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중화인민공화국 최초의 한국어 교재 『朝鮮語讀本』과 『朝鮮語會話』에 관한 연구

        오옥매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1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wo Korean language textbooks Korean Reading and Korean Conversation. The two textbooks were the first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Peking University, which was the only Korean language department since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frame, I examined the bibliographies of the two textbooks, the compilers, the subjects of use, etc., and analyzed the forms an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e Korean Reading and Korean Conversation published by Korean teachers Ma Cho-gun and Rhee Kae-yeol were the first textbooks attempt to complete the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within limited time and with limited data. The textbooks include the contents of newspapers and magazines that came from North Korea and Korean textbooks in the past, while maintaining the Korean writing system and textbook production methods at that time. The main purpose of the textbooks was to improve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to systematize and normaliz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to train practitioners of friendship and solidarit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nd to inject ideology. Although it was not made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learners' needs, the two textbooks tried to meet the actual situation of the time and the actual demand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he consideration for learners in terms of the constructive system stood out. At the same time, both textbooks became the forerunner of new learning materials in the early day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y following the spelling of North Korea in the Word-initial Rule, and by maintaining the tradition of past Korean reading materials along with social and political content related to socialism in terms of contents. The Korean Reading and Korean Conversation reflected not only the “Hangul Spelling Unification”. but also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s during the 3rd and 4th periods of education. Given this, we hope that the two textbooks will attract more attention in terms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in the future. 본고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유일한 한국어 교육기관이었던 북경대학 한국어 학과에서 발간된 최초의 한국어 교재 朝鮮語讀本과 朝鮮語會話를 대상으로 교재의 편찬과 출판 경위, 편찬자, 사용 대상 등에 대한 사항을 소개하고 교재론에 기반하여 두 교재의 형식적 특징과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朝鮮語讀本과 朝鮮語會話는 한국어 교사 馬超群과 李啓烈이 당시의 한글 표기법이나 제책 방식을 유지하면서 ‘조선’에서 유입된 신문·잡지나 과거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반영하는 등 제한된 자료와 제한된 시간 내에 근대적 한국어 교육 체계를 완성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시도한 교재였다. 교재의 임무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한국어 교육의 체계화·규범화 외에 ‘조중’ 친선의 실천자 양성, 그리고 이데올로기 주입이었다. 비록 체계적인 학습자 요구 분석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이 두 교재는 당대의 실정과 실제 한국어 학습 수요를 충족시키려고 노력하였고 구성 체제 면에서 학습자에 대한 배려가 돋보인다. 그러면서도 두음 법칙 등에서 ‘조선’의 철자법을 따르고 내용면에서는 사회주의와 관련된 사회 정치적 내용과 아울러 민족의 전통 문화 소개와 과거 한국어 독본 교재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초기 새로운 학습 교재의 전범을 보여주었다. 朝鮮語讀本과 朝鮮語會話에는 한글맞춤법 통일안이 반영되어 있고 제3차·제4차 교육령기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내용이 반영되고 있어 향후 한국어사 및 한국어교육사 측면에서 보다 많은 주목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고급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 및 고급단계 말하기 강의한 구성

        최영란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10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7 No.-

        在我們的實際敎學中敎師們不斷地爲提高學生的會話能力而出謀劃策。 但是作者認爲這一系列的硏究還沒有完全解決敎學目的的明確性、敎學內容的多樣性、敎學方法的效率性等問題。 因此目前的硏究只停留在初、中級階段的會話能力的提高問題上。 本文從學生和社會的實際需求出發, 闡述了在高年級階段進行有針對性的高級韓國語會話敎育的必要性, 也對高年級階段的會話課提出了一些方案。

