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한국음악학의 전개양상과 성과 - 로버트 프로바인(Robert Provine)의 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장윤희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5 No.-

        이 글은 1960년대 말부터 최근까지 활동하고 있는 미국인 음악학자 로버트 프로바인의 연구물과 학술활동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러한 자료들이 해외에서 이루어진 국악과 관련된 학문, 즉 한국음악학의 발전과 성립 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프로바인의 연구방향, 출판물, 주도적 활동을 통해서 해외 한국음악학이 전개된 양상과 그 내재된 의미를 국악사학의 맥락 속에서 상호 연관성을 찾아내어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생존해서 활동하고 있는 학자의 연구물을 다룬다는 점이 여러 견해의 차이와 시기적인 문제점을 야기할 수도 있기에, 프로바인의 인생사나 공로를 부각하는 관점에서 논지를 펼치기보다는 해외 한국음악학의 전개과정을 국악학 전체의 역사적 맥락 속의 일부분으로 연관 지어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프로바인이 한국에서 연구를 시작할 당시는 해외에서의 한국음악 연구는 학문으로의 성립이 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그의 등장은 국제성이라는 새로운 인식이 싹트고 있는 1970년대 국악학계에 나타난 미래 해외 학문 활동을 위한 인력의 확보라는 점에서, 이 시기를 해외 한국음악학 성립의 배경과 가능성이 나타나는 시점으로 정의할 수 있다. 1980년대 프로바인의 영문 단행본과 번역서는 국악을 한국음악학이라는 학문으로 해외에 알리고 발전시키고자 한 프로바인의 목적의식에 큰 의미를 두어야 하며, 동시에 이 시기는 해외 한국음악의 자료 접근성 향상과 참고자료의 초기 기반이 확립되는 시점이다. 프로바인이 한국음악연구회(AKMR) 회장으로 재임한 1996년부터는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가속도가 붙은 활성화 단계였고, 이 시기는 국내의 연구전형이 해외 한국음악학계로 답습되고 반영되었다기보다는 해외 학자들의 주도하에 발전된 새로운 연구 분야가 있음이 분명해 진다. 2000년대에 들어서 갈런드 세계음악 백과사전에 한국음악편이 실리게 되면서 해외에서의 한국음악학 입지가 민족음악학계에서도 관심을 받는 학술적 영역의 하나로 확립되기 시작하는데, 이 당시의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장은 국내 국악학계와의 긴밀한 관계나 의존이 아니라 해외학자들의 독자적 행보와 모임이 주가 되었다고 하겠다. 프로바인의 연구와 활동을 통해서 살펴본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과 발전과정은 그 시기별로 뚜렷한 전개 양상과 변화의 단계가 있었으며 이것은 국악학계와도 연관되어 있었다. 한국음악학의 발전과 전개가 국내와 해외라는 이분법으로 구분되기보다는 국악학의 발전 맥락 속에서 학문과 학자 간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며 이루어졌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is a historical overview of Korean music scholarship, hanguk eumakhak, especially focusing on its development outside of Korea. By looking at the materials written by a Western scholar, Robert Provine, this paper scrutinizes the key aspects in the development and new phases of the scholarship. Also, the ideas of research is in relation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cholarship, so called “gugakhak,” discussing both scholarships in the context of their history. Provine devoted himself in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more than forty years as a scholar, editor, researcher, educator, and administrator. His achievements are shown in various areas, including publications, translations, and academic associations. The first appearance of Provine in the field of gugakhak in 1970s showed a possibility of future establishment of the scholarship overseas. His publications in 1980s made contribution in introducing earlier paradigm of Korean music research to foreign scholars, while at the same time adding materials to the body of bibliographical or Western writing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mid 1990s, he led membership in the Association of Korean Music Research as a president. He built network among the scholars worldwide by publishing newspaper, opening website, and organizing meeting. This made it possible for the scholars to communicate and to collaborate with, producing noticeable outcomes, such as Korean music section in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series. These steps were in some ways deeply related to gugakhak in Korea, while at the same time generating issues of arguments. Scholars in Korean musicology, ethnomusicology as well as East Asian studies can understand some historical contexts and scholarly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Provine-involved publications and activities. Korean music scholarship established and developed outside of Korea is not always away from gugakhak. Instead, they are related, mutually interacting and sometimes independently processing. This is an aspect on and a way of the expansion of Korean music scholarship overseas.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 Hee Sun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 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

