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대학교에서의 한국사 교육 및 연구 현황과 실태

        정홍영 ( Zheng Hong-yi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3

        중국대학교에서의 한국사에 대한 연구와 교육은 여러 시기를 걸쳐 많은 성과를 이룩하였다. 하지만 현재 한국사의 연구와 교육은 미흡한 상황이다. 한국사연구에서 연구과제의 심사 등 원인으로 연구 중에 대부분 중국학자들이 한중관계사에 중점을 두고 있고, 서로의 소통과 이해의 차이점으로 연구가 지체되고 제반 한국사 연구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사교육현황은 연변대학교에서 시작되어 중국의 여러 대학교에서 한국학 전공을 위주로 한국사에 관한 교육이 실행되고 있지만 아직 한국사의 구조와 성격, 변천상의 인식이 부족하고 심도 있는 교과내용과 교수진의 부족으로 한국사 교육은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는 중국대학교에서의 한국사연구와 교육에 대한 양상과 현황을 집중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사 연구와 교육에서 존재하는 문제점을 고찰하여 타국에서의 한국사의 연구와 교육의 발전을 독려하고 검토함으로써 한국사의 연구와 교육의 발전을 기원해본다. Research and education on Korean history in Chinese universities has achieved many achievements over many periods. However,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n history is insufficient. Most of Chinese scholars are focusing on Korea-China relations, and researches are delayed due to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which is a stumbling block to research on Korean history.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started at Yanbian University, and education on Korean history is mainly carried out at various universities in China. However, due to lack of awareness of the structure, nature, and transition of Korean history and lack of in-depth curriculum contents and faculty,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and analyze the aspects and status of Korean studies and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ereby reviewing the problems existing in Korean history and research an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and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I wish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and education.

      • KCI우수등재

        한국학・지역학의 발흥과 한국사연구

        오영교 한국사연구회 2023 한국사연구 Vol.- No.200

        The field of Korean history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in the 21st century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anks to the efforts of researchers. Korean historians today are concerned with issues such as overcoming the division of Korea, maintaining universality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recalibrating the status of the people and the state as subjects of history, popularizing historical studies using visual media, and elevating the status of history education and providing quality contents at universities and secondary schools. Korean studies and Korean regional studies have recently investigated Seoul and the other regions using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methodology. Unlike other disciplin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orean history research uses methodologies from long-standing traditions and encompasses comprehensive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thought, and culture.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s thus fundamentally intertwined with Korean studies and Regional studies, and researchers are already involv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s a part of the movement to invigorate regional academia. However, the sudden rise of Korean and Regional studies have resulted in the mass production of research outcomes from studies lacking their own methodology and disciplinary systems. This is a concern for Korean history researchers with more traditional academic training. Korean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which has long employed its own systematic research methodologies, can serve as an exemplary model for Korean and Regional studies that pursu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his paper examines the research processes and genealogie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rise of Korean studies. Following a description of the current conditions of Korean regional studies and its search for suitable research methodologies, the paper reviews the responses made by the academic communities of Korean history by focusing on the academic environment, its shortcomings, and aims. The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history should serve as the steppingstone for the development of original research methodologies that are well adapted to continuous change. To prevent studies from becoming mechanical, monotonous, or fragmentary, the community must promote an academic culture that encourages researchers to conduct empirical and in-depth analyses and produce better outcomes that reflect such efforts. 21세기에 들어와 한국사 분야의 연구성과는 연구자들의 각성과 더불어 질양의 측면에서 눈부신 진전이 있었다. 오늘날 한국사학계가 고민하며 살피는 사안은 남북분단의 극복, 세계화과정 중 보편성의 담보, 역사향유의 주체로서의 민의 존재와 국가위상, 미디어시대 영상물을 중심으로 한 역사대중화, 대학과 중고교의 역사교육 실태와 내용 등이다. 최근에는 서울과 지방 공히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연구를 지향하는 한국학과 지역학(국내지역학)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오랜 전통의 연구방법론을 구사하고 다른 인문·사회과학과 달리 정치·경제·사회·사상·문화의 종합적인 분야를 포괄하는 한국사는 한국학·지역학의 근간·외연으로 연계되고 직·간접적으로 한국사연구자들이 이의 연구와 지역학술운동을 통해 관여되고 있다. 독특한 연구방법론과 체계가 확립되지 않은 채 양적으로 방만하게 전개되는 한국학과 지역학의 발흥에 대한 정통역사학계의 대응고민도 문제의 하나이다. 한국사는 융합·통합을 추구하는 한국학·지역학과는 궤를 달리하는 분과학문이자 특유의 체계적인 연구방법론을 담고 있다. 한국학·지역학 연구의 전범이 되는 학문분야이다. 본고는 한국학 대두의 계통성과 연구과정, 국내 지역학의 연구 상황과 연구방법론 모색에 대해 서술하고 이를 선도해 갈 한국사학계의 대응 정도, 특히 한국사 연구가 처해있는 학적 환경과 문제점, 지향점을 점검해 보았다. 오늘날 한국사 연구자들의 힘든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기계적이고 평면적이고 단편적이기 보다는 실증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지향하고 체계적인 논문의 완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학문풍토를 조성하며, 독자적인 한국사 방법론의 형성과 변화에 디딤돌이 되는 한국사연구회와 한국사학계가 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 KCI등재

