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태동,최동혁,박종웅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하수슬러지 처리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던 해양투기가 금지된 이후 육상처리로 전환되면서 하수슬러지의 처리비용은 2배 수준으로 상승하였다. 따라서 하수슬러지의 발생 저감에 이은 처리비용의 절감, 나아가 효율적인 자원화 및 에너지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현재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의 공법은 건조(건조연료화, 건조자원화, 건조혼소, 건조화 등을 포함), 고화, 부숙화, 소각, 탄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하수슬러지의 자원화 관심이 증대하면서 부숙화와 건조연료화, 탄화 등의 공법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높은 함수율의 하수슬러지를 건조시키는데 많은 연료비가 필요하다는 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건조비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나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의 운영 시 이에 대한 분석 자료가 충분히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자원화의 경제성이라는 양면 인자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실질적인 자원화 공법의 타당성이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에서 채택하고 있는 각종 공법 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시범지역의 공법 별 처리시설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자원화를 지향하는 현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의 공법 별 처리용량, 사업비, 개소 당 규모 등 기본 인자를 토대로 현황을 조사하고 시범지역에서 공법 별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의 세부 운영 자료를 분석, 평가하였다. 또한 각 처리시설의 문제점을 조사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효율적인 하수슬러지 처리와 자원화를 위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김도완 ( Do-wan Kim ),손영균 ( Yeong-kyun Son ),이우찬 ( Woo-chan Lee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9 춘계학술연구발표회 Vol.2019 No.-
하수도 서비스의 확대를 위하여 하수처리구역을 확대하고, 유입수질을 확보하면서 처리시설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합류식을 분류식 하수관으로 정비해 왔으며, 방류수역의 수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류수 기준을 강화시켜 왔고, 2012년부터 방류수 중의 인 농도를 강화하여 총인(T-P)처리공정 도입을 주도하였다. 이에 따라 하수찌꺼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08년 8,438톤/일에서 ‘17년 약 30% 증가한 11,491톤/일 발생하였다. 이에 하수찌꺼기의 발생량과 처리시설 처리용량을 검토하여 처리능력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확보하기 위해 ‘08~‘17년 10개년 하수찌꺼기 발생량을 활용하여 발생 원단위, Trend 선형, 다중회귀법을 이용하여 2030년까지 발생량을 추정하였다. 발생 원단위를 통한 예측은 하수처리량과 발생량과 찌꺼기 발생량을 Trend-선형 분석 후, 이를 활용하여 산정(하수찌꺼기 발생량/하수처리량)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은 처리인구, 하수도보급율, 하수도사용량, 처리부하량(㎏BOD/일)을 엑셀을 활용하여 각 인자들을 회귀식으로 예측한 자료를 회귀계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하수찌꺼기 발생량 예측하였다. Trend-선형 분석은 엑셀 Trend 함수를 활용하여 예측하였다. 3가지 예측방법을 통해 하수찌꺼기 발생량을 예측한 결과, 2017년 11,491톤/일에서 서서히 2030년에 다중회귀 10,517톤/일, 발생 원단위 10,517톤/일, Trend-선형 14,938톤/일로 다중회귀를 통한 하수찌꺼기 발생량은 감소(8.9%), 발생 원단위, Trend-선형에 의한 예측결과는 증가(최대 30%)하는 예측결과를 나타내었다. 예측 결과를 활용하면, 2030년 하수찌꺼기 발생량은 하루 최대 30%이상 증가한 14,938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찌꺼기 처리비(운반비, 위탁 처리비 등)도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수찌꺼기 공공처리시설의 시설용량이 6798.7톤/일(일 처리량 4,858톤/일)임을 고려했을 때, 하수찌꺼기 처리 대란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하며, 특히, 다중회귀 분석 결과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공공하수찌꺼기 처리설 신·증 설보다는, 찌꺼기 감량화 및 집약화를 통한 찌꺼기 처리 방향으로 정책수립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이기영,이상협,조영무,최기석 경기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2012 No.14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의 해양투기 금지에 대처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슬러지 처리와 하수처리장 슬러지에서 에너지 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기도내 소화조를 운영하고 있는 하수처리시설의 소화조효율 개선을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소화조의 효율개선을 통해 생산된 소화가스의 활용방안과 소화슬러지의 감량화 관점에서 사업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 하수처리장에서 소화효율이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력농축조로 고형물회수율이 낮아 소화조로 유입되는 슬러지량이 증가됨에 따라 소화효율이 저하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안은 생슬러지나 잉여슬러지 모두 기계식농축방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나 중력농축조를 사용하여야 된다면 생슬러지는 중력농축방식을 채택하고 잉여슬러지는 기계식농축방법을 채택하여 슬러지의 고형물회수율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다. 