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연극과 드라마투르그의 역할과 위치 :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 개념을 중심으로

        김옥란 ( Ock Ra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activities of dramturg in the Korean theater. I started dramaturg job by the proposal of directors in the middle of 2000s. My early dramaturg duties, without a clear recognition, were critical commentary in the objective gaze(``outside eye``). Having a lasting relationships with particular theater company, I began to recognize the role of ``production dramaturg``. In the 2010s, producing theaters, Namsan Arts Center, Myeongdong Theater and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were launched and I began to work professional dramaturg. This process showed how dramaturg works and environment changes of the Korean theater production we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the role of the Korean dramaturg through the dramaturg theory and history of world theater`s. This article mentioned theoretical case of Lessing and Brecht. In particular, Brecht`s concept of ``production dramaturg`` will be a good reference to ``theater company dramaturg`` and ``producing theater dramamturg`` in Korea. 이 글은, 한국연극에서의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 현장 보고서의 성격을가진다. 필자는 2000년대 중반 개별 연출가들의 제안에 의해 드라마투르그 작업을 시작했다. 필자의 초기 드라마투르그 활동은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명확한 인식 없이 평론가의 객관적 시선(``외부자적 시선``)에서의 논평에 대한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며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의식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특히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0년대에접어들면서 남산예술센터, 명동예술극장, (재)국립극단, 두산아트센터 등 국공립 제작극장의 출범 이후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로서 활동하게 되었다. 이상초기의 자생적이고 무의식적인 활동 과정,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유대감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활동하던 시기, 2009년 이후 본격화된 제작극장 시대에 요구되는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 활동 등 필자의 활동 과정 자체가 한국연극의 환경 변화와 드라마투르그의 작업이 얼마나 긴밀하게 맞물려 있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필자가 드라마투르그로서 겪었던 혼란과 고민들을 정리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러한 고민들을 해결해나가는 방법의 하나로 드라마투르기의 이론과 역사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과 현실적인 비전을 제시해보고자했다. 이 글에서 이론적 역할 모델의 일부로 제시한 레싱과 브레히트의 사례, 특히 브레히트의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개념은 한국적 현실에서 ``극단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드라마투르그``의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중요한 참고지점이 되었다.

      • KCI등재후보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사례 연구 : 그린피그의 < 두뇌수술 >, < 아무튼백석 >, < 나는야쎅스왕 >을 중심으로

