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一波 嚴恒燮의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김윤미(Kim, Yoon Mi)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5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一波 嚴恒燮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한 인물이다. 그동안 김구의 최측근이라는 역할만 강조된 측면이 있어, 그의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 그리고 정당에서의 활약을 포함한 독립운동 전반의 활동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립운동사 속 임시정부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엄항섭의 역할에 대한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엄항섭은 1919년 임시정부 법무부 참사를 시작으로 임시정부 국무원에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임시의정원에서 新到의원 자격심사위원을 맡아 새로 선출된 의원들의 자격을 검토하여 통과여부를 결정하였고, 상임위원회 상임위원을 맡아 임시정부 재정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였다. 1930년대부터는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 재건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하여 임시정부를 뒷받침하는 정당에 속해 선전업무를 담당하였다. 한국국민당에서는 기관지 『韓民』의 편집과 발행을 맡아 당의 활동을 선전하였고, 한국독립군특무대의 총감독으로 학생들의 훈련과 중국군관학교 입학교섭을 지원하였다. 이후 한국독립군특무대의 활동이 침체되자 한국국민당의 전위단체인 한국국민당청년단을 조직하여 그 활동을 이어나갔다. 재건 한국독립당에서는 한국광복군과 미군의 연합작전 시행을 지원함으로써 독립운동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고 독립 후 승전국의 위치를 점하고자 했다. 1940년대부터는 임시정부 국무원에서의 활동이 집중된다. 엄항섭은 1944년 선전부장에 임명되어 임시정부의 선전업무를 책임졌다. 1940년대는 임시정부의 국제적 승인을 위한 노력이 전개되던 때로 외국어에 능통하고 남다른 정보력을 가진 엄항섭의 역량이 발휘되었다. 그의 선전 활동은 주로 對중국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주체성을 잃지 않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후, 엄항섭은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선발대로 환국하였다. 이후 통일국가수립을 주장하며 김구와 함께 남북협상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49년 6월 26일 김구가 안두희의 총탄에 희생되면서 통일국가수립의 구호는 남한 정부에서도, 한국독립당 내에서도 배척되었고 엄항섭의 정치적 입지는 점차 약화 되었다. 그러던 중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로 남쪽에 가족을 남긴 채 납북되어 1962년 7월 30일 평양에서 고혈압으로 사망하였다. Eom Hang-Seop,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went to China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to participat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nown as the closest person of Kim Gu, he played roles in recruiting, financing and propaganda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Eom Hang-Seop’s rol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e need to focus on how he influenced the independence movement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Gu and Eom Hang-Seop. Eom Hang-Seop served as a member of the provisional assembly from the 1920s to the 1940s. He also screened the qualifications of the new lawmakers and handled fiscal bills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1930s, he participated in the founding and propaganda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Party(韓國國民黨) an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韓國獨立黨) that support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ticular, he attempted to occupy the position of a victorious country as a member of the allied forces after independence by supporting the combined operation of the ROK and US forces. In the 1940s, he was involved in the propaganda work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made a diplomatic effort to ge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ly approved.