        한국사상사학의 성찰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2

        이 글은 해방 후 한국사상사학의 전개 과정을 제도, 담론, 실천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제도의 측면에서 한국 사회에서 생산된 ‘한국사상사’ 저술들을 일별하고 특징을 논했고, 담론의 측면에서 한국사상연구회에서 담론적으로 제기한 ‘주체’에 주목하여 사상과 주체의 관계를 살폈으며, 실천의 측면에서 한국사학계의 사상사 연구 과정에서 논란된 ‘사회’에 주목하여 사상과 사회의 관계를 살폈다. 그 결과 제도권에서 한국사상사에 관한 저술들이 개설서, 총서, 교양서, 교재, 입문서 등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었으나 아직 엄정한 단행본 연구서가 출현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또, 한국사상연구회의 한국사상 담론이 한국사상사의 반성과 주체의 재발견에 놓였고, 이러한 견지에서 동학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의 다양한 주체를 검출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 한국사학계의 사상사 연구는 주로 사회사상사를 지향했는데, 고대사상 분야에서는 교리사에서 벗어난 사상사가 추구되었고 조선후기 실학 분야에서는 사회경제사와 밀착한 사상사가 추구되었다. 전자의 경우 교리사 위주의 사상사 연구를 비판하고 사상과 사회의 관련 속에서 사상사의 외재적 문맥을 중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후자의 경우 이에 대한 비판으로 사회경제사에 포박된 사상사 연구를 비판하고 사상사의 내재적 문맥을 중시하는 제언이 대두하였는데, 이는 모두 사상사 연구의 실천 과정에서 획득한 사상사 방법론에 관한 중요한 논점이었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iography of Korean thoughts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kind of books has been published or compiled as works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since the year of 1945? What kind of questions can we ask about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ubject which was central to basic studies of the Research Society for Korean Thought(韓國思想硏究會), and also what kind of question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ociety which was core to early studies of Korean history? From these questions this paper arrives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not a few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primers, textbooks, introductory books, books of culture, series books and so forth, but strictly speaking, no professional research book covering all kinds of Korean historical thoughts appeared in public. Secondly, studies of the Research Society for Korean Thought(韓國思想硏究會) made significant discourses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in the direction of two ideas of the reflec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and the re-discovery of true subjects of thoughts in Korean history. Donghak(東學) was considered exemplary enough to satisfy these two ideas, namely ‘reflction’ and ‘re-discovery’, and welcomed as such among contributors and editors of the above research society. Lastly, Early studies of Korean historical thoughts tended towards social history of ideas, for instance,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e ancient Korea and the late Joseon Korea. In this case, the former research approached ancient thoughts out of religious doctrines, the latter research drove late Joseon thoughts into socioeconomic historical contexts in favor of the so called Shilhak(實 學). Both of them were in search of the external contexts of Korean thought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ociety. It was characteristic of early studies in the academic circle of the Korean history. However, the critique of the external context and the pursuit of the internal context came to grow up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oughts in the late Joseon Korea. This tendency finally resulted in questioning the historical knowledge of Shilhak formed on the basis of the socioeconomic contexts.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학』 게재물의 구성과 변화, 1964~2002

