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학생선발권 쟁점과 과제

        박혜경 ( Park Hye Kyung ) 대한교육법학회 2017 敎育 法學 硏究 Vol.29 No.2

        대학의 자율성은 헌법 제31조 4항에 따라 보장되고 있다. 여기에는 교육과정과 학사운영, 재정, 교원인사 등과 함께 대학의 구성원인 학생선발권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대학본고사나 고교등급제, 기여입학제도에 대한 3불 금지조치에 따라 대학이 학생선발권을 행사함에는 많은 제한이 따른다. 그럼에도 대학이 학교의 구성원인 학생을 선발하고 교육하는 것은 대학설립에 따른 고유한 권한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학 학생선발권의 법적 성격은 기본권으로 보는 입장, 재량권으로 보는 입장, 대학의 자율성으로 보는 입장 등이 있다. 대학의 학생선발권에 대한 성격을 어떻게 보는 가에 따라 쟁점은 달라질 수 있으며 학생선발권의 범위와 내용도 달라질 수 있다. 이에 학생선발권의 개념과 법적 성격을 살펴보고 대학이 학생선발권을 행사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쟁점과 과제를 조사하였다. 첫째, 학생선발권을 다수설인 기본권으로 보았을 때, 이는 학생 및 학부모의 교육선택권과 충돌하게 된다. 둘째, 교육의 자율성과 공공성이라는 이념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학교육이 추구하는 목적과 교육의 이념에 따라 쟁점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선발을 위한 평가에 있어서 타당성과 공정성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쟁점들을 몇 가지 상황설정에 따라 분석하고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is guaranteed under Article 31 (4) of the Constitution.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in the curriculum, finance, transfer of teaching profession, along with teacher selection of students are also included. And, the University of the dead, high school rating system, contributing to college admission, three items prohibited acts as a limitation of the selection of students. Nonetheless, selecting and educating students who are members of the school is a unique authority for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The character of the student selection right is the position to view it as a basic right, the view as discretionary power, and the position of autonomy of the university. The issue is different depending on how you look at the nature of the student selection. The scope and content of student selection may vary. Therefore, I examin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 selection, and examined the issues and issues of student selection. First, considering the student selection right as a basic right, it conflicts with educational choice. Second, the autonomy and publicity of education are in conflict. Third,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conflicts with the fairness. We analyze the grounds of these issues and present them.

      • 학생 선발정책의 특성과 쟁점 분석

        김동석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연구 Vol.17 No.-

        이 논문에서는 학생 선발정책의 개념적 속성과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 학생 선발정책과 관련된 쟁점 및 그 속에 내재된 논리구조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미래 사회에 부응하는 학생 선발정책의 규범적 원칙과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정책의 개념적 구성요소에 비추어, 학생선발정책의 개념적 특성을 분석적으로 논의하고, 선발정책의 변천과정에서 형성된 구조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생선발정책 추진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쟁점과 그 속에 내재된 논리구조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쟁점 분석에 있어서는 학생선발제도 운영에서 대학의 자율과 국가개입 문제, 공교육 정상화 지원, 사교육에 대한 정책적 대응문제를 논리적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선발정책의 방향과 대입제도운영의 원칙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se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nation-wid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and examined the logic of policy claims about issues of selectiv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n Korea. In relation to the result of analysis, I would suggest some normative principles of entrance examination policy for development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I would discuss about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in accordance with conceptual elements of policy. And I would analyse the structure of logic, that is to say, reason-explanation system of policy claims about core policy issues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Main subjects of study to analyze policy issues are like this, i) the autonomy of university in selecting students, and administrative control about carrying ou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i) supporting for secondary education system and school curriculum running, iii) a countermeasure against problematic shadow education in tutoring market, iv) policy alternatives and various pattern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at last, I propose some normative principles for paradigm shift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selecting policy.

      • KCI등재

        기숙형공립고의 학생모집단위 적정모형 탐색

        김병주,정일환,김정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지역학생을 배려하면서 우수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학생선발 방식(모집단위, 전형자료, 선발권 등)의 적정 모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기숙형공립고의 추진과정을 살펴보고, 학생모집 측면에서 주요쟁점을 파악하며 학생모집에 대한 관련집단의 요구 조사와 그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초로 학생선발 방식의 적정 모형을 탐색하였는바, 지역학생 배려를 위한 기숙형공립고의 학생모집 적정화의 기본방향으로 지역에 대한 배려, 전국단위와 광역단위, 지역단위 모집의 적절한 혼합, 사회적 배려대상자 우선입학, 지필고사 지양, 건전한 교육경쟁유도, 우수학생 유치 전략 마련, 지역의 요구 반영 및 학교장의 자율권 존중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방향에 기초하여 우선 학생모집단위는 평준화/비평준화 여부, 자율학교 여부, 인근 고교의 인접성 등과 같은 해당학교의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국단위 모집이 가능한 학교의 경우 도입후 초기 3년간은 전국단위의 모집범위를 적게 시작하여 어느 정도 정착단계에 접어드는 3년 이후부터는 전국 및 광역의 모집비율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우수한 학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수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학생 선발 방식의 다양화와 특성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교 학생선발권의 범위와 한계

