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잊힌 전쟁’과 ‘알려지지 않은 전쟁’ 사이에서 -미국 학계의 한국전쟁 연구 동향과 미국 한국학-
옥창준 한국사학사학회 2024 한국사학사학보 Vol.- No.50
이 글의 목적은 미국 학계의 한국전쟁 연구 동향을 새로운 관점에서 정리하는 것이다. 미국 학계의 연구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이글은 미국 학계의 일원인 미국 한국학계가 한국전쟁이라는 주제를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살피면서, 미국 학계에서 한국전쟁이 ‘잊힌 전쟁’에서 ‘알려지지않은 전쟁’으로 변모할 수 있었는지를 사학사적 차원에서 탐구할 것이다. 이 글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국에서 초창기 한국전쟁 연구의 초점은 극동/동북아시아에서 발발한 ‘전쟁’에 맞추어졌고, 한국전쟁은 주로 소련 세계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되었다. 전쟁에 대한 관심이 ‘한국’을 향한 이해와 결부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했다. 먼저 아시아 민족주의를 공산주의와 분리하여 파악하는 지적 분위기가 등장해야 했다. 다음으로 미국에서 한국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해석할 수 있는 미국 한국학이 성장해야 했다. 미국 한국학의 성장을 통해, 한국전쟁에서 한국인의 정치적 동학이 비로소 주목받기 시작한다. 역설적으로 미국 한국학자들의 활동을 토대로 한국전쟁에서 미국의 역할을 둘러싼 성찰적인 질문이 가능해졌다. 미국에서 한국전쟁이 왜 잊혔는지, 그리고 한국전쟁이 ‘알려지지 않은 전쟁’이라면 앞으로 무엇을 더 알아야 하는지를 두고 진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이다. 냉전의 종식 이후, 미국 학계에서는 구공산권의 기밀해제 문서를 중심으로이를 국제적 차원에서 연구하는 ‘국제적 전환’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전쟁’에서 더 알아야만 하는 사실은 사료 속에만 있지 않았다. 미국한국학계는 민주화 이후 급성장한 한국 학계와의 협력과 연계를 통해 한국전쟁 연구의 ‘사회・문화적 전환’, 나아가 ‘인간적 전환’이라는 다른 차원의 문제의식을 추구했다. 이와 같은 미국 한국학계의 활동을 통해 ‘알려지지 않은 전쟁’은 새로운 방식으로 기억되며, 여전히 유의미한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고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historiography of Korean War studies in American academia.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comprehensively cover the research of American academics,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American Korean Studies community, which is part of the American academic community, has dealt with the topic of the Korean War, and explores historically how the Korean War could be transformed from a ‘forgotten war’ to an ‘unknown war’ in American academia. Initially, the focus of Korean War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was on the ‘war’ in the Far East/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War was analyzed as part of the Soviet Union’s global strategy. To focus on the matter of ‘Korea’, several conditions had to be met. First, an intellectual climate had to emerge in which Asian nationalism was understood separately from communism. Next, American Korean studies had to grow to provide and interpret information about Korea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growth of Korean studies in Amercia,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Korean people in the Korean War began to receive attention. Paradoxically, the work of American Korean scholars has simultaneously enabled reflective questions about America’s role in the Korean War. Serious discussions began to take place about why the Korean War has been forgotten in the United States and what more needs to be learned about it if it is indeed an ‘unknown wa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re has been an ‘international turn’ in U.S. academia to study the Korean War at an international level, with a focus on declassified documents from the former communist regime. But there is much more to learn about this ‘unknown war’ than what is in the archives. Through collaborations and connections with South Korean scholars, who have grown rapidly since democratization, American Korean studies has sought to pursue a different dimension of the study of the Korean War: a ‘socio-cultural turn’, or ‘humanistic turn.’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unknown war’ is remembered in new ways, and new questions are still being asked today.
