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와 철학 : 한국사회과학의 자생적 성장: 한국 전통 정치사상의 현재화 모색을 중심으로

        안외순 ( Woe Soon Ah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1 No.-

        한국 전통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그것을 통해 어떤 형태로든 현재적 메시지를 얻기 위함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전통 정치사상 연구는 이 점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 어렵다. 때문에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과학의 자생적 발전을 위해 한국 전통 정치사상의 현재화(現在化, the present orientation)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지금까지 진행된 그것의 당대화를 위한 기존의 연구사적 노력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전까지의 정치사상 혹은 지적유산들을 당대화하려는 노력으로서 근대 이전의 것으로는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근대로의 이행기의 성과로는 유길준과 안확의 노력을, 현대 이후의 노력에 대해서는 근대 이전의 전통 한국정치사상에 대한 현대적 연구방법론적 고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 시점에서 한국 전통 정치사상을 현재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총론적으로는 현대 정치사상의 보편적 문제의식과 전통 정치사상의 공유 및 소통작업이 필요하다는 점, 그러나 이는 반드시전통 사상의 당대 역사적, 사상사적 맥락에 대한 깊은 이해 위에 가능하다는 점, 전통 정치사상 연구의 결과와 교훈을 보다 적극적으로 현실문제의 대안 혹은 처방으로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각론적 논의로는 고금을 통해 정치현상에 보편적인 핵심 개념, 주요 정치사상가들, 군주나 재상 등 주요 정치주체의 인식, 경연과 서연, 향교, 성균관, 서원 등 정치주체들의 정치교육, 유교적 법치와 예치 등 정치수단, 여말선초를 분수령으로 하는 유교와 불교의 정치이념적 위상과 그 역전상황에서의 긴장, 대립, 공존의 논리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seek measures to bring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 thoughts into the present ultimately in order for the Korean social science to have self-sustainable development. The eventual purpose of examining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 thoughts is to obtain a present-oriented message - no matter what form it takes - from the ideas. However, studies on these political thoughts that have been conducted up to now have not shown satisfactory result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 researched the existing historiographic efforts to trace back related studies; for the efforts made in the pre-modern time to trace back the past political thoughts or intellectual heritage,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of Kim Bu-Shik was examined; for the transition era into the modern times, Yoo Gil-Jun and Ahn Hwak`s efforts were studied; and, for the efforts made until today, the modern-style research methodological arguments toward the traditional Korean political thoughts of the pre-modern era were researched. And the measures to apply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al thoughts in the present times were, then, provided into two sections - introduction and itemized discussion. The introduction mainly discussed the necessity of common critical minds toward the modern political thoughts,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works of traditional political ideologies - yet with the point that these should be possible under the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context of the traditional thoughts - and of efforts to offer the results and lessons of the studies on traditional political thoughts as alternatives or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s of reality in a more active way. The itemized discussion provided the necessity of studies on the following matters: core concepts reflected generally in the political phenomena now and then, the main political thinkers, the recognition of main political subjects including kings and prime ministers, their political education through Kyungyon and Seoyon (royal education especially for those soon to be kings), Hyanggyo (national Confucian high schools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Sungkyunkwan (the highest-level education organization in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s), Seowon (private Confucian high schools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etc., political measures such as Confucian governing law and manners, the political ideological statu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ith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s as turning point, and the logic of tension, conflict, and co-existence during the transition.

