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적 모티브를 이용한 제품디자인의 사례와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양미 ( Yang Mi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한미 FTA 협정 이후, 디자인에 대한 저작권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써 한국의 제품디자인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되고 있다. 세계적인 무대와 함께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 한국의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비롯한 디자인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조형미를 바탕으로 추출한 디자인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한국적 모티브가 활용된 제품디자인 사례를 조사?연구하여 향후 제품디자인 분야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제언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위하여 문헌, 인터넷, 인터뷰 등의 조사를 통하여 ‘한글’을 이용한 기업브랜드 사례와 ‘한국적 모티브’를 활용하여 양산되고 있는 제품디자인 사례를 조사한 후, 소비자가 인지하고 있는 한국적 모티브를 활용한 기업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설문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적 모티브를 활용한 제품디자인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부산과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디자인 전공 대학생과 디자인관련 직종에 있는 20대와 30대 초반의 젊은 층으로 한정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소비자들 중 97%가 한국적 모티브가 적용된 제품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한글을 이용한 기업 브랜드 인지도는 (주)쌈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5가지 제품 분야 중 가구/인테리어제품이 한국적 모티브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김치냉장고, 황토흙침대, 쌈지가방이 인지도가 높은 제품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급속도로 발전하는 컴퓨터/통신관련 제품분야는 한국의 모티브 활용도 및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적 모티브의 활용도가 높은 제품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고유한 디자인의 제품개발을 추진해간다면 한국적 제품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본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대상자와 지역의 범위가 한정되어졌으나, 이는 향후에 그 범위를 확대하는 것으로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After South Kore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 it has been marked with design patent recently. It has been required a renewed appreciation of Korean product design as well. It is critical to design based on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identity. This paper is to find out possibilities in product design field throughout the research product design examples by Korean motives. This study surveyed two cases of Korean brand name and Korean motive`s products via interview, internet, and other reference books. Then it is investigated recognition and capabilities from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There are two hundreds people who are majored in industrial design and work for design companies in twenties and early thirties in Busan and Kyungnam, Korea for survey. As a result, some 97% of the people surveyed say that they have products of korean motive more than one at home. Furthermore, Korea brand is known for SSAMZIE Co.Ltd. and Interior products like a Kimchi refrigerator, dried mud-bed, and Ssamzie-bag are the most highly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On the other hand, people cannot recognize cutting edge products like a computer and mobile phone. It is not good for using Korean motive. Therefore,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Korean means, what the Korean products are, and which parts of product design develope. It is vital through this research to grow Korean`s small business in the world. This paper has a limited range of survey respondents but that would be continued next task to solve the limit.

      • KCI등재

        한국적 이미지와 3D 프린팅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패션 제품 연구

        감선주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2

        패션 분야에서의 지속가능한 패션 제품은 관심에 비해 소극적 개념으로 접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도구와 모티브로 활용한 패션제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한국적 이미지에서 모티프를 활용하고 3D 프린팅기술을 도구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선행연구와 한국적 이미지 전문 서적을 통해 지속가능 한국적 이미지 표현 방법을 고찰하였으며 3D 프린팅의 지속가능성을 탐구하고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3D 프린팅 패션 제품의 외형을 재분류하였다. 앞의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패션 전문가의 실증적 심층 면접을 통하여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속가능 한국적 이미지 표현 방법에는 자연 친화 사실적 표현, 자연 환경의 은유적 표현, 자연 모티프의 패턴화, 자연 철학의 사유적 표현이 있었다. 3D 프린팅 기술은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분야에 걸쳐 지속가능 발전의 개념을 담고 있었다. 패션 전문가의 심층 면접을 통하여 지속가능 한국적 3D 프린팅 패션 제품의 방향은 3D 프린팅 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의 다른 기술 융합, 동시대적인 한국적 디자인의 현대적 표현성 요구, 실생활에 사용가능한 3D 프린팅 패션 제품 개발, 지속가능 패션 제품의 창의적 디자인 개발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패션 제품을 개발할 때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더욱 적극적이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개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field of fashion, sustainable fashion products require the introduction of active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ashion product that uses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s a tool and motive. We tri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fashion product development by using motif in sustainable Korean image and using sustainable 3D printing technology. This study i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interview research. The study examined the methods of expressing sustainable Korean images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Korean image specialist books, explored the sustainability of 3D printing and reclassified the appearance of 3D printing fashion products through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tried to find direction through the in - depth interviews of fashion exper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natural friendly realistic expression, metaphorical expression of natural environment, pattern of natural motif, and contemplative expression of natural philosophy. 3D printing technology has includ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spher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fashion professionals,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Korean 3D printing fashion products is to integrate different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complement the 3D printing technology, to demand contemporary modern expression of Korean design, to use real-life 3D printing fashion products development, and to creative design development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s.

      • KCI등재

        한국적 업사이클링 디자인 제품개발

        한지혜,김성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9 패션 비즈니스 Vol.23 No.4

        Up-cycling has evolved from its original form of the simple recycling of waste, into an industry of its own that has been gaining momentum. In many developed industries, up-cycling is increasingly seen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of production and ethical way of consumption’. However, an examination of the designs of branded up-cycled product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product development fueled by further research on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various production methods that can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using waste material and Korean motifs for use in product development, which ultimately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otential variety and character of up-cycled products. In order to do so, the up-cycling industry was examined to define key concepts,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were surveyed, and case analyses were conducted on domestic and foreign up-cycling brands. In addition, after tracking how leather is discarded and accumulated as waste and then collecting the discarded leather,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were analyzed. A study of Korean motifs was followed by the concept summary, and upcycling design expressions that exemplify Korean images were identified. The following two novel methods were used to create six up-cycled bags using collected discarded leather. First, lucky bags and moon pots were selected from various Korean motifs in order to use motifs with identifiable features. Secondly, different variations of cutting and attachment methods were used, including iron mold production methods and pr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