한국전쟁기 삐라의 만화적 특성 분석 -미군과 한국군의 삐라를 중심으로-
이재웅,윤기헌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5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cartoon-like expression method preferred more than text or picture by using the expression method to maximize the propaganda effect in the propaganda bill which was used as typical media of psychological warfare executed during the Korean War(the 6.25 War in Korea). And,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 of propaganda bill that the U.S. Forces and South Korean Forces spread in those days. In addition, among them,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t centered on the share of cartoon-like expression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its cartoon-like expression method. To achieve this,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research by classifying the type expressed in the propaganda bill with the text type, picture type, cartoon type, situational expression type and panel comics type, and to analyze how to accumulate the expression competency as each form of expression was changed in its wartime situation. And,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representative cartoonis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propaganda like production of propaganda bill during the Korean War, and to newly discover the meaning that their activities could be taken in terms of history of Korean comics. The proportion of cartoon-like expression method was relatively high as main expression method of propaganda bill in the Korean War. Accordingly, the main bodies of war in each country actively inputted the cartoonists as key agents who could have performed the psychological warfare of the Korean War to the production process of propaganda bill. The cartoonists during the Korean War could be provided environment to sustain the creative activities in a safe situation on the home fronts during the Korean War. On the other hand, they experienced the pain to continue their creative activities as mechanics as scapegoats of severe ideological confrontation. The propaganda bill during the Korean War was in the spotlight of typical media of psychological warfar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e history of comics that it demonstrated how the comics were utilized or used to the ideology and war and how the comics characteristic was implemented.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as first step to clarify the comics characteristic of comic propaganda bill. 한국전쟁(6.25전쟁)기 심리전 수행의 대표적 매체는 삐라였다. 각 전쟁주체들은 삐라의 선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텍스트나 사진, 그림 등 다양한 표현기법을 총동원하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선호한 표현방법은 만화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시 미군과 한국군이 살포한 삐라를 중심으로 만화적 표현방법의 비중과 특성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 삐라를 표현형식별로 텍스트형, 사진형, 만화형, 기타 혼합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표현형식이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을 분석하였으며, 만화형은 다시 그 표현기법에 따라 카툰기법, 상황표현기법, 이야기만화기법으로 구분하여 적군을 효과적으로 설득하기 위해 어떤 만화적 표현기법을 선호하였는지를 분석했다. 대부분 익명으로 제작된 삐라의 특성상 당시의 만화가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삐라작업에 참여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미군의 삐라제작과정과 삐라제작에 참여한 한국만화가들의 행적도 고찰했다. 한국전쟁기에 살포된 삐라의 특성을 보다 집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각 전쟁주체들이 발간한 만화신문, 포스터 등 일반적인 선전물은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하였고, 자유주의 진영이 살포한 삐라의 만화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미군과 한국군의 삐라를 연구대상으로 한정했다. 공산주의 진영인 북한군과 중공군이 살포한 삐라의 특성은 다음 연구과제로 남겨 두었다. 연구결과 한국전쟁기 삐라 제작에서 만화적 표현방법이 차지하는 비중은 텍스트나 사진 등의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한국전쟁이 국제전 성격의 치열한 이데올르기의 각축장이었기 때문에 문맹자나 언어의 장벽을 보다 쉽게 극복할 수 있는 만화적 표현기법은 삐라 제작의 필수불가결한 표현 형식이었다. 따라서 전쟁 주체들은 만화가들을 한국전쟁의 심리전을 수행할 핵심 요원으로 삐라 제작과정에 적극적으로 투입시켰다. 이와 같이 한국전쟁기의 삐라는 전쟁으로 단절되었던 한국만화사의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으며 극단적인 이데올로기 대립 속에서 전쟁의 도구로 전락한 작가의 창의력이 잘 나타나 있는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되었다.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현대문학사의 한국전쟁 인식과 문학사 기술양상: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와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를 중심으로-
윤송아(Yoon Song Ah)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6
본고는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문학사 중에서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와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를 중심으로, 각국의 한국전쟁 인식과 이에 기반한 한국전쟁문학의 특징적 기술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는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기본인식이 충실히 반영된 문학사로, 기본적으로는 북한문학사의 시기구분과 주 제 분류에 바탕을 두면서도 주체사상에 기반한 유일사상체제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중조우의(中朝友誼)’를 내세운 국제주의적 친선과 ‘항미원조 전쟁(抗美援朝戰爭)’으로서의 한국전쟁의 위상, 인민대중의 혁명적 영웅주의 와 애국주의를 강조하는 입장을 취한다. 즉 한국전쟁에 있어서 중국과 북한의 정치적 결속 및 역사적 상관성, 한국전쟁에서의 중국의 역할을 의식적으로 강조함으로써, 북한문학사를 중국인민의 입장에서 조망하고 그 근접성과 교차점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뚜렷이 표출된 문학사이다. 다음으로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에서는 한국전쟁에 대한 심도 있는 성찰이 누락된 채 전쟁에 대한 각 문학자의 대응방식을 개인의 내면문제 혹은 문학적 표출양상으로만 환원하여 바라보는 외부자적 시선을 보여준다. 