        해외에서의 한국음악학 연구현황

        박미경 한국국악학회 2009 한국음악연구 Vol.45 No.-

        연구자는 이 글에서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현황을 진단하는 근거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또 진단의 신뢰성을 가진 근거 자료를 얻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를 물으면서 시작하였다. 이어진 논의에서 연구자는 진단근거자료가 어떻게 마련되었으며 무엇으로 나타났는가, 그리고 자료수집을 끝내고 진단자료로서의 목록을 작성하면서 드러난 제한점은 무엇인가를 묻고 답하였다.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집한 결과 수치만 우선 소개하면 총 200편이다. 진단자료에 수록한 연구물들은 학술논문, 입문서, 전문서, 학위논문이 중심을 이룬다. 이 자료를 근거로 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물음을 묻고 답하면서 연구현황을 진단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한국음악관련 주제를 다룬 박사학위논문과 전문서는 무엇이 있으며 이들의 주제적 관심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또 이들에게서 의미있는 추이가 있는가; 한국음악관련 주제의 학술논문의 양적결과와 주제적 관심은 무엇인가, 또 이들에게서 의미있는 추이가 있는가; 한국음악관련 주제의 학술논문이 포함되는 전문서는 무엇으로 나타났는가, 또 한국음악을 중심주제로 하지 않은 전문서와 기념논문집 등에 들어간 학술논문들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사전집필과 서지작업의 활동은 어떠한가. 해외에서의 한국음악학 연구 현황 진단은 주로 양적 분석에 의존하였다. 그 과정에서 한국음악학이 무엇인가는 국내학자들과 외국학자들이 가진 견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이 드러났다. 다시 말해 외국학자는 국내학자들이 몰두하는 연구들에도 관심이 있지만 그 테두리를 넘어서는 경향이 있다. 그 차이, 즉 국내학자들의 학문적 경계와 해외학자들의 그것이 어떻게 다른가의 심도있는 논의는, 학문범주화와 국제적 학문교류와 관련해 앞으로 꼭 전개될 필요가 있다. 이 목록을 작성하면서 동시에 한국에서 출판된 외국어 연구물도 거의 같은 조건으로 수집하였는데 그 전반적 추이가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외 한국음악학의 증진은 한국의 상황과 긴밀히 맞물려 있으며, 그래서 한국의 적극적 역할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실이다. This paper began with questions addressed to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data through which I judged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Korean music studies abroad. In the discussion followed, I presented the boundary within which the research items for review were included with its reasoning behind. I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s I was forced to face in compiling the list of the research items. Finally I compiled 200 items in total for review. The 200 research items were academic papers, monographs and doctoral theses dealing with Korean music.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Korean music abroad, I asked following questions:How many doctoral theses have been written, and what are their subjects; Are there any meaningful currents among these items; What are monographs on Korean music; How many articles on Korean music were published in renowned international ethnomusicological journals? Who are the most active scholars of Korean specialties abroad? In this paper, I have relied mostly on quantitative analysis. In this process of analysis, I found there were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native and foreign scholars. While foreign scholars were interested in the topics which Korean scholars delved into also, often their research interests went beyond those. Scrutiniz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ould be useful in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s and future growth of Korean studies. At the end of the article, I attached the complete list of the 200 items of research on Korean studies abroad.