      • KCI등재

        카이로회담과 한중관계 - ‘國際共管論’에 대한 충칭임시정부와 중국국민정부의 대응 -­

        배경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5

        戰後 한국의 독립과정에서 커다란 장애가 된, 한국에 대한 신탁통치 곧 ‘국제공관’ 주장은 태평양전쟁 발발 직후부터 시작된 미국 국무부의 戰後 새로운 국제질서 모색과정에서부터 대두하기 시작하였다. 1942년 2월에 작성된 국무부 극동과 소속 외교관인 랭던(William R. Landon)의 한국문제 보고서에서 드러나고 있듯이 당시 국무부의 식민지 한국에 대한 이해는 매우 부정적인 것이어서 한국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그 결과 국무부에서는 전후 한국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국제공동관리(국제공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미국 대통령 루즈벨트 또한 1942년 6월 이전 단계부터 이러한 국무부의 견해와 필리핀에서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공관을 전후 한국에 대한 기본 정책으로 구상하고 있었다. 미국의 이러한 입장이 외부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42년 6월 이후의 일이었고 그것을 중국 측에 공식 통보한 것은 1943년 3월말 영국 측과의 협의를 거친 직후 중국 외교부장 숭즈원(宋子文)을 통해서였다. 전후 한국에 대한 국제공관이라는 미국의 입장이 충칭의 한국임시정부에 알려진 것은 1942년 4월경부터이지만 결정적으로는 1943년 4월말 시카고선(Chicago Sun) 지의 관련기사가 충칭의 각 일간지에 전재 보도된 이후부터 임시정부의 대응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4월말 임시정부 측에서는 긴급 국무회의를 소집하고 국제공관론의 심각성을 집중 논의하면서 그 대응책으로 중국정부에 대한 국제공관 반대 촉구와 함께 중국 언론에의 기고와 강연회, 좌담회 개최 등 적극적인 반대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정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5월초 임시정부 요인들의 외교부 방문, 7월말 장제스(蔣介石)와의 면담을 통하여 국제공관론의 사실 여부 확인과 함께 중국정부로 하여금 국제공관 반대에 나서도록 촉구하는 활동이 전개되었다. 한인 지도자들과의 면담에서 장제스는 한인들의 노력과 함께 한인 내부의 통일을 강조하면서 그럴 때에야 중국의 한국 독립 지지도 힘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였다. 『大公報』를 비롯한 중국 언론에 대한 국제공관 비판 문장 기고와 1942년 10월 중한 간의 교류와 이해 증진을 목표로 만들어진 중한문화협회를 통한 강연회, 좌담회의 개최, 그리고 충칭에 살고 있던 한인들의 대규모 반대집회인 자유한인대회(自由韓人大會)의 개최 등은 1943년 5월 이후 이루어진 임시정부 중심의 다양한 국제공관 반대운동들이다. 이들 반대 운동을 통하여 임시정부 측에서는 국제공관론이 근거로 삼고 있는, 한국인들이 자치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고 한인들 은 통합되지 못하고 내부의 분열이 심각하다는 점은 사실이 아니며 한국의 독립이야말로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의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데에도 필수적이라는 점을 적극 주장하였다. 장제스와 국민정부 측에서는 카이로회담 개최일정이 정해진 1943년 7월 이후 카이로회담의 의제와 중국 측의 입장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한국 독립 문제를 중요한 의제의 하나로 삼고 있었다. 즉 장제스의 요청으로 의제와 관련된 보고서를 준비한 두 기관, 즉 군사위원회 참사실과 최고국방회의 비서청의 보고서 속에서는 모두 한국 독립을 주요 의제로 삼을 것을 제안하고 있었던 것이다. 회의 참가를 위하여 중국을 떠나기 직전 장제스는 이들 두 보고서를 기반으로 하여 최종적인 의제를... The policy of the international trusteeship or the international guardianship of Korea had become visible in a process where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researched on the postwar international order, which was already carried out just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As the report submitted in February 1942, by William R. Landon, the diplomat of the Division of Far Eastern Affairs of the Department of State, the view of the Department of State on Korea was very negative at that time, and such view on Korea understands that Korea had no capacity of the independence in economy or in politics. As a result, the Department of State concluded that Korea requires an international trusteeshi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oosevelt,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even before June 1942, accepted such view of the international trusteeship as a basic policy on postwar Korea, based on opinions of the State Department and his own experiences in Philippine. Such policy of the United States has been publicly announced since June 1942, and was formally notified to China in late March 1943 through Song Zi-wen, the head of the Department of Diplomatic Affairs, after the United States got consent of the United Kingdom. The policy of the international trusteeship of the United States has been known to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since April 1942, but the respons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became apparent since late April of 1943 when the related articles of Chicago Sun reproduced in daily newspapers of Chongqing. In late April, the Provisional Government gathered an urgent cabinet meeting, discussed significance of the trusteeship policy, and decided to urge Chinese government to oppose the trusteeship and to carry out public campaigns such as contributing articles in Chinese media and hosting speeches and discussions. As a result, staff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visited Chinese Department of Diplomatic Affairs in early May, and they also met with Chiang Kai-shek in late July confirming whether the trusteeship policy was true, while urging Chinese government to oppose the trusteeship. In the meeting with staff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Chiang Kai-shek emphasized that Koreans should effort together and become unified internally, and stated that, only then Chinese support for Korean independence can be persuasive. Since May 1943 various anti-trusteeship movements had been carried out; i.e. contributing articles in Chinese media such as Dagongbao, speeches and discussion meetings held by the China-Korea Culture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for a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 between China and Korea, and the General Meeting of the Liberty Koreans which opposed trusteeship in large scale by Koreans in Chongqing. In such anti-trusteeship movements, the Provisional Government criticized views that Koreans lack the self-governing capacity and failed to integrate internally, and strongly argued that Korean independence is essential in structuring the world peace as well as the peace in the East Asia. Chiang Kai-shek and the Nationalist Government, after their decision on attending the Cairo Conference in July 1943, recognized Korean independence as the important agenda in a process arranging Chinese agenda to propose in the conference. The reports of two organizations, the Counselors’ Office of the Military Commission and the Secretary Office of the Supreme Council of the National Defense, both of which prepared agenda by command of Chiang Kai-shek, suggested that China should propose Korean independence as a primary agenda in the conference. Chiang Kai-shek, too, finally prepared agenda, just before his departure for Cairo, and here Korean independence was one of the seven primary agenda. During the Cairo Conference started on 23rd November 1943 during four days, the Korean independence was discussed in the night of 23rd when Chiang Kai-shek and Roosevelt gathered for a dinner meeting. At the meeting,...