이는 미국의 ‘기지국가(基地國家)’로서 한국전쟁에 관여하면서 ‘조선특수(朝鮮特需)’를 통해 패전 이후 단기간의 경제회복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평화담론’으로 은폐해온 일본의 무의식적 망각 및 무관심과 연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허쩐후아와 사에구사의 문학사는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정치적 입장과 역사적 인식 태도를 직·간접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한중일 한국현대문학사를 가로지르는 중층적이고 상호침투적인 교섭과 문화횡단의 한 양상을 보여준다. This study deliberated patterns of describ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Literature based on Korean War recognitions of each country, focusing on Taste of Korean Literature by Saegusa Toshikatsu and Choseo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Huzhenhua amo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s written in China and Japan. First of all, fundamental awareness of China about Korean War was fully reflected in Choseo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Huzhenhua. Basically, it was distant from unique ideological system. It takes a position to emphasize the status of Korean War as internationalist goodwill and anti-Americanism assistance war which was based on China-Korea Friendship , revolutionary heroism, and patriotism of people. In other words, emphasizing the political ties, historical concer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nd the role of China in the Korean War conscientiously in terms of Korean War,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was reviewed from the stance of Chinese people. Its proximity and intersection were tried to find out in the literature. Next, in Taste of Korean Literature by Saegusa Toshikatsu, there is a lack of introspection on the Korean War. But each author s response to the war was just considered it as individual issues or simple literary expressions from outsider’s viewpoints. This seems to associate with unconscious forgetfulness or indifference of Japan, which tried to conceal it as a discourse on peace despite the short-term economic recovery after its defeat in the war by increased demands by Choseon as America was concerned in Korean War as a base . Like this, the history of Huzhenhua and Saegusa s literature reflect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political position and historical recognizing attitude of China and Japan about Korean War. They show cross-sectional and interpenetrating contact and single aspect of cross-cultural literature in Korea-China-Japan Modern Literature History.
한국전쟁시기 미국의 해상운송체계와 상선 : 미군해상수송지원단(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을 중심으로
(Se Manil)서만일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병참(Logistics, 兵站)일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정부는 전쟁을 수행할 군사·경제적 역량이 없었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유엔연합군(United Nations Forces)의 참전으로 전쟁을 지속할 수 있었다. 이 연합군에 대한 모든 병참지원은 미군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대규모 군수품의 운송은 미군해상운송 지원단(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MSTS)에 의해 이루었다. 이와 더불어 민간구호, 경제재건 물자의 운송에도 관여하였다.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은 2차 대전이후 냉전체제를 대비한 군 수송체계로 미군의 전쟁수행을 용의하게 할 목적으로 창설되었고, 한국전쟁시기 본격적으로 처음 활용되었다. 특히 한국전쟁은 미군해상운송지원단에게 실전에서의 운영 노하우(Know-How)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의 운영체계가 확고해지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은 그 자체 선박의 운영뿐만 아니라 민간 상선과의 운송계약을 적극 활용하여 미국 해운업에 많은 이득을 안겨주었다. 이것은 단순히 공산측에 대한 군사적 대응뿐만 아니라, 전쟁을 국내 산업의 보호와 육성이라는 경제적 측면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냉전시기 미국의 한국에 대한 지원은 군사적인 부분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한국은 1950~60년대 미국의 대대적인 경제지원을 받았다. 이러한 지원은 자본과 물자 지원만이 아닌 기술원조(technical assistance)의 측면도 포함하였다. 한국전쟁당시 미군해상운송 지원단에 소속된 민간 상업 선박 중 일부 선박에서 한국의 선원 육성프로그램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시기 대부분의 물류를 수송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의 설립과정과 전쟁당시 운영에 대해서 제시하고, 한국전쟁에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arrying out the war is logistic support. During the Korean War, the Korean government did not have the military and economic capacity to carry out the war, and it was able to continue the war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All military support for this coalition was provided by the US military, and large-scale military supplies were transported by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In addition, it was involved in the transportation of private relief and economic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II,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as established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the U.S. military s war as a military transport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Cold War system. It was use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e Korean War not only provided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ith an opportunity to build know-how in practice,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to solidify its system in East Asia. In addition,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has benefited a lot from the U.S. shipping industry by actively utilizing transportation contracts with private merchant ships as well as its own ship operation. This seems to include not only military responses to the communist side, but also the economic aspect of protecting and fostering domestic industries for war. US support for Korea during the Cold War was not limited to military aspects. Korea received extensive economic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and 1960s. This support includes not only the economic aid program, but also the aspect of technical assistance. During the Korean War, some of the private commercial ships belonging to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appear to have carried out a program to foster Korean sailor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hich transported most of the logistics during the Korean War, and discusses the role and meaning of the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to Korea.