      • KCI등재

        명리와 한국 전통색의 비교분석을 통한 음양오행사상의 고찰

        박지영(JiYo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4

        본 연구는 음양오행사상에 근거한 사유적(思惟的) 응용철학에 의한 명리의 오색(五色)과 한국전통색 오방색(五方色)의 원리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명리와 한국전통색의 색채원리는 구조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음양오행사상에서 생성된 명리의 오색과 한국전통색 오방색은 한국전통의 순환적 사유의 전일주의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한국전통색의 대표적인 색으로 인식되어져 있는 오방색은 색채체계와 구성이 전통적인 범위에서 이해할 수 있었으며, 명리의 오색 역시 구조적 범위가 동일하였다. 결국 명리와 한국전통색의 도식구조를 분석해 본 결과 두 원리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해석적인 접근방법에서 실생활에 적용시키는 것에서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한국전통색 체계를 보다 더 실용화하기 위한 색채기호의 도식화를 위해서는 상징적인 개념이 재정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전통색채의 활용범위와 접목을 보다 넓게 확대하기 위한 관련분야의 연구도 아울러 병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tries to compare between five colors of Myeongri and Obang color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based on The Five Elements Though through applied philosoph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at there are no structural differences in color principal to the Myeongri and Korean Traditional Colors. Both of five colors of Myeongri and Obang Color stem from Korean traditional thought, which can be understood with Korean representative colors. Therefore, two principals are not different systems through the analyze of diagram compare. However, it is need to reestablish symbolic principal for much more practical uses. Through these efforts, related researches will be plenty.

      • KCI등재

        한국 조화 정신의 응용 윤리학적 접근 모색 - 고등학교 교과서 『생활과 윤리』의 내용을 중심으로 -

        배문규 ( Mun-kyu Ba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조화(調和) 정신을 응용 윤리학에 적용하여, 고등학교 윤리 교과서 『생 활과 윤리』의 주제와 내용에 실제로 서술이 가능함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당위적인 규범의 인지 및 행동을 요구하는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을 현대 사회의 윤리적 갈등 문 제 해결을 중시하는 응용 윤리학의 내용에 적용하여 서술한다는 것은 어려운 면이 있다. 하지만 한국 전통 윤리 사상들 중에서도 한국 조화 정신은 응용 윤리에 접근할 수 있는 탄력적인 사상이 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이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첫째, 한국 전통 윤리 사상 중에서 조화 정신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많은 한국 전통 윤리 사상 중에서 조화 정신이 가진 탄력적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개진하고자 한다. 둘째, 응용 윤리학의 의미와 교과서 『생활과 윤리』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생활과 윤리』에 서술 된 한국 전통 윤리 내용을 찾아보고자 한다. 셋째, 한국 조화 정신을 교과서 『생활과 윤리』의 주제 내용에 응용하여, 그 적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고, 교과서 주제 내용을 한국 조화 정신에 입각하여 서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우리 한국에서 생겨나는 윤리적 문제들의 해결 방법은 우리 한국 전통 윤리 사상 에 그 해답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 전통 윤리 사상들도 서양 윤리학처럼 응용 윤리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모색해 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k whether the actual narration of the theme and contents of high school ethics textbook < Living and Ethics > by adapting the Korean spirit of harmony to applied ethics. Adapting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 which requires normative recognition of standard and behavior to applied ethics which emphasizes resolution of ethical conflicts in modern society and narrating is quiet complicated. However, the spirit of harmony among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appears to be flexible enough to approach the applied ethics. Therefore, this study will review the contents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harmony in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will be studied. And the flexible elements of the spirit of harmony among various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will be stated. Second, the connectivity between definition of applied ethics and text book < Living and Ethics > will be examined to seek narrativ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ethics in < Living and Ethics >. Third, the study will apply the Korean spirit of harmony to the theme and contents of textbook < Living and Ethics >, examine the applicability, and describe the theme and contents of textbook based on the Korean spirit of harmony. The researcher believes the resolution for ethical problems in Korea has its answer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Therefore, I will set forth that the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are able to be applied to applied ethics as the western ethical thoughts are.

