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미 특질에 대한 제설(諸說)의 유가,도가 미학적 고찰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5 No.-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esthetic beauty of the East and that of the West? How is the aesthetic beauty of Korea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and Japan? Up to the present, these have been central questions for those pursuing studies in Korean aesthetic beauty. While there have been only rare studies on Korean aesthetics, a useful place to begin for understanding how Korean art developed an aesthetic is in Korean philosophy, and related articles on Korean Buddhism, Korean Confucianism and Korean Taoism.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and other religious elements influence the unique nature of the Korean character together with shamanism. They play a decisive role in determining the Korean mentality or consciousness. For Koreans, nature is a mirror of the self and a world of meditation which gives life, restoring all things to their proper state. Korean art also tends to be devoid of an artificial movement and this reflects dislike of disturbance, deformation and convention. Naturalism is an attribute of Korean art because of Koreans` indigenous view of nature, I. e. the view of holding communion with nature.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Korean art is not naturalist in the western sense of the term. The western meaning of naturalism is the science oriented term. And, if the tradition of Korean art is set against the background of a "return to nature". Especially Ko Yu-seup, the renowned art historian, once said Korean art was characterized by its "lack of refinement" and "nonchalance". He concluded that its lack of meticulous detail enabled it to be embraced by a wholeness larger than art and hence emanate a warm, comforting ambience. Ko`s view is a simple but eloquent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art. Korean art as a whole is characterized by vitality, spontaneity and unconcern for technical perfection. Korean art has been characterized by submission to the nature, and the lack of the artificial consciousness. Thus it has develop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uralism. Naturalism as such is a vague term. To make it more precise, we must consider the Korean"s basic philosophy lies not in a man-oriented idealism but in a naturalism oriented by nature. It is evident that such peaceful and beautiful natural surroundings nurtured love of nature in the minds of Koreans. 한국전통미의 특질 및 고유성에 관한 논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기존의 디트리히 젝켈(Dietrich Seckel), 안드레 에카르트(Andre Eckardt), 야 나기 무네요 시(柳宗悅) 등 외국인이 본 한국전통미 특질과 고유섭, 김원용, 윤희순, 조요한, 최순우 등 한국인이 본 한국전통미 특질이 있는데, 보는 관점에 따라 한국전통미의 특질은 달리 이해되었다. 한국전통미 특질을 분석하는 방법론으로는 디트리히 젝켈의 "대립적 변이들"에 주목하는 사유와 텐느(Hippolyte A. Taine)가 말한 지리적 결정론, 한국인의 자연관과 문화유전자를 통해 보는 등 다양한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서양과 달리 동양에서는 기교의 능숙함과 관련된 神品보다는 작가의 정신성을 우선시하고 기교와 법도 및 形似에 얽매이지 않는 無爲自然性의 逸品 혹은 逸格을 더 우선시 하는 사유를 보인다. 따라서 이런 점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있을 때 동양미술 혹은 한국 전통미술에 담긴 미의식을 제대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즉 서양의 눈으로 보느냐 아니면 동양의 눈으로 보느냐, 그리고 동양의 눈으로 보더라도 동양미학의 근본지향점을 알고 보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동일한 유물이라도 판단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런 점은 한, 중, 일 삼국에서 자연에 순응하는 성격이 강한 한국전통미술을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런 사유에 근간하여 분석한 한국전통미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자연미를 꼽고 있다. 이런 자연미에 대한 인식에는 유가와 도가의 사유가 동시에 담겨 있다. 한국전통미를 탐구하는 많은 인물들이 한국의 자연환경을 거론함에 특히 가을 하늘의 밝음, 맑음과 관련 지어 이해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요함(靜)"과 "물러남(退)"을 상징하는 가을과 그 가을 하늘의 밝음, 맑음 말고도 가을이 갖는 인생의 원숙한 맛을 누구보다도 잘 알았던 민족이 한국인이었다. 되돌아옴을 상징하는 가을의 미학은 老境의 미학에 속한다. 가을이란 계절이 주는 상징성으로서의 枯淡과 물러남의 미학, 겸손함의 미학, 덜어냄의 미학, 疏散簡遠의 미학을 더욱 긍정적으로 본다. 이런 노경의 미학은 유가의 차원과 도가의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오랜 시간과 경험의 축적에 의해서만 완성될 수 있고 또 이해될 수 있는 노경의 미학은 일단 도가적 경향성이 매우 강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굳이 나누어보면, 먼저 유가적 차원에서는 노경의 미학은 "理發"의 미학으로 나타났다고 본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그다지 심도 있게 나타나지 않은 맑은 심성 및 인품론과 관련된 "理發"적 사유는 한국전통미에서의 雅美로서의 淡泊과 瀟灑함을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냈다고 본다. 도가적 차원에서 보면, 노경의 미학은 中庸이란 원칙을 정하고 擇善固執의 分別 智에 의한 미추판단과는 일단 거리가 멀다. 노자 식으로 말하면 玄同의 미학이고, 愚, 忘, 損의 미학이다. 무기교의 기교, 구수한 큰 맛, 무계획의 계획도 결국 노경미학의 결과물이다. 한국전통미의 특질을 규명하는 것과 깊은 관계가 있는 老境의 미학은 유가와 도가의 사유가 묘합되어 있다.