강유정(Yu-Jung Ka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5 No.2
영화사에 있어서 “전쟁”은 낯선 소재가 아니다. 한국영화사에서 전쟁은 남과 북이라는 분단 상황을 불러일으킨 한국 전쟁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 전쟁은 한국 역사에 있어 부인할 수 없는 공통의 정신적 외상(trauma)이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한국 전쟁과의 시간적 거리만큼 전쟁을 다루는 방식이 다양해졌다는 사실이다. 1960년대 전쟁 영화에서 한국 전쟁은 강박증에 가까우리만치 심각한 주제 의식으로 전경화되었다. 이에 비해 1990년대 이 후 전쟁을 다룬 영화는 전쟁영화라는 장르보다 오히려 멜로 영화의 면모를 띄는 경우가 더 많다. ‘영화의 주제였던 “전쟁”이 점차 소재화되어가고 있는 셈이다. 주제가 아닌 소재로서의 “전쟁”은 1990년대 이후 제작된 영화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1998년 제작된 강제규 감독의 『쉬리』는 한국 전쟁과 분단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을 블록 버스터 상업 영화의 문법에 전유함으로써 새로운 한국 영화의 가능성을 제안했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영화는 분명 전쟁에 대한 강박적 죄의식이나 윤리적 의무감에서 벗어나 있는듯 보인다. 적극적으로 읽자면 이러한 변화는 “한국 전쟁”이라는 집단적 상처를 개인사로 구체화하겠다는 선언으로 받아들여진다. 선언은 한편 전쟁이라는 불변의 현실을 환상과 상상력을 통해 재구성해보고자 하는 노력으로 연계된다. 문제는 그 재구성이 역사의 상처에 대한 반성적 치유인가 아니면 대중 영합적 자기 합리화인가이다. 본 고에서 『쉬리』 이후 한국 전쟁과 분단을 소재로 한 영화 작품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바는 바로 주제가 아닌 소재적 차원에서 원용되고 있는 한국 전쟁의 면모와 그것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한 재고라고 할 수 있다. War is so familiar theme in film history. In Korean film history, most of what is called war is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must be frightful tranma to Korean.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most korean war films are highly diversified. In the 1960's korean war film were dedicated to ideological means to end. But after 1990s, korean war films get toward not ideological but melo dramatic form. Spectacle of the Korean War is used by not theme or subject only but materials. Director Kang's {Swiri, 1998} is the first block-buster which used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s melodramatic obstacles. After 1990s, korean war films are seemed to be free from obsessive guilt trip about terrible sight of war. This change can be comprehended as declaration to concrete the pain of war in specific private history. The declaration must be connected the trial to change and overcome immutable trauma of war. The problem is the reconstuction of war image can be used popular fashion or commercial items. So this paper would verify the meaning and problem of current Korean War Film.