      • KCI등재

        길림대학 조선어(한국어)과 한국어회화교육의 실제 -실용회화교육을 중심으로-

        김지훈 ( Ji Hun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69

        이 논문은 2012년 7월부터 2013년 7월까지 중국 길림성 장춘시에 소재한 길림대학 조선어(한국어)과에서 진행된 실제 교육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회화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시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서론에서는 2012년 중국한국(조선)어교육학회에서 발행한 『중국대학 한국어교육실태』에서 공통적으로 지목하고 있는 교수자와 교재의 문제점과 더불어 국내에서 한국어교육과정을 마친 학생들의 본과 진학 및 취업 시 겪게 되는 문제점에 주목했다. 전자와 후자 모두 경제적 여건과 제약으로 발생된 공통적 문제점을 지니고 있지만 본고는 경제적 상황이나 교육시스템적 문제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개선 가능한 교재의 활용과 교수자의 교수법에 주목하여 논지를 전개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본론에서는 수요자 즉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실용회화교수법을 실제 길림대학 조선어(한국어)과에서 진행된 시안을 통해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매 교재마다 빠지지 않으면서 학생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주제 중 하나인 자기소개를 예를 들었다. 결론에서는 앞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회화교육에서 중요한 점은 말하기와 듣기의 중심에 ``나``라는 주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실천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thesis is based on an actual education experience that was processed at the Chosun language (Korean) department of Jilin University located in Cangchun city, Jilin providence from July 2012 to July 2013 and the purpose is to look into the issues of Korean conversation education for local and foreigners and to present a plan for it. In the introduction, it focused on the issues of the teachers and textbooks that were commonly stated in the 『China University Korean education status』 issued from the 2012 China Korea(Chosun) language education committee along with the issues of the students`` advance in actual studies and getting jobs after they finish their Korean education program. Although the former and latter has its common issues in economical terms and limits, this thesis focused more on the utilization of the textbook that can be improved at the filed and the teaching method of the teacher rather than the economic status or educational system issues. Based on such points, the main subject presented the actual draft of a real conversation teaching method that is needed by consumers (students) that was processed at the actual Chosun(Korean) department at Jilin university. In details, it took an example of a self-introduction among the themes that are needed by students and is always included in textbooks. In the conclusion, it stated that the important points in Korean conversation education for foreigners is to acknowledge there is a ``me`` in the center of speaking and listening and looked deeply into the continuous research plans.

      • KCI등재

        20세기 초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회화 학습서 연구

        김정숙 ( Chungsook Kim ),최호철 ( Hochol Choe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4

        본 연구는20세기 초에 일본인 학습자를 위해 출간된한국어 회화 학습서의 내용 구성과 제시 방식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시기에 출판된 한국어 학습서 중 회화 중심의 학습서 7종을 선정하였다. 주된 연구 내용은 회화 단원의 구성 기준 및 단원별 내용, 회화문 구성 방식, 발화자 표시 방식, 의미 제시 여부, 음가 표시 여부, 회화를 보충하는 어휘부의 내용 구성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학습서의 내용 구성의 변화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이 시기에 일본인 학습자를 위해 출판된 한국어 회화 학습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모든 학습서가 소재나 상황을 중심으로 회화를 구성하였다. 둘째, 회화의 소재나 상황은 일상생활 및 대인 관계 교제, 자연, 생업, 업무가 주를 이루었다. 초기에는 일상생활이나 대인 관계 교제, 생업을 소재로 한 실용적 회화가 주를 이루었으나 차츰 업무 관련 내용이나 설명적 내용의 비중이 커졌다. 일본의 식민지배가 본격화된 1910년대 이후에는 교원이나 관청 직원의 업무를 위한 내용이 강화되었으며 경찰을 위한 교재가 출판되기도 하였다. 셋째, 회화는 대화나 고립적 문장들로 구성되었는데 하나의 단원 안에서 대화와 고립적 문장들이 섞여 나타나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대화는 응집성이 부족해 담화로서의 완결성을 갖추지 못했다. 넷째, 회화 학습서임에도 불구하고 1종의 학습서를 제외하고는 발화자가 구체적으로 표시되지 않았다 다섯째 . , 모든 학습서에서 한국어 문장에 일본어 대역문이 함께 제시되었다. 음가 표시는 독학용 학습서를 포함해 2종에서만 나타났다. 여섯째, 회화와 함께중요한 의미부를 형성하는 어휘는 특수 집단을 위한 학습서를 제외한 6종의 학습서에서 발견되었다. 5종의 학습서가 소재 단위로 어휘를 제시하였는데 일상생활, 대인 관계 및 교제, 업무 관련 내용이 주를 이룬다. 회화와 비교할 때 어휘에 시대 상황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conversation textbooks published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terms of content and presentation style. To this end, seven textbooks have been selected that focus on the conversation among the books published at that time. I researched how the criteria of the textbook units is arranged, the presentation of the dialogue, the way the authors mark the speakers of the dialogue, and whether or not they have translations and phonetic value of dialogue in Japanese. In addition, I researched the change of overall content and presentation style over time. In conclusion, the features of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have changed over time. At first, most textbooks were organized by subjects and situations such as daily life, personal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nature, jobs, and business. Next, the textbooks began to include practical dialogues relating to daily life, friendships, and jobs at the beginning, but the subjects they dealt with were shifted towards business contexts and abstract concepts. After the year 1910 when colonization over Korean was full-fledged, content for teachers and civil servants was fortified and policemen textbooks were published. Thirdly, sentences for practicing conversation were presented as dialogue or isolated sentences; mixed forms of sentences also appeared in the same units. When dialogues were used they cannot be completed in terms of meaning. Fourthly, even though their focuses are conversation, five textbooks do not have the title of the speakers. Five textbooks present sentences marked with numbers. One textbook presented sentences without any marks. Fifthly, all textbooks presented Korean sentences with a Japanese translation, and only one book includes phonetic value. Finally, Six textbooks have a vocabulary section that comprise of semantic parts with dialogue. Among them, five textbooks present vocabulary by subject, such as daily life,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and business related words. These words strongly reflected situations of those times.