      • KCI등재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현황과 과제

        부남철(Pu Nam Chul)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 No.1

        한국정치사상은 있는가? 그간 정치학계에서는 정치학의 현황과 과제를 논의할 때마다 한국정치사상 연구와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1970년대 이후 학자들의 개인적인 노력에 의해 한국정치사상 분야가 개척되었고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이후에는 한국정치사상을 전공하는 학자들이 급증했다. 이들에 의해 다수의 연구 논문이 각종 학술지에 게재되었고 전문 연구서도 활발하게 출판되었다. 현재 전문 학회가 설립되었을 정도로 한국정치사상 분야는 양적으로 성장했다. 그렇지만 그 연구대상이 주로 전통사상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아직도 한국정치사상 분야가 학문적으로 철학이나 역사학과 어떻게 다른지 그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심지어는 이런 연구가 정치학이냐는 질문을 받기도 한다. 문제는 결국 한국정치사상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것인데, 학계에서는 지금까지 개별적으로는 한국정치사상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되었지만 그런 성과를 학문적으로 의미 있게 통합하는 공동의 노력은 부족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정치사상사 전공학자들 사이에서 공유하는 연구 대상, 범위, 방법 등에 대한 인식 형성이 미약했다. 한국정치사상의 연구 본령과 방법이 고정된 것은 아니지만, 현단계에서 한국정치사상의 연구현황과 방법에 관해 논의했던 글에서 제기되었던 쟁점을 살펴보면서 한국정치사상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해본다.

      • KCI등재

        한성준의 한국 전통춤 사장 : 승무를 중심으로

        백현순;이예순;강미선;김현남;이현진 한국무용연구회 2007 한국무용연구 Vol.25 No.1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movement of Buddhist dance, recognized as the most artistic one of Han sung Jun’s dances and from this draw the idea on Korean traditional dance. First, to summarize the idea on Buddhist dance, on the basis of his biography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times, it is believed that the East would look upon the sky as the president of the universe and the origin of life as God; carry out the religious rituals as to natural phenomenon along with human beings. The spiritual thought during the ceremonies is certain to immanent in current Buddhist dance. Buddhist dance is also called “Bǔm-pae”, which means i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Buddhism. And his dance seems to be associated with Buddhism in a degree. The fact, however, that his dance ultimately has not any meaning in it, demonstrates Buddhist dance has the idea of emptiness, that is, “to stay at the quiet state without any mental affliction.” Second, the analysis of his dance shows that the principal motion of Buddhist dance is being represented as Pil-che, Hak-che and Goong-che. In other words, the stirring movement reveals that his dance certainly has a set pattern of points(Pil-che), lines(Hak-che) and circles(Goong-che); It is equivalent to the shape and spirit of the Endless(Mu-kǔk) and the Great Absolute(Tae-kǔk) in the eastern philosophy. Both of them are to result in ǔm-Yang and in this way, the idea of Takǔkǔmyang is obviously indwelling in Buddhist dance. 본 논문은 한국 전통춤의 맥을 이어 온 한성준의 승무를 대상으로 그 춤의 연원(淵源)과 춤사위의 구조(構造)룰 밝혀 춤의 실체인 한국 전통춤을 철학해 보고자 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성준 춤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그 시대적 배경에 따른 승우 춤 사상을 정리해 보면 동앙에서는 천(天)·신(神)에게 제사지내는 제천의식을 행해 왔는데 이때 행해지는 천신사상이 오늘날 승무 춤 속에 내재되어 있으며 또한 승무는 불교의식인 범패에서 기원 되어 성행된 것으로 볼 때 승무가 불교사상인 공사상(空思想) 깊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성준 승무의 춤사위를 분석해 보면 승무 춤의 대표적인 춤사위가 필체(筆體), 학체(鶴體), 궁체(弓體)로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동양철학에 있어서 무극(無極)과 태극(太極)구조의 형상과 맥을 같이함을 알 수 있다. 무극과 태국은 곧 음양으로 귀결되며 따라서 승무 춤사위에는 태극음양사상(太極陰陽思想)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전통춤은 익히 알다시피 악(惡), 가(歌), 무(舞)가 함께 어울려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한국인의 정서와 사고를 복합적으로 배태(胚胎)한 것이므로 한국 전통춤을 단순히 하나의 사상만으로 채울 수 없으므로 이상과 같은 결론은 한성준의 승무 춤에 내재되어 있는 한국춤 정신의 극히 일부분일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무 춤 속에 녹아있는 본질적 사상을 유추해 보고자 한 것은, 한국 전통춤의 대표적언 춤인 승무를 통해, 한국인의 정신인 춤 사상에 함축되어 있는 민족성을 도출해 낼 수 있는 바탕의 자료를 제시코자 한 것이다.

