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동

        박은정(Park, Eun-Jung)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작품은 박경리의 파시와 이호철의 『소시민』이다. 이 두 작가는 한국전쟁 직후에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전후작가로 그들의 작품 세계가 한국전쟁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1950년대에 각각 전쟁으로 가장이 된 여성과 실향민이라는 개인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단편소설을 발표하였다. 1960년대에는 장편소설을 통해 개인적인 문제에서 벗어나 사회 전반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또한 1960년대 장편소설에서는 단편소설에서 담아내기 어려웠던 등장인물들의 생활상이 제시된다. 두 작품은 한국전쟁 당시 후방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이 작품을 통해 그 시대상을 포착할 수 있다. 두 작가가 작품을 통해 의도적으로 부산 등의 후방 도시를 그려내려고 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 작품들을 통해 드러나는 부산의 생활상은 전쟁 이전 시대의 사회상과의 차별성을 찾아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쟁 이후의 시기인 196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가 이미 전시 후방 사회였던 부산에서 경험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전쟁 당시 부산의 모습을 살핀다. 부산은 한국 전쟁 당시 인적․물적 자원이 집합된 곳으로 전쟁 중임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풍요롭고 활기차게 보이는 곳이다. 전쟁으로 인해 사람과 물자가 모여든 부산이 전쟁의 수혜지로 어떻게 비춰지고 인식되는지는 살피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쟁 수혜지에서 유통되고 소비되는 물자들로 인해 당시의 후방 경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핀다. 전시 후방 사회는 급격한 경제 변화로 부의 재편성이 일어났다. 기존의 부유층은 그대로 부를 유지하고 생활하기도 했지만, 전쟁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한순간에 몰락의 길을 걷기도 했으며, 전쟁이라는 혼란기를 이용하여 신흥 부유층으로 등장하는 사람도 생겨났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이런 부의 재편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살피는 것은 타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양상이다. 한국전쟁은 한국사회에 경제적 변화만 이끌어낸 것이 아니다. 전쟁 당시 한국은 미국의 경제적 영향력 아래에 있었고, 이와 함께 한국 사회에 미국 문화의 영향도 크게 자리 잡고 있었다. 갑작스러운 이질문화의 수용은 한국인들에게 많은 변화를 이끌어냈는데, 본 연구에서 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또한 살핀다. 이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혼란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법과 부조리를 통해 신흥 부유층이 등장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외국문화의 수용과 함께 당시 사람들, 특히 여성들의 성인식 변화를 살필 수 있는데, 이는 아프레 걸과 기존의 성 역할 인식에 도전하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당시 성 인식의 변화는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변화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부산 사회가 전후 한국사회의 변화를 앞서 보여주는 곳이었음 알 수 있다. 『파시』와 『소시민』은 전쟁이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쟁 당시 후방에서의 사회변화를 제시함으로써 다른 소설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이로써 한국전쟁 소설의 폭을 광범위하게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현대문학사의 한국전쟁 인식과 문학사 기술양상: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와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를 중심으로-