      • KCI등재

        삼균주의ㆍ「대한민국 건국강령」과 임시정부 절대옹호론

        김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6

        1941년 들어 중경의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일제가 머지않아 패망하리라 예견하고 해방 후의 민족국가건설의 방략을 구체화하였다. 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무부장 겸 선전위원회 주임위원이었던 조소앙이 삼균주의에 바탕을 두고 기초ㆍ작성한 문안을 여러 차례 독회ㆍ심의하여 11월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제정ㆍ공포하였다. 1945년 8ㆍ15해방 뒤 임시정부는 귀국을 앞두고, 9월 3일 14개 항의 「임시정부 당면정책」을 공포하였는데, 「건국강령」에 근거를 두어 한민족이 당면한 현단계의 성격을 규정하고 당면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이어 1946년 2월 임시정부는 「당면정책」에 따라 비상정치회의를 소집하고, 이를 확대하여 비상국민회의를 결성하였다. 이로써 중경임시정부를 정식정부가 수립되기 전의 과도정부로 선포하고 인정받으려 하였다. 「건국강령」은 삼균주의ㆍ「건국강령」의 실천주체인 한국독립당의 一黨政治와 임시정부의 법통성ㆍ영도권을 필연론으로 전제하였다. 「건국강령」이 내세운 ‘임시정부의 영도권’은, 「건국강령」을 공포한 이후, 무엇보다도 해방정국의 국가건설운동의 과정에서 긍정이든 부정이든 커다란 영향력과 파장을 일으켰다. 「건국강령」의 노선은 좌익과 대립ㆍ충돌하였으며, 중간파와 마찰을 빚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민족통합’의 대의에 방점을 두고, 「건국강령」의 구조와 내용 전체를 이미 충분히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삼균주의의 실천론으로서 「건국강령」이 차지하는 비중은, 삼균주의를 실천하는 두 주체인 黨과 政의 일체화, 즉 한국독립당의 일당통치와 임시정부의 영도권을 전제할 때 비로소 제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음을 강조하려 하였다. 삼균주의ㆍ임시정부ㆍ「건국강령」의 삼자는 밀접한 고리를 맺고 있었다. 삼균주의는 임시정부라는 외형과 권위를 입어 「건국강령」으로 구체화하였고, 「건국강령」은 삼균주의에 근거를 두어 임시정부의 영도권을 주장ㆍ확립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臨時政府 絶對擁護論이 「건국강령」에 구체화되는 논리를, 삼균주의의 발전 과정과 관련시켜서 서술하였다.