      • KCI등재

        박종홍에서 ‘전통’의 문제(2) - ‘우리의 철학’ ‘한국사상’을 중심으로 -

        박영미 ( Park Young Mi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박종홍은 서양철학 1세대와는 달리 ‘우리의 철학’ 건립을 주장하며, 전통의 계승을 강조했고, 서양철학과 전통철학을 결합하고자 했다. 그러나 서양철학과 전통철학을 재해석하며 만들어진 박종홍의 철학은 결국 폭력적 국가권력의 통치를 옹호하는 수단이 되었다. 본 논문은 박종홍 철학의 시작과 끝을 관통하는 ‘우리의 철학’ 제안, 한국사상 연구, 철학적 ‘한국사상’과 사회적 ‘한국사상’에 관한 구상과 주장을 검토한다. 첫째, 해방 이전 박종홍의 ‘우리의 철학’에 대한 제안과 ‘우리의 철학’과 전통 계승의 입장이 결합하는 배경, 과정, 방식을 살펴본다. 둘째, 박종홍의 한국사상사와 현상윤의 한국유학사 비교하며 박종홍의 한국유학에 대한 관점 및 평가, 한국유학 연구의 특징을 살펴본다. 셋째, ‘우리의 철학’의 두 방향, 서양철학과 전통철학이 결합하는 철학적 ‘한국사상’과 한국인의 생활과 미래를 이끄는 역할이 부여된 사회적 ‘한국사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Park Zhong Hong highlights the succession of tradition and tries to combine western philosophy and traditional philosophy, claiming to establish ‘our philosophy’ unlike the first generation of studying western philosophy. However, Park Zhong Hong’s philosophy, made through reinterpreting western philosophy and traditional philosophy, became the means of defending the violent nature in which the nation’s power ruled. This thesis is to examine suggestions of ‘our philosophy,’ studies of Korean thoughts, theories on philosophical ‘Korean thoughts’ and sociological ‘Korean thoughts.’ To begin, this thesis examines Park Zhong Hong’s philosophical suggestions which formed before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Park’s suggestions surround the background, the process, and the way that resulted in the combining of western philosophy and ‘our philosophy.’ Secondly, this thesis investigates Park Zhong Hong’s perspective, criticism, and unique conclusions on Korean Confucianism by comparing Park Zhong Hong’s ‘Korean thoughts’ to Hyeong Sang Yun’s ‘Korean Confucianism.’ Lastly, this contention is to be evaluated through the lenses of three branches: the two directions of the development of ‘our philosophy,’ philosophical ‘Korean thoughts’ combined western philosophy and traditional philosophy, sociological ‘Korean thoughts’ leading to Korean people’s lives and future.