        박혜경 ( Hye Kyung Park ),신상명 대한교육법학회 2013 敎育 法學 硏究 Vol.25 No.2

        헌법 제31조 4항에서는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자율성에는 교과과정운영, 재정, 학사, 교원인사 등과 함께 학생선발권도 포함된다. 학생선발권에 대한 법적 성질에 대해서 학자와 판례는 기본권으로 보고 있다. 대학은 대학교육의 주체인 학생을 선발함에 있어서 전형기준과 전형방법, 전형시기, 지원자의 자격, 전형자료 등에 대해 광범위한 재량권을 행사하여 학생을 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판례는 대학이 학생선발권을 행사함에는 헌법과 법령, 대학의 학칙 등에서 정한 범위 내에 행사되어야 하며 그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재량권 일탈 및 남용으로 위법이라고 명시하였다. 또한 헌법에서 보장하는 개개인의 기본권과 교육기본법, 고등교육법과 동법 시행령 등의 범위 내에서 학생선발권은 행사되어야 한다. 그리고 대학본고사나 고교등급제, 기여입학제에 대한 대학입학 3불 금지조치는 대학이 건학이념과 모집단위 교육목적에 맞는 적격자를 선발하는 학생선발권을 행사함에 있어서 한계로 작용한다. Article 31 (4)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versity autonomy is guaranteed.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in the curriculum, finance, transfer of teaching profession, along with teacher selection of students are also included. Selection of students for the legal scholars and case law about property rights is reported. University college student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election criteria and the selection method, the applicant`s eligibility, the typical material for the exercise of discretion by a wide range of students can be admitted. However, the selection of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precedent Constitution and laws, refrain from violation of university is outside the scope of the illegal abuse of discretion, and that deviations were stated. As well as the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Education Act, the Higher Education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such as selection of students should be in the range. And, the University of the dead, high school rating system, contributing to college admission, three items prohibited acts as a limitation of the selection of students.

      • KCI등재

        국제중학교 학생 선발 쟁점에 대한 수요자들의 인식 분석

        김이경(Ee-gyeong Kim),박상완(Sang-wan Park),김성기(Sung-ki Kim),안지윤(Ji-yoon Ah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1

        정부 정책이 지향하는 목적과 교육 수요자의 요구 간에는 종종 괴리가 있고 교육 수요자들도 이해관계에 따라 견해가 다를 수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국제중학교의 학생선발을 둘러싼 쟁점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인식 차이를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조사지를 토대로 서울시 교육청 소재 초·중학교의 학생 및 학부모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총 1,727명의 응답자료를 기술통계, t검증, F검증, χ2검정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요자들은 국제중학교가 국내에서 국제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원하는 고등학교 진학에 유리하다는 점을 중요한 진학 목적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본래의 설립 취지 및 정책적 지향점과의 괴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요자들은 또한, 국제중학교의 학생 선발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토대로, 초등학교 교과성적을 가장 중요한 선발 기준으로 보고, 서류심사 합격자 가운데 면접을 통해 최종 선발하는 2단계 선발방식을 가장 선호하고 있어, 서울시교육청의 정책과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사회통합전형 비율은 현재와 같은 20% 정도를 유지하는 방안을 지지했다. 국제중학교 수의 확대나 중학교의 다양화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한편, 수요자 인식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 간, 국제중학교에의 잠재적 수요자(초등학교), 비수혜자(일반중), 수혜자(국제중) 집단 간에는 상당한 인식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상 연구결과는 국제중학교 학생 선발을 둘러싼 논란과 갈등의 발생은 국민적 수요와 괴리된 경직된 중학교제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향후 국제중학교의 학생선발 방식 개선은 물론, 교육 수요자 요구 파악을 토대로 중학교 제도 재설계를 위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준다. Assuming that there is often a gap between the purpose of government policy and the needs of education consumers, which may increase competition and conflict among education consumers, this study seeks to analyze education consumers’ perception of controversies over student selection of international middle schools(IMS) in Korea. The responses of a total of 1,727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in Seoul, which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 utilizing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 We find that there is a big gap between the purposes of IMSs advocated by the education authority and those perceived by the education consumers.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parents also shows statistical differences, while educational consumers’ perception varies according to the possibility of their admission to IMSs.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controversies over student selection of IMSs that stem from a rigid system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We, finally draw some implications that are required to improve the middle school system as a whole as well as the student selection scheme of IMSs.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 입학 선발 방식에 따른 대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 차이 분석 연구

