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정리현황 검토

        최상기(崔尙基) 한국목간학회 2013 목간과 문자 Vol.11 No.-

        1차 사료가 부족한 한국 고대사 분야에서 목간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咸安城山山城에서 출토된 대량의 목간들은 중고기 신라의 정치, 경제, 군사 등을 살필 때 빠뜨릴 수 없는 소중한 실물 자료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산산성 목간 관련 간행물, 연구성과들이 다수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산산성 목간에 대한 체계적인 번호 부여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연구 과정에서 오류,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 요인이다. 발굴보고서, 현장설명회 자료집의 경우 한 간행물 안에서도 번호 부여 방식이 여러 가지이며, 각 간행물마다 매번 목간 번호가 1번부터 시작하므로 일관적인 파악이 어렵다. 《韓國의 古代木簡》, 《韓國木簡字典》은 현재까지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본 자료집이다. 그러나 다른 간행물들과의 연속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부여한 번호도 아직 문제점이 있어 그 형식을 한국에서 출토된 목간들에 일괄 적용하기 어렵다. 여러 종류의 번호 부여 방식이 혼재한 상황은 연구성과의 작성 단계부터 문제가 되며, 이로 인해 연구사의 신속, 정확한 파악도 곤란하다. 번호부여 방식을 비롯해 성산산성 목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는 학문후속세대의 연구 지속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과제이다. 차후 새로운 번호 부여 방식을 마련할 때에는 해당 목간의 출토 장소, 출토 연도, 일련번호를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틀을 갖춰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 신자료

        양석진(Yang, Seok-jin),민경선(Min, Gyeong-seon)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4

        함안 성산산성은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광정리 조남산(해발 139.4m)의 정상부 능선을 따라 조성된 테뫼식 산성이다. 1991년부터 2012년까지 16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신라 석축산성으로 협축식 체성벽과 동·서·남쪽의 문지 3개소, 축조기법 및 구조, 부엽공법 및 배수시스템 등이 확인되었다. 성산산성이 입지한 지형은 성벽이 축조된 산 능선의 안쪽으로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는 오목한 형태이다. 특히 동쪽으로는 골짜기가 형성되어 이 일대에 자연적으로 집수가 이루어진다. 이에 대비하여 부엽공법을 이용한 기초와 체계적인 배수시설을 공고히 조성하였다.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목간은 1992년(2차) 동문지 주변 일대 발굴조사 시 6점이 출토된 이래 총 285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현재까지 국내 단일 유적에서 가장 많은 출토 수량이며, 모두 동성벽 내 하부 부엽층에서 다양한 목제품, 유기물 등과 함께 출토되었으며, 맥락상 정형성 없이 산발적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최근에 소개된 2011~2012년(16차) 동성벽 일대 발굴조사 시 출토된 목간들은 14점이다. 이들 목간의 수종은 소나무가 대부분이고 감나무가 1점이 확인되었으며, 대부분 작은 나뭇가지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전반적으로 끝이 파손, 결실되었으나 거의 완형으로 남아 있는 것은 길이가 17~20㎝ 정도이다. 묵서는 양면 묵서 목간이 7점, 일면 묵서 목간이 5점, 묵서가 확인되지 않은 목간이 2점이다. 판독된 묵서 내용과 구성은 기존에 보고된 성산산성 목간들과 거의 유사하다. ‘古?’·‘甘文城’ 등의 지명, ‘稗’· ‘?’과 같은 곡물명과 수량 등의 묵서가 확인되어, 이들 역시 하찰목간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일부 목간은 묵서의 흔적만 확인되는 경우가 있고, 묵서 중 ‘?’와 같이 다른 자(‘本’ 또는 ‘彼’)의 가능성도 제기되기도 하였다. 또한 ‘三月中鐵山下?十五斗’(3월 중 철산 아래 보리 15두)로 판독된 묵서의 경우, 맥락상 ‘下’와 ‘?’을 분리하여 풀이하였는데, ‘下?’이라는 지명으로 풀이되는 경우도 있다. 함안 성산산성의 목간의 내용이 명확하게 판독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묵서의 서체와 의미 판독 및 분석이 과제로 남아 있다. 현재 함안 성산산성은 제17차 발굴조사가 진행 중이며, 목간이 다수 출토되고 있어 추가 확보된 자료를 통해 아직 풀지 못한 묵서 내용을 해독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The Sungsan fortress is a Peak-banding style fortress located in Jonamsan(Mt), Gwangjeong-ri, Gaya-eup, Haman-gun. It has been found to be the fortress built with the processes, such the leaf mat method (Boo-Yup in korean), gate and drainage facility through 16th times excavations from 1991 to 2012. The Seongsan fortress’s location is a concave form and the mountain ridge inside has a gently slope. In particular, the east valley naturally makes water catched. In preparation for water, systematic drainage facilities was built by floating leaf method. 285 pieces of wooden tablet in the Sungsan fortress were excavated since investigation for the east gate in 1992. It is the highest quantity in the nation`s single site and all various wood products, and organic materials were excavated within a secton of the leaf mat method in the east city wall. The latest excavated wooden tablets were excavated from the east city wall section. These wooden tablets, species of woods are mostly pine tree and one persimmon tree were identified, also twig were used. Generally, these wooden tablets have end damage, but some remain almost perfect condition about 17 to 20 centimeters long. The amount of both sides ink mark are seven and one side ink mark are five, ink marks are not found on two wooden tablet. The wooden name list of tax supplies was compared in terms of the shape and writing style, so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wooden tablets show the same style of shape and the same writing style. Wooden tablets were written with grain’s name such as 「稗」 and 「?」 and the names of places such as 「古?」 and 「甘文城」. In the case of 「三月中鐵山下?十五斗」, the meaning of 「下?」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isrt, it is interpreted the meaning of the names of places. Second, it is the meaning of seongha as ‘under the jurisdiction of fortress’ and tax items A lot of Wooden tablets were not clearly interpreted. so these now need the task of typeface and the meaning and analysis of the ink mark. now the 17th excavation is ongoing. We expect that more wooden tablets will be excavated. Through new wooden tablet, I hope that wooden tablets ink mark can be interpreted exactly.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부엽층과 출토유물의 검토