      • KCI등재후보

        한국의 전통적 여성관과『한국여성해방이론』

        김혜승(Kim Heaseu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2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존재로 공존하는 사회를 목표로 한국에서 페미니즘이 이론으로서 태동한 후, 그리고 운동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이래 계속해서 제기되는 관심은 어떻게 한국여성의 역사적 특징을 살린 운동과 사상이 될 수 있을 것 인가였다. 이 점에서, 한국여성학에 한 획을 긋는 이론서『한국여성해방이론-유토피아에서 헤테로토피아로-』가 한국정치사상 분야에서 출판된 것은 큰 수확이다. 이 책은 1.정치적 경제적 영역에서 법적 권리 뿐 아니라 2. 공적사적 부문에도 관심을 확대하여 3. 역사적 추적을 통한 한국의 특수성에 초점 맞추며 한국여성해방이론이 담아야 할 문제의식을 모두 보이며, 그에 답하려는 광범한 내용의 이론서이다. 저자는 한국여성의 본성을 해명하고 여성운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이념과 여성해방의 대안 제시가 한국페미니즘의 학문적 과제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한국여성해방이론-유토피아에서 헤테로토피아로-』은 첫째, 한국여성의 본성을 규명하며 둘째, 서양여성해방론을 검토해서 한국여성의 경험과 맞는 여성해방사상을 부분 수용하고 셋째, 이를 한국의 남녀평등사상과 통합, 재구성하여 한국여성운동 이념이 포괄하는「새공동체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하려는 것이다. This book has the intentions of inspiring the Korean feminist movement and reconstructing existing theories through a critical examination and evaluation of the modern western feminist theory. This study will present new communitarianism as the theory for the present Korean Feminist movement, based on the sexual egalitarianism contained in Korean thought. This inquiry is possible by abstracting valid thoughts from the western feminist theories, in correspondence with west. Whit this kind of critical work, the study of the nature of women is also our concern. 1.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an-strongness and warmness-, their value is equal. And “warmness” as an essence of Korean women can contribute to the identity of the feminist movement. 2. For college-graduate women who want to participate in public economic activities, equal opportunity and the freedom of choice must be guaranteed. 3. The labour condition and environment of women workers should be improved, in the same manner, the quality-life of part-time women workers should be advanced. The term of public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12 years. 4. The value of housework should be reasonably evaluated, according to which a pension plan for housewives would be established. 5. Men who respect human dignity, consider women as humans, and pursue non-violence will be together in the New Communitarian world.

      • KCI등재

        한국 전통춤과 음악에 드러난 중국의 초(楚)문화 양상

        방수경(Xiuqing Fang),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한국 전통 춤은 우선, 심미적 이상으로 ‘대상무형, 천인합일(大象無形, 天人合壹)’의 이념을 추구하고, 심미적 품격으로는 ‘정중유동, 동중유정(靜中有動,、動中有靜)’의 특징을 추구한다. 춤 동작의 방식 면에 있어서는 섬세하고 조화로운 특성을 추구한다. 특히, 숨결과 염력, 지체와 영혼의 조화가 어우러지는 ‘이기대동, 이의대행(以氣帶動, 以意帶行)’을 한국 전통 춤의 특유한 성격으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이러한 춤 이면의 이상, 품격, 특징에서 드러난 한국 전통 춤은 특정 문화 정신을 숭상하고 그들만의 예술을 구현해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춤에 있어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정신을 반영하거나 삶을 구현할 때, 또는 예술화할 때 초(楚)문화 무속·도선(道禪) 사상을 흡수하여 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전통 판소리와 무악(巫樂) 등에서도 중국의 초문화 영향을 찾아볼 수 있으므로 한국 춤과 음악에서 드러나는 한국 고유의 정신과 초문화의 사상들이 어떻게 융합되어 전승되어 오고 있는지 예술사적인 흐름에서 두 문화의 연관성을 해독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국내에 미비했던 연구 분야인 한국 무용 및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예술에서 발견되는 중국의 초문화의 영향력을 역사학적이고 심미적인 접근을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나아가 두 나라의 문화적 가치가 서로 연계되고 융합되었던 과거의 모색을 통해 현재와 미래의 문화예술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던지고자 한다. Overall,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pursued Daesangmuhyeong (大象無形)-the idea that a huge shape is intangible-and Cheoninhapil (天人合壹)-the idea that heaven and people are united-as an aesthetic ideal. On the other hand, it has followed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ungyudong (靜中有動)-the idea that miraculous enlightenment is thoroughly investigated in silence-and Dongjungyujeong (動中有靜)-the idea that serenity is in the movement-in the aesthetic dignity. The delicate and harmonious feature has been chased in its dance motion. In particular, the unique natur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s distinguished as Igidaedong (以氣帶動) and Iuidaehaeng (以意帶行), which means that breath and psychokinesis, as well as body and soul, are in harmony. Korean traditional dance revealed in the ideal, dignity, and characteristics lying behind it has revered the particular cultural spirit and given shape to their intrinsic art. This means that we can see the spirit that people sought as reflected in their dance or was manifested by being fused with the supercultural shamanism and Doseon idea related to geomancy, when people realized or sublimated their lives in art. Since we can also find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in Korean traditional pansori and shaman music, I recognized the need to interpret the connection between two cultures in the flow of art history, in particular, how the Korean unique spirit and supercultural ideas foun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ance were blended and passed on. Henc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which can be found in Korean traditional art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domestic research on this is inadequate) using the historical and aesthetic approach. Furthermore, I would like to deduce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the present and future culture and art by searching the past when the cultural value of the two was linked and fused.