      • KCI등재

        만당 이혜구와 일본음악학계-인적 교류와 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이지선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7 No.-

        이 글은 만당(晩堂) 이혜구(李惠求)의 일본음악학계에서의 행적을 인적 교류와 학회 활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만당은 1940년대 초부터 일본음악계와 학술 교류를 시작하는데 이는 그가 실천한 최초의 해외음악계와의 교류였다. 친밀하게 소통한 일본음악학자는 기시베 시게오(岸邊成雄)와 하야시 겐조(林謙三)이다. 만당은 기시베와 1941년에 처음 대면한 이후 그의 주선으로 일본음악학계에 첫 논문 「양금신보의 사조에 관하여」를 발표하고, 1970년대 중반 함께 고려악연구회를 발족하며 1980년대 중반까지 친교를 나누었다. 또한 만당과 하야시는 학문의 관심 분야와 고악보를 통한 음악분석이라는 연구방법에서 공통점이 많아 쉽게 소통할 수 있었다. 기시베와 하야시는 만당을 위해 그의 송수기념논문집(1969)에 글을 헌정하며 학술적 교류를 이어갔다. 만당은 1943년 이전에 일본 동양음악학회에 가입하여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특별강연회(1959)를 갖고 동 학회 학술지에 일본 고려악 <나소리>를 한국 “구나의 소리”로 해석한 논문(1965)을 게재했다. 또한 조선학회 학술지에 한국의 좌․우방악과 일본의 좌․우방악을 비교한 논문(1961)을 수록하고, 기악과 산대극의 비교 연구를 구두 발표(1968)와 논문(1969)으로 집필하는 등 1950년대 말부터 일본학계에 한국음악학을 적극적으로 소개했다. 일본음악계에서 만당의 명성은 1970년대 초에 이미 널리 알려져 한국 음악학자로는 최초로 일본의 표준음악사전에 등재되었다. 그가 추구했던 국제 교류는 한국국악학회와 고려악연구회의 활동을 통해서도 구현되었다. 1959년부터 해외 학자들을 한국국악학회에 소개하여 연구와 정보를 교환하는 장을 만들어나갔고, 1976년부터 한일음악의 공동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고려악연구회를 이끌어갔다. 이러한 만당의 행보는 일본에서 한국음악학이 전개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만당은 일본음악학계의 제1세대부터 제3세대에 이르기까지 학문적 소통을 이어간 살아있는 한일음악교류의 역사 그 자체였다. 그의 해외교류 활동은 한국음악학이 국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었음에 틀림없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activities of Mandang Lee Hye-gu in the Japanese music academy through personal exchanges and academic activities. Mandang began interacting with Japanese music academia in 1941 after meeting with Kishibe Shigeo. Mandang and Hayashi Kenzo had many things in common in academic interests and research methods. Kishibe and Hayashi dedicated their articles to Mandang’s 60th Anniversary book and continued academic exchange. Mandang was the first Korean to speak at the Society for Research in Asiatic Music. He published papers comparing Japanese music with Korean music in the journal and introduced Korean musicology to the Japanese academic community since the late 1950s. He introduced foreign scholars to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from 1959, and from 1976 he led the Komagaku Research Society for the purpose of joint research of Korean-Japanese music. This movement of Mandang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in Japan. Mandang was the history of the exchange of living Korean-Japanese music that continued communication from the first generation to the third generation of the Japanese music academy. His overseas exchange activities were the driving force for Korean musicology to grow internationally.

