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함유도무기 비행시험 업무 정립을 위한 최적 프레임워크 개발 - 표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안장근,김의환,조보람 한국방위산업학회 2018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framework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the business processes for anti-ship missile flight test. First of all, for establishing the framework structure definition, it is performed framework components identification, region classification, step classification and framework template. The Frame components include standard processes, standard outputs and issue checklists. Framework regions are divided into system work region, test safe region and test support region. Framework steps consist of flight test plan, flight test readiness, flight test execution and flight test follow-up step. Framework template and ID classification schemes are proposed. Since the framework structure definition, the total of 15 frameworks for anti-ship missile flight test are developed. The evaluation of the developed framework i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practicality of the framework. It is believed that the proposed framework will contribute to anti-ship missile development through the standardized processes.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함유도무기 비행시험의 업무 효율 증대를 위한 프레임워크 구조 정의와 프레임워크 개발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프레임워크 구조 정의를 위하여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식별, 영역 분류, 단계 구분 및 프레임워크 템플릿 개발을 수행하였다. 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는 표준 프로세스, 표준 산출물, 이슈사항 체크리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워크의 영역 분류는 체계수행, 시험안전, 시험지원으로 나누어져 있다. 프레임워크의 단계 구분은 비행시험 계획, 준비, 수행, 후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템플릿과 ID 식별코드 체계를 함께 제시하였다. 프레임워크 구조 정의를 한 후 대함유도무기 비행시험을 위한 총 15개 프레임워크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레임워크에 대한 평가 설문을 실시하여 프레임워크의 실용성을 입증하였다. 대함유도무기 비행시험에 적용코자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표준화된 업무 정립을 통해 대함유도무기 체계개발 성과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비대면 서비스 개발을 위한 디자인 프레임워크

        윤종관(Yoon, Jong Kwan),김성우(Kim, Seong Wo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4

        코로나19로 인해 확산된 비대면 서비스는 사용 경험의 편리성과 서비스 접근성의 강점으로 인해 서비스 산업의 주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면대면 서비스가 제공해 주었던 서비스의 가치를 만들어 내지 못함으로 인해,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체계적인 비대면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조사 및 검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와 서비스 운영관리 그리고 온라인 교육의 상호작용감 요인 모형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비대면 교육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프레임워크를 일반적인 비대면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에 특화된 개념과 용어들을 일반화 한 비대면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에서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비대면 의료 서비스 분석에 적용하여 프레임워크의 범용성을 검증하였다. 비대면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는 서비스의 운영비용을 결정하는 고객 접촉 전략에 맞추어, 비대면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서비스 제공자의 존재감 요소, 서비스의 내용적 교류 및 변화 요소 그리고 이해 관계자들의 사회적 교류 및 변화의 요소를 고려하고, 각 요소의 고객 접촉 강도를 결정하는 비대면 서비스의 기능요소를 결정하면, 상호작용감이 개선된 비대면 서비스를 디자인할 수 있다.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서비스의 특성상 비대면 서비스에서의 상호작용감은 서비스 품질 개선에 주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상호작용감 개선을 위해 고객접촉의 강도를 높이면, 서비스 운영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 프레임워크는 서비스 운영 전략에 맞춘 상호작용감을 갖는 비대면 서비스를 디자인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Due to COVID-19, non-face-to-face service has become a new normal stream of a service industry. However, values of face-to-face service does not transfer directly to a non-face-to-face service. A design methodology of non-face-to-face service is required to obtain the quality of a service. This study used documentary research, case study methods and case validation methods. Firstly, a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 design framework was suggested basesd on documentary research of service design frameworks, service managements and a learners perception model of interaction. Secondly, an education framework was generalized to make a common framework. Lastly, the framework was verified with a case validation study of worldwide telehealth services. According to the findings, a non-face-to-face service design framework would be a helpful design methodology using a service strategy. A service designer could design a non-face-to-face service with a strategical decision of choosing functional service components such as video calls, conference calls, images and text. These components are related to degree of customer contact, and a designer should decide component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 service provider, service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ramework using a learners perception model of interaction, it can be expected that service designers can design a good non-face-to-face service which is aligned to a customer contact strategy.