      • KCI등재

        소춘 김기전의 유학 전통 비판과 사유의 모순적 분열 -20세기초 한국사상사 및 철학사의 견지에서-

        이병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2 No.-

        Sochoon Kim Ki-jeon's thoughts epitomize the agitation or instability of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and thought in the early 20th century. He criticized the Confucian tradition more fiercely than anyone else, even though he was a person who received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This seems to be linked at first sight to the contradiction between intellectual tradition and new theory and ideas, but in fact it emerges between the Confucian tradition and foundation, and the practical orientation toward the new world and a new human being. This contradiction is expressed in his thoughts in relation to tradition in a divisive way that criticizes Confucianism based on Confucianism. This is a clear indication of the division of thought in which the most critical target of criticism returns to the basis for that criticism. Furthermore, when accepting foreign ideas and theories, he judged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above all else, and his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m are also made on a Confucian basis to a certain degree. In other words, hi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alternatives to intellectual tradition also depended on tradition again. The divisive movement that Kim Ki-jeon's thoughts reveal clearly shows the special tendency that the “accept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s presents in a place where the existing intellectual tradition is powerful. As his case clearly shows, the movement of thought’s contradictory division becomes stronger and deeper when the existing intellectual traditions are strong, and when historical changes support new theories. This is an important clue to the proper view of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and thought in the early 20th century. 소춘 김기전의 사유는 20세기초 한국사상사의 동요 또는 불안정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전통적인 유학교육을 받은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누구보다 치열하게 유학적 전통을 비판했다. 이는 일견하기에 전통과 새로운 이론 및 사상 사이의 길항을 함축하는 듯하지만, 실은 유학적 전통 및 기반, 그리고 새로운 세상과 새로운 인간을 향한 실천적 지향 사이에서 돌출되는 모순적 분열을 담지한다. 이러한 길항은 무엇보다 유학에 기반하여 유학을 비판하는 분열적 양상으로 표출된다. 가장 핵심적인 비판의 대상이 다시 그 비판을 위한 근거로 복귀하는 사유의 모순적 분열이 극명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나아가 낯선 이국의 사상과 이론을 수용할 때, 김기전은 무엇보다 유학적 기반 위에서 판단했고 그 이해와 평가 또한 일정하게 유학적 토대 위에서 이뤄진다. 말하자면 지적 전통에 대한 대안의 이해 및 수용 또한 다시 전통에 의존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분열을 추동하고 또 심화했던 외적 요인은 현실적 질곡과 위기를 넘어서고자 하는 그의 실천적 지향이었다. 하지만 김기전의 사유와 실천을 이끈 역사적 텔로스 또한 일정한 가치판단 위에서 정립된 것이었고, 이는 다시 그의 유학적 기반 및 종교적 토대가 없었다면 구축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전통에 기반해 전통을 비판하는 모순적 분열은 이론적 지평을 넘어 그의 삶 전체에 심원한 저류로 작동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김기전의 사유가 보여주는 분열적 운동은 사상사적 ‘수용’이 기존의 지적 전통이 강력한 장소에서 이뤄질 때 나타나는 특수한 경향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지적 전통이 강력할 때 그리고 역사적 변화가 새로운 이론을 지지할 때, 분열의 운동은 더욱 거세고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20세기초 한국사상사 및 철학사의 적절한 조망과 정립에서 그 특수성을 적절하게 포착하기 위해 반드시 주목해야 하는 단초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수학과 연계된 한국 전통 사상의 시각화 방안 및 제작에 관한 연구