윤정란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40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Korean War and Christianity were summarized, and research task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Korean War study until 2020,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we looked at the Jeonnam area. This area was the site of the Yeonsun incident just before the Korean War, and the conflict between left and right was very critical, and it was known that Christian sacrifices were more common than any other region during the Korean War. Christian churches in the Jeonnam region established martyrdom to Christians who were victims of the Korean War and continued to commemorate them.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War and Christianity in the Jeonnam region with these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and research tasks were presented: To begin with, from the Korean War outbreak in 1950 to the end of the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by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2, I examined the Korean War documents about the Cold War and Christian sacrifice in the Jeonnam region. Then I reviewed the records. As a result, the research in the following direction was necessary to study further the Christianity that was sacrificed during the Korean War: First, it is the continuous use of oral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odern history of the village. Third, an in-depth study of the conflicting factors in the town must be conducted beyond understanding the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socialism.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cords of Christians who were victims of the Korean War. If this kind of research is conducted, I think it will contribute to not only to the Korean War study but also to the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본고에서는 한국전쟁 70주년이 되는 2020년까지의 한국전쟁 연구 중에서 한국전쟁 과 기독교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특히 전 남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지역은 한국전쟁 직전 여순사건이 일어난 곳으로 좌 우익의 갈등이 매우 첨예했던 곳이며, 한국전쟁 당시 기독교인들의 희생이 어느 지역보 다 많았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전남 지역의 기독교회들은 한국전쟁 당시 희생당한 기독 교인들에 대한 순교비를 설립하고 오늘날까지 추모를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 진 전남지역의 한국전쟁과 기독교에 대한 연구동향을 조사하고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냉전시대 한국전쟁과 전남지역 기독교 희생에 대한 기록물을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부터 1992년 소련의 붕괴로 인한 미소 중심의 냉전체제가 종식되는 시기까지 조사하였고, 이어서 그 기록물에 대해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한국전쟁 당시 희생당한 기독교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진척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의 연구가 필요하였다. 첫째는 구술사적 연구방법론의 지속적인 활용이 다. 둘째는 마을의 근현대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는 기독교와 사회주의간의 충돌이라는 이해에서 벗어나 마을의 갈등 요인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는 한국전쟁기 희생당한 기독교인들에 대한 기록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러 한 방향의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한국전쟁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현대사를 보다 더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기여하리라고 본다.
탁지일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2013년은 한국전쟁 휴전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부산에 있는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역인 유엔기념공원(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에는 2,300명의 한국전쟁 참전 유엔군들이 묻혀있다. 누군가의 사랑하는 아들이었던 이들이 자신들의 집과 조국을 떠나 머나 먼 이국땅에 잠들어 있는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 가장 대표적인 기독교 국가들인 미국과 캐나다는 많은 군인들을 파병했고, 많은 희생자들을 냈다. 미국과 캐나다 교회는 한국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 전쟁터로 파병되는 젊은 청년들과 그들의 가족들에게 교회는 한국전쟁 참전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했으며, 수많은 전사자들의 가족들과 부상자들이 겪는 고통과 아픔을 어떻게 설명했을까?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과 캐나다 교회가 한국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시기와 범위는 한국전쟁 발발(1950.6.25)로부터 휴전(1953.7.27)까지 나온 미국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와 캐나다연합교회(United Church of Canada)의 공식적인 자료들로 제한한다.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정치적·군사적·외교적 관계 차원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교회의 관점에서는,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미 양국 교회의 관계가 전쟁 원조활동을 중심으로 연구되었고,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공식적인 자료들에 기초한 선행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주로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재한 선교사들을 통한 구호활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사료관이 소장 중인 일차자료들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다. 