        김혜연 ( Hye You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base of deep introspection on field works by concretely analyzing each processes of three productions in which I worked with the same theatre and director. Analysis objects are working processes as a dramaturg of < Brain Surgery >, < Anyway, Baik Seok >, and < I am a Sexking >. < Brain Surgery > is made on the basis of a play written in 1945, whereas < Anyway, Baik Seok > and < I am Sexking > are devised theatres. As a result, I have discovered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production based on a precedent script, dramaturgical works were relatively well-organiz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oduction which has no precedent script, the system of dramaturgical works was unclear, confusing and in discord. The systemicity of the process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these are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cases. In addition, these are good in terms of stable working process but have limits in terms of emergence of new dramaturgy. Secondly, all those three productions showed postdramatic processes and outputs.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precedent scripts, the following two facts are evidences that all these three productions are postdramatic. One is the fact that we couldn`t make any blueprint on the final output during the process. The other is the fact that we considered the script(even in the case of the precedent script) as one of the materials like any other factors of the performance. Thirdly, metacognition towards the theatre itself and towards the role of a dramaturg formed a great part of all three productions. I had to constantly cross the borderlines of the theatre concept and the role of a dramaturg.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I could draw several introspections as follows on the role of a dramaturg in the postdramatic theatres. First, Dramaturgy should be related more closely with actual influences which a dramaturg makes for the final output, rather than with literary sensitivity which makes a dramaturg read the text properly. Therefore we need to free from the thought that the text analysis done by a dramaturg should be carried out as it is or in a literarily proper way. In other words, a dramaturg`s work itself can be another source for the production without reference to offer good analysis. Secondly, even though we cannot preliminarily define the role of a dramaturg in the devised theatre, it does not mean that it is unclear. This role certainly exist but not steady. In this sense, we can characterize the role of a dramaturg in the devised theatre as a main agent of metacognition. So I propose that we install processes of consultation for this metacognition works apart from the devising process. 이 연구는 드라마투르그로서 동일한 극단 및 연출과 함께 작업한 세 작품의제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장 작업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의 대상은 그린피그의 공연 < 두뇌수술 >, < 아무튼백석 >, < 나는야쎅스왕 >의 작업 과정이다. < 두뇌수술 >은 1945 년의 희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 아무튼백석 >과 < 나는야쎅스왕 >은 공동창작 작품이다.1)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희곡 텍스트가 선행한 작업의 경우 드라마투르기 작업 과정의 체계가 비교적 잘 잡혀 있었다. 반면, 선행하지 않은 작업의 경우 과정의 체계가 불분명하고 혼란과 충돌이 상대적으로 컸다. 결국 작업의 체계성과 합리적 의사 결정, 이 두 가지 사항은 희곡텍스트가 선행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이의 가장 큰 차이이며 안정적인 작업 진행이라는 점에서는 좋지만 새로운 드라마투르기의 출현과 관련해서는 오히려 제한이 될 수 있다. 둘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세 작품 모두 포스트드라마적인 작업 과정과 결과물을 보여준다. 희곡이 선행했건 선행하지 않았건, 우리가 만들 작품의 청사진을 그려볼 수 없었다는 점, 희곡이 선행한 경우마저도 해당 희곡을 공연의 다른 요소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재료로서 파악하였다는 점 등은 포스트드라마적인 속성과 관련된다고 본다. 셋째, 세 작업모두에 있어서 연극 및 드라마투르그 역할에 대한 메타적 인식이 늘 크게 작용하였다. ``연극이란, 공연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경계를 스스로건, 협의 과정에서건 끊임없이 넘나들어야 할 필요가 있었으며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변화를 겪어야 했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트드라마 작품의 드라마투르그 역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성찰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드라마투르기는 문학적감수성을 바탕으로 작품을 얼마나 제대로 읽어내는가에 달려있기보다는 그것이 공연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 어떤 의미를 줄 것인가에 더욱 밀접하게 관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드라마투르그의 작품 분석이 그대로 공연화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서 분석 자체가 공연의 하나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식의 개입 방식도 필요하다. 둘째, 공동창작의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사전에정의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곧 불분명하다는 의미인 것은 아니며 그 역할은 분명히 존재하되 고정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뿐이다. 그런 차원에서 공동창작이산으로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메타적 인식의 주체로서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규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타적 인식과 관련된 협의 과정을 공동창작 과정과는 별도로 설정해 둘 것을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극장 드라마투르그의 소통 기능과 생산 가치

        서지영 ( Ji Young Seo ) 한국브레히트학회 201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31