      • 한국의 전통미

        김용정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8 철학·사상·문화 Vol.0 No.7

        This paper outlines Korea's traditional beauty based on the country's ceramic art and the artistic quality of the Seokguram Grotto of the Silla era. The author owes to the Koh, Yoo-seop's theory and the studies by Japan's Yanagi Muneyoshi, who is one of the founders of Korean aesthetics and also one of the pioneers of the ceramic art and a few Korean archeology fine art historians to describe Korea's traditional beauty in his own way. What fine art historians and aestheticians note about Korea's traditional beauty in common is artless art, inartificial artificiality, indifference or heedlessness. This means a nature-oriented, nature-creates-nature attitude without a sense of purpose or preconditions in production of works. Immanuel Kant called such indifferent beauty of an purposeness objectivity free beauty, which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Korea's traditional beauty. In this vein, the author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by giving a chapter to Korea's traditional beauty viewed based on Kantian aesthetics. 본 눈문은 한국의 전통적 美를 도자기 예술과 신라시대의 석굴암 불상의 고도의 예술성을 토대로 하여 간략하게 약술한 것이다. 고유섭(高裕燮) 이론과 특히 한국미학사와 도자기 미학의 개척자중 한사람인 일본의 야나기 무네요시와 몇몇 한국 고고미술사학자들의 한국 전통미에 대한 연구서를 통하여 필자 나름의 한국의 전통미를 해명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미에 관해서 모든 미술사가 내지 미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것은 무기교의 기교니 무작위의 작위 혹은 무관심성 또는 무심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술가가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마치 자연이 자연을 창조하는 경우와 같이 어떤 목적의식이나 전제된 조건 없이 작품을 만드는 자연적 태도를 의미한다. 칸트는 이와 같은 목적 없는 합목성의 무관심의 미를 자유미라고 했는데 따라서 필자는 한국의 전통미는 칸트의 자유미와 일치되는 면이 있어 칸트의 미학으로 본 한국의 전통미를 한 절로 설정하여 결론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 KCI등재

