatomy and other anatomy related subjects. This pattern of curriculum might have its own merit and there shouldn’t be any problem or difficulty in learning general embryology contents such as fertilization process, early weeks of development,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fetal membranes. However, the situation is somewhat different in learning system based embryology which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each human system during the embryonic period. As an attempt of prerequisite learning of anatomical knowledge before beginning each chapter of system based embryology, group presentation method was newly introduced to the embryology class. In this study, a survey analysis was performed in both presentation and non-presentation group. Common survey questionnaire for both presentation and non-presentation group was composed of previous experiences on embryology related subjects, necessities of knowledge on anatomy in learner’s aspect, and free comments on embryology class at large. For the presentation group, preferred methods and contents for the prerequisite learning of anatomy, relevances in the level of difficulty and length of presentation class, and preferred level of prerequisite learning of anatomy were added to survey questionnaire. In the results, necessities of knowledge on anatomy in learner’s aspect between presentation and nonpresentation group was differen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non-presentation group,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ents themselves hardly recognize the necessities of prerequisite learning because originally they had no experience on anatomy class. Therefor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ecedent effort of lecturer to supply diverse chances in prerequisite learning of anatomy is a high priority especially when embryology precedes anatomy or other anatomy related subjects.

      • KCI등재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해부학 업적과 사고

        채옥희(Ok Hee Chai),송창호(Chang Ho So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16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9 No.2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 예술가이다. 그는 예술가와 과학자, 발명가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고, 식물학과 수학, 지질학, 천문학, 기하학, 광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반열에 올랐을 뿐 아니라 오늘날의 과학에까지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레오나르도는 예술가와 과학자, 발명가, 철학자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사람과 동물들을 직접 해부하여 관찰한 후 많은 해부 그림들을 남긴 위대한 해부학자였다. 레오나르도가 해부학에 관심을 가졌던 이유는 - 화가는 해부학에 무지해서는 안 된다 - 라는 예술가의 관점에서 사람의 구조와 기능을 알기 위함이었다. 그는 사람 몸의 구조와 기능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고, 시체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체를 직접 해부하여 관찰하였다. 이러한 그의 해부학적 탐구와 심취로 말미암아 그는 동시대의 사람들보다 100년 이상 앞선 위대한 해부학 업적을 남겼다. 레오나르도가 남긴 뼈대와 근육, 혈관, 신경, 비뇨생식계통에 관한 1,800여 개의 해부 그림들은 높은 예술성과 함께 과학적으로도 매우 가치가 높은 걸작들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레오나르도의 해부학 분야의 업적과 사고를 살펴보고, 해부학 분야의 선구자인 레오나르도의 위대한 업적을 오늘날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하는 것이다. Leonardo da Vinci is remembered as the greatest genius of the Renaissance. He left outstanding achievements as an artist, scientist and inventor, and contributes up to today’s science. He ranks the best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botany, mathematics, geology, astronomy, geometry and optics. It has well known that Leonardo is an artist, scientist, inventor and philosopher. And he was a great anatomist that dissected dead bodies and animals directly and left many anatomical drawings. He took an interest in anatom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rtist, which is why the human body structure and function to know the sakes were “ignorant of the anatomy should not be upset.” Over time, he became interested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ody, even get the human body in a difficult environment; he dissected many the human bodies directly. His scientific inquiry and infatuation made him as an advanced pioneer for more than 100 years, and got enough level to surpass the artistry. Leonardo left about 1,800 anatomical figures of the muscular, skeletal, vascular, nervous and urogenital system, and they are also very scientific and high artistic achievement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Leonardo da Vinci’s anatomical achievements and thoughts. In addition, the goal is to knowledge today’s anatomists about Leonardo da Vinci’s astonishing achievements as a great pioneer in anatomy.

      • KCI등재

        가에타노 줌보의 해부학 밀랍 모형

        최병진(Choi, Byungjin) 서양미술사학회 2017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7 No.-