        김두섭(Kim Doo-Sub),은기수(Eun Ki-Soo)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6

        이 글은 한국사회학회의 공식학술지인 『한국사회학』의 1964년 창간호부터 2002년 36집 5호까지 실린 연구논문의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학자들의 연구성과와 연구경향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사회학』의 초창기에는 다양한 유형의 글이 실렸지만 점차 연구논문이 주류를 이루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연간 발간횟수의 증가에 따라 게재지면이 확대되면서 게재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를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한국사회학계의 연구경향이 한국 사회의 변동과 밀접히 관련을 맺고 변화하여 왔음을 알 수 있으며, 최근에는 경제사회학, 산업사회학, 사회복지, 사회운동, 문화 등의 분야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게재논문의 연구자를 분석한 결과, 아직도 한국사회학계에서는 미국 등 외국에서 훈련을 받은 사회학자들이 발표하는 논문의 수가 국내에서 훈련을 받은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보다 양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울과 지방의 구분 없이 대학교수들이 활발히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연구기관에 재직하는 전문연구자의 논문의 수는 계속 늘어나는 반면, 안정된 직장을 갖지 않은 시간강사들의 연구결과는 최근에 올수록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Korean Journal of Sociology(KJS) and the changes in their contents during the period of 1964-2000. In the early years of KJS, various types of outputs were published, but changes have been made into a direction that research articles compose the main context of the journal. As the number of issues published in a year increases,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of the journal shows a trend of marked rise. An analysis of the themes of articles shows that the trend of research in Korean sociology has changed hand in hand with transformations of the Korean society. Economic sociology, industrial sociology, social welfare, social movements, culture, etc. turn out to be popular themes of research recently. The articles written by Korean sociologists with their academic degrees from the U.S. and a few advanced countries outnumber the articles written by those domestically trained. Regardless of the location(Seoul vs. provincial regions) of university, professors have been found to be very much active in their productivity. The articles written by those working in research institutes have also increased continuously, while research outputs of part-time lecturers have decreased recently.