      • KCI등재

        CCR 역량 프레임워크 개발 준거를 활용한 OECD 학습 프레임워크 분석의 시사점 탐색

        김정효 ( Kim¸ Jeonghyo ),유창완 ( Yu¸ Changw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OECD 2030 학습 프레임워크 분석을 통해 차기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개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기구 및 국가별 교육과정의 역량 프레임워크의 개발 배경 및 목표, 역량 프레임워크의 구조 및 요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CCR 프레임워크 개발 시 적용한 다섯 가지의 준거에 따라 OECD 학습 프레임워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되, 타 국가의 역량 프레임워크와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OECD 학습 프레임워크에서의 역량은 국가별 역량에 비해 비교적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고, 간결성 측면에서는 국가별 역량에 비해 미흡하다. 국가별 역량과 마찬가지로 중복성은 높은 편이고, 추상성의 수준은 적절하지만 개선이 필요하며, 전 세계적 유의미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역량 프레임워크의 구조화를 위해서 CCR 개발 준거에 기초한 역량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OECD Education 2030 연구의 긍정적 요소인 OECD 학습 프레임워크의 신생 역량 및 역량의 위계화 방식을 차기 교육과정에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ways to develop competencies pursued in the next national-level curriculum through an analysis of the OECD 2030 Learning Framework. To this end, the backgrounds and goals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framework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ational curricula, and the structures and elements of competency frameworks were examin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ve criteria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the CCR framework(Comprehensive, Compact, Uncorrelated, Appropriate Layer of Abstraction, Globally Relevant), the OECD learning framework was mainly analyzed, but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ompetency frameworks of other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mpetencies in the OECD learning framework are presented more relatively comprehensively than the competencies of other national frameworks(Comprehensiveness). In terms of Compactness, they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competencies of other national frameworks. Redundancy is high(Uncorrelatedness). The level of abstraction is appropriate but is in need of improvement(Appropriate Layer of Abstraction). The Globally Relevance is high. The study proposed to structuralize a competency framework for developing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CCR development criteria. Furthermore, the emerging competencies and the hierarchical methods to structuralize the competencies applied in the OECD Learning Framework need to be considered.

      • KCI등재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CBD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성능분석

        이용환(Yong Hw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3 No.1

        최근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들은 지속적으로 요구사항들이 변경되는 대규모의 복잡한 시스템이며 컴포넌트 기반이나 제품계열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과 같이 아키텍처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에서 생산성이나 유지보수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BD(Component Base Development) 기반의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유지보수 시 생산성과 유지보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유연성과 확장성 품질속성을 가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이들 품질속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을 아키텍처 모델을 통해 설명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최근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프레임워크(Framework)로 잘 알려진 Struts와 JBean이라 불리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성능을 비교했다. JBean프레임워크는 프리젠테이션 프레임워크와 비즈니스 로직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정한 실험을 위해 JBean에서 비즈니스 로직 프레임워크에 관련된 모듈을 제거하고 단지 프리젠테이션단 프레임워크만 가지고 실험을 한 결과 JBean의 프리젠테이션 단 프레임워크가 평균 초당 18개의 거래를 더 처리하고 있다. Current many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gradually develop large volume of complex and changeable system. Architecture driven methodology is used for developing softwares like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or PLE (Product Line Engineering). To improve the development and maintainability in such an environment, the first of all needs the flexible and extensible architecture. This paper suggests the CBD application framework that has the flexbile and extensible architecture for improving development productivity and maintainability. In this paper, we also show basic performances of our suggested framework, comparing to a well-known web application framework, Struts.