      • KCI등재

        일본에서의 한국음악학의 전개 양상과 연구 성과 -1945년 이후를 중심으로-

        이지선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8 No.-

        이 글에서는 1945년 이후 일본에서 전개된 한국음악학의 발전 양상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연구 성과를 분야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의 통치 정책과 관련하여 일본인에 의한 조선음악의 조사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반면에, 일본의 패전 이후로는 한국음악에 관한 연구가 현저히 줄어든다. 따라서 1945년부터 1965년까지를 일본의 한국음악 연구의 ‘공백기’라고 할 수 있다. 1970년대는 일본에서 ‘민족음악학’이 크게 성장하면서 한국음악 연구가 그 일환으로써 진행되었다. 한국음악을 주제로 한 석·박사논문이 나왔고, 관련 연구도 급증했으며, 고려악연구회가 설립(1976)되어 양국 학자들의 정기적인 학술교류가 시작되었다. 따라서 1966년부터 1970년대까지를 한국음악학의 ‘성장기’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는 장기간의 현지조사와 유학을 통해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졌고, 여러 세대의 학술 활동으로 연구 건수가 대폭 증가한다. 두 권의 연구서 뺷아리랑의 노래뺸와 뺷소리의 연구뺸가 출판되었으며, 아시아음악 관련 전집에 한국음악 논저가 6편이 수록되는 등 일본에서의 한국음악학의 지위가 견고해진다. 또한 고려악연구회에 의해 양국 음악학자들의 수준 높은 학술교류도 계속되었다. 따라서 1980년대를 한국음악학의 ‘확립기’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는 연구 분야가 크게 확대된 시기로, 궁중음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연구성과물이 나왔다. 특히 조선시대 음악사와 근대음악사 연구가 시작된 점이 눈에 띈다. 이전보다 연구 건수는 줄었지만, 연구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이 시기에 한국음악학은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 연구의 수가 이전보다 더욱 감소한다. 이는 3세대 연구자를 중심으로 학술 활동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를 한국음악학의 ’정체기’ 또는 ‘세대교체기’로 볼 수 있다. 이전까지 꾸준히 연구되어 오던 민요와 악기에 관한 논저가 보이지 않는 데 비해, 근대음악사는 이전 시기(1건)보다 비약적으로 증가(12건)한 점이 주목된다. 2010년 이후로는 연구 성과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연구자의 수도 늘어나며, 한국 학술지(한국어)에의 발표도 증가하는 등, 한국음악 연구가 양적·질적으로 크게 발전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이때를 한국음악학의 ‘번성기’라고 할 수 있다. 1945년 이후 현재까지 일본에서 한국음악 연구는 전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연구는 총 190건으로,가장 많은 분야는 민속악(53건)이고, 다음으로 음악사(49건), 악기(32건)의 순이며, 그 뒤로 전반(총론, 17건), 음악 양식(14건), 음악 교류(11건), 기타(8건), 궁중음악(6건)이 따른다. 이는 일제강점기에 궁중음악에 관한 논저가 집중적으로 발표된 것과는 대조적인 양상이다. 민속악 연구가 많은 이유는 현지조사를 통한 자료수집이라는 민족음악학적 접근방법으로써 연구를 적극적으로 진행한 결과로 보이고, 음악사 중에서도 근대음악사 연구가 2000년 이후 급증하는 이유로는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에 관한 관심과 이 시대에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로 인해 일본 연구자들의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을 생각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Korean musicology, developed in Japan since 1945, by period and the the results by fiel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ese research on Korean music was actively conducted in relation to the ruling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after the defeat in World War II, research on Korean music decreased significantly. Therefore, the period from 1945 to 1965 can be called the ‘gap period’ of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In the 1970s, as "Ethnomusicology" grew significantly in Japan, Korean music research was conducted as part of it.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Korean music were published, related research also surged, and the Goryeoak yeonguhoe (Komagaku Research Society) was established (1976) beginning regular academic exchanges between scholars from the two countries. Therefore, the period from 1966 to the 1970s can be called the "growth period" of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In the 1980s, in-depth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ong-term fieldwork and study abroad, and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academic activities of various generations. Two research books, Song of Arirang and the Study of Sound were published, and six articles on Korean music were included in a collection related to Asian music, strengthening the status of Korean music research in Japan. In addition, high-quality academic exchanges between music scholars from both countries continued by the Komagaku Research Society. Therefore, the 1980s can be called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The 1990s was a time when the research field expanded significantly, and research results came out in all fields except court music.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research on the history of music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music began. Although the number of studies has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in terms of diversity in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musicology has entered a "stable period" during this period. In the 2000s, the number of studies decreased even more than before. This is because academic activities were centered around the third-generation researchers. Therefore, this period can be viewed as a "stagnation period" or "period of generational change " in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It is noteworthy that while there was no articles on folk songs and instruments that had been studied steadily before, modern music history increased dramatically (12 article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1 article). Since 2010, research result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researchers has increased, and the publications in Korean journals (in Korean) have increased, marking a period of significan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development in Korean music research. Therefore, this can be called the "prosperity period" of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It has been confirmed that Korean mus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ll fields in Japan since 1945. A total of 190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he most popular field being folk music (53), followed by music history (49) and musical instruments (32), followed by general theory (17), music style (14), music exchange (11), royal music (6), and etc (8). This is in contrast to the intensive publication of articles on court music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ason why so many studies on folk music seems to be the result of active research using ethnomusicological approach to collecting data through fieldwork while the reason why the study of modern music history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00 may be because of interest in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aterials written in Japanese in this period, which easily accessible to Japanese researchers.