        김보나 ( Bo Na Kim ),김이경 ( Ee Gyeong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3

        대학교 수준에서 학생 선발의 문제는 국가, 사회, 대학, 개인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어떤 특성을 지닌 학생을 유입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대학생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으로 진학한 이후 실로 많은 변화와 요구에 직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학 생활에 부적응하는 학생들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 여부에 관심을 가지고 요인이나 적응과정을 밝히는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대학 생활적응 양상이 달라지는가를 규명한 연구는 미흡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대학이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에 따라 대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 수준에 차이가 나는가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재학생 183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토대로, one-way ANOVA 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은 개인 배경 가운데 학년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 입학 선발 방식에 따라서는 학업, 사회, 일반적 적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에 비추어 논의하고, 대학경영의 관점에서 학생선발 방식의 설계와 관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Student admission method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upon the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students` adaptation level to university life depending upon diverse admission methods. Utilizing the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e surveyed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data of 183 students, we draw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erms of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level, there foun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by the grade level. Second,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llege admission methods. Based on the findings, we made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for a better design of college admission methods aiming at improving students` adaptation level to college life, thereby to prepare their future more successfully.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학생 선발과정에 대한 비교 분석

        장낙한,유진우,류해일,Jang, Nak-Han,Ryoo, Jin-Wo,Ryu, Hai-Il 한국영재학회 2006 영재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학생 선발과정에 대해 조사하고 외국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영재 학생 선발과정들과도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분포는 학생 수의 비율에 비해 지역적으로 불균형을 이루고 있었으며 다양한 학생들이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 비율에 따른 균형적인 분포가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생 선발 비율이 중학생 선발 비율에 비해 현저히 작아 역피라미드형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를 피라미드형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았다.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선발 절차는 먼저 성적 기준으로 영재 학생들을 형식적으로 추천받고 창의적 검사, 자체 제작 평가지, 심층 면접 등과 같은 지적인 검사를 토해 선발한 후 캠프를 통하여 영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비해 외국의 영재 판별 절차는 일정 기간의 캠프를 통하여 지적 판단뿐 아니라 과제 집착력과 같은 비지적인 도구로 영재를 판단하는 것을 볼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도 교사의 추천서에 의한 지원 자격이 필요하며 영재 선발 대상자들의 학습 습관과 태도 등 비지적인 요인을 실제적으로 검사하는 판별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selecting process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in university and was compared with foreign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The number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was unequality located to the regions, comparing with the ratio of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balancing location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students to let various students have the gifted education. Comparing with the ratio of gifted student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shape of ratios seems to be a inversed-pyramid. It is necessary to select students with the shape of the pyramid, supporting them to be educated, systematically and officially. The 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procedures of creative test, intelligent test and individual interview in science education institute

      • KCI등재

        대학이 추구하는 인재상과 학생선발방법

        김신영(Kim, Shin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4

        최근 대학 교육을 둘러싼 안팎의 환경이 급변하면서, 개별 대학의 특성과 이념에 적합한 신입생 선발제도의 구축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의 글로벌화와 탈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대학들의 낮은 교육경쟁력은 대학교육의 목표와 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대학이 어떤 인재를 선발해야 하는가와 어떤 지식과 특성을 지닌 지원자들이 대학의 이념과 특성에 맞는 인재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학의 변화는 대학교육의 첫 단계, 즉, 신입생 선발 방식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이념 및 인재상을 고려한 신입생 선발방법의 국내외 대학의 우수 사례들을 살펴보고, 대학의 인재상에 적합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전형자료의 특성과 입학전형방법을 분석하여 인재상에 적합한 학생선발방법의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A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igher education changes rapidly,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construct an admission process that promotes the individuality of a university and its philosophy. With glob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t is becoming especially evident that our universities have low academic competitiveness, making it necessary for us to reexamine the goals and methods of higher education. Furthermore, it leads us to question how to select the next generation of incoming students and think about what characteristics and talents to look for in applicants that could grow with and contribute to the institution philosophy. Changing the larger higher education system starts with changing the individual university, which must start in the student selection methodology.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selection procedures of highly selective foreign and domestic universities and papers that address new student selection methodology, and deduce its implication to university admission system to select right and excellent students who match vision of the university along with precautions in order to find a suitable direction to pursue.