      • 기후변화에 대응 환경안보 역량 강화 : 넥서스 기반 통합적 기후환경 대응체계구축 연구: 도시지역 기후적응정책문제를 중심으로

        김동현,송영일,류재나,박송미,강해나,서일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5 No.-

        기후변화는 정책을 구성하는 데 있어 불확실성을 내포한 미래의 외생적 충격 요인 중 하나이다. 기후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의 증대, 기온 상승과 이에 따른 다양한 부문에서의 영향은 새로운정책 구성의 틀과 방법을 요구한다. 이는 정책문제 해결에 있어 복잡성이 증대하고 있는 정책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문제가 기존의 문제와 상호 연계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현실을 인지하며, 이러한 문제에 대해 새로운 해결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정책 수요자와 대상자들은 다층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거버넌스를 구성하고 있다. 이는 한 부문에 국한된 대응이 다른 부문과의 관계에서 상충관계를 일으킬 수있음을 의미하므로 상호 시너지를 만들기 위한 해결 방식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기후환경과 관련된 정책구성의 틀은 주류화(mainstreaming)에 대한 논의, 넥서스 접근(NEXUS approach)에 대한 논의, 과학적 지식과 비과학적 지식의 통합에 대한 논의 등으로 구성된다. 우선, 주류화에 대한 논의는 기후변화 혹은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논의를 기존의 정책과 제도, 법 등에 어떻게 포함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주류화의 문제는 제도 내 적응을 배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별도의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보다 기존 정책의 틀 안에서 보다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정책을 이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넥서스 접근에 대한 논의는 각 부문별로 구성되어 있는 요인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구성하고자 한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변화가 야기될 수 있는 각 부문별논의가 아니라 관련성이 높은 분야 간 통합을 위한 논의를 의미한다. 이러한 넥서스 접근은 기후변화의 영향 모형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논의가 주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과학적 지식과 비과학적 지식의 통합에 대한 논의는 기후변화의 전망, 예측과 관련된 모델링의 과학적 지식과 사회적 인식, 지역 내 활동, 거버넌스 등 비과학적 영역의 지식 간 통합에 대한 것이다. 과학적 지식은 보다 정확한 기후의 변동성과 미래 전망에 대한 예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정책의 수립 및 이행과 맞닿아 있는 비과학적 지식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논의와 통합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적 지식과 비과학적 지식이 서로동떨어져 효과적인 적응의 이행과 정보 전달 등이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다양한 문헌들 속에서 넥서스 접근이라는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정책 구성의 관점에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둘째, 넥서스 접근에기반을 둔 정책 구성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통합적 정책 구성을 위한 구조와 방법들이 포함된다. 셋째, 실제 도시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후적응과 관련된 정책문제를 설정하고 넥서스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정책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 구성의 관점에서 넥서스 접근의 의미를 규정하고, 접근 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정책 구성과 개발에 대한 의사결정 방법론에 초점을 둔 넥서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지식구조라는 이름으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과 연계한 넥서스적 개념을 적용한 데 그 차별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 활용되는 넥서스적 접근법은 주요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과학적 지식, 비이해관계인의 지식, 이해관계인의 지식이 하나로 통합되고 그 안에서 요인 간 상충관계와 시너지 관계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넥서스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 도시의 기후적응 관련 정책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도시에서 기후적응과 관련된 주요 문제는 도시열섬과 상수원 관리문제를 선택하였다. 도시열섬의 문제는 기온상승, 폭염 등과 관련해서 기후적응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제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도시지역에서는 도시열섬 현상과 더해져 폭염, 열대야 등이 지속되는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인구, 경제, 사회활동이 집중된 도시지역에 기후적응과 관련된 정책문제를 야기한다. 산업화된 사회에서 도시지역의 활동이 불가피함을 고려할 때 도시열섬과 관련된 문제는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화율이 높고 인구의 대부분이 도시화된 지역에 거주한다는 점에서 도시열섬과 관련된 문제는 중요하다. 다음으로 선택한 정책문제는 상수원 수질관리 관련 문제이다. 기후변화는 강수량 변화와 가뭄 등을 초래하며, 이는 집단화된 공동생활을 이루면서 자원을 끊임없이 소비하는 도시지역에 상수원과 관련된 문제를 야기한다. 도시지역의 상수원 수질관리 문제는 강을 중심으로 상류와 하류지역의 갈등과 협력 문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기후변화는 이러한 이해관계자들의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상·하류 간의 협력이 요구되는 광역상수원 체계가도시지역에 있으며, 물이용부담금, 오염총량제, 특별대책지역 등과 같은 관련된 문제가 90년대이후로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뭄으로 인해 상수원 관련 수질과 수량 문제가동시에 나타나고 있고, 물이용부담금 등과 관련해서도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 적응은 물과 관련해서 물 부족과 관리의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특히 물관리에 대한 체계가 효율적이지 못하고 지역 간 갈등, 수질 등 문제가 끊임없이 나타나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상수원 관리 문제는 중요하다. 이에 도출된 넥서스 프레임워크를 도시열섬과 상수원수질관리 문제를 중심으로 적용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두 문제에 대해 넥서스 프레임워크에서 논의하였던 단계별로 어떻게 적용되고, 어떻게 문제가 정리되며, 통합적인 대응책이 도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넥서스 프레임워크는 비단 도시열섬 문제와 상수원 수질관리 문제뿐만아니라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되는 통합적 논의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미래의 기후환경과 관련된 정책문제 해결에 있어 넥서스 접근방법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연구에서 넥서스 기반 프레임워크를 도시열섬 문제와 상수원 수질관리 문제에 적용하여 사례 연구를 시행한 것은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정책 현실에 충분히 적용 가능하고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두 문제에 대해 넥서스 프레임워크 단계에 따라 적용된 과정은 각 단계를 거쳐 어떠한 부분에서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가능한지, 미래에 있어 지속적 정책 개발의 방향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정책실험의 형태로 진행된 이 사례연구는 기후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정부정책 구성에 있어 하나의 선행 사례로서 의미를 제공할 것이다. 