        윤송아(Yoon Song Ah)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6

        본고는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문학사 중에서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와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를 중심으로, 각국의 한국전쟁 인식과 이에 기반한 한국전쟁문학의 특징적 기술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는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기본인식이 충실히 반영된 문학사로, 기본적으로는 북한문학사의 시기구분과 주 제 분류에 바탕을 두면서도 주체사상에 기반한 유일사상체제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중조우의(中朝友誼)’를 내세운 국제주의적 친선과 ‘항미원조 전쟁(抗美援朝戰爭)’으로서의 한국전쟁의 위상, 인민대중의 혁명적 영웅주의 와 애국주의를 강조하는 입장을 취한다. 즉 한국전쟁에 있어서 중국과 북한의 정치적 결속 및 역사적 상관성, 한국전쟁에서의 중국의 역할을 의식적으로 강조함으로써, 북한문학사를 중국인민의 입장에서 조망하고 그 근접성과 교차점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뚜렷이 표출된 문학사이다. 다음으로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에서는 한국전쟁에 대한 심도 있는 성찰이 누락된 채 전쟁에 대한 각 문학자의 대응방식을 개인의 내면문제 혹은 문학적 표출양상으로만 환원하여 바라보는 외부자적 시선을 보여준다. 이는 미국의 ‘기지국가(基地國家)’로서 한국전쟁에 관여하면서 ‘조선특수(朝鮮特需)’를 통해 패전 이후 단기간의 경제회복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평화담론’으로 은폐해온 일본의 무의식적 망각 및 무관심과 연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허쩐후아와 사에구사의 문학사는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정치적 입장과 역사적 인식 태도를 직·간접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한중일 한국현대문학사를 가로지르는 중층적이고 상호침투적인 교섭과 문화횡단의 한 양상을 보여준다. This study deliberated patterns of describ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Literature based on Korean War recognitions of each country, focusing on Taste of Korean Literature by Saegusa Toshikatsu and Choseo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Huzhenhua amo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s written in China and Japan. First of all, fundamental awareness of China about Korean War was fully reflected in Choseo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Huzhenhua. Basically, it was distant from unique ideological system. It takes a position to emphasize the status of Korean War as internationalist goodwill and anti-Americanism assistance war which was based on China-Korea Friendship , revolutionary heroism, and patriotism of people. In other words, emphasizing the political ties, historical concer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nd the role of China in the Korean War conscientiously in terms of Korean War,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was reviewed from the stance of Chinese people. Its proximity and intersection were tried to find out in the literature. Next, in Taste of Korean Literature by Saegusa Toshikatsu, there is a lack of introspection on the Korean War. But each author s response to the war was just considered it as individual issues or simple literary expressions from outsider’s viewpoints. This seems to associate with unconscious forgetfulness or indifference of Japan, which tried to conceal it as a discourse on peace despite the short-term economic recovery after its defeat in the war by increased demands by Choseon as America was concerned in Korean War as a base . Like this, the history of Huzhenhua and Saegusa s literature reflect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political position and historical recognizing attitude of China and Japan about Korean War. They show cross-sectional and interpenetrating contact and single aspect of cross-cultural literature in Korea-China-Japan Modern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한국전쟁을 통해 본 한국 개신교의 평화선교 과제: 죄고백, 회심, 치유, 화해

