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체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와 정립을 위한 과제

        신기철(Shin, Ki-Cheol) 한국초등체육학회 202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3

        초등체육은 학문인가? 이 연구는 이미 학문으로 인정받은 체육학 및 교육학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 초등체육이연구 영역과 실천 분야에서 놀라운 성과를 이루었으나 이러한 성과가 과연 학문적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문제제기하는 동시에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후속 연구 및 담론을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초등체육 연구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연구 대상과 연구 주체 차원에서의 특수성을 포착하였다. 그리고 체육학과 초등교육학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학문적 정체성 담론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초등체육의 학문적 정체성 또는 본질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고 중요한 시점인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탐색을 바탕으로 초등체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발전 과제로 초등체육의 개념화 담론 확대, 초등체육 연구의 특성화, 전문 도서 발간, 학문 후속세대의 육성 및 지원을 제안하였다. Is the primary(=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 academic discipline?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primary physical education, which has a deep connection with sport science and pedagogy, which is already recognized as a discipline, has accumulated great achievements in research and practice, but at the same time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se achievements can guarantee academic identity. It aims to promote follow-up research and discourse for establishment. To this purpos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physical education research, the specificity of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research subject was captured. And while examining the trends in academic identity discourse that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sport science and primary pedagog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primary physical education,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explore the academic identity or essence. Based on this exploration, as development tasks for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primary physical education, it is proposed expanding the discourse on the conceptualization of primary physical education, characterizing primary physical education research, publishing specialized books, and fostering/supporting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 KCI등재

        노년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김영석(Kim, Young Sek) 한국노년교육학회 2021 노년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노년교육학(Educational Gerontology)이 수립한 학문적 정체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보다 공고한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노력이 무엇인 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학문적 정체성을 내적 정체성(과학적 정체성, 경계 정체성)과 외적 정체성으로 구분하였다. 노년교육학의 내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년교육연구」과 「한국노년학」에 최근 6년 간 게재된 논문 98 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노년교육학회의 주요 활동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정체성 영역에서 노년교육학은 고유한 탐구 대상과 다양한 연구방법을 갖고있지만, 고유한 이론체계 구축이 미흡하였다. 경계 정체성과 관련해서는 타 국가의 노년교육학과 차별점을 갖기 위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었으며, 한국적 이론화 시도는부족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비록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노년교육학회가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노년교육학이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공고히 자리매김하기 위해 개별 연구자 및 학술단체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identity established by Educational Gerontology as a new discipline, and to reveal what effort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solid academic identit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Gerontology. To this end, disciplinary identity was divided into internal identity (scientific and boundary identity) and external identity. In order to analyze the inner identi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98 research published in the last 6 years were analyz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an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In addition, the main activities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analyzed in order to ascertain the external identity. For the scientific identity, Educational Gerontology had its own subject of inquiry and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but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theoretical system was insufficient. Regarding boundary identity, it was revealed that attempts to have own theoretical system developed by Korean researchers were insufficient.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has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form an external identity, even though it has a short history. Lastly, this study suggested what kind of efforts are need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researchers and academic organiza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position as a new academic disciplinary.

      • KCI등재

        개념 정의를 통한 학부모학과 부모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최유희(Choi, You-hee)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1

        학부모에 대한 관심의 증진에도 불구하고 학부모학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 혼란의 원인에는 ‘학부모’ 개념의 모호성과 더불어 유관용어인 ‘부모’와의 복잡한 관계도 그 한 몫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립된 분과 학문으로서 개념 정의를 통한 학부모학과 부모학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학부모학과 부모학에 대한 개념을 통한 학문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학부모학의 학문적 위상 강화의 필요성을 밝혔다. 그리고 학부모학의 개념 정의를 통해 학문적 정체성을 보다 명확히 규정하고, 부모학도 개념 정의를 통해서 학문적 정체성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학부모학의 개념은 하나의 관점으로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것이 아닌 새롭게 정립된 학문의 바탕에 다양한 이념과 관점을 활용하는 접근 방식을 택해야 할 것이다. Despite the increased interest in school parent,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the identity of school parental studies. In addition to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school parent’, the complex relationship of the related term ‘parent’ plays a role to the cause of such identity confus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of school parental studies and parental studies through conceptual definition as an independent sub-discipline. For this purpose, the identity of the study was explored through the concept of school parental studies and parental studies in general. This helps reveal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academic status of school parental studies. The academic identity became more clearly defined through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school parental studies, and parental studies. The concept of parental studies should not encompass all areas from a single perspective, but an approach that utilizes various ideologies and perspectives on the basis of newly established study.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