추후 보다 많은 다양한 사례에 대한 정책실험과 연구를 통해 미래 기후환경 문제에 넥서스적 접근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policy making, climate change is known as one of uncertain exogenous impulses. Because of increase in the climate variability and uncertainty, it requires a new policy structure and methodologies. Increasing complexity in resolving climate change relevant to other issues means it should reflect a change in the policy environment. The complexity of climate chang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new approach to climate change. Due to socio-economic changes, policymakers and stakeholders are engaged in multi-layered forms of governance, and new methodologies are required to boost mutual synergistic effects. Recent policy approaches to solve complex interdisciplinary issues is divided into 1) mainstreaming, 2) nexus approach, and 3) the integration of scientific based knowledge and non-scientific knowledge. First, discussion on the mainstreaming is about how to implement climate change 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o current policy, law and institution. The mainstreaming regard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is mainly about implementing adaptation into current policy rather than making an alternative solution. Second, the nexus approach encourages integrated management and governance across different sectors. It’s not about sectoral impacts, but integrated impacts caused by climate change. Lastly, discussion on the integration of scientific and non-scientific based knowledge is about combining climate change prospect and scientific knowledge regarding predictive modeling, social awareness, regional activities, governance, etc., While scientific knowledge focuses accurate climate volatility and prediction, lack of integration in the part which covers non-scientific knowledge is a continous issue. Implementing effective adapt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might not possible, because scientific knowledge and non-scientific knowledge are divided. There are three specific objectives in this research. First is to understand nexus approach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define the term “nexus” from the policy perspective. The second objective is to construct a policy framework based on “nexus”. The framework includes structures and methodologies for composing integrated policy. Lastly, to define the policy issue with climate change adaptation that has a chance to occur, and to provide a nexus based policy response. In this research, nexus approach from the policy perspective is defined. Through further research on approach methodologies, a nexus framework, focusing the policy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methodologies, is suggested. Combining knowledge structure as a scientific basis,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as nexus approach is slightl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focuses on seeking synergy effects and relations among scientific knowledge, and opinions from non-stakeholder and stakeholders. This research focused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mainly in urban area to define and apply the suggested nexus framework. Two major issues covered in this study are urban heat island and quality management. The urban heat island is an issue relevant to temperature rise, heat wave, etc., Extreme weather such as heat wave and tropic nights is expected to continue due to temperature rise. This suggests climate change related policy problems in urban areas with a high population and active socioeconomic activities.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urbanization and high population density in urban areas in Korea, urban heat island is critical to the issu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Next, water quality management is selected as another policy issue. Climate change may lead to changes in precipitation, drought, etc. Water quality management is crucial in urban areas where a large group constantly consumes resources. Conflict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rea of the river is the problem caused by water quality management in urban area. Climate change may exacerbate the conflict among different stakeholders. Especially in case of Korea, urban area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the upper and downstream residents. Issues on water use fee, total volume of pollutants and special countermeasure areas constantly appears since 1990s. Recently managing water quality and quantity is increasingly important due to droughts. Water management is significant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especially where has a lack of water management systems and has conflicts between regions. This research applies the nexus framework to the issues of heat island and water management in urban areas. This research is to apply the nexus framework to the issues and to seek an integrated response. The suggested nexus framework of this research would be adaptable to other integrated discussions relevant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Nexus approach in solving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future weather conditions could be used in various ways. This research, conducting nexus based case studies of urban heat island and water management, shows that the nexus based framework may be applicable enough to realities. Regarding the two issues, the study suggests policy intervention and policy direction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case study conducted in the form of a policy experiment provides various policy making methods related to climate environment. It is expected to extend nexus approach in future climate environment issues through more practices and policy experimentations.