      • 효율적인 한국어 회화 수업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최수진(崔秀真,)(Choi Su Ji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人文科學硏究 Vol.14 No.-

        본 연구는 학습자 자신이 원하는 것을 배울 때 가장 잘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둬 학습자 요구 조사 분석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중국의 정규 4년제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1학년과 2학년 한국어 회화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 20명과 한국어 회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한국어학과 1학년과 2학년 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어 회화 수업 시 교수와 학생의 학습 방법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 비교함으로써 그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발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앞으로 한국어학과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회화 교재 개발이나 한국어 회화 수업 진행등에 어떻게 적용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崔秀真(中国对外经济贸易大学),2007 ,为学习者提供效果良好的韩国语会话课程,对学习者的要求进行的分析-以中国大学教授与学生学习方法喜好的比较为中心-;笔者认为学习者只有学习自己感兴趣的东西时才能学得最好,首先对学习者的要求做了调查分析。笔者对20名在中国四年制大学韩国语专业一二年级教授韩国语课程的专职韩国语教师和139名学习会话课程的韩国语专业本科一二年级学生做了问卷调查,通过对老师和学生对会话课程的学习方法的喜好进行分析和比较,发现两者存在的相同点和不同点,并对今后韩国语专业学生会话教材的开发和会话课程教学方法等方面提出了建议。

      • 개화기 한국어 학습서 『日韓會話』에 대한 일고찰 : 그 성립 과정과 한국어 교재로서의 구성을 중심으로

        박기영(Park Keeyoung)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본고의 목적은 1894년 일본에서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인 『日韓會話』에 대해 그 성립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로서의 구성상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고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이다. 우선 『日韓會話』가 한국인과 일본인에 의해 부산 지역에서 그 본문이 작성되었을 것이라는 기존의 주장에 대해 본고는 오히려 인천 지역에서 본문이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 근거로서 학습서 본문의 내용이 주로 인천과 서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점과 본 학습서의 한국어가 체계적이고 일관된 방언형 표기를 보여주지 않으며 기존의 주장 가운데 일부 논거는 일본인 모어 화자의 오류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아울러 『日韓會話』 교재의 특징을 비슷한 시기에 간행된 『日韓英三國對話』와 『日韓通話』와의 비교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日韓會話』는 다른 두 학습서와 마찬가지로 이전의 대표적인 한국어 학습서인 『交隣須知』의 영향 아래 있으면서도 당시의 필요에 따라 숫자나 도량형과 관계된 어휘들을 추가하였으며 ‘주제별 단어와 문장’의 교재 구성에 있어서도 다른 학습서보다 더 체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Nit-Kan-Kai-Wa(1894), Korean Textbook for Japanese learner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ublication process and organization of the book This paper raises two key points. First, The Korean Textbook Nit-Kan-Kai-Wa may have been written in Inchon Area not Busan Area. There are two evidences. One is the content of Nit-Kan-Kai-Wa in which the main geographical background of conversation written is Inchon and Seoul. The other is Korean language itself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 Nit-Kan-Kai-Wa doesn't show any conclusive evidence that includes some dialectal feature. The Korean language of Nit-Kan-Kai-Wa seems to be Jungbu Dialect. Second, Nit-Kan-Kai-Wa puts more stress on colloquial communication. We can confirm this by investigating the preface of Nit-Kan-Kai-Wa. It includes four items and three of them are about pronunciation.