        문미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당면과제 중 하나가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인 정체성 확립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정체성 연구는, 타 학문파의 차별화에 초점을 두는 학문적 정체성과 타 문화와의 차별화에 초점을 두는 문화적 정체성의 두 범주로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 중 문화적 정체성을 위한 논의에 보다 주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지금까지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각 분야 학자들의 논의는 전통성과 변화성의 조화, 세계적 보편성과 특수한 개성의 조화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졌다. 이중, 전통성과 변화성의 조화는 과거와 현재 및 미래 즉 시간적 관점의 개념이며 보편성과 특수성은 지구상의 지리적 공간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고 보고, 현상계를 인식하는 기본 형식인 시간과 공간의 개념으로 이루어진 정체성 확립 구조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체성 확립 구조모형은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민족과 국가의 제반 분야야 적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구조모형"에 기초한 한국유아교육의 정체성 확립 실천방안과 유아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예를 제시하였다. A key challenge fa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is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identity. According to a review of the literature, establishing identity can be approached from two spheres: the first, academic identity emphasizes differentiation from other academic fields and the second, cultural identity, focuses on differentiation from other cultures. This paper mainly addresses the latter. Academic discussions on cultural identity are generally about harmony between traditions and change and harmony between universality and uniqueness. Based on the view that harmony between traditions and change is a concept deriving from time difference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whil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concern spatial differences of the earth, this paper suggests a model for establishing identity made up of both of these concepts for both comprise the basic structure that helps us to understand the world. The model this paper suggests is applicable to not only to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Korea but also to all nations and peoples. This paper also suggests step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a developmental model for childhood education courses based upon a "Structural Model for Establishing Identity".

      • KCI우수등재

        관광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을 위한 일고

        윤혜진,조광익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6

        Tourism science has emerged as a field of study to establish an academic identity, as the global tourism industry has undergone remarkable growth. Nevertheless, tourism theory and methodology remain fragmented and underdeveloped as a field of study.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ourism research in relation to academic identity criteria and discusses its future course. For tourism studies to have an academic identity, it must have a distinct research object and a body of knowledge that is not universally shared with other disciplines. In addition, the study must include theories and concepts that can effectively organize the body of professional knowledge, as well as academic field-specific research methods. Also, academics must be transmitted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via specialized education by institutionalizing universities, departments, and professional associations. Tourism has an academic community, and there are active theoretical discussions, but there are still no scientific identities, such as distinct theoretical systems and methodologies. Thus,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generate tourism knowledge that is notably lacking and calls for a variety of research approaches and perspectives. 지난 60여 년 동안 전 세계 관광산업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며, 탐구 분야로서 관광학이 발화하여 학문적 정체성을 이루어 가고 있다. 그러나 학문으로서 관광 이론과 방법론은 여전히 파편화되어 있고 미성숙한 상황이다. 이 논문은 관광의 학문적 정체성을 위한 기준을 중심으로 관광학 연구의 현 위치를 파악해 보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관광학이 학문적 정체성을 갖기 위해서는 특정 연구 대상이 있고, 다른 학문과 보편적으로 공유되지 않는 전문적 지식체를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문은 축적된 전문 지식체를 효과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는 이론과 개념이 있어야 하며, 학문 분야에 따라 개발된 특정 연구방법들을 가진다. 동시에 대학에서 가르치는 과목의 형태로 대학이나 각 학과, 전문 협회, 학회 등의 제도화를 및 특정 교육을 통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학문이 재생산될 수 있어야 한다. 연구 결과 관광은 학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고, 실제 많은 이론적 논의와 활동이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 고유한 이론 체계와 방법론 등의 과학적 정체성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해, 특히 부족한 관광의 지식 생성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간학문적 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연구자들의 다양하고 열린 방법과 접근들을 요청한다.

      • KCI등재

        불교 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고진호 한국종교교육학회 2006 宗敎敎育學硏究 Vol.22 No.-

        이 글은 불교교육학의 정체성 논의에 입각해서 불교교육학 연구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과제와 전망을 탐색하는 목적이 있다. 먼저 이 글에서는 불교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은 궁극적으로 불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의 기반위에서 언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불교교육학의 정체성의 문제를 학문적(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다루어 나가고자 하였다. 불교교육학의 학문적(연구의) 특수성은 불교교육학 연구가 여타의 교육학 하위연구 분야와 차별성과 독자성을 갖는 측면으로서, 불교가 그 중핵적 기반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반면에서 학문적(연구의) 보편성은 불교교육학 연구가 일반교육학적 인식범주에서 인정되고 이해될 수 있는 측면에서 언급되었다. 이 글에서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계를 불교교육학이 학문적(연구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어서 대립적 요소가 아닌 균형과 조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불교교육학의 연구지향점은 이러한 학문적(연구의)정체성의 기반위에서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불교 교육학의 연구지향점을 연구주제와 내용의 측면과 연구체제와 방법론 이라고 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다루어나가고자 하였다. 불교교육학 연구의 지향점의 두 측면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도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를 중요한 화두로 하여 논의를 진행시키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학문적(연구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의 조화가 불교교육학 연구의 발전을 기할 수 있는 핵심요소로 보고, 이러한 토대위에서 불교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도덕과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연구 방향