        신실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various methods to visualize Korean traditional ideas which can be connected with mathematics.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observe arts and culture resulted from Korean traditional ideas. The considered traditional ideas are Round Heaven Flat Earth, SambunSonik, Taegeuk Bagua, Yin Yang Five Elements, and Heaven, Earth, and Man. Based on these ideas, this research proposes some examples of visualization in pairs: Round Heaven Flat Earth, SambunSonik and four string lyre, Taegeuk Bagua and binary sequence, Five Directional Colors and Euler square, and Hangeul and frieze/wallpaper patterns. In the case of Round Heaven Flat Earth, SambunSonik and four string lyre, we apply the idea of Round Heaven Flat Earth and two rational numbers to a musical instrument inspired by a painting by Raffaello. In the case of Taegeuk Bagua and binary sequence, we present Bagua as binary sequences and converted those sequences to patterns with red and blue colors, and obtain a puzzle. In the case of Five Directional Colors and Euler square, we converted numbers in the 5×5 square to five directional colors and visualize them as a mobile with Taegeuk patterns. Furthermore, using rainbow colors with five directional colors, we visualize 9×9 square as a mobile with Taegeuk patterns to symbolize the harmony of Korean and Western culture. In the case of Hangeul and frieze/wallpaper patterns, we produce some frieze/wallpaper patterns based on Hangeul through mathematical process introduced in a previous research. As for frieze, we propose two sets of seven frieze patterns based on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and apply them to masking tape, dish, and umbrella. As for wallpaper, we produce patterns based on consonants appeared in the pseudonyms of scholars mentioned in this research, and apply them to T-shirts. The approach such as this seems to open the possibility of customizing of names. It is hoped that the approaches proposed in this research be a motive for various types of flourishing of Korean tradition, culture, and arts. 본 연구는 한국 전통 사상과 수학을 융합하여 시각화하는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을 통해 과거에서부터 시각적 또는 청각적 표현이 드러난 한국 전통 사상을 찾고, 이를 수학적 요소와 짝지어 시각화 방안을 제시하고 제작한다. 이때 활용한 한국 전통 사상은 천원지방, 삼분손익, 태극 팔괘, 음양오행, 천지인이다. 이를 토대로 천원지방 및 삼분손익과 사현금, 태극 팔괘와 이진법, 오방색과 오일러 방진, 한글과 띠/벽지 문양을 연계한다. 천원지방 및 삼분손익과 사현금의 경우, 라파엘로 그림에서 영감을 얻어 수학적으로 제작된 현악기인 사현금에 천원지방사상과 한국 전통의 발음 과정에 사용된 두 개의 유리수를 적용한다. 태극 팔괘와 이진법의 경우, 팔괘를 이진수열로 표현하고 이들 각각을 빨강과 파랑으로 대치한 이미지를 생성해 이를 퍼즐로 만든다. 오방색과 오일러 방진의 경우, 5×5 방진의 숫자를 오방색으로 대치시키고 태극 문양의 모빌로 시각화한다. 더 나아가, 9×9 방진의 숫자를 일곱 가지 무지개 색과 오방색을 사용함으로 한국 전통과 서양 전통의 어우러짐을 태극 문양의 모빌로 표현한다. 한글과 띠/벽지 문양의 경우, 앞선 연구에 소개된 수학적 생성과정을 적용해 한글을 바탕으로 띠/벽지 문양을 제작한다. 띠 문양의 경우, 한글 자음과 모음을 모티브로 각각 7개를 제시하며 이를 마스킹 테이프와 접시 그리고 우산에 적용한다. 벽지문양의 경우, 한글의 자음을 모티브로 본 연구에서 언급된 학자들의 호를 소재로 3가지 문양을 제작하고 이를 티셔츠의 패턴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 다양하게 시도한 시각화 방안이 한국의 전통과 문화 그리고 예술이 더욱 다채로운 모습으로 발현되는 하나의 동기가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