        황홍렬 한국선교신학회 2021 선교신학 Vol.61 No.-

        이 글은 한국전쟁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준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규명을 바탕으로 한국 개신교 교회의 평화선교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범위는 한국전쟁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준 영향이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문헌 연구와 메츠(J. B. Metz)의 위험스러운 기억과 역사의 주체로서의 희생자이다. 희생자의 입장에서 한국전쟁의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 개신교가 한국전쟁으로부터 받은 영향으로 교회 재건과 국가 재건, 개신교 교회의 구조와 성격,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 교회분열과 사이비이단 발흥 등을 다룬다. 한국전쟁의 영향을 받은 한국 개신교의 특징으로 친미반공 이데올로기의 보루, 기복적 신앙, 신학적 성찰 없는 교회성장주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개신교 우파의 등장과 정치참여, 신학적 영향을 제시한다. 한국 개신교의 평화선교 과제로 죄고백, 회심, 전쟁 기억 치유를 통한 민족화해,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올바른 한일관계 수립, 희년을 이루는 교회 10년, 베트남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과 사과, 평화신학과 평화선교신학 수립, 평화교육, 민족의 코이노니아, 군축과 평화체제로의 전환 등을 제시한다. The aim of the thesis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on the Protestant Church of Korea and to suggest its tasks for Peace Mission. The methodology of the thesis is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dangerous memory and the victim as the subject of history by J. B. Metz.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eace mission of the Protestant Church of Korea are: confession of sins, conversion, reconciliation between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rough healing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the probe of civilian massacre during the Korean War, the Jubilee movement and the decade for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ational koinonia and the economy of God, the peace education, and the theology of peace and theology of peace mission.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화(文化) : 한국전쟁기 여성시 연구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한국전쟁기(1950. 6.25-1953. 7.27) 시문학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은 주로 전쟁시의 개념과 범위, 분류 등을 통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아직 시도하지 않은 한국전쟁기 여성시를 대상으로 특히 남성적 서사와 사고가 부각되었던 ‘전쟁’의 시간 속에서 여성시인들은 어떤 인식을 가졌고 전쟁의 현장을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여성시인들의 작품을 면밀히 분석하여 고찰하고, 전쟁기 한국 여성시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전쟁기에 여성시인들은 전쟁의 현실을 고발하면서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현장감을 나타내 주고 전쟁으로 인한 죽음, 이별, 피난, 고통 등의 비극적 상황을 적용하여 전쟁에서 겪는 인간의 내면적 고통과 인간성 말살의 비극을 형상화하였다. 그동안 한국 전쟁기 여성시에 대해서는 주로 모윤숙, 노천명, 김남조, 홍윤숙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왔지만 본고에서는 조애실, 노영란의 작품도 발굴하여 전쟁시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또한 기존의 논의들은 전쟁기 한국 여성시의 특징에 대해서는 부각시키지 않았으며 모윤숙의 시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를 언급하는 정도에 그쳐있다. 그러나 당시의 여성시인들은 각기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그러한 특성을 통해 여성문학의 다양한 모습을 형성하였다. 모윤숙은 피난의 현실을 형상화하거나 국군이나 유엔군을 칭송하면서 고마움을 표현하고 있고, 노천명의 시들은 부역사건과 연관된 내적 갈등을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김남조의 시들은 여성성과 종교성을 결합해 사랑과 구원의 의미를 밝히면서 전후 극복과 치유의 문제에 집중하였으며, 홍윤숙의 시들은 전쟁의 상처로 불모의 땅이 되어버린 조국에 대한 안타까움을 목숨의 향연을 통해 극복해 보려 하였다. 또한 조애실은 전쟁의 비극을 회피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보인다. 그러한 맞대응의 이면에는 내적 아픔이 배어있다. 노영란은 전쟁으로 인해 갈라진 민족의 현실을 안타까워하면서 통일의 희망을 꿈꾸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전쟁기 여성시인들의 시세계를 통해, 전쟁이라는 혼돈의 시기에 여성시라는 가장 주변화 되었던 문학의 현실이 단순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요약하면, 전쟁기 여성시의 특징으로는 조국의 평화와 국군과 유엔군에 대한 찬양, 전쟁의 상흔, 생명보호와 모성애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전쟁이라는 역사적 격동기의 한복판에서 여성작가들은 한국 현대사의 목격자로서 또는 체험자로서 글쓰기를 지속하였다. 이들은 전쟁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쟁의 상처에서 비롯된 두려움과 불안을 내면화하면서도 끊임없이 여성으로서 전쟁을 겪어내는 삶의 방식을 모색하고 개인적 혹은 시대적 가치관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들의 말대로 전쟁이라는 살풍경 속에서 가족의 생명과 보호를 책임져야 했던 여성들은 자신의 시각으로 당대 현실을 기억하고 복원해 나갔으며 남성 중심의 거시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누락된 일상적 삶의 역사적 의미를 증명해줄 수 있었다. Studies on poetic literature created during Korean War (1950.6.25-1953.7.27) have been a popular subject matter among Korean scholars. Former studies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attempted to operate systemized and organized study through categorizing the war poetries by themes, time periods, imageries, and so on. Based on previously done stud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pecificities of women`s poetrie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by analyzing and contemplating the poetries of the female poets who took active part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with the concentration on what perceptions were kept by the female poets during the time of the war, in which the masculinity in thoughts and views was magnified. During the wartime, female poets primarily incubated poems containing the vivid sense of realism and tension to provide the reality of war representing the signs of the time. Major tools utilized by the poets were realistic and bold depiction of the battlefield as well as tragic situations caused by the war such as death, parting, fleeing, and pain caused by war. Studies made so far mainly mention only the poems of Yoon-Sook Mo, Chun-Myung No, Nam-Jo Kim, and Yoon-Sook Hong. However, this article will re-illuminate works of Ae-Shil Cho and Young-Ran No and include them in the boundaries of war poems. The existing discussions have not given salience to the specifications of women`s poetries during the Korean War; they surcease upon mentioning Yoon-Sook Mo`s poem: “A soldier speaks upon death”. However, female poets during the war period display individualized unique tendency; through those propensity they formed a variety of features of women`s literature in Korean literary history. Yoon-Sook Mo projects the reality of refuges and expresses her gratitude to the Korean armed forces and the UN troops by giving praises to the army. Chun-Myung No`s poems mainly focus on projecting the internal conflicts related to the forced labor. On the other hand, Nam-Jo Kim combines feminity with Christian faith in pursuit of revelation of the true meaning of love and salvation she emphasizes on the restoration and healing after the war. Yoon-Sook Hong`s poems attempt to deal with the wounded and patriotic heart that rises upon witnessing the barren soil of the homeland. In contrast to the sympathetic poets mentioned above, Ae-Shil Cho remains relatively objective to the tragic reality of the war. Although she does not turn away from the truth, however, the subtle pain heartache of the poet is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riminations. Young-Ran No moans for the tragic division of the country yet she dreams for the hope of reunification of Koreas. These poetic worlds of the female poets who were actively working during the wartime reveal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 women`s literature had received the least attention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 has been appealing its unique significance that has never been quite simple to explain. In short, the prominent features of poetries written by female poems during the wartime are: peace of the homeland, praise toward the Korean armed forces and UN troops, battle-scarred and, protection of lives, and maternal instinct that arose during the time. In the middle of the turbulent era of Korean history, ladies of letters continued writing as a witness as well as the party concerned of Modern Korean history. They not only depict the reality of the Korean War through vivid descriptions but also continuously seek different ways of life to overcome the given circumstances during the wartime by internalizing the fear and insecurities they felt as women. Through their literature work these female poems exhibit the change of the values of the time. The female poets who were demanded to protect the lives of their family during the war restored the memories of the reality of that time with their own perspectives and achieved to prove the historical meanings of ordinary lives that were omitted in macroscopic and an do centric accounts of history.