      • KCI등재

        효율적인 서비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및 전송패턴

        이현민(Hyun Min Lee),천두완(Du Wan Cheun),김수동(Soo Do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11

        서비스 지향 컴퓨팅은 서비스를 동적으로 조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재사용 패러다임이다. 서비스 소비자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한 인터페이스만을 통하여 서비스의 기능성을 사용한다. 즉, 서비스의 내부 상태는 블랙박스 형태로 알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 소비자는 서비스의 품질을 알 수 없고 이는 중요한 도메인에 서비스의 도입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서비스 모니터링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내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품질을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는 각 벤더들이 제공하는 특정 제품을 이용하여 서비스와의 상호작용 없이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는 데이터의 포괄성, 정확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고 모니터링으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최소화 시키기 위한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먼저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설계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정의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모니터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패턴을 제시한다. 또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을 보여주고 실험을 통해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의 효율성을 보여준다. Service-Oriented Computing (SOC) is a reuse paradigm for developing business processes by dynamic service composition. Service consumers subscribe services deployed by service providers only through service interfaces. Therefore, services on server-side are perceived as black box to service consumers. Due to this nature of services, service consumers have limited knowledge on the quality of services. This limits utilizing of services in critical domains hard.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effective methods for monitoring services. Current monitoring techniques generally depend on specific vendor’s middleware without direct access to services due to the technical hardship of monitoring. However, these approaches have limitations including low data comprehensibility and data accuracy. And, this results in a demand for effective service monitoring frame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for efficiently monitoring services. We first define requirements for designing monitoring framework. Based on the requirements, we propose architecture for monitoring framework and define generic patterns for efficiently acquiring monitored data from services. We present the detailed design of monitoring framework and its implementation. We finally implement a prototype of the monitor, and present the functionality of the framework as well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o verify efficiency of patterns for transmitting monitoring data.