        정창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도덕과교육학의 학문적 위상 제고와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 시점에서 도덕과교육학의 학문적 위상을 강화하려는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도덕과교육학의 개념과 학문적 정체성을 고찰하였으며, 독자적인 연구 대상, 이론 체계, 세계관, 연구방법론 등 도덕과교육학이 학문적으로 확립되기 위한 제반 조건들을 고려하면서 학문적 독립성과 독자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도덕과교육학의 기본 구조와 연구영역을 재설정하여 학문적 위상 제고를 위한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분과 학문이 자율성을 가지고 독립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문제의식ㆍ관심ㆍ개념ㆍ방법들을 공유하는 해당 학문공동체의 노력과 열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도덕과교육 학문공동체에서 산출한 지적 탐구의 결과물들을 도덕과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과 연구 방향 설정을 위한 논의 및 근거 자료로 활용하였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that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can be more fully appreciated as an academically independent scienc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describes reasons why we should make extraordinary efforts to establish academic status of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at current stage, explores the concept and academic identity of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presents some specific ideas for getting academic identity as an independent scientific discipline in terms of a set of phenomena to be studied, a set of theories, a set of preferred methods, and a worldview.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a basic structure and scope of research areas covered in the field of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Recognizing the fact that sustained efforts and enthusiasm of academic community sharing critical minds, research motives or interests, and main concepts and research methods are undoubtedly needed in order for a new branch of academic areas to be highly appreciated as an academically independent science, this article fully accesses and uses previous research produced by the entire academic community interested in moral education research especially from the late 1990's.

      • KCI등재후보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조건과 실과교육

        최성욱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4

        교과교육학은 '학교가 바로 교육하는 곳'이라고 규정한 제도를 당연한 것으로 수용하고, 그 실천의 이해와 개선을 위해 기성 학문들의 개념과 이론을 응용하는 데 주력해 왔다. 교과교육 현상에 대한 독자적인 개념체제의 창안을 외면하는 이러한 접근방식은 분과학문으로서의 자율적 토대를 취약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교과교육학의 한 분과로서 실과교육학은 동일한 학문적 관행을 따름으로써 학문의 정체성 확립에 난항을 겪고 있다. 그 학문적 반전의 계기는 실과교육의 개념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에서 마련될 수 있다. 실과교육은 단지 학교제도 안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또한 실과교육이 오직 실과의 내용을 습득하기 위한 기능으로 환원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실과교육의 개념적 정체성은 그 자율적 구조에 대한 이론적 해명을 통해 다른 현상과 독립된 것으로 구별되고 실과교육 고유의 가치와 실현원리가 밝혀짐으로써 비로소 확립될 수 있다. 실과교육학의 학문적 진로는 이러한 분과학문적 고유이론의 창조와 더불어 현장연구의 활성화라는 두 가지로 대별된다. 전자 못지않게, 후자도 유망하다. 그것은 도제교육 상황 속에서 전개되어 온 실과교육의 역사와 공간을 조명하는 일로서 교착상태에 빠진 언어적 전달 위주의 학교교육에 생기를 불어넣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에 관한 학계의 새삼스러운 관심과 노력이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cademic character of School Subjects Pedagogy and to offer research projects to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establishing its posi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or applied science. School Subjects Pedagogy has taken it for granted that education happens in schools. Based on such conventional thinking, it has attempted to design programs for school practice by applying other disciplines. Taking such orientation as an applied science, its academic foundation was very weakened. Practical Arts Education, as a member of School Subjects Pedagogy, also meets with the same problem. It has not attempted to invent a conceptual framework to explain ‘practical art education' as a unique and independent domain of human life, but seen it as a ritual that happens only in a school. However, ‘practical arts education' itself has a long history. It had existed before school came up, and will continue after school goes out. Henceforth, ‘practical arts education' is definitely to shed light on, far from an institutional way of thinking. ‘Practical arts education' is one of the special areas in education, which has maintained its ow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 a pattern of appenticeship. Practical Arts Education, if it is to be an autonomous realm of science about education, should first indulge itself in exploring ‘educational' principles of apprenceship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is requires lots of field research in this area. Also, to grasp and reveal those principles, many concepts and vocabularies are to be made first, which are interwoven in a coherent network, so as to emerge a new theory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성명학의 학문적 정체성 검토 — 학문적 범위와 선행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