      • KCI등재

        영문 한국사 개설서의 한국고대사 서술 내용 검토

        박현숙(Park, Hyun-Sook)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0

        본고는 세계와 공유하는 한국사 교육을 위해 더 나은 한국사 교재들이 마련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근래에 영미권 대학의 한국사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교재 두 권(Michael Seth 교수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와 Keith Pratt 교수의 『Everlasting Flower』)을 분석하였다. Michael Seth 교수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는 근현대사가 중심이 되고 있으며, 동아시아사 속에서 한국사를 보려고 한 장점이 보인다. 그러나 한국사 전공자의 영문판 한국사 개설서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한국 고대사 서술에 있어서 오리엔탈리즘과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사 인식을 드러내고 있었다. 책들은 기존 연구들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과 같이, 단군조선과 삼국 초기의 역사에 대한 부정, 한국의 가교역할 강조 등 한국사 연구 동향과 동떨어진 학설이 정설로 자리 잡고 있었으며, 한국의 연구 성과를 거의 인용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서양사 일본사 중국사와의 비교가 자주 등장하면서 한국사를 아류적인 역사로 이해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서술의 오류나 관점의 문제는 있지만, 기존의 영문 한국사 개설서에 비해서 점차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Keith Pratt 교수의 『Everlasting Flower』는 문화사 중심의 친절한 해석이나 동아시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사를 이해하려 한 서술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한국사 개설서를 서술할 때에는 한국 학자의 입장이 아닌 외국 독자의 관심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받을 수 있다. 또한 한국사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 않은 점이나 사실의 오류를 지적하기에 앞서서 한국사 연구 환경이 글로벌화 될 필요가 있다. 우리도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서 외국의 학자들이 수긍할 수 있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사 연구를 진행하고 외국에 있는 한국사 연구자들과 교류의 場을 확대하여 소통해야 한다. 한국사 연구자들의 시각과 연구 성과가 반영된 영문판 한국사 개설서가 서술 될 수 있는 환경을 먼저 만들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외국 독자의 수준에 맞는 영문 한국사 개설서를 마련한다면, 세계와 공유할 수 있는 한국사를 서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In order to build a foundation towards a worldwide shared Korean History education and its textbooks, this paper analyzed the two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A Concise History of Korea』 by Michael Seth and 『Everlasting Flower』 by Keith Pratt, which are mostly well-known and used as the main textbook at university level in recent years. Michael Seth wrote 『A Concise History of Korea』 and its narrative is mainly focused on the contemporary history and it has described Korean history within the frame of East Asian history. However, these textbooks strongly reflect orientalism and sinocentrism that some may even doubt if these are written by the scholars who majored Korean history. Just like other previous researches has already pointed out,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has its own mainstream and its research trend is far apart from the one in Korea. Also, the research achievements that were made by Korean history scholar in Korea are barely used. In addition, the comparative narrative of Korean history with other history such as Western history, Japanese history, and Chinese history causes the problem of miss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as a minor history and this issue is still frequently appears and has not improved yet. Although the textbooks have the problems regard to its perspectives and narratives, it has put up some new various attempts compare to previous textbooks. Keith Pratt’s 『Everlasting Flower』 shows tendency to try interprets and explains Korean history with cultural history centered perspectives and also understands Korean history within the East Asian history as its macro frame. Also, this textbook sugges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foreign readers and understanding their interest when scholars is writing a Korean history textbook. Furthermore, the condition of Korean history research needs to be globalized before criticizing the simple errors of textbooks and complain about the lack of referenc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made by Korean scholars. It is important to avoid ethnocentrism and able to interpret and understand Korea history in the broader perspective so that Korean scholar’s research achievement may share on international level and expand scholar exchanges and communications. In sum, it is important to make an appropriate research condition first in order to publish Korean history textbook that reflects Korean scholar’s research achievements and perspectives. Based on this research con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more new attempts to consider foreign readers and publish better and widely shared Korean history textbook.

      • KCI등재

        한국사전학회 20년과 한국 사전학의 과제

        남길임,안의정 한국사전학회 2022 한국사전학 Vol.- No.40

        본 연구는 2003년 한국사전학이 발간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전학이 변혁기를 거쳐 온 과정과 발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사전학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003년 한국사전학회의 창립 전후부터 지금까지 한국사전학이 도출한 성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2장), 사전학 관련 논문에서 사전학의 연구 경향을 각각 거시구조적 측면과 미시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3장), 최근 20년간의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전학계가 말뭉치 혁명과 컴퓨터와 IT의 발달, 사용자의 참여 확장 등 사회 변화에 따른 요구를 한국사전학계가 어떻게 수용해 갈 것인지를 함께 논의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모든 논문이 주요 대상이나, 『한국사전학』 이전에 사전학 전문지로서 관련 주제들을 담당했던 『사전편찬학연구』와 이외 KCI 학술지 중 현대 한국사전학의 주요 성과를 모두 포함한다. 또 분석의 체계는 사전학 이론의 내적 체계인 이론사전학과 사전편찬학의 체계를 따르는 한편, 국내외 사전학계의 주요 연구 동향을 참고하기 위해 한국사전학회, 아시아사전학회, 유럽사전학회의 주요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논의한다.