        현대패션에 나타난 코리아니즘에 관한 연구 -설윤형 작품을 중심으로-

        이서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4

        In order to be competitive in the global fashion world, differentiated and creative designs based on Korean tradition are required. It should b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beauty and should be applied with a modern edge in design cre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ecorative techniques and aesthetic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works of fashion designer Sul Yunhyoung among modern designers who have expressed traditional Korean beauty in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Koreaism’ to be recognized as a genre of ar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 Korean style to be used as a design elemen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xpressive technique of Sul Yunhyoung's design work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colors representing the Korean image were modernized. Second, Korean traditional handicraft techniques were used in modern fashion. Third, the beauty of Korean lines was expressed as a modern fashion beauty. Fourth, the beauty of superimposition, a characteristic of Han-bok composition, was expressed. Fifth, Korean accessories were reinterpreted as modern ornaments. In the future, Koreaism expressed in modern fashion should be well researched,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order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세계 패션계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한국 전통을 바탕으로 차별화되고, 창의적인 디자인이 필요하다. 그 바탕에는 한국 전통미에 관한 이해가 있어야하며, 디자인 창작에 있어 현대적 감각으로 응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미를 패션에 표현해온 현대디자이너 중 설윤형 패션디자이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식 기법과 미적 표현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적인 것이‘코리아니즘(Koreaism)’이라는 예술의 한 장르로 인정받고, 디자인 요소로 사용될 수 있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설윤형 작품 디자인들의 표현 기법을 분석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문양과 색채의 현대화 작업을 하였다. 둘째, 한국 전통 수공예 기법을 현대의상에 활용하였다. 셋째, 한국의 선의미를 현대 패션미로 표현하였다. 넷째, 한복 구성의 특징인 중첩의 미를 표현하였다. 다섯째, 한국적 소품을 현대적 장신구로 재해석하였다. 앞으로 국제 사회에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현대패션에 표현된 코리아니즘을 잘 연구하여 구축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그리드를 이용한 화예조형 작품 연구 -한국적 상징에서의 조각보에 나타난 그리드를 중심으로-

        노사라 ( Sa Rah Roh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1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4 No.-

        The world is becoming closer and the communication of Modern Art is accelerating. With this trend, Korea artists are faced with a difficult task of balancing regionalism that is called Korean traditionalism with internationalism that is called globalization. Flloral Art is no exception. The unilateral following of Western Art should be sublated, creating new work of art that is both international and yet Korean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discuss the direction of my artwork which harmonizes and combines Korean uniqueness with global universality in the form of Floral Art. First, I observed the basic concept of grid and the meaning of its shape, which is the repetitive structure of horizontal and vertical, to theoretically construct how the shape is embodied in relation to grid between the interaction of spaces. Second, I observed the general Korean patch work,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its history, and analyze the shape of grid. Third, I studied the aesthetic value of Korean patch work focusing on contemporary artists` pieces that have reinterpreted the grid of Korean patch work from a modern aesthetic point of view. Finally, by expressing reinterpreted and modified grid through my own work from Floral Art point of view, I tried to look for its significance as the bridge that connects tradition with modernity. This study started in my attempt to search for an answer to why the global art market is focusing on artworks which embrace the Korean sentiment, and I tried to express in the form of Floral Art by analyzing, applying and reinterpreting the grid shown on Korean patch work. Therefore in this study, I tried to highlight the harmony between things that are uniqueness of Korea and universality of the world with the direction of my artwork.

      • KCI등재

        보문 : 현대 패션에 표현된 저고리 스타일 연구

        이현주 ( Hyun Joo Lee ),채금석 ( Keum Seok Chae ) 한국의류학회 2012 한국의류학회지 Vol.36 No.2

        This study researches the form of the Korean jacket point through rel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have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and grace of the Goryeo period as well as the form of the modern Korean jacket starting point. Sev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 Korean Image of the Korean jacket that can be classified into types expressed in the jacket style of modern fashion. Therefore, we will analyze traditional elements of Korean beauty through the "Korean image" on how to express it in modern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odern design creation and Korean culture. It is important to begin the worl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to recognize Korean beauty as well as to utilize historical dress based on function and popularity to continue the effort.