      • KCI등재

        비교음악학의 성과와 과제

        이용식 한국국악학회 2008 한국음악연구 Vol.43 No.-

        최근 국내 음악학자들의 외국음악에 대한 관심이 급등하면서 비교음악학(comparative musicology)적 연구가 양산되는 실정이다. 한국음악학계에서 ‘비교음악학’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은 한국인 학자가 외국음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학문분과를 정의하기 위함이다. 외국음악에 대한 관심은 우리 음악의 특징을 찾기 위하여 시작된 것이고, 이는 이미 한국음악학의 초기부터 있었다. 그러나 외국 음악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이후부터 일본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에 단기간의 현지조사를 할 수 있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외국음악을 연구하기 시작하게 된다. 기존의 비교음악학적 연구는 주로 중국일본 음악과 우리 음악의 비교에 치중하고 있다. 그나마 현지조사에 의한 연구는 거의 드물고 문헌에 의지한 연구물이 대부분이다. 이렇듯이 문헌에 의지하다보니 음악을 둘러싼 문화맥락의 이해가 없는 연구가 많다. 향후 현지조사에 기초하여 심층적인 음악문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한민족 음악의 디아스포라(diaspora)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한국 내의 다문화환경에 대한 연구도 시작되었다. 또한 중국일본을 벗어나 아시아 각국의 음악문화를 연구하여 아시아 음악의 보편성과 한국음악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지식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세계음악학계와의 꾸준한 상호연구 및 교류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낯선 음악을 연구하는 것은 우리 음악의 특징을 알기 위해서이다. 우리 음악학계에서 낯선 음악을 알려는 노력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우리는 그동안 중국일본 중심의 음악학에 함몰되었고, 그 결과 더 큰 세계음악문화사적 흐름을 도외시한 채 연구가 진행되어온 경향이 있다. 우리는 너무 ‘자문화 중심주의적(ethnocentric)’ 시각이 강하다. 이로 인해 우리 음악의 특수성과 미학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 음악의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 낯선 음악과의 비교를 통해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a new trend in Korean musicology. Korean musicologists call this new movement ‘comparative musicology’. Although the term ‘comparative musicology’ was substituted by ‘ethnomusicology’ in the 1950s, it is still available in Korean musicology and defines Korean’s interest in the music of other cultures. Many younger scholars have been interested in Asian music since the 1990s when they were able to travel over the world due to the economic growth. Most of comparative musicological researches are focused on Chinese and Japanese music. Korean musicologists have interested in the comparison of Chinese and Japanese music in order to find the peculiar beauty of Korean music and the historical trade of music in Northeast Asia. Most thesis were the result of ‘armchair’ research. A few scholars have conducted field research. Therefore, many of the researches do not consider the cultural context of music at all. It needs to have a thorough research based on field work. Korean musicologists have begun interested in the musical diaspora and multicultural music in Korea. We need to broaden our scope to Asian music in order to find the universal traits of Asian music and the specific beauty of Korean music. We need to investigate the other music in order to find the peculiarity of Korean music. The new trend of comparative musicology has been started in the 1990s and it needs a further steps to go. It is said that Koreans are ethnocentric because of the long history of seclusion policy and homogeneous racial nation. It is time to turn our interest to other music to explore the beauty of Korean music.