      • KCI등재

        근대 태동기 한국어 교재의 회화문 분석

        고경민(Ko, Kyoung-mi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7 No.1

        이 글은 근대적 교육기(1870~1909)에 간행된 한국어 교재의 회화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 태동기의 한국 정세는 국제관계를 비롯해 국내에서의 군란과 정변에 이르기까지 혼란과 변화가 뒤섞인 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한국어 교재는 내용에 있어서도 어휘를 대조했던 이전 시기와 달리 문법 교수가 중심이 되어 편찬되었으며, 주로 품사체계나 용언의 활용에 초점을 두고 발음이나 음운 체계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는 형태로 간행되었다. 문법과 더불어 회화를 위한 교재도 등장해 주제별, 단원별로 회화문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도 이 시기 교재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시기 간행된 14종의 교재를 회화부의 표기 방식과 대화문의 구성 방식으로 나눠 살펴보고, 이전 시기 및 이후 시기와의 연관성을 찾고자 한다. 특별히 이 글에서는 그동안 주된 분석의 대상이 되었던 『역대문법대계』에 실린 교재와 더불어 일본국회도서관에 소장된 회화 중심의 한국어 교재를 살피는 데 중심을 두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 시기의 전반적인 특성과 더불어 이 시기 간행된 교재의 특징을 일별하였고, 3장부터는 선정된 교재의 회화문의 구성 방식을, 4장에서는 회화부의 표기 방식을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colloquial sentenc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modern educational period(1870~1909). During the modern quickening era, the situation of Korea was mixed with the chaos and changes not only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but in the domestic insurrection of troops and political upheaval.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is period concentrated on grammar teaching, in contrast to the earlier period to compare vocabularies, and added explanations about pronunciation or phonology, focusing on the system of parts of speech or the pleonastic use, mainly. The appearance of textbooks which were designed not only for grammars, but also conversations, and consisted of colloquial sentences depending on the topic and unit, is also one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m during this period. This article analyzed the composition of units, the notation of colloquial sentences and the composition of dialogues of 14 kinds of textbooks published in this age, in order to look for the relationships with those that were published in the earlier period and the later period. In particular, it minimized the teaching materials included in 『Collection of Century of studies on Grammar in Korea』 that has been the subject to the major analysis, so far, and focused on examining conversation-centered Korean Language textbooks posse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Japan. For achieving these objectives, Chapter 2 took a glance over general properties of this period and properties of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at this moment, and Chapter 3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units, the notation of colloquial sentences and the composition of conversations of the selected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일제 식민지 시기의 한국어 회화서 『日鮮 遞信會話』와『朝鮮語遞信會話』에 한 일고찰

        박기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硏究 Vol.- No.64

        The aim of this-is to introduce two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Japanese learners 4ich published in tic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examine the change of-word between two textbooks, 『Iiseon Chesinhoehwa』(日鮮遞信會話), and 『Joseoneo Chesinhoehwa』(朝鮮語遞信會話) have never been introduced to researchers. These textbooks are unique in that they were published for the purpose of postal conversation, Because 『Joseoneo Chesinhoehwa』 is a digest of 『Iiseon Chesinhoehwa』,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wo textbooks, we can make certain of tic portal word which u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tiocL In addition to that we can grasp the changing aspect of postal word in that period. 본고에서는 일제 식민지 시기의 한국어 회화서 가운데 체신업무 의 용이성을 목적으로 간행된『일선체신회화(日鮮遞信會話)』와 『조선어체신회(朝鮮語遞信會)』를 소개하고 이 회화서에 나타나는 체신 관련 어휘를 비교,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두 회화서의 범례와 목차, 본문의 구성 등을 통해 각 회화 사의 제재와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어체신회화(朝鮮語遞信會話)』 가 『일선체신회화(日鮮遞信會話)』에 비해 한글 자모와 발음께 대한 설명과 연습 문제 등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선어허신회화(朝鮮語墟信會話)』가 『일선체신회화(日鮮遞信會話)』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졌음을 본문의 내용 비교를 통해 확인하고, 두 회화서가 보여 주는 체신 어휘 가운데 우편 관련 용어들을 비교 검토하여 두 회화서가 개화기 체신 어휘 자료로서 갖는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대부분의 우편 관련 용어들이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어 어휘들이거나 그 어휘들로 변해 가고 있었지만 그 가운데 일 부 어휘들은 일본어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개화기 한국어 회화서 〈韓語會話〉에 대한 일고찰