둘째, 소화조의 가온방식으로 현재 분석된 처리장의 경우 직접가온방식을 간접 가온방식(열교환기식)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셋째, 슬러지의 전처리 방안으로 각 처리장에 적합한 가용화시설을 도입하여 소화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넷째, 가스교반방식을 기계식교반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정기적인 준설을 통해 적정 체류시간을 확보하고 완전교반을 이룸으로서 소화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개하수처리장에 대하여 소화조효율개선사업을 통한 바이오메탄의 사업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소화조효율개선이 이루어질 경우 2010년 가스발생량기준으로 30% ~ 100%정도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든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된 소화가스를 소화조가온에 사용하고 잉여된 가스는 소각시켜 자원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를 전력생산이나 바이오메탄으로 활용될 경우 매년 적게는 4억원정도(C하수처리장)에서 최대 30억원(A하수처리장)정도까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전력생산에 비해 바이오메탄 생산이 30~70%가량 더 많은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처리장에 비용편익을 분석한 결과, A하수처리장의 경우 전력생산의 경우 순현재가치가 -1,169백만원으로 음(-)으로 조사되었으며, 바이오메탄생산의 경우 4,329백만원으로 양(+)으로 조사되어 사업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B하수처리시설의 경우 잉여슬러지를 가용화하여 소화조에 투입함으로써 소화가스 생산량을 극대화했을 때 전력생산 시 0.995로 1에 근접하였으며 바이오메탄 생산 시 1.337로 1이상으로 분석되었다. C하수처리장은 현재 잉여슬러지를 통합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소화조 효율개선 사업 후에도 슬러지 저감량 및 바이오가스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어 비용편익비가 전력생산 시 0.348, 바이오메탄생산 시 0.423으로 사업 타당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C하수처리장과 근접되어 있는 석수처리장의 슬러지를 이송처리할 경우 사업타당성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D하수처리시설의 경우 탈수처리하고 있는 잉여슬러지를 가용화하여 소화조에 투입하여 소화가스 생산량을 극대화시켰을 때 전력생산시 순현재가치는 -4,813백만원으로 음(-)으로 분석되었으며 바이오메탄생산 시에도 순현재가치가 -3,531백만원으로 사업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E하수처리장은 잉여슬러지 발생량이 타시설보다 많이 발생하는 시설로 편익부분에서 슬러지 저감량이 크게 발생하여 수익이 높아 비록 바이오가스 생산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전력생산 시 비용편익비가 0.904로 1에 근접하였으며 바이오메탄 생산 시는 0.993으로 1에 근접한 결과를 보여 사업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사업은 환경부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계획에 따라 국고를 70%정도 확보할 수 있는 사업이라는 점과 수도권매립지의 하수슬러지 반입에 따른 문제점, 수처리에 있어 하수처리장 슬러지처리에 대한 종합적인 문제점을 고려할 때 본 사업을 반드시 추진하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태동,박종웅,최동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추계학술연구발표회 Vol.2015 No.-
하수슬러지 처리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던 해양투기가 금지된 이후 육상처리로 전환되면서 하수슬러지의 처리 비용은 2배 수준으로 상승하였다. 따라서 하수슬러지의 발생 저감에 이은 처리비용의 절감, 나아가 효율적인 자원화 및 에너지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현재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의 공법은 건조(건조연료화, 건조자원화, 건조혼소, 건조화 등을 포함), 고화, 부숙화, 소각, 탄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하수슬러지의 자원화 관심이 증대하면서 부숙화와 건조연료화, 탄화 등의 공법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높은 함수율의 하수슬러지를 건조시키는데 많은 연료비가 필요하다는 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건조비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나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의 운영 시 이에 대한 분석 자료가 충분히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자원화의 경제성이라는 양면 인자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실질적인 자원화 공법의 타당성이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에서 채택하고 있는 각종 공법 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시범지역의 공법 별 처리시설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자원화를 지향하는 현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의 공법 별 처리용량, 사업비, 개소 당 규모 등 기본 인자를 토대로 현황을 조사하고 시범지역에서 공법 별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의 세부 운영 자료를 분석, 평가하였다. 또한 각 처리시설의 문제점을 조사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효율적인 하수슬러지 처리와 자원화를 위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1950~1970년대 서울의 하수도 사업과 청계천하수처리장