      • KCI등재

        한국 전통 끈 보자기의 조형미를 적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

        김숙현,김혜연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3

        패션산업은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산업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외 움직임이 최근 더욱 활 발해지며 패션업계의 환경적 책임과 행동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 중 의류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폐기 물량도 상당하여 이를 현저히 줄이는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이 하나의 대안으로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연구는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의 실현 방안으로서 한국 전통 끈 보자기를 표현 모티프로 선정하여 그 조형미를 분석하고 디자인에 적용하여 고유의 독특한 멋을 표현할 뿐 아니라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실현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끈 보자기의 이론적 고찰 을 통해 그 특성을 분석하여 친환경성, 포용성, 고정성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끈 보자기의 조형미를 분석한 결과 중첩의 미, 가변적 미, 색채의 미, 선과 면의 미로 도출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 끈 보자기를 적용한 결과, 사각형 형태와 끈을 활용하는 유스업 패턴을 통해 제작과정에서 폐기물을 현저히 줄이고 기존의 제작방식을 간소화하는 친환경적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보자기의 형태와 구조를 적용하여 패턴을 구성하고 끈을 활용했을 때, 단순한 의상의 형태에 셔링, 드레이프 등의 장식적 요소가 부가되어 인체의 곡선적 조형미를 강조할 수 있었다. 다섯째, 끈 보자기의 고정성에 기반하여 끈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묶는 방식을 디자인에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가변적 미가 창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제 작품 제작 과정에서 묶는 방식에 따라 카디건에서 드레스 등으로 아이템이 전환되며, 실루엣, 디테일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겉감과 안감 또는 끈에 색채 특성을 적용한 결과 명도 대비, 채도 대비 등 색채의 미가 강조되고 리버시블 디자인으로 효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곱째, 끈을 의상에 적용했을 때 다양한 선적 조형미를 강조할 수 있고 이동을 통해 면을 중첩해 중첩의 미와 함께 새로운 선과 면의 조형미를 창출하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향후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여기고 낭비 없는 문화를 실천했던 우리 선조들의 전통문화 유산에서 지혜와 미적 가치를 찾는 연구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As one of the industries that contribute greatly to environmental pollution, the fashion industry is required to make practical changes in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behaviors. Zero waste fashion design has emerg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reduce or eliminate fabric waste through planning in advance. Following this trend, this study chose Korean traditional string Bojagi as a design motif due to its unique sculptural beauty, which minimizes fabric waste as a method of zero waste fashion desig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features of string Bojagi and 3 pieces of zero waste fashion design were suggested reflecting these el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tring Bojagi were analyzed as sustainability, inclusiveness and fixedness. Second, the formative features of string Bojagi were analyzed as beauty of overlapping, of variableness, of lines and surfaces.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Korean traditional string Bojagi to fashion design, we were able to propose a sustainable zero waste fashion design method that significantly reduces fabric waste and simplifies the existing production process, utilizing square pattern with strings. Fourth, when configuring the pattern based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ojagi and utilizing the string, a variety of silhouettes and decorative elements such as shirring and drape were added to the simple square form and emphasized the sculptural aesthetic of a curved human body.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beauty of variableness could be created when applying various numbers and positions of strings with fixedness. Sixth, when applying the color characteristics to the outer, lining, and str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beauty of color, such as brightness contrast and saturation contrast, is emphasized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tility with a reversible design. Seventh, when applying the strings to the clothes, it was possible to emphasize various formative beauty of lines and overlapped surfaces and to create new lines and surfaces by dragging them. Furthermore, if researches are conducted to find various motives and techniques from cultural heritage of our ancestors, who have led a free-of-waste culture treating nature and human beings as one, there is a potential with unlimited expansion.