캐나다연합교회 자료는 토론토 캐나다연합교회사료관(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의 일차자료들을 조사했으며, 미국연합장로교회 자료는, 필라델피아의 미국장로교사료관(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접근한 후, 샌프란시스코신학대학원(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에 소장된 일차자료들을 조사했다. The year 2013 is the sixty-year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of the Korean War. At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Busan, Korea, rest 2,300 UN troops who sacrificed their lives during the wa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anada sent numerous troops to Korea. We wonder how the churches of U.S.A. and Canada recognized the war, how they justified it, and how they explained the meaning of war entry to the families of the young soldi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urche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It specifically focuses on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nited Church of Canada during the period of the war (June 25, 1950~July 27, 1953). The previous studies of the Korean War were mostly approached on the level of political, military, and diplomatic relations and also church historians mainly dealt with the churches" humanitarian aids. Precious documents owned by the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U.S.A. and the 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李相冕(Sang-Myon Rhee)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2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한국전쟁을 종결하고 휴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변경하여야 한다. 전쟁 당사자 쌍방에 의한 한국전쟁의 상반된 성격주장은 무력충돌 직후부터 되풀이 되었다. 아측에서는 한국전쟁을 오랜 동안 6.25사변 내지 〈한반도 충돌(Korean Conflicts)〉라고 불렀고, 공산 측에서는 민족해방전쟁이라고 불러왔고 그 성격은 국제적인 내전이라고 했다. 한국전쟁의 당사자 문제에 있어서도 유엔군 측에서 전쟁에 실제적으로 참가한 전당사자가 당연히 전쟁의 당사자라고 한데 반하여, 공산 측에서는 민족해방전쟁에 미국이 간섭하였던 것이었고, 유엔군은 미군 산하에 설치된 것으로 불법적인 것이었다고 주장해왔다. 한국전쟁이 비록 선포된 전쟁은 아니었다고 할지라도 남한과 북한은 그 태동과 성립 초기부터 서로가 상대방이 없어져야할 존재로 여겼으며, 남북을 가르던 북위 38도선에서 수많은 크고 작은 충돌이 있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남한을 침공하면서 제네바 협정 등 전시국제법규의 준수를 주장했고 아측이 이를 수락함으로써 남북간의 충돌은 이미 처음부터 국제법적인 전쟁으로 화하였다. 전쟁의 수행 과정에서도 양측은 상대방의 국제법규 위반사례를 지적하며 전시국제법규의 성실한 준수를 주장했다. 1953년 7월 27일 휴전까지 수많은 위반이 있었지만, 전시법규를 피차간에 준수한 점도 역시 다른 여타의 전쟁과 그다지 다르지 아니하였다는 점은 인정하여야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휴전협정에서는 유엔군을 대표하여 클라크 장군이 서명했고, 공산측에서는 북한군을 대표한 김일성과 중공군을 대표한 펑더화이가 서명했다. 이점을 들어 북한에서는 한국전쟁이 북한과 미국과의 전쟁였으며, 한국은 휴전협정의 당사자가 아니라고 주장해왔다. 북한은 또한 중국은 의용군이 참전했던 것이므로 한반도 평화체제로의 변경 문제는 기본적으로 북한과 미국 간에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휴전협정의 규정에 따라 개최된 1954년 제네바 한반도 평화회담에서는, 아측과 공산측이 미리 합의했던 바에 따라, 아측에서는 한국과 미국을 위시한 유엔 참전 16개국이 참가하였고, 공산측에서는 북한과 중국이 참가하였다. 구 소련이 간접 참전국으로 회담에 참석하여, 회담에 참가한 나라는 모두 20개국이었다. 이것은 한국전쟁의 당사자가 19개국이며, 소련이 직접 당사자 못하지 않게 간접으로 참전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5년 9월 16일에 북한핵문제를 논의하는 6자회담에서 나온 공동선언에서는 한반도의 휴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변경하기 위한 협의를 직접 당사자 간에 별도의 포럼을 만들어 하기로 하였다. 직접 당사자는 남북한과 미국 및 중국으로 알려져 있고, 이들이 한국전쟁과 휴전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것이었으므로, 평화체제 구축에서도 역시 이들의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전쟁을 종결짓고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모든 전쟁당사자가 참가하는 제2의 제네바 한반도 평화회담이 필요할 것이다. 한반도의 분단 상태에서 선거를 통하여 이를 통일 독립된 민주국가를 성립시키려고 시도했던 유엔도 다시금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서 역할을 다 하여야 한다. The character of the Korean War has been controversial since the start of the armed conflicts on June 25, 1950. Origin of such controversies dates back to the end of the World War II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by the of the occupying victorious power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then Soviet Union. Each divided Korea even before its establishment claimed its legitimacy, asserting the other must disappear. Numerous minor armed conflicts took place even before the Korean War. In rare instances, even prisoners of the conflicts were exchanged. Upon the invasion, the authorities of the invading North Korean forces proposed that each belligerent should strictly observe the Hague Regulations and the Geneva Conventions. South Korea immediately accepted such proposal. Without any declaration of war, the Korean armed conflict thus turned out to be a de facto war. However, not only Communist North as well