      • KCI등재

        미국과 중국에서의 한국전쟁 사진과 기억

        김형곤(Hyung-Go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8 No.4

        미국과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을 비교 분석하여, 각 사진화보집이 전달하고자 하는 한국전쟁의 의미와 그 의미를 사진으로 표상하는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으로 선택된 사진화보집은 1954년에 미국 해외참전용사 협회에서 발간한 Pictorial History of the Korean War와 1959년 중국 해방군화보사에서 발간한 『光榮的中國人民志願軍』이다.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에 대한 분석은 한국전쟁에 관한 공식적인 기억의 내용을 알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분석 결과, 한국전쟁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인식이 다른 만큼, 사진을 통해 표현되는 한국전쟁의 기억도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미국에서 발간된 Pictorial History of the Korean War에서는 한국전쟁에 대한 일관된 스토리를 찾아보기 어려웠고, 우세한 전쟁 상황을 사진을 통해 객관적으로 보여주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별 사진들도 상징성보다는 기록성이 강한 사진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비해 중국에서 발간된 『光榮的中國人民志願軍』에서는 한국전쟁에 관한 일관된 스토리를 찾을 수 있었고, 그 내용은 한국전쟁 참전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것이었다. 개별 사진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이데올로기적 신념을 시각화하는 상징성이 강한 사진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가 시각적으로 기억하는 전쟁이 사실은 현재의 관점에서 구성되고 재해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official memory of Korean War through the photographs of pictorial history book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wo books of pictorial history that were published in America and China. Two books are Pictorial History of Korean War and The Glories of the People’s Army of China. This study investigated symbolic meanings of the Korean War photographs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visu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official memory of Korean War in America and China. In Pictorial History of Korean War, the superiority of military strength was the memory of Korean War. While in The Glories of the People’s Army of China, the superiority of socialism was the memory of Korean War. The Korean War photography actualized particular interpretations on Korean War.