      • KCI등재

        重慶時期 大韓民國臨時政府의 對中國交涉과 중국의 대응

        김영신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1 韓中關係硏究 Vol.7 No.1

        일제에 의해 국권이 상실된 뒤 해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자들에게 있어 거주국 조야 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다른 어느 지역보 다 앞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중국에서의 한국독립운동은 특히 그러하였다.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지원양상은 단계별로 달리 표현되었다. 임시정 부 성립 후로도 한동안 중국의 지원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상해사변 발생 후 관심 과 지원이 이전에 비해 증대되었다. 그러나 일본요소가 강하게 작용하여 여전히 소극 적이고 단편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重慶에 정착한 임시정부는 중국과 활발한 교섭을 진행 많은 성과를 거뒀다. 첫 번째 성과는 한국광복군 창설이다. 예속과 지휘권문제로 중국의 승인 없이 독자적으로 성립 되면서 초기 광복군 활동은 여러 제약에 부딪히게 되었다. 정식 인준을 획득한 대신 그 대가로 광복군은 3년 6개월간 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임시정부의 군대’로서 기능 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였다. 임시정부 승인이 이루어지지 못한 원인과 배경은 여러 방면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 과 미국이 임정 승인을 유보하거나 불승인정책을 견지하면서 가장 먼저 내세운 이유가 ‘임시정부가 과연 전체 한인을 대표할만한 자격이 있는가’는 부분과 더불어 ‘한국혁명 진영의 분열과 불통일’이었다. 미국은 주로 첫 번째 이유를 들어 임시정부를 승인하지 않았다. 중국, 곧 장개석은 두 번째 ‘한국혁명진영의 분열’을 지적하며 임시정부 승인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抗戰時期 장개석은 한국혁명진영의 분열과 갈등에 주목하고 통합과 단결을 촉진하 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한국혁명진영 통일 촉성의 결과물이 김구와 김원봉 의 공동성명 발표, ‘7당통일회의’ 개최 등이었다. 한국혁명진영의 단결과 통일을 촉성하는 과정에서 장개석은 “특정한 당파를 정하여 원조하는 것을 고집하지 말 것”을 주문하다 다시 “한국독립당과 임정을 지원과 지지의 중심대상으로 삼으라”고 지시하는 등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단시간에 사 상방면에서 한국혁명진영의 통일을 이루기는 어렵다는 판단에서 한국독립당과 임정에 지원을 집중시키는 기술적 방법의 변화를 통해 ‘강제적’으로 한국혁명진영의 통일을 이루고자 하였던 것이 아닌가 싶다. For the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who were engaged in 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in foreign countries after the country lost its national sovereignty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in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towards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continuing such overseas activities. This is especially true in China wher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as being more actively carried out for historical and geographic reasons. China’s awareness and support towards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howed a different pattern by stage. For a while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Chóngqìng, China, the Chinese support was limited, but following the occurrence of Shanghai Incident, the Chinese government's attention and support became much greater than previously. Yet, it still maintained a passive and fragmentary response as Japan’s influence could not be exclud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founded in Chóngqìng, actively engaged in negotiations with China and succeeded in accomplishing not a few results. Among them, the first achievement was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National Army. However, its initial activities faced several challenges and limits as it was established independently from China due to a matter of subordination and authority to command. Instead of gaining a formal approval from China, the Korean National Army agreed to be subordinate to the Chinese Military Commission for 3 years and 6 months. For this reason, the Korean National Army failed to fulfill its function as the ‘troop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easons for and background behind the failure of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an be explored in multiple aspects. When China and the U.S. postponed their decision to give an official recognition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or adhered to the non-recognition policy, the reasons they first put forward were ‘Does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the qualification to represent the entire Korean people?’ and ‘division and lack of unity among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While the U.S. did not recognize it mainly for the first reason, China, i.e., Chiang Kai-shek, showed a reservation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pointing out the ‘division among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During the Sino-Japanese War, Chiang Kai-shek took notice of division and conflicts among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and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encourage them to achieve consolidation and unity. Eventually, the hard work for unification led to the issuance of a joint statement by Kim Koo and Kim Won-bong and hosting of the ‘Conference for Unification of Seven Parties’. In the process of facilitating consolidation and unification among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Chiang Kai-shek asked them not to insist on focusing assistance on certain parties but later changed his stand, saying that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hould be the center of assistance and support. Such changes in his stance are interpreted to have come from his strategy to “compel”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to gain unification by changing technical methods such as concentrating whole support on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judging tha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achieve unity of ideas in a short period of time.

      • KCI등재

        중경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위상과 역할

        한시준(Han See-j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3

        임시정부가 중경에서 활동한 기간은 1940년 9월에서 1945년 11월 환국할 때까지였다. 중경시기는 5년이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임시정부 27년 활동기간 중 가장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민족의 대표기구이자 독립운동 중심기구로서 위상을 되찾아 본연의 역할도 수행한 시기였다. 임시정부는 수립 초기에 성황을 이루었다. 하지만 이승만 대통령의 탄핵을 둘러싸고 세력이 분열되면서 침체상태에 빠졌다. 李奉昌 · 尹奉吉의사의 의거를 결행하면서 활기를 되찾았으나, 상해를 떠나 중국대륙 여러 곳으로 옮겨 다녀야 했다. 이 과정에서 임시정부를 폐지하자는 주장이 대두되기도 하였고, 정부의 조직을 유지 운영할 수 없는 정도로 무정부상태에 빠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난간을 극복한 시기는 중경에 도착한 이후였다. 중경에 정착하면서, 임시정부는 정부로서의 위상을 되찾았다. 민족주의 세력을 통일하고 한국독립당을 창당하여 세력기반을 확대하였고, 정부의 조직과 체제를 확대 정비한 것이 그 계기였다. 그리고 단일지도체제를 확립하여, 주석이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정부의 위상이 크게 제고되었다. 중경시기에 임시정부가 거둔 가장 큰 성과는 중국관내 독립운동 세력을 임시정부로 결집시켰다는 점이다. 조선민족혁명당을 비롯한 좌익진영의 독립운동 세력이 모두 임시정부로 참여한 것이다. 좌익진영의 무장세력인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하였고, 정부도 좌우연합정부를 구성하였다. 이로써 임시정부는 민족의 대표기구이면서 독립운동 중심기구라는 위상을 확립하고,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여 연합군과 공동작전을 전개하고, 국내진입작전을 시도한 것도 중경시기에 수행한 대표적 활동이었다. 한민족의 독자적인 힘만으로 일제를 패망시킬 수 없는 것이 객관적 상황이었다. 최선의 전략은 연합군과 함께 대일전쟁을 수행하여, 전후에 연합국의 지위를 획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국군과 인도 버어마전선에서, 그리고 미국의 OSS와 함께 국내진입작전을 추진한 것이 그러한 전략이었다. 중경시기의 임시정부는 그 존재나 역할에 대해 앞으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고, 그 위상을 크게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임시정부는 그 위상이나 역할에 비해 과소평가된 면이 없지 않다. 임시정부가 27년 동안 활동하면서 어려움도 있었고, 본연의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며 활발하게 활동한 적도 있었다. 어려움을 겪었던 시기를 임시정부 전체로 이해하는 경향이 많다. 상해시기와 이동시기에 비해 5년이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중경시기는 임시정부가 민족의 대표기구이자 독립운동 중심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 시기이고, 임시정부 27년사에서 가장 빛나는 시기였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외 독립운동