김상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5 서울학연구 Vol.- No.98
본 연구는 1945년부터 1970년대까지 서울시 하수도 행정 및 하수도법의 변화 와 관련 제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하수처리장이 계획되었 음을 짚고 어떤 과정을 거쳐 준비되고 완공되었으며 이후의 변화는 무엇이었는 지 고찰하였다. 광복 이후 서울의 하수도 사업은 정치적 혼란과 재정 문제로 기존 시설을 유 지·보수하기도 어려운 실정이었다. 6·25전쟁의 휴전 이후 전쟁 복구를 위한 각 종 원조에 힘입어 서울시의 건설 사업과 하수도 관련 사업이 진행되었다. 1950 년대 서울시 하수도는 관거와 맨홀, 오수받이와 같은 부속 설비 위주로 시설되 었고, 하수도를 구성하는 시설은 배수펌프장, 하수처리장은 존재하지 않았다. 6·25전쟁의 복구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점차 수도의 면모와 도시의 기능을 일신 하는 하수도 개수사업으로 나아갔다. 1960년대에 이르러 하수도와 관련한 법제들이 마련되었다. 그중에서도 하수 도법은 다양한 법률에 분산 규정되어 있던 하수도에 관한 사항을 모아 규정한 우 리나라 최초의 하수도법이었다. 한편 하수도법이 마련되는 과정은 1960년대 서 울시가 하수도 사업과 하수 행정을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과 맞물려 진행되었다. 1962년 서울시는 하수처리장 건설을 검토하여 청계천하수처리장 건설계획을 마 련하였고 이 계획은 하수도법안 상정에도 영향을 끼쳤다. 서울시의 청계천하수처리장 건설 사업은 미국 정부의 AID 개발차관을 받아 진행되었다. 청계천하수처리장의 건설 과정은 주변 시설의 건설과 하천 및 도시환경 정비에도 영향을 끼쳤다. 서울시의 두 번째 하수처리장이 청계천하수처리 장 인근에 착공되었고, 서울시 일반 가정의 변소개량이 추진되어 하수 처리와 하 수도망의 정비가 도모되었다. 청계천하수처리장의 완공 이후 서울시 하수 행정 은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갔다. 서울시 하수국과 종합종말처리사업소가 신설되어 도시 정비의 효율성을 높이며 환경오염 방지 정책을 수립하였다. 또한 서울시의 하수 행정은 나아가 국가 차원의 하수 처리 계획과 실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This study looked at changes in Seoul’s sewer administration and sewerage laws and related systems from 1945 to the 1970s. And in this process, the background of the con- struction of the Cheonggyecheon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changed appearance were considered. In the 1950s, Seoul’s sewage system was poorly installed, and sewage treatment plants did not exist. With the completion of the restoration work of the Korean War, the sew- erage repair project gradually changed the face of the capital and the function of the city. By the 1960s, laws related to sewage systems were established. Among them, The Sewerage Act was the first sewage law in Korea to collect and stipulate matters related to sewage systems that were distributed in various laws.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Sewerage Act was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development of sewer-related projects and administration in the 1960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set up a plan to build a Cheonggyecheon Sewage Treatment Plant to prevent water pollution and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And this project could be carried out with the US government’s AID development loa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heonggyecheon Sewage Treatment Plant, the latrines of general households in Seoul were improved. Since the completion of the Cheonggye- cheon Sewage Treatment Plant, the environment around the sewage treatment plant has improved. And the sewage administration in Seoul was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ad- diti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sewage administration has further contrib- uted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sewage treatment at the national level.