        이주헌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6

        함안 성산산성은 성벽의 축조과정과 유물의 출토맥락을 잘 보여주는 층서관계 등 양호한 고고 학적 자료가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성벽의 초축 시기를 간략한 내용으로 구성된 수점의 하찰목간 에 의해서만 비정되어 왔다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목간과 토기 등의 유물 이 다량 출토된 동성벽 구간의 축조과정과 부엽층과의 관계 및 부엽층의 구조, 나아가 목간과 함께 공반된 토기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함안 성산산성의 축조시기를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그 결과 함안 성산산성 동성벽의 축조는 계곡이라는 지형적인 한계에 적절하게 대응했던 신라 인의 뛰어난 토목공법기술을 잘 보여주는 곳으로, 먼저 나무울타리시설을 설치하고 그 속에 각종 목기와 식물・동물유기체를 의도적으로 매납한 부엽층을 축조하였다. 부엽층의 상부는 점질토를 높게 성토하여 구지표면을 만들면서 동시에 동성벽 구간을 이중으로 축조하는 방법으로 유수에 의한 성벽의 붕괴를 막고 곡부에 축조한 성벽의 안전을 유지하고자 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부엽층의 축조에 사용된 재료들은 각종 유물의 출토양상으로 보아 당시의 생활쓰레기였으며, 목 간 및 목기를 비롯한 각종 유물들은 단기간에 마련된 부엽층 축조를 위하여 다른 장소에서 성산 산성으로 이동하여 왔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또한 목간과 공반된 토기 가운데 비교적 많은 양이 출토된 소형완의 경우 구연부가 수평상을 이루며 구연단이 뾰족하게 처리되는 등의 발달된 형태를 하고 있는 점은 산성의 초축 시기를 판 단하는데 주목된다. 이 토기는 경주 방내리 38호묘・월산리 B-5호묘・사천 향촌리Ⅱ-1호묘 출 토품과 매우 유사하며, 공반된 유물과 서로 비교될 수 있는데, 이는 수적형문이 출현하여 각종의 인화문과 결합하여 유행한 7세기 전반의 늦은 시기에 함안 성산산성이 초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목간과 공반된 토기의 연대를 기준으로 부엽층에서 다량으로 출토된 목간의 사용과 폐기시 점의 하한도 기존의 해석과는 달리 7세기 전반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Wooden tablet is well appreciated as the raw material of the local procurement and distribution of goods in order to govern the province in the Shilla era. However construction time is decided by a few wooden tablet even though Sungsan sansung fortress have an abundance of archaeological relics that shows process of construction of walls in Sungsan sansung fortress I think that archeologist have a duty of reveal the time of construction through the Pottery analysis of data and structure of the organic horizon e pottery excavated with wooden tablet that it was identied as the 7th century so, Haman Sungsan sansung fortress construction time is able to decide the early 7th century. Consequently the period of the use and disposal of the wooden tablets should be marked down by the early 7th century as it based on pottery data.