      • KCI등재

        멀티모달 제품 UX 디자인 시각화 프레임워크 제안

        최정민(Choi, Jungmi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4

        연구배경 디지털 입⋅출력 기술 개발이 활발해지고 모바일 앱을 비롯한 다양한 기기들과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제품이 늘어나면서, 우리 일상에서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이 다채롭게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하는 환경에서 제품 디자이너는 제품 인터랙션 니즈가 발생하는 구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 경험(UX) 컨셉을 제시하고, 이를 다양한 표현 채널, 즉 모달리티(Modality)를 통해 가시화하여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자이너가 멀티모달 제품/시스템 UX 컨셉을 실제 구현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체적 인터랙션 아이디어로 시각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멀티모달 제품 UX 시각화에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멀티모달 제품 UX 컨셉으로부터 최종 인터랙션 구현 단계로 이어지는 디자인 정보 시각화 연구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제품 인터랙션 니즈에 따라 적절한 모달리티를 고려할 수 있는 제품 UX 시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 프레임워크를 반영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시각화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앱과 연동되는 제품 UX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적으로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제품 UX 기획 단계에서 제시된 컨셉을 다양한 인터랙션 모달리티를 통해 가시화하여 전달할 수 있는 체계적 제품 UX 시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또한 이 프레임워크 적용 결과를 인터랙션 구현 단계로 연결시킬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함께 제시하여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결론 제안한 시각화 프레임워크를 통해, UX 컨셉으로부터 실제 인터랙션 프로토타입 구현까지 체계적으로 디자인 정보의 흐름이 이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멀티모달 제품의 UX 디자인을 개발하는 디자인 교육 및 실무 프로젝트에서 아이디어 구체화를 돕는 체계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s digital input and output technologies are rapidly evolving and more products are networked with other devices, including mobile apps, the way we interact with products in our daily lives is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Product designers need the ability to present user experience (UX) concept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situations in which people’s needs for product interaction occur, and to visualize and deliver them through various expression channels, i.e., modaliti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framework that can help designers visualize the UX concepts of multimodal products or systems to create detailed interaction ideas that can be linked to implementations. Methods Firstly,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ltimodal product UX visualization, it has been learned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s that can link between the multimodal product UX concept-making stage and the final interaction implementation stage. Then, a product UX visualization framework was proposed, by which designers can consider appropriate modalities according to product interaction needs. This study also presented a design process model based on the proposed framework. Finally, a UX project case of a product connected to a mobile app was explained analytically using the proposed visualization framework. Result This research proposes a systematic product UX visualization framework that can visualize and communicate the concepts presented at the product UX planning stage through various interaction modalities.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 visualization framework, this study also proposes a design process model that links the results of using the framework to the interaction implementation stage. Conclusion The proposed visualization framework provides the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transformation of design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from UX concept creation to interaction prototype implementation. The framework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a systematic tool to help shape multimodal product UX design ideas in school and company design projects.