        박기영(Park, Kee-young)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3

        This study examines “Kan-Go-Kai-Wa(韓語會話)”(1904), Korean Textbook for Japanese learner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organization of the book and Korean pronunciation description in the textbook. This paper raises two key points. First, Writer of “Kan-Go-Kai-Wa(韓語會話)”(1904) was not mere railroad company staff, but a student sent abroad at state expense in 1896. From this fact, we acknowledge this textbook as a research material for Modern Period"s Korean language. Second, “Kan-Go-Kai-Wa”(1984) shows impressive description about korean pronunciation at this time. Other Korean textbooks for Japanese learners at same period did not show as such. The pronunciation descriptions of “Kan-Go-Kai-Wa(韓語會話)” also give us two important facts. First, the writer of “Kan-Go-Kai-Wa(韓語會話)” knew well the pronunciation errors committed by Japanese learners. Second, phonological(or phonetic) change ‘ㅅ’+‘ㅑ, ㅕ, ㅛ, ㅠ’ is described as a mistake done by korean people at this time. But that is not just speech errors. It reflects real pronunciation of Modern Period"s Korean.

      • KCI등재

        조선 총독부 간행『朝鮮語法及會話書』연구

        윤영민 한국일어교육학회 2019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8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an aspect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nguistic influence of Japanese to target the Korean learning manual that Japanese has been published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ublished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 in 1912 after the Japan-Korea annexation in 1910, and compiled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 and “諺文綴字法” in 1921 and 1930. And, this book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mation of the influence not a few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school grammar. Although this study book is unique as a Korean teaching material for Japanese teachers, Okayama Senjo, who was a disciple of KanezawaShozaburo, wrote it as a study book in whose publicati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directly involved. It seems that Okayama Senjo the author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which was established in 1917 to teach Japanese to Korean teachers, did not have this book in mind. And, as can be seen from “introduction” in this book, there are quite a few historical data that can be examined about “the Korean language before the 1933 Hangul orthodox draft unification plan based on the dialect of the Seoul region”. In this book, Korean characters are divided into “syllabic and mother-letters” and “colon (:)” is written in front of the vocabulary like “:개”, “:말슴”, “:하인”, etc. Provided long tone information. The influential verb contains a modern filler, and the scope and concept of the adjunct setting are close to Otsuki Fumihiko. However, the point of disapproval of auxiliary verbs or the viewpoint to “있다・있다” is the same as Yamada Yoshio. The grammar of this study book seems to be a complex reflection including not only Yamada Yoshio pointed out by Kim and Ko (1988) but also Otsuki Fumihiko. In addition, the Korean language “discrimination”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to explain utilization and grammar categories, and the Korean words [?] “particles”, “auxiliary verbs”, and “prefinal ending” are defined as “Joji(助辭)”. 이 논문은 한국 개화기 당시 일본인이 간행한 한국어 학습서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일본어의 언어적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특히 1917년에 조선 총독부를 통해 간행된 『朝鮮語法及會話書』를 중심으로 그 형식과 내용및 자료적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총독부는 1910년 한일병합 이후 2년 만인 1912년,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를 간행하였으며, 이후 1921년과 1930년에 각각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과 『諺文綴字法』을 편찬하며 한국어 학교문법 기조 확립에적지 않은 영향력을 형성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본 학습서는 일본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재라는 특수성도 있겠으나 총독부가 간행에 직접 관여한 학습서로서 金澤庄三郞의 제자인 奥山仙三가 쓴 것이다. 살펴본 바로는 본 학습서는 일본인 교원에게 조선어를 가르치기 위해 1917년 개설된 조선어강습회에서 사용된 교재로 저자인 奥山는 『朝鮮語法』에 대한 출판을 염두에 두고 있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例言’ 의 선언에서 알 수 있듯이 ‘경성지역 방언에 기초한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 이전 조선어의 표기 양상과 언어현상’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는 자료사적 의의도 적지 않은 가운데 본 학습서는 한국어 자모를 ‘子字・母字’로구분하고, ‘:개’, ‘:말슴’, ‘:하인’ 등과 같이 어휘 앞에 ‘콜론(:)’을 표기하여 장음 정보를 제공하였고, 감동사의 경우 현대의 필러(filler)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助辞 설정의 범위와 개념은 大槻文彦에 가까운 반면, 조동사의불인정과 ‘있다・없다’의 시각 등은 山田孝雄와 유사한 것이어서 본 학습서의 문법은 김민수, 고영근(1988)에서 지적된 山田뿐만 아니라 大槻와 山田문법의 복합적인 반영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어 용언을 세 가지 단계로구분하여 활용과 문법 범주의 구현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한국어 의 ‘助詞’, ‘助動詞’, ‘선어말어미’를 ‘助辭’로규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