      • KCI등재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침묵 깨기 - Brother’s Keeper를 중심으로 -

        위종선(Wee, Jongs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7

        미국에서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쟁으로 꼬리표가 붙어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 아동문학에서도 반영되어 미국 그림책 분야에서 한국전쟁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범위를 넓혀 그림책은 물론 고학년용 소설까지 한국전쟁을 소개한 책을 살펴보고 지난 삼십 년간 얼마나 많은 미국 아동문학이 한국전쟁을 소개하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또 미국에서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는 한국전쟁을 독자와의 거리감을 두고 소개하였다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분석기준으로 삼아 최근에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에서도 여전히 그러한 결과를 찾을 수 있는지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2020년에 출판된 Brother’s Keeper는 그 동안 한국전쟁을 소개한 미국아동문학과는 달리 시간, 장소, 초점의 관점에서 볼 때 독자와 한국전쟁 사이에 거리감을 두지 않고 오히려 독자가 주인공과 함께 한국전쟁을 경험하도록 문학적 요소를 구성하였음 발견하였다. Brother Keeper는 미국 어린이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인 사건인 한국전쟁을 생동감 있게 그려냈고,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뜻깊은 변화 또한 보여주었다. The Korean War has a nickname as a forgotten war, or an unknown war in the United States (U.S.). As this fact is reflected in children’s literature, the Korean War could rarely be found in the picture books in the U.S. Expand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War in the picture books published in the U.S., the present study surveyed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from picture books to middle-grade novels and summarized how many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depicted the Korean War in the last thirty years.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the most recently published children’s book about the Korean War in the U.S. to examine if the book introduces the Korean war to readers with a sense of dist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rother’s Keeper published in 2020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books about the Korean War. In terms of time, place, and focus, Brother’s Keeper did not create a distance between readers and the Korean War. Rather, it used literary elements to help readers experience the war with the protagonist. Brother’s Keeper vividly depicted the Korean War, which is not a well-known historic event for American children. It also shows a meaningful change in the Korean War story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U.S.

      • KCI등재

        한국전쟁과 전남지역 기독교 연구 - 현황과 과제 -

        윤정란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40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Korean War and Christianity were summarized, and research task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Korean War study until 2020,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we looked at the Jeonnam area. This area was the site of the Yeonsun incident just before the Korean War, and the conflict between left and right was very critical, and it was known that Christian sacrifices were more common than any other region during the Korean War. Christian churches in the Jeonnam region established martyrdom to Christians who were victims of the Korean War and continued to commemorate them.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War and Christianity in the Jeonnam region with these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and research tasks were presented: To begin with, from the Korean War outbreak in 1950 to the end of the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by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2, I examined the Korean War documents about the Cold War and Christian sacrifice in the Jeonnam region. Then I reviewed the records. As a result, the research in the following direction was necessary to study further the Christianity that was sacrificed during the Korean War: First, it is the continuous use of oral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odern history of the village. Third, an in-depth study of the conflicting factors in the town must be conducted beyond understanding the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socialism.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cords of Christians who were victims of the Korean War. If this kind of research is conducted, I think it will contribute to not only to the Korean War study but also to the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본고에서는 한국전쟁 70주년이 되는 2020년까지의 한국전쟁 연구 중에서 한국전쟁 과 기독교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특히 전 남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지역은 한국전쟁 직전 여순사건이 일어난 곳으로 좌 우익의 갈등이 매우 첨예했던 곳이며, 한국전쟁 당시 기독교인들의 희생이 어느 지역보 다 많았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전남 지역의 기독교회들은 한국전쟁 당시 희생당한 기독 교인들에 대한 순교비를 설립하고 오늘날까지 추모를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 진 전남지역의 한국전쟁과 기독교에 대한 연구동향을 조사하고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냉전시대 한국전쟁과 전남지역 기독교 희생에 대한 기록물을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부터 1992년 소련의 붕괴로 인한 미소 중심의 냉전체제가 종식되는 시기까지 조사하였고, 이어서 그 기록물에 대해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한국전쟁 당시 희생당한 기독교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진척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의 연구가 필요하였다. 첫째는 구술사적 연구방법론의 지속적인 활용이 다. 둘째는 마을의 근현대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는 기독교와 사회주의간의 충돌이라는 이해에서 벗어나 마을의 갈등 요인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는 한국전쟁기 희생당한 기독교인들에 대한 기록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러 한 방향의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한국전쟁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현대사를 보다 더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기여하리라고 본다.