as Sou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forces attempted to downgrade the character of the war for political reasons. North Korea labelled it as a war of national liberation, while China labelled it as an international civil war, wherefore it thus allowed volunteers to cross over the Yalu river. South Korea merely labelled it as ‘6.25 Incident,’ the nuance of which sounded lik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when Japan attacked China severing the Northeastern provinces from the mainland. The sixteen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participating in the war led by the United States war used to call it a Korean conflict, for they would thus not recognize the status of the invading forces. However, the generic term of the Korean War may also be used as technical one, for each belligerent regarded it as war. Throughout the armed conflict including the entire period of the negotiations for an armistice, each belligerent has recognize the enemy forces as opponent participants of the war. Thus it was quite natural that North Korea and China eventually accepted South Korea as one of the seventeen enemy participants of the war to be seated at the Geneva Political Conference in 1954 as a belligerent. General Mark W. Clark put his signature at the armistice instrument as commander-in-chief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representing the sixteen nations including his own country United States, under which his United Nations Command was located, as well as South Korea, which delegated the commanding authority to him. In most international armed conflicts, wherein a party of the armed conflict consists of armed forces of plural powers, usually the joint forces are alined forming a hierarchy under a unified command, as was the case during the WW II, wherein the Allied and Associate Powers organized military command under a certain dominant powers like the United States. The four major powers participated in the war, namely two Koreas,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long with Japan and Russia as a successor of the former Soviet Union, issued a Joint Statement on September 16, 2005 finalizing the Six-Party Talks over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wherein they included a clause to the effect that direct parties of the Korean Conflict should discuss the issues of possible transforming of the current Korean armistice into a permanent peace regime. The direct parties would mean two Koreas, the U.S. and China. Thus whatever the political propaganda by North Korea in the past, South Korea is a legitimate party to the war and the armistice, as has been evident in the 1954 Geneva Conference and in the 2005 Joint Statement. Once the consultation for a peace regime becomes fruitful, another round of Geneva Political Conference would be desirable in putting an end to the Korean War. It would also be highly desirable if the U. N. could again play its role for the eventual establishment of the permanent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global perspective.
이행미 ( Haeng-mi Le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4 No.-
이 글은 1960년대 전집 발간이 활발해진 상황과 문단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한국전쟁을 전면적으로 성찰하는 분위기 속에서 출간된 『한국전쟁문학전집』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한국문인협회에서 편한 『한국전쟁문학전집』은 ‘전쟁문학’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집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이색적인 시도로 여겨졌다. 이러한 기획에는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문학화 한 정전의 역할을 선도하고자 하는 한국문인협회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다. 이들은 전쟁문학 개념을 재해석하여 전후문학과 구분되는 의미를 규정하고, 기성문단으로 대변되는 이들의 전쟁문학을 정전화하고자 했다. 이는 현실 권력과의 유착 관계를 공고히 하려는 보수우익문단의 의도와 한국전쟁문학의 대표작이라는 위상을 전후세대의 전후문학에서 탈환하고자 했던 욕망이 투사된 것이었다. 그러나 한국문인협회의 이와 같은 시도는 그 과정에서 이미 모순을 내재했다. 전쟁문학을 재조명하려는 특집은 참여 필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통해 되레 혼란을 낳았고, 신예 작가를 포괄하겠다는 야심은 전집을 통어하는 규범을 비판하는 작품을 수록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전집의 목적과 상치되는 이와 같은 작품은 새로운 세대가 새로운 관점에서 전쟁을 조망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한국전쟁을 새롭게 서사적으로 구현하는 이러한 소설이야말로 역설적으로 이 전집을 의미 있게 한다. 