      • KCI등재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학술사업의 성과와 과제

        이용식 국립국악원 2017 국악원논문집 Vol.36 No.-

        The Division of Music Research of National Gugak Center was established in 1987. However,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Center has conducted from 1970 before the Division was founded. The Division of Music Research has conducted various academic research since its establishment which cannot be done by a private researcher. In this sense, the review of the outcomes of the Division at this stage of the 4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can be the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of music research in Korea.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Division of Music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 the reproduction of the old music scores, the translation of the old music literature, the production of music and dance notations, various publications, the oral history, and so forth. The various academic activities of the Division have been the provide of the first-hand and second-hand materials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Division has played a great rol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The Division has conducted other academic activities such as the research of musical instruments and educational resources. The Division also runs the archive, museum, and library as well. The Division of Music Research has conducted difficult and money-consuming activities that cannot be done by private researchers. It was the role of the Division as a national institution. As the 40th years of the establishment, the man-power, budget, and scale of the Division have grown a lot. The Division should play the key role to lead the Korean musicology with efficient and systematic academic activities in the future. 국립국악원에서는 1970년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1집을 발간하는 등 학술사업을 진행해왔다. 이후 1987년에 국악연구실이 설립되면서 개인이나 학계에서는 진행할 수 없는 다양하고 본격적인 학술사업을 진행하면서 한국음악학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큰 기여를 해왔다. 국악연구실의 학술사업은 논문집 발간, 고악보 영인, 고서적 번역, 각종 악보 및 무보 발간, 해외보급을 위한 영문책자 발간, 구술채록 사업, 국악연감 발간, 총서 발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음악학자료총서는 1970년 제1집(대악후보) 이후 제52집까지 악보, 회화, 사진 등의 영인을 통해 한국음악학 연구의 기초자료를 생산했다. 한국음악학학술총서는 1991년 제1집(조선왕조실록 음악기사 총색인) 이후 제9집까지 음악학으로 특화된 주제의 충실한 역주를 통해 국악학계의 학문적 역량을 발휘했다. 국악전집과 한국음악은 각각 정간보와 오선보로 우리 음악을 기록한 악보로서 우리 음악의 보존과 전승에 큰 기여를 했다. 궁중무용무보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궁중무용을 기보한 것으로서, 무용학 발전의 토대를 이루었다. 해외보급자료인 Korean Musicology Series는 한국음악의 세계화에 큰 기여를 했다. 국립국악원 구술총서는 기존의 연주자만이 아니라 이론가, 작곡가 등의 구술을 통해 현대 한국음악의 흐름을 이해하는 첩경이 되었다. 국악연감은 현대 음악문화의 통계작업으로서 음악학의 기초가 된다. 한민족음악총서는 북한 음악에 관한 심층연구를 통하여 한국음악학의 영역을 확장했다. 국악원논문집은 1989년 창간호를 발간한 이후 현재까지 35집을 발간하면서 한국음악학 성장에 기여했다. 국악연구실은 학술사업 외에도 2006년 개소한 악기연구소를 통한 악기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데, 국가기관 주도로 악기의 개량 및 개선 사업을 이루지고 있다. 또한 교육연구사업으로 진행했던 국악용어표준안과 교육용 국악 표준악보 발간 사업은 국립국악원이 국가기관으로서 국악계의 표준을 제시하여 교육의 확장에 크게 기여한 성취를 이루었다. 국악연구실에는 이외에도 국악 관련 각종 음향 및 동영상 자료, 악기 등을 수장하고 관리하는 아카이브와, 국악박물관, 자료실 등을 운영하고 있다.