      • KCI등재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

        문선영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film historical significance of Korean War through Does the Nak-Dong River Flow by Im Kwon-taek.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as the border landmark of fratricidal war, ha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eld of tragedy which decides between victory and defeat. A few sets of its significances could be drawn out from the cinematographic embodiment of that Nak-Dong River.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ing:First of all,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worth being counted as the masterpiece of war films. Despite its faithfulness to the anti-communist film, it also escapes the scope of ‘anti-communism’ and raises a solemn question as to the misery of fratricidal war, making a war movie based on humanity as a whole. With its well-made mise-en-scen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before anything else a movie made with a great enthusiasm for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movie Nak-Dong River posits itself not only as the significance of the site of tragedy covered with blood and carcases but also as the significance of love and parting at the same time. These are extracted from the situation of child combatant Cheon Tae-sik. Secondly, Does the Nak-Dong River Flow? directly deals with the problem of child combatants, an issue of continual controversy. Centering on a little child with no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of war at all, the misery of Korean War emerges all the more powerfully, and the pretty 'flower' in the movie calls attention to those horrors even more impressively, let alone the image of tanks and the scenes of humanity. Likewis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can said to be a distinguished film work of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Before anything else, it is noteworthy that Kwon-taek Im, who tries to approaches the historical fact with modesty and sincerity placing 'child combatant' as the central figure, poses Nak-Dong River as the space for the venting of spite, not being content with its spatial importance as the expression of the irony of Korean War which has no clear division between enemy and friend nor with its value as a factual record of the battlefield of the blind struggling for victory under those ironical circumstances of history. It must be deeply involved with those circumstances that Nak-Dong River has been one of the main subjects for film and other branches of art. There was a scene in the movie in which Cheon Tae-sik throws a field shovel to tell his fortune and other soldiers, utterly fearful of death, give facial expressions of agreement when they were making a plan to sweep the enemy through blowing up of a bridge and preparing for the operation. It is a moment of sadness, in which our minds cannot help but lapse into weakness infinitely under the tragic circumstances. 이 논문은 한국전쟁을 다룬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통해 한국전쟁 가운데 치열하기로 이름난 낙동강전투가 영화담론으로서 어떤 의미망을 지니는지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된 것이다. 이때 중심되는 화두는 ‘한국전쟁과 영화담론’이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대상으로, 당대 전쟁영화의 의미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1976년에 제작되었다.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과 대적하는 남한군의 고군분투를 그린, 임권택 감독의 이른바 반공영화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洛東江은 흐르는가」에서는 반공영화가 주요 관심사가 될 수 없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든 전경으로든 담은 영화가 피해갈 수 없는 맥락이 바로 ‘반공’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한국전쟁을 담은 영화는 끊임없이 제작되고 있고, 여기서 ‘반공’에 대한 논란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반공이 논란의 선상에 놓이는 것은 한국전쟁이 지닌 특수성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렇듯 한계담론으로 지적되는 ‘반공’의 이면에 숨겨진 담론들을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가 어떻게 표명하고 있는지 살폈다. 아울러 적과 동지의 구분이 모호한 한국전쟁의 아이러니성을 극명하게 표출시킨 ‘낙동강’의 공간성과 함께 그 속에 놓인 소년병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면모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꽃의 메타포’로서 기억의 저편에 묻힌 과거의 진실들, 잘 표현된 불행의 여정들을 탐색하였다. 본고는 인간의 모순, 감각의 윤리, 생존의 숭고 등 여전히 진행형으로 우리 삶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상흔들을 ‘낙동강’을 배경으로 곱씹는 데 바쳐져 있다.

      • KCI등재

        한국전쟁시기 미국의 해상운송체계와 상선 : 미군해상수송지원단(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을 중심으로