이처럼 『한국전쟁문학전집』의 정전화 기획의 실패는, 한국전쟁이 특정 이념과 이해를 초월한 주제이며 지속적으로 다양한 차원에서의 문제제기와 문학적 형상화가 이루어져야 할 숙명적인 과제임을 상기시킨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Korean War Literature Complete collection published in the late 1960s. This complete collection was published in a sociocultural atmosphere that reflects on the Korean War and the situation of the publication of various complete collection. This complete collection, which was published by the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was regarded as an unusual attempt in that it referred to the theme of 'War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complete collection contains the intention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which desired their works to be a literary canon. They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war literature and defined the meaning that distinguishes it from postwar literature, and tried to make their literature into canon. They also created this complete collection to achieve two objects. First, the editors of the conservative right-wing wanted to further solidif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gime. Next, they sought to recapture the status of representative works of Korean War literature from postwar generations. However, such a plan by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has already had contradictions in the process. The special project, which was intended to rewrite the war literature, was rather confusing through th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regulations of the writers. In addition, the ambitious inclusion of a new writer resulted in the inclusion of a work criticizing the norms that are passed through the complete collection. These works differ from the purpose of the complete collection. However, these works, written by the new generation according to a new perspective on the Korean War, is meaningful in this complete collection. This failure of canon formation by Korean War Literature Complete collection reminds us that the Korean War is a subject that transcends certain ideologies and understanding. Furthermore, it is a fateful task that requires constant problem making and literary formulation in various dimensions.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동
박은정(Park, Eun-Jung)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작품은 박경리의 파시와 이호철의 『소시민』이다. 이 두 작가는 한국전쟁 직후에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전후작가로 그들의 작품 세계가 한국전쟁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1950년대에 각각 전쟁으로 가장이 된 여성과 실향민이라는 개인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단편소설을 발표하였다. 1960년대에는 장편소설을 통해 개인적인 문제에서 벗어나 사회 전반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또한 1960년대 장편소설에서는 단편소설에서 담아내기 어려웠던 등장인물들의 생활상이 제시된다. 두 작품은 한국전쟁 당시 후방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이 작품을 통해 그 시대상을 포착할 수 있다. 두 작가가 작품을 통해 의도적으로 부산 등의 후방 도시를 그려내려고 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 작품들을 통해 드러나는 부산의 생활상은 전쟁 이전 시대의 사회상과의 차별성을 찾아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쟁 이후의 시기인 196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가 이미 전시 후방 사회였던 부산에서 경험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전쟁 당시 부산의 모습을 살핀다. 부산은 한국 전쟁 당시 인적․물적 자원이 집합된 곳으로 전쟁 중임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풍요롭고 활기차게 보이는 곳이다. 전쟁으로 인해 사람과 물자가 모여든 부산이 전쟁의 수혜지로 어떻게 비춰지고 인식되는지는 살피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쟁 수혜지에서 유통되고 소비되는 물자들로 인해 당시의 후방 경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핀다. 전시 후방 사회는 급격한 경제 변화로 부의 재편성이 일어났다. 기존의 부유층은 그대로 부를 유지하고 생활하기도 했지만, 전쟁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한순간에 몰락의 길을 걷기도 했으며, 전쟁이라는 혼란기를 이용하여 신흥 부유층으로 등장하는 사람도 생겨났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이런 부의 재편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살피는 것은 타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양상이다. 한국전쟁은 한국사회에 경제적 변화만 이끌어낸 것이 아니다. 전쟁 당시 한국은 미국의 경제적 영향력 아래에 있었고, 이와 함께 한국 사회에 미국 문화의 영향도 크게 자리 잡고 있었다. 갑작스러운 이질문화의 수용은 한국인들에게 많은 변화를 이끌어냈는데, 본 연구에서 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또한 살핀다. 이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혼란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법과 부조리를 통해 신흥 부유층이 등장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외국문화의 수용과 함께 당시 사람들, 특히 여성들의 성인식 변화를 살필 수 있는데, 이는 아프레 걸과 기존의 성 역할 인식에 도전하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당시 성 인식의 변화는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변화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부산 사회가 전후 한국사회의 변화를 앞서 보여주는 곳이었음 알 수 있다. 『파시』와 『소시민』은 전쟁이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쟁 당시 후방에서의 사회변화를 제시함으로써 다른 소설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이로써 한국전쟁 소설의 폭을 광범위하게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