        국내 극장에는 아직 드라마투르그가 정식 직원으로 임용된 적은 없고 대부분 극단에서 활동하고 있다.극단에서는 주로 공연제작에 참여하는데, 개입의 정도는 매번 다르지만, 대본을 분석하고 연출가에게 의견을 주며 리허설에 참석하여 배우, 스텝들과 수시로 회의를 하는 내부 비평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드라마투르그는 문학과 공연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는 것을 우선시해왔다. 그러나 막상 극단에서 일하다 보면 가장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이 재정문제다. 상업극이 아닌 순수 연극은 공연 자금의 상당 부분을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 극단도 정부의 간여(干與)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드라마투르그가 극장이 아닌 극단에서 활동하는 경우에도 행정력이 중요한 조건이 된다. 현장과 이론의 다리 역할로서, 드라마투르그는 자신의 이념과 취향을 바탕으로 의제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담론을 만들어가고자 하는 고매한 이상을 지녀왔으나 실상은 극단의 살림부터 챙겨야 하는 행정요원으로 뛸 각오를 해야 한다. 드라마투르그가 자신의 예술관을 펼치는 일도 기관의 지원과 정책에서 벗어날 수 없음이다. 드라마투르기와 정책과의 깊은 연계는 독일 드라마투르기의 역사 속에서 입증된다. 영, 미권으로 확산하면서 그 양상이 변화, 발전되었으나 임무의 공공성으로 인해 정책과의 연결고리를 끊는 것은 요원하다. 그렇다면 예술과 행정 사이에서 드라마투르그가 겪는 딜레마는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극복되고 있는가? 양자 사이에서 드라마투르그의 실질적 기능은 무엇인가?이를 위해 먼저 드라마투르기의 출발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개관한 후, 극장 드라마투르그의 역할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짚어보고, 영, 미권에서 쟁점이 되었던 독일의 정치 드라마투르기를 반추해 봄으로써 드라마투르기의 예술적 기능과 행정적 기능이 어떻게 배분되어 그 가치를 발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행정 요원의 정신으로 예술계를 다루는 관행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함께 진정으로 예술을 이해하며 진행하는 극장 업무가 어떤 것인지를 숙고해 보는 게 이 논문의 지표다. Die Rolle des Dramaturgen, anders als Dramaturgie, wurde aufgefordert um das pragmatischen Bedurfnis in der deutschen Theaterlandschaft zu befriedigen. Seit lange haben die Dramaturgen in der ganzen Europa uber ihre Funktion diskutiert. Die Funktion des Dramaturgen ist organisch auf die Existenz von Theatern mit langfristigen kunstlerischen Strategien, permanente Unternehmen und Repertoire verknupft. Die deutschen Dramaturgen spielen im Allgemeinen ihre Rolle innerhalb der Managementstruktur eines staatlich geforderten Theaters. Aus einer dramaturgischen Funktion am Theater werden drei: zum ersten der Dramaturg als offentlichkeitsarbeiter (Presse, Werbung, Kontakt mit Organisationen, insbesondere Schulen, Einfuhrungsveranstaltungen) -Arbeit also an der Peripherie des Theaters, der Nahtstelle zwischen Theater und Gesellschaft. Zum Zweiten, Ruckzug des Dramaturgen nach innen, in den Arbeitsprozess an der Auffuhrung “Produktionsdramaturgie”: Vorbereitung, Grundlegung der Inszenierung zusammen mit Regisseur, Buhnenbildner, Ensemble, vor allem analytische Funktion, inner-kritische im Fortgang der Produktion. Drittens bleibt ubrig: Der Dramaturg als Mitglied der Theaterleitung, mitwirkend, haufig initiativ, an Spielplan- und Engagementsfragen, zustandig aber auch fur vielerlei innere Organisatorisches, was manchmal schlichtweg bedeutet: Betriebsburo. In dieser Arbeit habe ich die Rolle des Dramaturgen in der Organisation. Die Rolle der Dramaturgen in der Kunst-Instituion kann zwar kreativ, aber zuweilen umstritten sein. Wegen der einigen nervosen Problome um die Dramaturgen konnen sie stigmatisiert werden, daß sie nur eine strengen Politik oder Tagesordnug vollziehen, gleichgultig ob die vollzogene personlichen Geschmack oder eine institutionelle Mission oder eine breitere Vorstellung eines Nationaltheaters oder Prioritaten der Regierung sind. Aber die Dramaturgen durfen nicht fur die Uberwachter einer kunstlerischen Politik, da sie beziehen sich auf kunstlerische Politik dynamisch und positiv. Dramaturgen beitragen zur Entwicklung der Theater, indem sie Theater Institutionen neu entwickel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