        (Se Manil)서만일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병참(Logistics, 兵站)일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정부는 전쟁을 수행할 군사·경제적 역량이 없었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유엔연합군(United Nations Forces)의 참전으로 전쟁을 지속할 수 있었다. 이 연합군에 대한 모든 병참지원은 미군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대규모 군수품의 운송은 미군해상운송 지원단(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MSTS)에 의해 이루었다. 이와 더불어 민간구호, 경제재건 물자의 운송에도 관여하였다.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은 2차 대전이후 냉전체제를 대비한 군 수송체계로 미군의 전쟁수행을 용의하게 할 목적으로 창설되었고, 한국전쟁시기 본격적으로 처음 활용되었다. 특히 한국전쟁은 미군해상운송지원단에게 실전에서의 운영 노하우(Know-How)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의 운영체계가 확고해지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은 그 자체 선박의 운영뿐만 아니라 민간 상선과의 운송계약을 적극 활용하여 미국 해운업에 많은 이득을 안겨주었다. 이것은 단순히 공산측에 대한 군사적 대응뿐만 아니라, 전쟁을 국내 산업의 보호와 육성이라는 경제적 측면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냉전시기 미국의 한국에 대한 지원은 군사적인 부분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한국은 1950~60년대 미국의 대대적인 경제지원을 받았다. 이러한 지원은 자본과 물자 지원만이 아닌 기술원조(technical assistance)의 측면도 포함하였다. 한국전쟁당시 미군해상운송 지원단에 소속된 민간 상업 선박 중 일부 선박에서 한국의 선원 육성프로그램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시기 대부분의 물류를 수송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의 설립과정과 전쟁당시 운영에 대해서 제시하고, 한국전쟁에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arrying out the war is logistic support. During the Korean War, the Korean government did not have the military and economic capacity to carry out the war, and it was able to continue the war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All military support for this coalition was provided by the US military, and large-scale military supplies were transported by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In addition, it was involved in the transportation of private relief and economic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II,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as established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the U.S. military s war as a military transport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Cold War system. It was use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e Korean War not only provided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ith an opportunity to build know-how in practice,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to solidify its system in East Asia. In addition,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has benefited a lot from the U.S. shipping industry by actively utilizing transportation contracts with private merchant ships as well as its own ship operation. This seems to include not only military responses to the communist side, but also the economic aspect of protecting and fostering domestic industries for war. US support for Korea during the Cold War was not limited to military aspects. Korea received extensive economic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and 1960s. This support includes not only the economic aid program, but also the aspect of technical assistance. During the Korean War, some of the private commercial ships belonging to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appear to have carried out a program to foster Korean sailor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hich transported most of the logistics during the Korean War, and discusses the role and meaning of the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to Korea.