      • KCI등재후보

        함안 성산산성 부엽층과 출토유물의 검토

        이주헌(Lee, Ju-heun)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4

        함안 성산산성은 성벽의 축조과정과 유물의 출토맥락을 잘 보여주는 층서관계 등 양호한 고고학적 자료가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성벽의 초축 시기를 간략한 내용으로 구성된 수점의 하찰목간에 의해서만 비정되어 왔다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목간과 토기 등의 유물이 다량 출토된 동성벽 구간의 축조과정과 부엽층과의 관계 및 부엽층의 구조, 나아가 목간과 함께 공반된 토기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함안 성산산성의 축조시기를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그 결과 함안 성산산성 동성벽의 축조는 계곡이라는 지형적인 한계에 적절하게 대응했던 신라인의 뛰어난 토목공법기술을 잘 보여주는 곳으로, 먼저 나무울타리시설을 설치하고 그 속에 각종 목기와 식물·동물유기체를 의도적으로 매납한 부엽층을 축조하였다. 부엽층의 상부는 점질토를 높게 성토하여 구지표면을 만들면서 동시에 동성벽 구간을 이중으로 축조하는 방법으로 유수에 의한 성벽의 붕괴를 막고 곡부에 축조한 성벽의 안전을 유지하고자 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부엽층의 축조에 사용된 재료들은 각종 유물의 출토양상으로 보아 당시의 생활쓰레기였으며, 목간 및 목기를 비롯한 각종 유물들은 단기간에 마련된 부엽층 축조를 위하여 다른 장소에서 성산산성으로 이동하여 왔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또한, 목간과 공반된 토기 가운데 비교적 많은 양이 출토된 소형완의 경우, 구연부가 수평상을 이루며 구연단이 뾰족하게 처리되는 등의 발달된 형태를 하고 있는 점은 산성의 초축 시기를 판단하는데 주목된다. 이 토기는 경주 방내리 38호묘·월산리 B-5호묘·사천 향촌리Ⅱ-1호묘 출토품과 매우 유사하며, 공반된 유물과 서로 비교될 수 있는데, 이는 수적형문이 출현하여 각종의 인화문과 결합하여 유행한 7세기 전반의 늦은 시기에 함안 성산산성이 초축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목간과 공반된 토기의 연대를 기준으로 부엽층에서 다량으로 출토된 목간의 사용과 폐기시점의 하한도 기존의 해석과는 달리 7세기 전반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Wooden tablet is well appreciated as the raw material of the local procurement and distribution of goods in order to govern the province in the Silla era. But construction time is decided by a few wooden tablet even though Sungsan sansung fortress have an abundance of archaeological relics that shows process of construction of walls in Sungsan sansung fortress I think that archeologist have a duty of reveal the time of construction through the Pottery analysis of data and Structure of the organic horizon The pottery excavated with wooden tablet that it was identified as the 7th century so, Haman Sungsan sansung fortress construction time is able to decide the early 7th century. consequently the period of the use and disposal of the wooden tablets should be marked down by the early 7th century as it based on pottery data.

      • KCI등재

        신라 법흥왕대 ‘及伐尺’과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役法’