        본 논문은 역사적으로 발전해온 의학과 미술의 협업 관계를 고려해서 라 스페콜라 자연사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가에타노 줌보의 4점의 소극장과 〈두상의 해부학〉을 재조명한다. 특히 〈두상의 해부학〉은 의학사 분야에서 높이 평가받아왔지만 미술사 분야에서는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최초의 다색 해부학 밀랍 모형으로서 접근하는 대신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는 미술품으로서 접근했다. 이를 위해 〈두상의 해부학〉과 같은 시기에 제작된 4점의 소극장은 죽음에 대한 줌보의 생각을 보여준다. 〈두상의 해부학〉은 소극장을 작업한 후 볼로냐에서 인체를 재현한 과학적 지식을 접한 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소극장 그룹과 〈두상의 해부학〉이 연결고리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 과정에서 소극장 그룹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은 〈두상의 해부학〉의 표정이었다. 〈두상의 해부학〉은 해부학 밀랍 모형이라는 점에서 다시점이 적용된 내부 구조가 중요했다. 반면 작품에서 표피를 구성하는 인물의 표정이 지식의 전달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동시대의 작품들이나 이후 해부학 모델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명확하지 않은 감정 표현이 담긴 이 표정은 르네상스 시대 가우리코 이후의 평론에서 설명하는 ‘모호성’과 서사 구조의 특징이 담겨있으며 이는 바로크 시대의 극화된 서사 구조의 특성과도 잘 부합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토대로 동시대 가톨릭 종교개혁의 신학과 이미지에 대한 관점이나 죽음이라는 테마와 연관된 아졸리니와 같이 밀랍을 활용해서 제작한 종교적 봉헌물을 비교해본다면 <두상의 해부학>이 죽음과 연옥의 의미를 환기하는 문화적 혼유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연구는 의학과 미술 두 분야가 상호 융합된다기보다 상호 관점의 차용과 교환 속에서 각 분야를 발전시키면서 인간에 대한 의미체계를 함께 구성해나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the Anatomical Head of Gaetano Zumbo, the earliest known multi-colored anatomical wax model, in relation to his four teatrini – Vanitas of Great Human Being, Pestilence, Consequence of Syphilis, and Sepulchre – all of which are now on display in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of Florence, also called La Specola. Aside from being a rigorous anatomical model, the Anatomical Head may be viewed as a distinctive work of art exhibiting many of significan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Its facial expression, which is not an essential element of anatomical model, adds an artistic dimension which calls for some imaginative interpretations. It is posited that the Head’s facial expression is marked by certain ambiguities and epic styles that match the dramatic traits of Baroque art. It is also shown that the Head embodies the motif of death and the image of purgatory in reflection of the contemporary debates put forward by the Reformation and the Counter-Reformation movements. The Anatomical Head of Zumbo demonstrates how the two disparate fields of art and medicine could collaborate through the sharing of their respective perspectives so as to advance the system of knowledge concerning human beings and the culture.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최초로 발간된 해부학 교과서와 편찬 배경

        박형우(Hyoung Woo Park),박준형(Jun Hyoung Park)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6

        1885년 4월 10일 개원한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 제중원(광혜원)에서 1886년 3월 29일 한국 최초로 근대식 의학교육이 시작되면서 해부학 강의가 시작되었으나 해부학 교과서를 사용하거나 번역은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893년 내한한 에비슨은 제중원에서 의학교육을 재개하였고, 한국인 조수의 도움을 받아 그레이 해부학 책의 번역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던 번역은 원고를 분실하거나, 불에 타 없어짐에 따라 발간에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한국 최초의 해부학교과서는 그레이의 해부학 책이 아니라 일본인 이마다 쯔카네(今田 束)의 해부학 책을 번역하여 1906년에 발행되었으며, 1909년 재판이 발행되었다. 이 해부학 책은 에비슨과 제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 김필순에 의해 번역 출판되었다. 번역된 책을 원본과 비교해 보면 필요에 따라 그림을 삭제하거나 다른 그림으로 대체하였고, 본문 설명에 있어서도 한자로 된 것을 대부분 한글로 풀어 사용하였다. 또한 설명이 간결하게 되어 있는 이마다의 실용해부학의 내용은 모두 포함하되 필요에 따라 원문에 없는 설명이나 항목을 보충하였다. 에비슨과 김필순은 해부학 책의 번역에 자신들의 경험을 더함으로써 해부학책의 단순한 번역에 그치지 않고 해부학 책으로서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노력했던 것이다. The first hospital to practice western medicine in Korea, Chejungwon (제중원), was opened on April 10, 1885. Then on March 29, 1886, Chejungwon Medical School, Korea’s first school to teach western medicine, opened. While anatomy was taught at that time by missionary doctors, there was no Korean translation of an Anatomy textbook. Therefore, Dr. O.R. Avison, who reopened and took charge of Chejungwon Medical School on November 1, 1893, began translating the popular “Gray’s Anatomy” with the aid of Korean assistants. Although the text was translated twice, it was not published due one of the manuscripts having gone missing and the other having been lost in a fire. It wasn’t until 1906 when the first “Textbook of Anatomy”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3 volumes by Dr. Avison and Mr. Pil Soon Kim (김필순, the first graduate of Chejungwon Medical School in 1908). This translation was not based on Gray’s Anatomy, but rather on Imada Tsukane’s (今田 束) “Practical Anatomy”, which had been written in Japanese. During a previous translation, Dr. Avison and Mr. Kim referred to many Chinese and Japanese textbooks, especially for choosing the proper medical terms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s. With a basic understanding of how medical terms were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s, they decided to translate Imada’s textbook. The translation was completed within several months. When comparing the translated textbook with Imada’s original one, several pictures were deleted or replaced with others by the translators. Also, much of the narrative was reinforced in detail and new subtitles were used throughout the text. By modifying its contents, they evidently wanted to make this new translation more complete than Imada’s original. The text was republished in 1909, but could not be maintained or updated in successive editions due to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