        김희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0 東洋學 Vol.47 No.-

        이 연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나라 밖에서 펼쳐진 한국 독립운동과의 관계를 추적하는 데 목적을 둔다. 양자의 관계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탄생 자체가 국외지역에 펼쳐진 한국독립운동의 성과에 바탕을 두었다는 사실이다. 둘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체를 유지하는 데에도 나라밖의 독립운동이 결정적으로 기여했다는 점이다. 이를 세 시기로 나누어 설명한다. 첫째 시기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해에 머물던 상해시기(1919~1932)이다. 임시정부는 수립 시기에국내 행정 장악에 노력했다. 그 결과 국내 곳곳에 지방 관리를 임명하고 인구세를 거두었다. 또 만주의군사조직을 정부 아래로 편입시켰다. 나아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결성된 대한국민의회와 통합을 일구어냈고, 미주지역 동포들이 절대적인 지지를 받기도 했다. 둘째는 8년 동안 중국 내륙을 옮겨 다닌 長征期(1932~1940)였다. 윤봉길 의거 직후 상해를 떠난 임시정부는 극도로 어려운 길을 걸었다. 숨어서 떠도는 처지라 국외 독립운동 세력과 연계한다거나 지휘하는일은 아예 어려웠다. 그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임시정부는 주변 독립운동정당 조직과 연합을 도모하였다. 그러면서 미주지역 독립운동 세력과 연계하였다.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곧 光復陣線 결성이 바로 그 결실이다. 셋째는 중경시기(1940~1045)였다. 우파 3개 정당이 한국독립당으로 통합되고, 주변에 있던 임시정부반대세력을 정부로 끌어들였다. 조선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가 그들이다. 하나는 중국공산당 영역에 있던 華北朝鮮獨立同盟, 조선의용군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또 하나의 사실은 임시정부가 멀고먼 소련 동부지역 하바로프스크에 있던 김일성부대와도 연결을 시도한 것이다. 중경시기 임시정부에게 ‘국민’다운 역할을 맡은 것이 미주 동포사회였다. 이들은 인구세와 성금을 모아 임시정부에 보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외 독립운동 세력 사이에는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건국과 정부 수립 자체가그 세력의 활동 덕분인 때문이다. 그 뒤에도 정부의 존속 자체가 국외 독립운동 세력이라는 존재 위에가능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racing and figuring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OK and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s. The relation can be represented by two sentences of remark. One, the Provisional Government itself was established as a result of many preceding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s. Two, overseas movements als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maintenance of the government. It would be better to examine the subject by dividing the time line into three different periods. The first period is Shanghai period(1919~1932). The KPG tried to establish administration lines to take control over Korean people in the homeland. In order to specify the plan, the government actually appointed some regional officials and collected poll tax from Koreans in the peninsular. The government incorporated many military organizations of Manchuria into the official military force of the KPG. KPG also succeeded in consolidating its body with Korea Assembly(大韓國民議會) in Vladivostok, Russia. The second period is fleeing period(1932~1940). After the successful bombing deed of Yoon Bong-gil, KPG had to undergo extremely difficult situation as the government started fleeing from the Japanese pressure. The government had to move around the vast inland of China for eight years. Though it was almost impossible to liaison with other organizations in other areas, the members of the government never gave up making coalition with other parties and figures. Such frequent effort of contact made it possible to form a coalition of independence organizations under the name of the United Association for Korean Liberation. The third period is Chungching period(1940~1945). The KPG tried to restart its combining work of independence organizations. As a response to such efforts, three right-winged parties were consolidated to form the Korea Independence Party. The government also made effort in inviting unfriendly groups like Korean Volunteer Unit to join KPG. The next step they took was to form a coalition with groups far away such as Korea Independence Alliance in Huabei(華北朝鮮獨立同盟) and Korean Volunteer Army. One interesting fact found is that the KPG tried to make contact with Kim Il-sung in Khavarovsk. The most helpful ‘citizens’ to do their ‘civil duties’ were Koreans in America. They payed their poll tax and also made donations for KPG operations. In the middle of World War II period, they formed The United Korean Committee in America. The KPG established the Office of Representatives in US.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KPG and other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Such a relation is natural to be formed because the birth and maintenan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ere enabled by the support and cooperation of other groups around the world. The aspect of the relation changed as time passed and location of the government moved. The members of KPG did their best to maintain the government and proceed the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1910-1945)동안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정책