        박남수(Park, Nam-soo)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40

        최근에 성산산성 목간의 ‘及伐尺’을 바탕으로 제시된 신라 초기 외위제 정비과정에 대한 견해와 관련하여, 법흥왕대 경위 17관등제 성립 여부를 비롯하여, 及伐尺과 壹金智의 관계를 살피고자 하였다. 아울러 성산산성 제17차 발굴보고에서 공개된 진내멸촌주 사면목간을 석독하여 村使人 及伐尺의 직임을 살피고, 성산산성 출토 목간이 세금 꾸러미에 대한 하찰목간이 아니라 축성에 동원된 입역자들이 입역기간 동안 소용되는 개인별 식량에 대한 부찰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진내멸촌주 사면목간에 개인별 식량(私糧)을 규정한 法은 당나라의 부역령 가운데 역역동원에 관한 규정으로서, 공사기간, 역역동원 방식, 공사 구역을 비롯하여, 丁役과 匠人의 立役을 막론하고 번상제나 이에 필요한 경비, 도구의 징발 및 급여 등에 대한 규정을 포괄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또한 최근에 보고된 성산산성 17차 발굴보고의 목간 가운데 보이는 ‘壬子年’의 기년에 주목하여,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제작시기를, 성산산성 출토 문서목간의 문장형식, ‘上干支’와 ‘大舍下智’ 등 관등 표기 방식과 비교하여 법흥왕 19년(532)의 임자년으로 판단하였다. 이 시기는 함안을 위요한 지역에서 신라와 백제가 각축을 벌이던 때로서, 《삼국사기》 지리지 咸安郡조에 보이는 법흥왕의 阿尸良國멸망 기사는 신라측에 전승된 자료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졌다. Recently, opinions on the organization process of the official rank system in the provincial government(外位, Oewi) in the early Silla have been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letters ‘Geupbeolcheok(及伐尺)’ written on the wooden tablets. Related to these opinions, this article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Geupbeolcheok and Ilgeumji(壹金智) including whether the 17 central government rank system(京位, Gyeongwi) was established under the King Beopheung or not. Additionally, interpreting the contents in a four-side wooden tablet recorded by Jinnaemyeolchonju introduced in the 17<SUP>th</SUP> research report of Sungsan mountain fortress, it was found that Chonsain(村使人) is a duty of Geupbeolcheok. Also, it was examined that the wooden tablets for name list of supplies was not about the tax in kind but about individual food stuffs(私糧) consumed by mobilized laborers for the construction of fortress during their statute labor period. In particular, the rules in the four-side wooden tablet was about the mobilization of statute labor, to compare the Labor Service Law of Tang. It includes the construction period, the mobilization system, the construction area as well as the duty rotation, expenses, requisition for tools and equipments and payment. In addition, focusing on "the year of Imja(壬子) in the sexagenary cycle’ written on a wooden tablet introduced in the 17<SUP>th</SUP> research report of Sungsan mountain fortress in Haman, it was assumed that this wooden tablet could be made in ‘the year of Imja(壬子)’, the 19<SUP>th</SUP> year(532) of King Beopheung’s reign, as a result of comparing sentence structures and transcriptional system of official rank such as ‘Sangganji(上干支)’ and ‘Daesahaji(大舍下智)’ shown in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the Sungsan mountain fortress with other monumental inscriptions. That was the period in which Silla and Baekje was vying with each other for the domination on the area around Haman. Considering such a situation, it is possible that the record on the collapse of Asiryangguk(阿尸良國) by King Beopheung shown in the article ‘Hamangun’ in History fo Three Kingdoms(Samguksagi) could be based on the source handed down to Silla.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 -壬子年 해석을 중심으로-

        李鎔賢(Lee, Yong-hyeo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종래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는 함안 즉 안라가 멸망하는 561년을 중심으로 해서 6세기 중엽으로 보았다. 이후 임자년 기년 목간의 출현이 출현하였고, 또 목간 출토층인 동성벽 부엽층에서 공반된 신라 토기가 6세기 말 혹 7세기 초로 편년되었다. 아울러 부엽층의 일괄 목간은 같은 시기에 폐기되었을 것이며, 이들은 산성 축조와 관련하여 길지않은 일정 시기에 제작 활용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임자년을 592년으로 비정하고 부엽층에 일괄 매립된 254점의 목간이 일괄품이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함안 성산산성 목간은 592년을 중심으로 한 시기에 제작 운송 매립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어 그러한 편년을 중심으로, 592년에 앞서 589년 통일제국 수의 등장과 연동된 동아시아의 긴장과 격동에 주목하였다. 591년 경주 남산신성의 축성 사업 등과 연계하여, 수 나라의 중국 통일과 대제국 출현이라는 충격 속에서, 고구려-백제-신라와 왜가 연동하여 대응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서 왕경의 남산 신성 축성과 함께, 지역의 요충인 함안 성산산성의 축성을 해석하였다. Traditionally, the era of Wooden Tablets in Seongsan Fortress in Haman was regarded as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focusing on 561 years after the fall of r Anra. Later, a Wooden Tablet dating back to the year of 壬子年 appeared, and Silla earthenware, which was supplied from the wooden foundation, was divided into the late 6th century and early 7th century. In addition, the collective Wooden Tablets of the lower layers would have been discarded at the same time. Collective Wooden Tablets may have been produced and used at some time in relation to fortress construction. It was determined t hat 254 Wooden Tablets buried in culinary layer area would have been considered as a collective item, as the year of the owner was 592 years old. Accordingly, it was deemed that the wooden section of the fortress was manufactured and transported around 592 years ago. Then, focusing on the division, the East Asian tension and turbulence linked to the emergence of the unified empire in 589 prior to 592 was noted. In 591, the construction of the Haman fortress was interpreted as a key element of the area,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palace ie. Namsan Sinseong fortress or evacuationfor, as part of the process of cooperating with Goguryeo, Baekje, Silla, and Wa, Japan in the aftermath of the unification of China and the emergence of the Great Empire Sui隋.