      • KCI등재

        논문(論文) : 고등학교 입학제도 분석 연구: 관련 법령을 중심으로

        정제영 ( Jae Young Chung ) 대한교육법학회 2012 敎育 法學 硏究 Vol.24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입학제도의 현황을 분석하고, 법령을 기반으로 제도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유형을 법령상 구분을 통해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입학제도의 실제에 관하여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고등학교 입학전형의 실시권자와 전형계획의 공고 절차, 둘째, 학생 선발 시기의 구분과 선발시기를 달리 정하는 지역에 관한 사항, 셋째, 고등학교 입학전형의 지원 방법으로 학생 모집 단위와 이중지원 금지원칙, 넷째, 고등학교 입학전형 방법으로 전기학교와 후기학교의 입학전형, 특례입학 등예외적인 입학전형방법에 관한 내용 등이다. 교육제도 운영의 기본적인 원리를 적용하여 현행 고등학교 입학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감이 정하여 고시하는 입학전형 기본계획과 학교별 입학전형 실시 계획의 발표 시기가 너무 늦다는 점이다. 고등학교 입학제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학생들이 본인에게 해당하는 입학전형에 대해 충분한 준비를 할수 있도록 발표 시기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시·도 교육청들이 실시하고 있는전기와 후기학교 입학전형 일정의 차이로 인해 학생들의 고등학교 선택권이 제한되는 점이다. 시·도 교육청 간의 갈등과 입학전형에 대한 불만을 없애기 위해서는 전기와 후기학교의 입학전형 일정을 법령에 명시해 주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전기와 후기학교 선발시기 구분과 관련된 문제이다. 전기학교에 지원하는 회수를 제한하고 있어서 직업계열 고등학교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의 학교선택권이 제한되고 있고, 후기학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일반고는 공정한 경쟁이 제한되고 있다는 불만을 갖고 있다. 따라서 관련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고등학교의 입장에서는 학생 선발의 특혜라고 할수 있는 전국단위 학생 선발권을 부여하는 기준이 학교 유형별로 다르다는 점이다. 따라 서 전국단위 학생 선발권을 부여하는 기준을 명확하게 재규정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gh school entrance system in Korea, focusing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regulations. At first, the types of high schools are classified by regulations. In this study, high school entrance system was analyzed by 4 perspectives in the Korean legal system. Firstly, the conducting authority and process of high school entrance system, secondly, the discrimination of student recruit period, thirdly, application method, and the last one is the admission method of high schools entrance procedure. This study suggests four things to improve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current high school entrance system. Firstly, the stability and public confidence of high school entrance system need to be improved. Secondly, student recruit period is needed to be discriminated in regulations. Thirdly, student recruit period should be adjusted to enlarge the school choice of students. Fourthly, the qualification standard of national-recruiting high schools ought to be regulated in the legal system.

      • KCI등재

        학생선발정책과 대입제도 연구성과 분석

        김동석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연구목적: 이 논문에서는 1990년 이후 2012년도 까지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지『교육행정학연구』에 발표된 학생선발정책과 대입제도 관련 논문 24편을 분석대상으로 연구 성과와 경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분석의 준거를 설정하여, 연구주제와 논문의 특성, 연구방법과 분석의 관점, 연구내용과 연구패턴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학생선발과 대입제도에 관한 연구방향과 과제를 도출하고 연구제언을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유형을 이론적 연구, 실천적 연구, 양자를 결합한 종합적 연구로 구분할 때, 대입제도와 학생선발정책에 관한 연구들은 실천적 연구 중심의 편향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논문의 성격을 정책연구, 현장연구, 비교분석연구, 규범적 · 사변적 연구, 논리적 분석연구, 학위논문을 발전시킨 학술적 연구 등으로 구분할 때, 정책연구와 논리적 분석연구에 집중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연구방법을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로 구분할 때, 대입제도와 학생선발정책에 관한 연구들은 24편중 18편(75%)이 문헌연구에 편중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넷째, 연구 · 분석의 접근을 거시적 연구, 미시적 연구, 통합적 연구로 구분해 볼 때, 분석대상 연구들은 24편중 19편(79%)이 거시적 접근에 편중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통합적 연구는 4편(17%)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론: 아울러, 연구내용과 패턴 측면에서 법리분석과, 정책이슈분석, 정책 및 제도 분석평가의 대표적 사례들을 소개하였다. 최근(2010-2017년)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소개하고 연구경향상의 특징을 부가하였다. Purpose: This article analysed the trends and production of research on entrance examination policy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1990 to 2012. Method: The criteria of analyzing entrance examination research trends are researchers, subjects, methodologies, analytical approach, contents and pattern of research, and so on.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research pattern and topics have been placed too much emphasis on action research or comprehensive research. There are few studies which have explored theoretically on the phenomenon of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r policy in itself. There are much studies about logical analysis research, policy research and documentary analysis in the area of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policy.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are much needs of methodologically diversification for the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Resear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oretical research, comparative analysis, normative and speculative research and so on in this research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