        정상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5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26 No.2

        With the treaty of 1910, for the Korea-Japan Annexation, Korea had lost her sovereignty and was placed under a Japanese colonial regime. Spurred by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1, 1919, several provisional governments of Korea were established in and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were finally unified in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GRK) in Shanghai, China, in September, 1919.The reason why the PGRK was established in Shanghai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France was traditionally renowned for her tradition of protecting political refugees. The Korean revolutionary leaders in Shanghai, relying on the tolerance of the French consulate general in Shanghai, planned to launch 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oppression. The French government had indirectly supported the PGRK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France (PGRF) headed by General de Gaulle,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with the PGRK in Chungking, China.Despite the close and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PGRK and the PGRF, France did not officially recognize the PGRK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Even though she had only de facto recognized the PGRK, this gave moral support to the Korean revolutionary leaders who were in desperate need of support from the Allied powers. But, on top of all this, France could not officially recognize the PGRF. This was due mainly to the fact that France herself didn't fully recover from the aftermath of the Second World War and what's more, she was not in a position to challenge the hegemony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North East Asia region. 1910년 한일 합방에 따라 한국은 국권을 상실하였고 한반도는 일제의 무단 식민지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1919년 국권회복을 위한 31 독립운동을 계기로 국내외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민족의 독립을 위한 역량을 결집하기 위하여 1919년 9월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합되었다.상해 프랑스 조계에 우리 임시정부가 수립된 이유는 프랑스의 전통적인 정치적 망명자 보호정책에 의지하여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이 일제의 탄압을 벗어나 자유롭게 독립운동을 하고자 함이었다. 프랑스 정부는 간접적으로 한국 임시정부의 활동을 지원하였으며, 드골 장군이 수반으로 있던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는 중경주재 우리 임시정부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한반도에 대한 이해관계가 미미하였던 프랑스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de facto) 승인을 함으로서 열강의 지원이 필요했던 우리 독립운동가들에게 희망과 힘을 주었다.그러나 프랑스는 한국 임정을 일제로부터 해방될 때까지 끝내 공식적으로 승인해 주지는 못하였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갓 열강의 지위를 회복한 프랑스가 극동문제 해결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었던 미국과 러시아의 입장을 무시하고 독자적으로 한국 임시정부를 승인할 위치에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한불 양국 임시정부간의 긴밀하고 우호적인 관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한반도에 대한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미미하였던 것에도 원인이 있었다.

      • KCI등재

        중국 내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구 및 활성화 방안

        손성욱 ( Sung-wook So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論叢 Vol.59 No.-

        본고는 중국학계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사 연구를 개괄하고, 중국의 대표적인 임시정부사 연구자인 푸단대학 스위안화 교수의 연구 역정을 살펴본 후, 중국 내 임시정부 기념관 현황과 임시정부 관련 공간이 어떻게 중국에서 스토리텔링 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중국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구는 1992년 한중수교 이래 중국학계의 근현대 한중관계사 연구를 추동했다. 임시정부의 활동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졌기에 많은 자료가 중국에 소장되어 있고, 관련유적지 또한 산재하여 한중학계의 긴밀한 협력 속에서 임시정부사 연구는 큰 진전을 이루었다. 임시정부는 한중 공동항전의 역사적 표상으로 여겨지며 학술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양국의 교류와 협력에도 일조하였다. 하지만 한중수교 30주년을 맞이하여 임시정부 연구 전망은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이미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격화되고 있는 미중대결 속 한중관계의 변화를 반영하듯 연구 또한 그 이전만큼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임시정부 연구가 한중 간 우호와 발전적 협력에 기초를 제공하는 현실적 의의가 있음을 주지하고, 임시정부 연구 DB와 연구 교류의 플랫폼을 구축하며, 한국과 중국학계의 연구 성과 공유가 필요하다. This paper outlines the study of histor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Chinese academic circles and reviews the academic footprint of Professor Shi Yuanhua at Fudan University, a representative researcher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China. This article also examines how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Memorial Hall located in China is currently presented and how the related places are being described. Research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China has driven the study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China relations in Chinese academic circl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Large volumes of related data are housed in China and associated historical sites are spread around the country as most of the patriotic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ere carried out in China. Therefore, with a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academic circles, it was possible to make progress in the study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addition to this progress,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played a major role in strengthen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a historical symbol of the Korea-China joint war against Japan. However,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has not made any progress from the past, which shows the change in Korea-China relations. This reflects not only the reality, but it also implies abundant research achievements that have already accumulated. To overcome the immediate difficulties and vitalize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friendship and advancing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hare research achievement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academic circles by establishing a database as well as a platform for interactive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 KCI등재