      • KCI등재

        한국전쟁과 휴전의 당사자 문제

        李相冕(Sang-Myon Rhee)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2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한국전쟁을 종결하고 휴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변경하여야 한다. 전쟁 당사자 쌍방에 의한 한국전쟁의 상반된 성격주장은 무력충돌 직후부터 되풀이 되었다. 아측에서는 한국전쟁을 오랜 동안 6.25사변 내지 〈한반도 충돌(Korean Conflicts)〉라고 불렀고, 공산 측에서는 민족해방전쟁이라고 불러왔고 그 성격은 국제적인 내전이라고 했다. 한국전쟁의 당사자 문제에 있어서도 유엔군 측에서 전쟁에 실제적으로 참가한 전당사자가 당연히 전쟁의 당사자라고 한데 반하여, 공산 측에서는 민족해방전쟁에 미국이 간섭하였던 것이었고, 유엔군은 미군 산하에 설치된 것으로 불법적인 것이었다고 주장해왔다. 한국전쟁이 비록 선포된 전쟁은 아니었다고 할지라도 남한과 북한은 그 태동과 성립 초기부터 서로가 상대방이 없어져야할 존재로 여겼으며, 남북을 가르던 북위 38도선에서 수많은 크고 작은 충돌이 있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남한을 침공하면서 제네바 협정 등 전시국제법규의 준수를 주장했고 아측이 이를 수락함으로써 남북간의 충돌은 이미 처음부터 국제법적인 전쟁으로 화하였다. 전쟁의 수행 과정에서도 양측은 상대방의 국제법규 위반사례를 지적하며 전시국제법규의 성실한 준수를 주장했다. 1953년 7월 27일 휴전까지 수많은 위반이 있었지만, 전시법규를 피차간에 준수한 점도 역시 다른 여타의 전쟁과 그다지 다르지 아니하였다는 점은 인정하여야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휴전협정에서는 유엔군을 대표하여 클라크 장군이 서명했고, 공산측에서는 북한군을 대표한 김일성과 중공군을 대표한 펑더화이가 서명했다. 이점을 들어 북한에서는 한국전쟁이 북한과 미국과의 전쟁였으며, 한국은 휴전협정의 당사자가 아니라고 주장해왔다. 북한은 또한 중국은 의용군이 참전했던 것이므로 한반도 평화체제로의 변경 문제는 기본적으로 북한과 미국 간에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휴전협정의 규정에 따라 개최된 1954년 제네바 한반도 평화회담에서는, 아측과 공산측이 미리 합의했던 바에 따라, 아측에서는 한국과 미국을 위시한 유엔 참전 16개국이 참가하였고, 공산측에서는 북한과 중국이 참가하였다. 구 소련이 간접 참전국으로 회담에 참석하여, 회담에 참가한 나라는 모두 20개국이었다. 이것은 한국전쟁의 당사자가 19개국이며, 소련이 직접 당사자 못하지 않게 간접으로 참전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5년 9월 16일에 북한핵문제를 논의하는 6자회담에서 나온 공동선언에서는 한반도의 휴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변경하기 위한 협의를 직접 당사자 간에 별도의 포럼을 만들어 하기로 하였다. 직접 당사자는 남북한과 미국 및 중국으로 알려져 있고, 이들이 한국전쟁과 휴전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것이었으므로, 평화체제 구축에서도 역시 이들의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전쟁을 종결짓고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모든 전쟁당사자가 참가하는 제2의 제네바 한반도 평화회담이 필요할 것이다. 한반도의 분단 상태에서 선거를 통하여 이를 통일 독립된 민주국가를 성립시키려고 시도했던 유엔도 다시금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서 역할을 다 하여야 한다. The character of the Korean War has been controversial since the start of the armed conflicts on June 25, 1950. Origin of such controversies dates back to the end of the World War II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by the of the occupying victorious power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then Soviet Union. Each divided Korea even before its establishment claimed its legitimacy, asserting the other must disappear. Numerous minor armed conflicts took place even before the Korean War. In rare instances, even prisoners of the conflicts were exchanged. Upon the invasion, the authorities of the invading North Korean forces proposed that each belligerent should strictly observe the Hague Regulations and the Geneva Conventions. South Korea immediately accepted such proposal. Without any declaration of war, the Korean armed conflict thus turned out to be a de facto war. However, not only Communist North as well as Sou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forces attempted to downgrade the character of the war for political reasons. North Korea labelled it as a war of national liberation, while China labelled it as an international civil war, wherefore it thus allowed volunteers to cross over the Yalu river. South Korea merely labelled it as ‘6.25 Incident,’ the nuance of which sounded lik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when Japan attacked China severing the Northeastern provinces from the mainland. The sixteen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participating in the war led by the United States war used to call it a Korean conflict, for they would thus not recognize the status of the invading forces. However, the generic term of the Korean War may also be used as technical one, for each belligerent regarded it as war. Throughout the armed conflict including the entire period of the negotiations for an armistice, each belligerent has recognize the enemy forces as opponent participants of the war. Thus it was quite natural that North Korea and China eventually accepted South Korea as one of the seventeen enemy participants of the war to be seated at the Geneva Political Conference in 1954 as a belligerent. General Mark W. Clark put his signature at the armistice instrument as commander-in-chief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representing the sixteen nations including his own country United States, under which his United Nations Command was located, as well as South Korea, which delegated the commanding authority to him. In most international armed conflicts, wherein a party of the armed conflict consists of armed forces of plural powers, usually the joint forces are alined forming a hierarchy under a unified command, as was the case during the WW II, wherein the Allied and Associate Powers organized military command under a certain dominant powers like the United States. The four major powers participated in the war, namely two Koreas,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long with Japan and Russia as a successor of the former Soviet Union, issued a Joint Statement on September 16, 2005 finalizing the Six-Party Talks over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wherein they included a clause to the effect that direct parties of the Korean Conflict should discuss the issues of possible transforming of the current Korean armistice into a permanent peace regime. The direct parties would mean two Koreas, the U.S. and China. Thus whatever the political propaganda by North Korea in the past, South Korea is a legitimate party to the war and the armistice, as has been evident in the 1954 Geneva Conference and in the 2005 Joint Statement. Once the consultation for a peace regime becomes fruitful, another round of Geneva Political Conference would be desirable in putting an end to the Korean War. It would also be highly desirable if the U. N. could again play its role for the eventual establishment of the permanent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glob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