김해도 ( Hae-do Kim ),박지성 ( Ji Sung Park ),김경묵 ( Keung Muk Kim ),문성근 ( Sung Keun Moon ),김일정 ( Yil Jou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은 대체수자원이라는 경제적 측면과 하수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부하량의 저감이라는 환경적 측면의 이점이 있는 반면 재이용시 하수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및 대장균 등 위해성 물질에 의한 안전성 문제 및 위해성물질의 완전한 제거를 위한 추가 고도 수처리 공정이 불가피하게 필요하다. 고도 수처리 공정으로는 UF(울트라 필터) 및 NF(나노필터) 등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공정의 적용이 수질적인 측면에서 가장 보장성이 크다. 하지만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공정의 경우 분리막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비용발생과 함께 정기적으로 분리막 세척 및 복잡한 공정의 작동 등 전문적인 유지관리기술이 뒷받침되어야 정상적으로 수처리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하수처리장에서 재이용을 목적으로 별도의 수처리 시설을 두게 되는 경우 방류수 이용방법이 추가적으로 가압시설 및 공급시설이 필요하고, 방류수의 수질성상에 따라서 주처리 시설인 분리막의 적정 이용을 위해 전처리 시설 및 분리막 세정을 위한 후처리 시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을 목적으로 기존하수처리장에 추가적인 분리막 시설을 계획하는 경우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전처리와 후처리시설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재이용공정의 표준화 도출을 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기존하수처리장에서 방류되는 방류수의 수질적 특성은 기본적으로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기준에 의거 방류되고 있지만 재이용 목적의 수질기준과는 상의하여 별도의 재이용시설을 통해 수질기준에 적합하도록 재처리가 필요하고 방류수의 유입성상이 연중 일정하지는 않기 때문에 적정한 전처리 필터를 사용하여 분리막이 처리할 수 있는 범위의 유입수 성상이 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또한 분리막 적용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분리막 세정기술이 필요하며, 기존의 분리막 운영시 발생되는 폐수가 기존 하수처리장 운영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폐수량 저감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농업용목적의 하수재이용의 경우 적정하게 처리하더라도 실제 공급단계에서 재이용수 사용자 안전성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지역에 대한 위해성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미처리하수 관개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적지 선정
송정헌 ( Jung Hun Song ),정한석 ( Han Seok Jeong ),강문성 ( Moon Seong Kang ),박승우 ( Seung Woo Park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1989년 WHO의 보고에 따르면 미처리 생활하수가 농지로 유입되어 농업용수로 이용될 경우 보건 위생상 문제를 초래하거나 환경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 및 6개 광역시의 대부분 지역은 하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농촌지역은 하수도가 보급되어 있지 않은 지역이 많으며 정화조 등 간이처리 후 흘러 보내고 있어 질병의 확산과 감염, 기생충의 창궐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미처리하수의 농경지 유입으로 나타나는 인체 위해성을 진단하고, 수질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처리하수 관개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의 예비 단계로 현장 모니터링 적지를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부 하수도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하수처리구역외 하수발생량이 높게 배출되는 지역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화성, 평택, 김포, 용인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하수처리구역외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각 하수도관리청을 방문하여 하수처리구역도를 획득하여 미처리구역도를 작성하였다. 미처리구역도와 위성지도를 이용하여 화성시의 산간지역에 위치한 논들이 축산농가 또는 마을주거지가 인접하여 하수가 미처리상태로 농경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지역들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봉담읍 상기리에 위치한 호련지구, 화성시 수화동에 위치한 수화지구, 화성시 장전동에 위치한 장전지구가 미처리하수 유입을 대표하며, 연구기관인 서울대학교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대비구인 이동저수지 관개논 청정지구와도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해당 지역들을 중심으로 작물생육, 수질, 토양환경영향조사를 모니터링 할 예정이며 대비구인 청정지구와 비교하여 미처리하수 이용에 따른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악영향저감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봉화군 마을하수도 및 하수처리장의 오염물질 처리 효율 분석
박민수,임지열,길경익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1
국내의 상수원으로 사용하는 수질보호구역은 주로 농촌지역인 경우가 많다. 농촌지역의 경우 인구수 및 인구밀도가 높 지 않아 하수도 시스템 보급이 열악하여 상수원 관리를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하수처리에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는 농촌지역에 위치한 마을하수도 4개소와 하수처리장의 운전결과를 분석하였다. 마을하수도보다 하수처리장에서 고농 도의 오염물질이 유입되었으며, 방류수 수질 기준은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마을하수도의 방류수의 오 염물질 농도가 하수처리장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처리 효율에서는 median 값으로 유기물(BOD, COD)의 경 우 약 5%정도, 영양염류(T-N, T-P)의 경우 최대 30%정도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오염물질 처리효율에 MLSS, DO 및 체류시간과 같은 생물반응조 운전 인자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운전 조건에 따라 오염물질 처리 효율이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지역에서 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생물 반응조 운전 조건 등의 유지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Protected area of water for supply source is located mostly of rural area in Korea. Normally, sewage treatment system is poor to manage in rural, because low population and density. Rural area need sewage treatment system to supervise supply source of water. In this study, analysis on operation result of 4 RCSTP and MWTP is located at the rural area. Higher concentration of pollutant were inflows to MWTP than RCSTP, and effluent quality standard is satisfaction. However, RCSTP effluent pollutant concentrations was researched higher than MWTP. The organic matter(BOD, COD) were about 5% of a high treatment efficiency to a median. The nutrient(T-N, T-P) were detected Up to high 30%. Also, we analyzed to effect reactor operational parameters on the pollutant treatment efficiency like mixed liquer suspended solid(MLSS), dissolved oxygen(DO) and sludge retention time(SRT). As a result, pollutant treatment efficiency showed fluctuation in accordance with operating condition. Thus,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reactor operation condition for management of rural area sewage treatment.