      • KCI등재

        국악을 논하는 잡지의 지면 연구 시론

        이수정 ( Lee Su-jeong ) 한국음악사학회 2018 한국음악사학보 Vol.60 No.-

        이 글에서는 1945년 이후 한국 현대국악학(現代國樂學)을 논하는 관련 잡지와 지면의 상황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와 같은 연구기반이 마련되기까지 국악계가 양적으로 질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의 일면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현대국악을 소개하는 잡지의 연구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일제강점기의 잡지 지면을 통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설펴보았는데, 국악학(國樂學) 연구가 국악인아 아닌 민속학자ㆍ국문학자 또는 일본인에 의해 연구되면서 타자적(他者的)인 시각으로 다루어졌음을 파악하였다. 잡지는 처음 개화와 계몽을 목적으로 잡지가 발행되기 시작하여, 이후 전문잡지가 등장하면서 각 분야의 연구 활동의 발표지면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음악계에서는 『三光』과 같은 전문 잡지가 등장하였다. 음악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국악을 다루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해방이후는 새 시대를 맞아 각 부분에서 학문적 토대 및 체제를 세우며 성장하는 시기였다. 역사상 가장 격동적인 변화를 겪었던 시기이면서 또한 제도 및 학문적 토대가 마련되던 시기이다. 음악 관련 단체가 결성되었고,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 건립,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제도 등이 마련되면서 학문의 주제 및 중심의 마련되는 과정에 있었기 때문에 각 기관의 기관지 및 『無形文化財』와 같은 관련 잡지가 발행되었다. 국악계가 성장하자 『國樂界』라는 최초의 국악전문잡지도 반짝 등장하였다. 국악계에 독자적한 학술지가 없던 1970년대 이전까지는 여러 학회지나 잡지의 지면을 통해서 학술활동을 진행하였지만, 대학에 국악과가 설치되고 학문적 기반이 확충되면서 고등교육을 받은 신진연구자가 등장한 이후 다양한 학문활동이 이루어 졌다. 학교나 연구소에서 발행되는 각종 ‘논문집’을 통해 학술활동이 이루어 졌다. 한국국악학회(韓國國樂學會)에서 처음으로 『韓國音樂硏究』를 발행하였고, 이후 한국음악사학회(韓國音樂史學會)의 『韓國音樂史學報』를 비롯한 수십 종의 학술지 및 학회지가 발간되면서 현대와 같은 연구 환경이 조성되었다. 근대적인 학문의 정착과정에 신문ㆍ잡지와 같은 매체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한 잡지 목록만으로 현대국악의 연구 활동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현대국악계의 연구사적 흐름을 규명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magazines which deal with modern Korean musicology and the status of those paper works published after 1945. The research shows an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field and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round for its scholarship in the modern times. In order to see the trend of research on introducing modern kugak 國樂 the research first looked at the magazi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music scholarship was most done by non-musicologists, such as scholars in folklore or language, or by Japanese in the perspective of outsider. The earlier magazines were published for enlightening people, and later specialized research magazines were began to appear in each field, for example in the case of music, specialized magazine like Samgwang 『三光』. It was the time that non music specialist were researching kugak. After the liberation many scholarships faced a new phase as building its academic ground as well as the system, although it was the time of historical turbulence. Many musical associations were organized; the Kungnip Kugagwon 國立國樂院 (National Kugak Center) was open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was set. Not only each organization but also the institutions published their own journals, such as government organ and Muhyong munhwajae 『無形文化財』(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ith its quick development, a special magazine Kugakkye 『國樂界』(The Korean Traditional Music Field) was appeared suddenly. But up until 1970s there was no specialized kugak journals. After the universities opened kugak departments new researchers were raised with the high level education. They did active academic works and the journals were published by the universities or their research center. Han'guk Kugak hakhoe 韓國 國樂學會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first published Han'guk umak yon'gu 『韓國 音樂硏究』(Studies in Korean Music) and some other academic journals including Han'guk umak sahakpo 『韓國音樂史學報』(Journal of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 Musicology) by Han'guk umak sahakhoe 韓國音樂史學會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Musicology) were appear as making the modern research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modern scholarship, the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s were importan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historical flow in modern kugak field. However, only with the list of magazines provided in the paper, it is limi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research activities in modern kugak.