      • 함안 성산산성(城山山城) 출토 목간(木簡)과 6세기 신라의 지방경영

        이용현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2 동원학술논문집 Vol.5 No.-

        경남 함안 소재 성산산성(城山山城)은 1991년부터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가 주관하여 발굴했다. 1994년 조사 시 산성 동문 터 부근의 뻘층에서 묵서목간(墨書木簡) 약 30점이 출토되었다. 1998년 보고서가 출간된 이래로,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와 한국고대사학회의 공동기획연구를 계기로 함안산성 출토 목간에 대한 연구가 집적되었다. 본고는 필자의 논고 「함안 성산산성 목관과 신라의 지방경영」(2000)을 보완한 것이다. 기존 연구를 검토해나가면서 논점을 정리하고, 목간의 외형과 내용을 분석하여 그 성격을 규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그간 주목되지 않았던 가야에서 신라로 옮겨가는 전환기 안라(安蘿, 지금의 함안) 지역의 역사와 6세기 중엽 신라의 지방경영 프로세스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의미와 서체 : -17차 발굴조사 성과 발표문을 중심으로-

        손환일(Son Hwan il) 한국사학사학회 2017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5

        함안성산산성 출토 목간은 592년(진평왕 14) 왜의 침입에 대비한 병력의 집결에 사용된 공출물표와 문서이다. <임자년명물표>는 592년 사용되었던 공출물표이며, <대법목간(代法木簡)>은 가장 이른 시기의 묵서 법집행보고문건이다. <대법목간>은 지방관인 촌주의 기록으로 관위는 외위 6~1위에 해당하였을 것이다. 이들은 최초의 묵적으로 확인되는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여 방어 준비를 위한 문서와 공출물표들이다. 사경에 주로 사용된 ‘宍’자의 사용을 통하여 592년(진평왕 14)에는 불교문화가 일반화되었다는 점도 알 수 있다. <대법목간(代法木簡)>을 통하여 신라 해서법의 수용은 적어도 592년 전으로 생각된다. 지방관인 촌주가 해서법을 정확하게 구사한 점은 그 만큼 해서의 수용과 유행에 익숙해져 있음을 말해준다.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Seongsansanseong Fortress of Haman-Gun(함안성산산성), and assembly used in the baggage identification tag of the troops against the invasion of Woae(倭). <A law to replace wooden tablets (代法木簡)> thehandwritten document and law enforcement report of the earliest. <A law to replace wooden tablets (代法木簡)> local management, the Chief of the record on tube into the surroundings. management office Position(官位) Local management office Position(外位) 6 to 11 ranking. 592 in Buddhist culture through the use of ‘宍’ is also know that common. 592 years ago, the acceptance of Silla The right form(楷書) for at least considered. Chief, local management, and exactly how to write because as much as the point is that the acceptance of and trends used to tell.