      • KCI등재후보

        김환기 예술의 디아스포라 이미지 분석

        정금희(Jung, Kumhee)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1

        전라남도 신안에서 태어난 김환기는 일본, 프랑스, 미국의 뉴욕을 삶의 터전으로 하여 화가의 길을 걸었다. 그는 고국에서의 짧은 삶을 뒤로 하고 뉴욕에서 성공한 화가로 말년을 보냈으나, 그림의 근원인 정서와 지배적 의식은 고국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었다. 실제 그는 자신이 아무리 변모한다 해도 한국 사람이고 자신의 그림은 세계적이기보다는 민족적이라고 고백한 바 있다. 이 때문에 그의 그림 소재 대다수가 한국의 자연과 생활 속에서 흔히 보았던 기물들이었다. 특히 대표적 소재인 백자는 한국적 특성을 응축하고 있어 김환기의 그림에 가장 많이 등장했다. 섬이 고향인 그는 바다의 색깔이라 할 수 있는 푸른색을 주조로 한 그림을 다수 그렸다. 투명하나 고요히 가라앉아 있는 청색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가득 차 외롭고 쓸쓸한 화가의 감성을 표현하는데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한 색채였다. 김환기는 생전에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조명된 적이 없다. 이는 디아스포라 연구가 1980년대 이후에 시작되었다는 점과 궤를 같이 하나, 김환기의 삶을 디아스포라 삶의 틀에 적용해 보면 뚜렷한 등식이 전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그는 비록 몸은 이역만리에 있으나 종족과 조국에 대한 집합적 기억과 집단 및 귀환 의식, 조국의 발전에 대한 관심과 헌신, 상호작용 등에서 디아스포라 작가임이 증명되고 있는 것이다. 김환기의 작품은 추상이미지에서도 정체성과 향수를 잘 담아내 보여준다. 특히 우주와 자연의 질서를 담아내는데 있어 음양의 원리를 적용시키고 있으며 인간을 중심으로 한 생명체 하나하나에 무한한 의미와 가치를 담아내 존중했다는 점에서 동양인과 교집합 된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확실히 드러내 인식시킨다. Kim Hwan-ki, who was born in Shinan, Jeollanam-do, lived his life as a painter having Japan, France, and New York, the U.S., as his homes. Although he finished his short life in his homeland and spent his later years in New York as a successful painter, his emotion and dominant conscience, the sources of his paintings, were longing for his homeland and hometown. Actually he confessed that no matter how much he might change, he would be still a Korean and his paintings would be ethnic rather than international. Thus, most of the materials of his paintings were objects that could be easily seen in Korean nature and lives. Especially, the representative material, white porcelain, contained Korean characteristics and appeared in Kim Hwan-ki’s paintings the most. He, whose hometown was an island, drew many paintings that had blue, the color of sea, as the main color. Blue, transparent yet solemn, was the most appropriate color to express emotion of the painter who was lonely and full of longing for his hometown. Kim Hwan-ki was never focused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while he was alive.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studies on diaspora started after 1980s, but if we apply Kim Hwan-ki’s life to the frame of diaspora life, we can find that there exists a distinct formula. In other words, although his body was far away from his hometown, given his collective memories about his tribe and homeland, group and returning consciousness, and interest in, devotion to, and intera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his homeland, it can be proved that he was a diaspora painter. The abstract images of Kim Hwan-ki’s works also show his identity and homesickness well. Especially he clearly reveals his identity as a Korean included in Asian in that he used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drawing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nature, and respected every single life including human beings by showing their infinite meanings and values.

      • KCI등재

        전통 조각보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1) : 앞치마를 중심으로

        장민정(Chang Min-Jung) 한복문화학회 2010 韓服文化 Vol.13 No.3

        In this study, we try to find Korea’s traditional beauty and design elements by providing the identity of Korea for development and new challenges of Korea’s fashion industry. By reinterpret the culture products as modernistic, add avery Korean twist to a worldwide fashionable products form. As it is a great traditional works of art form which contains configuration of the refinement, the combination of colors, and also maker’s formative works of art, we need to put Korea's patchwork for design motif by applying to an apron within colors, materials, and textile etc. through out the process, our traditional beauty will be sufficient enough to revalue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and also be able to get a chance to let people know about our culture in worldwide by making and designing in public so that they could get closed to our traditional culture. Aprons, which can be used in various parts and functions, are very accessible item to people of all ages and have great uses. So if we seek it as a high value product then it will surely contribute to fashion industry but also let world know about our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