      • KCI우수등재

        1960년~1970년대 한국사 개설서의 조선시대 상업사 서술과 상업사 연구

        고동환 한국사연구회 2019 한국사연구 Vol.- No.184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history of commerce in the Chosun Dynasty was described in the books of Korean general history from 1945 to the 1970s. It is a historical research method to objectify the study of commercial history in Chosun Dynasty from the 1960s to the 1970s. Based on the Theory of the Embryo of Capitalism, the study of commercial history in this period has laid the foundation for overcoming the theory of stagnation. Despite these implications, these studies lacked a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goods by highlighting only the developmental aspects. Despite these shortcomings, these studies are based on empirical evidence. Thu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eriod are still alive and powerful today, 50 years later. If studies in the 1960s and 1970s focused primarily on change and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dimensions of structure and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s. 본 연구에서는 반세기가 지난 오늘날의 관점보다는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1960-70년대 한국사 개설서에서의 상업사 서술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검토했다. 이 검토작업은 1960-70년대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객관화할 수 있는 역사주의적 방법이다. 이 시기 상업사 연구를 통하여 18세기 이후 市廛體系가 붕괴되고 私商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상품유통체계가 성립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축적된 전기적 상인자본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생산부분에 침투하여 생산자를 지배하는 수준에 이르렀음이 밝혀졌다. 이 연구들은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 전반기까지 한국사 서술의 주류를 형성했던 정체론적 서술을 극복한 연구들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 상업사 연구는 자본주의 맹아론이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상업부면의 발전만을 부각시킴으로써 상품유통구조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맹아론이라는 거대이론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이 시기 상업사연구는 탄탄한 실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 연구성과는 5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생명력을 잃지 않고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1960-70년대 연구가 주로 변화와 발전에 치중하여 이루어졌다면, 이러한 변화와 발전을 토대로 하면서도 이들 변화와 발전의 상관관계를 구조와 운영이라는 차원으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상업사 연구가 생산부문과 유통부문의 유기적 관계를 해명하여 조선 사회의 재생산구조의 총체적 파악으로 나아갈 때 1960-70년대 상업사연구의 한계가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한국의 사회학 연구영역에서의 근거이론의 활용 방법과 전개, 그리고 향후 방향의 모색

        김은정(Eunjung Kim)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3

        근거이론은 기존 질적 연구방법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평가되어 그 위상이 높아졌으며, 인기를 모아왔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사회과학계도 예외가 아니다. 사회복지학, 행정학, 교육학 등의 동향을 살펴보면,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질적 연구 패러다임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한편, 이들 연구들을 보면, 이전에는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and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서 근거이론의 다양한 논의를 반영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거이론의 다양한 논쟁을 소개하는 작업과 방법론에 대한 논의도 활발한 편이다. 이러한 사회과학계 전반의 추세와는 달리 한국 사회학계에서는 근거이론에 대한 소개와 활용이 미미했다. 물론, 근거이론의 분석방법 및 존재론적, 인식론적 입장에 대한 논란도 많고 비판도 많다. 그러나 근거이론이 가지고 있는 방법론적 장점도 분명이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에 대한 논의를 함으로써, 사회학 영역의 질적 연구방법 논의의 진전을 시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학회지>를 중심으로 사회학계의 근거이론 활용을 살펴보았다. 첫째,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다른 사회과학 영역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학계에서 근거이론은 분석적 절차를 제공하는 방법(method)으로만 이해되고, 이론을 형성하기 위한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방법론(methodology)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논의는 별로 없었다. 셋째, 한국의 사회학계에서는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연구만이 독점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태이며, 근거이론의 다른 논쟁들에 대한 논의가 별로 소개되고 있지 않다. 이상의 점들을 살펴 볼 때, 근거이론 활용을 한 연구들이 좀 더 활발해지고, 방법론적 논의가 진전된다면 사회학 영역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론 논의에 발전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편수는 적지만, 사회학계에서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사회학 영역에서 가능한 근거이론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unded theory has dominated th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since it was considered to be rather an effective and useful method that can overcome what is previously known as weaknes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re has been explosively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grounded theor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of social sciences in Korea such as social welfare, public administration or gerontology. There used to be a propensity to adopt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1990); however, entering the 2010s, social science studies applying other grounded theory methods done by scholars such as Charmaz or Rennie, have also emerged and flourished. Grounded theory has not been debated much in qualitative research of Korean Sociology as in other social divi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limits and implications of relatively underestimated grounded theory research in Sociology, reviewing the articles adopting grounded theory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from 1999 to 2016.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at there is a scant amount of grounded theory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Sociology, which suggests that ground theory research quality in Sociology may be far left behind; 2) grounded theory is considered to be as a procedure to analyze data rather than as a methodological research approach/paradigm for a substantive-level theory; 3)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 has exclusively dominated over the years, curtailing the methodological debates regarding post-Strauss and Corbin. This study aimed to ignite the overall discussions of qualitative research by shedding lights on grounded theory,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and less utilized for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Sociology.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학회와 사회학연구,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 발표 논문의 연구분야별 내용분석