      • KCI등재

        阿羅 波斯山 신라 城의 위치와 城山山城 축조시기

        徐榮敎(Seo, Young-kyo)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6 No.-

        필자는 이 글에서 신라가 백제-왜와의 전쟁에서 함안지역을 어떻게 운영하였는가의 문제를 추구했다. 함안은 지리산 운봉고개를 넘어 남강을 따라 내려온 백제군과 마산 진동만에 상륙하여 대티 고개를 넘어 남강유역으로 들어온 왜군의 연결장소이다. 『일본서기』 기록을 보면 531년 백제는 倭로의 접근이 용이한 安羅(함안)로 군대를 진군시켰고, 그곳의 乞乇城에 주둔했다. 이는 529년 신라가 김해가야를 대대적으로 약탈한 후 취해진 백제의 조치였다. 561년 安羅를 점령한 신라는 왜군의 침공에 대비해 아라 파사산에 축성을 했고, 이는 今西龍이 언급했고, 최헌섭이 발견한 大峴關門城으로 보인다. 축성의 목적은 백제와 왜의 연결 차단이다. 신라와 백제 왜 사이에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함안지역에 축성과 보축이 단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591~595년 왜국의 실권자 蘇我馬子가 왜군 2만을 筑紫에 주둔시켜 신라의 병력을 남쪽에 묶어 놓은 가운데 고구려 溫達장군이 충북 단양의 阿旦城을 포위했고, 결전이 벌어졌다. 602년 신라 진평왕은 함안에 지휘본부를 설치하고 진동만으로 상륙할 가능성이 있는 왜군을 견제하면서 동시에 지리산 운봉에 병력을 투입하였다. 624년 지리산을 돌파하여 함양(속함성)으로 진입한 백제군은 이후 함안을 위협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642년 대야성을 함락시킨 후에는 백제의 지배하에 들어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6세기末에서 7세기 중반에 걸쳐 함안 지역에 축성이나 성 보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성산산성에서 발굴된 壬子年(592년) 목간은 倭의 침공에 대비한 신라의 움직임을 말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日本書紀』를 보면 591~595년 602~603년 왜군 2만 2만 5천이 筑紫주둔하여 신라를 위협했다. Haman is an eclectic area which Beakje-Yamato Japan can connect. In 531 years Beakje troops going to Haman Keoltak Castle where close the harbor to Japan. In 561 years Silla built a castle on a mountain Pa in Haman to preparation for the invasion of Japan. Baekje army that transgress Jiri MT has descended along the Nam river. If the Yamato Japan army landed in Masan Jingdong bay and they came into the Nam river, Japan army can connect with Baekje army in Haman. War occurs or tensions between Silla and Baekje allied forces, Silla built up a castle on Haman. In 602 years Silla King Jinpyeong installed in the headquarters on Haman and checks Yamato Japan army. By putting troops on the Jiri Mt unbong blocked Baekje army. In 624 years Baekje army to break through the Jiri Mt had entered into Hamyang. Baekje army is highly likely that threaten the future Haman, 642 years after the fall of the Daeya Castle, There are the possibility of Haman went under the rule of Baekje army. Throughout seventh century, the castle will continue to have been builded in Haman.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제17차 발굴조사 출토 목간 자료 검토

        최장미(Choi, Jang-mi) 한국목간학회 2017 목간과 문자 Vol.0 No.18

        함안 성산산성(사적 제67호)유적은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1991년 발굴조사를 시작하여, 1992년에 동성벽 부근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목간 2점이 확인되어 주목을 받았다. 이후 동성벽 안쪽의 부엽층에서 308점의 목간이 출토되어, 우리나라 단일 유적으로는 최대 목간 출토지가 되었다. 고대사 연구를 위한 기록문화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당시 사람들이 쓴 기록이 그대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목간 사용 시기의 지역명, 인명, 조세체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2014~2016년에 진행된 함안 성산산성 제17차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목간 23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사면에 모두 묵서가 있는 사면목간으로, 기존 성산산성에서 확인되지 않은 경위 관등명(大舍)이 확인되고, ‘무슨 법 30대’, ‘60일 대법’ 등 당대 율령체제를 엿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문서목간이다. 그 외에도 구리벌의 2가지 표기법, 외위 관등명인 거벌척(居伐尺) 등도 확인되어, 우리나라 목간 연구뿐만 아니라 고대사 연구에 획기적인 성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1991, the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been surveying Seongsansanseong Fortress. Meanwhile, since the initial discovery of two mokgan (wooden writing tablets) during the 1992 investigation, nearly 308 other such tablets were discovered in the section near the east gate site, making this site the largest archaeological site in the country, in terms of wooden writing tablets. Those are rich sources of historical information that they offer precious clues about the lifestyle, name of person and tax system that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fortress was in use. This research paper was studied about 23 of wooden writing tablets that discovered during 2014 to 2016 and one wooden writing tablet that the inscription are written in ink on four side was found. The interesting thing is, it contains specific character which represents social class in Silla (particularly in capital, Gyeongju) such as 大舍 and law system such as □代, 60日代法. Moreover Guribul(仇利伐, the one place name of Silla) were confirmed on wooden tablet and it was written in two different types. I hope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 not only wooden writing tablets studies but also primary sources of ancient history and valued for glimpses of ancient societies they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