      • KCI등재

        한국음악학의 국제적 전개와 연구 성과 고찰-영문 국악 전문서의 주제와 출판 동향을 중심으로-

        장윤희 한국국악학회 2017 한국음악연구 Vol.62 No.-

        This paper explores English book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gugak), dance, and theater. They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s they are written by not only Korean scholars but also scholars from different nationality and backgrounds, targeting wider range of readers in the world. By sorting and analysing themes, authors, and publishers of the publications, the research not only lists up the bibliographic data, but also examines history, trends, and academic development of the Korean music scholarship. The multi faceted perspectives on these writings help to self-inspect the history of scholarship, while at the same time harden the ground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music. The books in early stage are introductory and informative as they were simply aimed at introducing the scholarship to the Western world. In the 21st century, however, increasing number of scholars, including foreign ethnomusicologists such as Andrew Killick, Simon Mills, and Nathan Hesselink, published books and thu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ology proceeded and developed in a cooperative procedure. The works, for example Korean Musicology Series, well reflect the collaboration of the scholars in Korea and overseas, and show more professionally and academically woven articles. Recently, from the 2010s, scholars discuss gugak as one of global cultural contents, for example in relation to the UNESCO's World Heritage of Human Culture or music festivals. Representative musicians like Yi Ji-young and Kim Joon Young publish books on Korean music instruments for their practical use among composers and performers worldwide. The books intend to help composers and performers outside Korea collaborating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본 논문은 한국전통음악, 즉 국악을 주 내용으로 하는 영문 학술서적의 현황과 의미를 출판지와 출판 시기, 저자와 연구주제 등의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한국음악학의 역사적 전개와 학문적 발전 방향을 논의하여, 학계의 성장을 살피고 후속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악영문서는 국악학초기(1970~1989)의 개론서 및 국악사학 서적으로 시작하여, 세부 음악갈래의 연구가 진행되고 다변화된 민속악 연구 서적이 출판되면서 해외연구기반조성시기(1990~2001)를 맞이한다. 이후 국내외 협업연구와 영문서적 활성화(2001~2010) 시기는 백과사전과 국악학 전문 총서의 발간으로 이어진다. 이는 해외 민족음악학도들이 자신의 박사학위논문을 책으로 펴내는 시점과 맞물리며 이용식, 김희선, 변계원, 헤세링크와 킬릭, 박찬응, 엄혜경, 사이먼 밀스와 같은 당시 신진학자의 책이 지문당, 민속원, Routledge, Ashgate, University of Chicago, University of Hawaii, UC berkeley와 같은 국내외 유수 출판사의 총서 일부로 출판된다. 학자 양성과 학술협업은 국악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최초의 국악학 영문 전문 총서 Korean Musicology Series의 발간으로 이어진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 유네스코 인류문화 등재물, 국악 공연, 국악창작과 작곡 작업, 국악기 연주방식 습득을 다루는 영문서적이 출판된다. 윤중강과 사이먼 바커가 현장 중심의 음악활동을, 앤드류 킬릭은 물론 이지영과 성심온은 가야금과 창작음악을, 가민과 김준영의 피리와 거문고 책은 해외 작곡자와 세계 각지에서의 연주를 위한 실질적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전통무용과 관련한 영문서적도 현대 한국무용과 창작 전통무용의 차이와 같은 현 세대 한국문화요소를 실질적으로 다루고 있다. 해외 학계를 인식한 이후 시작된 국악학의 국제적 진출과 도전, 학문적 기반 확립과 후속세대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은 초기 영문국악서적의 목적이자 공헌이며, 이를 통해 양성된 신진국악학자들의 활약과 국내외 학자간의 협업 또한 국악학의 일부 분야를 민족음악학의 범주로 확장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국가의 문화를 세계적 콘텐츠로 개발하려는 접근이 출판물에서도 드러나며 이는 국악의 저변확대를 해외 시장으로 넓히고자하는 가능성의 타진과 탐색이라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