        권익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3 No.-

        The nameology is very widely as ‘a comprehensive study related to family names and names’, but also is very narrowly as ‘a namingology related to destiny’, and is treated as a divination technique. However, since precedence research has increased since the 1990s and has been meeting academic requirements, the academic identity of nameology was reviewed based on this.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nameology with 10,321. However, there are only 82 academic papers and thesis in very narrow nameology, so there are not many. Although it is called the nameology, the academic field is quite narrow because it is only narrowing the scope to ‘namingology that includes interpretation of destiny-related names’. And it is not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of academic research fields. Since there are few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and professors, and only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are produced, so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development of nameology in the future. In this situation, it is not easy to discuss, bu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establish an academic identity for the development of nameology. Therefore, if I propose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paper, first, the nameology should get out of the theory of destiny. Second, the academic area should be secured by expanding the scope of nameology. Thir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academic research field of nameology. Fourth, there is an urgent need for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education to nurture experts of nameology. 성명학은 ‘성씨와 이름관련 종합학문’으로 아주 넓게도 보나, ‘운명과 연관된 작명학’으로 아주 좁게도 보면서 점술로 취급되기도 한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선행연구가 증가하면서 학술적 요건을 갖추어 가고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성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검토했다. 성명학 관련 연구는 10,321건으로 상당히 많지만, 최협의성명학의 학술과 학위논문은 82건으로 많지 않다. 명칭은 성명학이지만 ‘운명연관 해명이 포함된 작명학’으로 범위를 좁히고 있기 때문에 학문적 영역이 상당히 좁고, 학술연구분야분류에도 없는 무적 학문이다. 가르치는 교수나 대학(원)도 거의 없이 석사와 박사만 배출되고 있어서 성명학의 향후 발전을 기대하기 힘들다. 이 같은 상황에서 논하기도 쉽지 않지만, 성명학 발전을 위한 학문적 정체성 정립은 필수적이다. 이에 분석한 내용을 중심으로 제언하면, 첫째 성명학은 운명론을 벗어나야 한다. 둘째 성명학의 범위 확대로 학문적 영역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성명학의 학술연구분야분류가 필요하다. 넷째, 성명학 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원) 교육이 시급하다.

      • KCI등재

        한국 경찰학의 학문적 정체성 검토 및 학문체계 정립을 위한 발전방향 탐색

        정준선,장일식 한국경찰연구학회 2024 한국경찰연구 Vol.23 No.1

        한국 경찰학은 한국 경찰의 변화를 학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검증하여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주도하고 있음에도 ‘경찰학이 학문인가’라는 비판에서 자유롭 지 못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학이 독립적인 분과 학문으로서 학문적 정체성을 갖 추었는지 검증하고, 경찰학의 학문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한국 경찰학은 (1) 형식적 경찰 조직과 실질적 치안환경을 고유한 연구대상 으로 하며, (2) 개별 연구주제에서 요구하는 연구 방법을 적용하는 응용학문으로, (3) 국내 109개 대학에 198개의 경찰학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4) 50여개 이상의 전문 학 회가 지속해서 경찰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5) 주요 11개 등재학술지에서 만 연간 375편의 연구 성과를 축적하여 학문적 정체성을 갖추었음을 확인하였다. 경찰 학의 학문성에 대한 비판은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아니라 미흡한 학문체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 경찰학이발전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의 특성을 반영한 경찰학 학문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반영한 표준 교육과정을 설계하며, 학술연구분야 분류체계 에 경찰학의 고유한 연구 영역을 확립하기 위한 경찰학 연구자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Korean police studies plays a pivotal role in interpreting and validating the changes in the Korean police force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and providing practical directions. However, it is not free from criticisms about its qualifications as a discip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olice studies has secured an independent academic identity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to establish the academic field of police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olice science (1) takes both the formal structure of police organizations and the actual policing environment as unique research topics, (2) functions as an applied discipline by applying research methodologies required by individual research topics, (3) has 198 police-related majors in 109 universities in Korea, (4) is continuously conducted by more than 50 professional societies, and (5) has accumulated about 375 research works per year in the top 11 indexed journals, confirming its academic identity. Criticisms of the academic nature of police science do not stem from questions about its academic identity, but from deficiencies in its academic structure. The development of Korean police science requires efforts to establish an academic framework that reflects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design a standardized curriculum in line with it, and establish a unique research area of police science within the academic research field classification system by gathering the interest and commitment of all police science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