        태평양전쟁 시기 기독교인친한회(基督敎人親韓會)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운동

        박명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5

        This paper examines the effort by Rhee Syngman and Christian Friends of Korea to recogniz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during the Pacific War. When Pacific War broke out, Rhee organized the Korean Commission and the Korean-American Council to seek approva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from the United States(US) State Department. When this approach did not succeed, he organized the Christian Friends of Korea around American Christians to campaign to the US Congress to recognize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Per Rhee Syngman’s proposal, Oliver R. Avison formed the Christian Friends of Korea in the fall of 1919. Rhee perceived Christians to be the only group in the US that knew Korea’s situation, and he sought to leverage their support to approach the State’s political sphere, and congress in particular. Avison argued that if US missionaries wanted to be active in Korea again after the war, they should join Rhee in the fighting against Japan and avidly support the recognition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Christian Friends of Korea, together with the Korea Commission and the Korean-American Council, submitted crucial petition to the US Senate and House of Representatives to recognize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spring of 1943,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Senate submitted a resolution regarding the official recogni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However, this agenda never advanced because of the State Department’s concern that approv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uld create conflicts with England, Soviet Union, and the Allied Powers. Nonetheless, the efforts by the Christian Friends of Korea to recognize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merits attention in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본 논문은 태평양전쟁 기간 동안 이승만과 기독교인친한회의 임시정부 승인운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승만은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주미외교위원부와 한미협회를 만들어 미국무부를 상대로 임시정부를 승인받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것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자 미국의 기독교인들을 중심으로 기독교인친한회를 만들어서 미국 의회를 상대로 임시정부 승인운동을 벌였다. 기독교인친한회는 1942년 가을 이승만의 제안으로 에비슨이 중심이 되어 만든 단체이다. 이승만은 미국 사회에서 한국을 아는 유일한 집단이 기독교이며, 이들을 통해서 미국 정계, 특히 의회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에비슨은 전쟁 후 선교사들이 다시 한국에서 활동하기를 원한다면 이승만과 함께 한국의 독립을 위해서 일본과 싸워야 하며, 임시정부 승인운동에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기독교인친한회는 한미협회나 주미외교위원부와 함께 미국 상하원 의원들에게 임시정부승인을 위한 대대적인 청원서를 보냈고, 1943년 봄에 미국 하원과 상원에서 한국임시정부승인을 위한 결의안에 제출되었다.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상 한국임시정부의 승인 노력이 미국 상하원에 이런 정도까지 도달한 것은 큰 성과라고 말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운동은 임시정부의 승인이 영국과 소련과 같은 연합국과 갈등을 야기 시킬 것이라는 국무부의 입장 때문에 더 이상 진척되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인친한회를 통한 임시정부 승인운동은 한국의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하게 평가해야 할 내용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대한민국임시정부 두 대통령 이승만과 박은식의 관계