장기 배양법을 이용한 국내 하수처리장 유입 하수의 질소 성상 분석
임지열,길경익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2
현재 국내 하수처리장 방류수 질소 수질 기준 개정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들이 지속적으로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명확한 근거 없이 기준이 강화될 경우 국내 하수처리장에 혼란을 야기할 것이 자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배양법을 기반으로 용량 및 산업단지 연계 처리에 따른 국내 하수의 질소 성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기 어려운 질소 성분인 NBDDON는 1.0 ~ 1.9 mg/L 범위를 보였으며, 하수처리장 용량이 적을수록 DON 농도 & NBDDON/DON가 증가하였다. 또한 도시하수를 처리하는 하수처리장보다 산업단지 하수처리장의 NBDDON/DON 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 후 국내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 기준 개선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전망한다. Recently, opinions on the need for revision regarding the nitrogen effluent standard of nitrogen from sewage treatment plant(STP) are consistently suggested. However, it is axiomatic that if nitrogen effluent standard is strengthened without a clear basis, it will cause confusion in domestic STP. In this research, nitrogen fraction was analyzed based on a long-term incubation method, according to STP capacity, and the linked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As a result, NBDDON, which is difficult to treat in STP, ranged from 1.0 to 1.9 mg/L. larger DON and NBDDON/DON was detected in small STP (under 10,000 m 3 /d) as opposed to the large STP. NBDDON/DON in industrial STP was about 0.7 and it was higher than municipal STP. This research result will be used in the important raw data for revision of nitrogen effluent standard of nitrogen from STP.
임지열,길경익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2
하수처리장 운영 시장 규모는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하수처리장 관리 대행 제도는 국내 하수처 리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도입되었지만 지속적으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관리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현행 하수처리장 운영비용 현황 조사 및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하수처리장 용량이 클수록 하수처리단가가 감소하는 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 하수처리장 운영 단가는 공기업이 가장 저렴하였지만, 유사 하수 처리장(유사 용량, 유사 공법, 유사 운영 기간)의 운영비용을 비교하였을 경우 민간 기업이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 다. 하수처리장 관리 및 운영 관계자들과의 면담 조사 결과 관리대행업자 선정 및 운영 비용 산정 방법 개선이 필요하 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하수처리장 관리 대행 활성화를 위한 방안 제시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The market of the municipal wasetewater treatment plant (MWTP) operation is expanding across the world including Korea. The contracting-out system was introduc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MWTPs. However, an improvement of the contracting-out system of MWTP has been continuously required. This research investigated current operational status of MWTPs in Korea,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cost effective MWTP operation to promote the contracting-out system of MWTP operation. Results showed that lower operational costs of MWTP were lower in larger MWTPs than in smaller MWTPs. Overall, MWTPs operated by a public enterprise showed lower operational costs than those operat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enterprises. Among the MWTPs similar in their treatment capacity, treatment process and operation period, MWTPs operated by private enterprises showed the lowest operational cost. According to the survey, managers and operators of MWTP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rovement on the methods of selecting operating agencies and estimating operationing co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ful as important supporting data to promote the contracting-out system for the MWTP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