        설동훈,고재훈,유승환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1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KSA) 1964- 2017, and identifies the topic trend in the research areas of sociology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full text of all the available research papers published/presented at the KSA and analyzed those by dividing into three categories of time spans: 1964-1979, 1980-1999, and 2000-2017. The areas of sociology in Korea are divided into sixteen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Academic Research Area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Panels in Annual Meeting of the KSA. We conducted the analyses in two steps. First, using classical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e classified the total of 4,317 papers into one of the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found the changing pattern of research areas. Second, we also applied computer-assisted content analysis‒Structural Topic Model(STM)‒to the text corpus of 4,317 papers, which is a large and structured set of texts. The results of the STM show that the number of topics is 71 in 1964-1979, 65 in 1980-1999, and 74 in 2000-2017. We presented each topic with three key words by each area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ext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one-mode networks among topics in each area of sociology for each of the three eras, we presented links among the topic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lots of cases in which a certain topic at a specific era appears simultaneously in several research areas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wo-mode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two-mode networks among areas of sociology and topics, we found that specific clusters are composed of several areas of sociology in each era. This paper shows the growth, continuity and decline of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the changes in research focus in each area of sociology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64-2017. 이 연구는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에서 출판·발표된 모든 논문의 전문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 사회학의 연구분야 변동의 양상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 대상 시기는 1964- 1979년, 1980-1999년, 2000-2017년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사회학의 세부 연구분야는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 분류 표’와 ‘한국사회학대회 정기사회학대회 세션 분류’ 등을 참조하여 16개로 나누었다. ‘고전적 계량 내용분석’에 의해 4,317편의 논문을 16개 연구분야 중 하나로 분류하여,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전체 논문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모델’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산출된 토픽의 개수는 1964-1979년 71개, 1980-1999년 65개, 2000- 2017년 74개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토픽들을 세 개의 핵심단어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분야별 토픽의 시기에 따른 변동 분석을 통해,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의 방향을 확인하고, 각 분야에서 연구초점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설명하였다. 연구분야별·시기별로 토픽들의 일원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토픽들 간의 연결 방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특정 시기의 어느 한 토픽이 여러 연구분야에 등장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므로, 시기별로 ‘연구분야와 토픽 간 이원연결망’ 분석을 아울러 수행하였다. 이원연결망 분석을 통해, 공통의 토픽을 가진 연구분야들의 집락이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사회학의 16개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와 더불어, 각 분야에서 연구 초점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한국사 연구와 디지털역사학 연구방법론 -양적분석을 중심으로-

        이상국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7

        역사학계는 디지털시대 한국사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인해 그에 걸맞은 연구방법론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것에 동의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 변화의 방향성과 방법론을 모색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빅데이터와 디지털시대에 한국사 연구가 직면한 도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필자는 한국사 연구에서 기존의 질적연구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그것을 '디지털역사학'으로 명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양적 데이터로의 전환과 한국사 데이터에 최적화된 분석방법론의 모색이 디지털역사학의 핵심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Since around 2000 years, plenty of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digitized in various formats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Due to the structural transition from the era with limited access to an era of infinite information acces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challenges in many way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llenge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in the big data and the digital era. It is intended to present a new research paradigm that converges digital technology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existing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history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digital history that the AIRG(Ajou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 has tried so far as called it ‘digit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