        오영섭 숭실사학회 2014 숭실사학 Vol.0 No.32

        이승만과 박은식은 한국의 독립을 위해 싸운 독립운동가들이다. 이들은 개화기에 위정척사론을 벗어나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대한제국의 국권회복과 인민계몽을 위해 노력했고, 대한제국 멸망 후에 독립운동을 벌였고, 1919년 9월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임시대통령을 맡았다. 이러한 공통된 경력과 활약 때문에 이들은 한국 독립운동의 지도자로 인정받고 있다. 이승만과 박은식은 해외 망명 이전에 서울에서 친밀한 관계는 아니었다. 이들은 국내에서 언론활 동과 계몽활동을 벌일 때에 접촉했을 가능성은 있다. 이들은 1919년 9월 임시정부 성립 후에 임시 정부에서 함께 활동하였다. 1920년 12월 이승만이 상해에 부임했을 때 박은식은 이승만 대통령을 극진히 환영했다. 이는 박은식이 이승만의 성공을 기원한 것이다. 이승만과 박은식은 정치 성향, 학문과 종교, 독립노선, 지지세력의 성향 등에서 매우 달랐다. 이승 만은 기독교와 서양사상을 받아들인 후 미국에서 외교독립운동을 벌였다. 박은식은 양명학을 수 용한 후 중국에서 언론­출판 활동을 벌였다. 특히 박은식은 한국민의 통일을 강조하며 독립운동 계의 정신적 대부가 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독립운동을 할 때에 이들이 서로 반대되는 관계였음을 보여준다.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임시정부의 유지와 개혁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을 벌일 때 이승만과 박은식 은 양측을 대표하였다. 박은식은 1920년 12월 대통령의 상해 부임 환영회장에서 이승만을 공화제 를 실천할 인물이라고 칭송하였다. 그러나 그의 이승만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는 이승만이 임시정 부의 혼란을 해결하지 못하면서 철회되었다. 박은식은 1921년 2월 임시정부 개혁운동의 전면에 나서서 국민대표회의의 소집을 요구하였다. 1923년 여름 국민대표회의가 끝난 후에 임시정부의 헌법 개정과 대통령 탄핵 문제가 시작되었다. 1924년 12월 박은식은 임시정부 내 평안도출신 개혁파 인사들의 후원을 받아 임시대통령 대리에 올랐다. 그는 임시대통령 명령 제1호로 이승만이 지휘하는 외교독립운동 기관인 구미위원부(Korean Commission)에 대한 해산 명령을 내렸다. 또한 임시국회가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 탄핵 조치를 내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승만이 대통령에서 쫓겨난 후 박은식은 이승만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은식은 이승만이 임시정 부 최고 지도자로서의 실정을 범했음을 지적했다. 나아가 박은식은 이승만이 상해를 떠나 미국에 머물렀기 때문에 임시정부의 업무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이승만세력 은 박은식이 대통령대리에 뽑히는 과정이 임시정부 헌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승 만세력은 박은식이 임시정부 대통령이 된 것은 무효라고 주장하였다. 박은식이 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에 오르는 과정에서 안창호는 큰 역할을 하였다. 안창호는 박은 식을 후원한 임시정부의 청년층 인사들에게 임시정부 개혁 방법을 자세하게 지시하였다. 이는 박 은식의 반이승만활동의 모든 방법이 안창호세력으로부터 나온 것임을 보여준다. Rhee Syngman and Park Eunsik were the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Apart from the Theory to Defend and Reject Heterodoxy, they adopted the Perception of Enlightenment Thought about Modern World and sought to attain the national rights of the Great Han Empire, recovering the its national rights and trying to popular enlightenment. After the collapse of its empire, they carried on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were inaugurated as president in September 1919. Because of these similar careers and activities, they were recognized as the leader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efore exiled, Rhee Syngman and Park Eunsik had not close relationship. It was likely to contact each other when they carried on the media activity and enlightenment movement. They acted together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the establishment of its government in December 1920. In December 1920, when Rhee Syngman appointed to Shanghai, Park Eunsik gave him an enthusiastic welcome. This meant that Park Eunsik prayed for success of Rhee Syngma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hee Syngman and Park Eunsik, such as inclination of politics, studying and religion, direction of independence, the tendency of supporters. Rhee Syngman believed in Christianity and adopted the western thought and conducted the diplomatic independent movement in U.S.A. After the adoption of Yang-Ming Philosophy, Park Eunsik carried on the activity of media and publishment in China. Especially, he stressed on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and became the spiritual leader of the party of independence. Because of such differences, they opposed to each other in independent movement. When the problem of maintain and reform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aused conflicts among the Korean independent activities, Rhee and Park represented both sides. Park acclaimed Rhee as a personage practiced the republic in the welcome party of him arrived at Shanghai in December 1920. But Park Eunsik’s friendly manner to Rhee was dropped, as Rhee Syngman could not solve nothing about confus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February 1921, Park Eunsik aske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coming to the front of reform move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summer of 1923, after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the problem of constitutional reform and presidential impeachment became serious. In December 1924, Park Eunsik acted for president receiving the support from those who were reformation party from Pyongan-do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Park Eunsik ordered the breakup of Korean Commission as the first Order of provisional president, which was the diplomatic institution for independence leaded by Rhee Syngman. Moreover, Park played the vital role that allowed the provisional assembly to introduce a bill to impeach the president. After the impeachment of Rhee Syngman, Park criticized him heavily. Park pointed out his misrule as the best lead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other reason for his criticism was that the task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not handled correctly because Rhee stayed in the U.S.A. leaving from Shanghai. About this, Rhee claimed that there was a breach of the constitution in the course of election of Park as the provisional president, and so claimed the invalidity of his election. Ahn Chang-ho played the crucial role in the course of election of Park as the Second Present in Provisional Government. Ahn instructed in detailed the method of reform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o the young men who supported Park. This meant that the all measures of anti- Rhee movement of Park were drawn from the party of Ah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