      • KCI등재

        정보 및 감성 프레임워크 기반 도자 주기 로고 및 라벨 디자인 연구

        최병건 ( Byong Keon Choi ),황승욱 ( Seung Wook Hwang ),이석진 ( Seok Jin Lee ),안정현 ( Jung Hyun Ah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전통주는 오랜 역사를 거쳐 다양하게 발전되었다. 또한 주류의 수만큼 서로 다른 특성과 스토리를 가지고 있어서 문화적 다양성과 차별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문화 콘텐츠다. 그러나 제조업체의 영세성과 체계적인 방법론의 부재로 전통주기 로고와 라벨 개발은 즉흥적으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로고 및 라벨 본연의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는 사례가많은데 이는 주류시장에서 전통주가 갖고 있는 대표적인 부정적 요소의 하나다. 본 연구는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한 도자기 전통주기에 적합한 로고 및 라벨 개발 프레임워크 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주 주류 특성을 이용하여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실제로 적용해 로고와 라벨을 개발하고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주의 주류 특성을 정보기반과 감성기반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각각의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둘째, 텍스트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시각화가 가능하도록 프레임워크 항목별 시각화 요소와 방법을 수립하였다. 셋째, 3종의 전통주를 선정하여 연구과정에서 수립된 프레임워크에 대입해 주류특성에 부합하는 로고 라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통주 정보요소와 감성요소 분석에 의해 구체적인 프레임워크 항목 도출이 가능하였다. 둘째, 프레임워크 항목별 시각화 요소를 추출하고 적용방법을 정의하여 체계적인 도자주기 로고 및 라벨 디자인 방법을 수립할 수 있었다. 셋째, 3종의 전통주를 프레임워크에 대입하여 주류 특성에 적합한 전통주기 로고 라벨 개발이 가능하였다. Korean Traditional Alcohol has been diversely developed through long history. In addition, it is one of the classic cultural contents that show cultural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having as many mutu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stories as the number of alcohols. However, smallness of brewers and absence of systemic methodology cause development of logos and labels of trditional drink bottles and glasses to be performed on a whim in many cases. Thus, such example where proper function of logo and label cannot adequately work is one of the leading negative factor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alcohol has.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a development framework for logo and label suitable for traditional drink bottles and glasses in order to make improvement of this problem. Development and suggestion have been made through practical adoption of framework design that has been conducted by making most of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 Method of the study was as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 was analyzed by separating it between footings of information and sensitivity, each of which consisted of respective framework. Second, visualized factor and method have been set up in order to enable itemized framework to be visualized through use of framework of text base. Third, a logo label has been developed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 of alcohol by substituting already established framework for three kinds of selected Korean traditional alcoho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s of information and sensitivity for Korean Traditional Alcohol, deduction of framework items has been made possible. Second, deduction of visualized factors by items of framework has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the method of systemic design of logo and label for traditional drink bottles and glasses. Third, development of logo label has been made possible for traditional drink bottles and glasses by substituting the framework for the three kind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

      •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블록체인 교육을 위한 실습프레임워크 설계

        김도규 대한산업경영학회 2020 산업융합연구 Vol.18 No.6

        상이한 특성을 가진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대한 전체적인 동작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현재 블록체인의 개념과 동작을 위한 교육은 대부분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을 대상으 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기업환경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통하여 기업 데이터에 접근통제를 하기 때문에 하이퍼레 저패블릭(HLF)과 같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활용되고 있다. HLF 기반으로 교육하는 경우에는 피어, 오더러, 채널 등 퍼블 릭 블록체인에 없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작에 대한 효율 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위하여 실습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레임워크은 HLF 네트워크제어 체인코드제어 탈중앙 화소프트웨어(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제어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워크을 통하여 네트워크을 구성하 고 체인코드의 배포 및 활성화 후 dApp 실행과정을 단계적으로 확인하였고 블록체인 서비스를 위한 전체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였다. 또한 향후 네트워크의 확장 등에도 전체 흐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difficult to educate the overall operation of public and private blockchai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Recently, most education for blockchain is targeted at public blockchains such as Bitcoin and Ethereum. However, in an actual business environment, a private blockchain such as HyperLedger Fabric is used because access to corporate data is controlle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In the case of HLF-bas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various components that are not in the public blockchain, such as peers, orderers, and channels. In this paper, a lab framework for HLF is designed for an efficient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The framework consists of HLF network, chaincode, and decentralized software control functions. Through the framework, the network configuration, distribution and activation of chaincode, and dApp execution process were checked step by step, and it was very easy to understand the overall flow for blockchain servic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flow will be possible even in future network expansion.

      • MVC 웹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RIA를 위한 플러그인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손동혁(Donhyuk Son),정강수(Kangsoo Jung),박석(Seo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2C

        서버중심적 웹 프레임워크들을 기반으로 개발되는 웹 어플리케이션들은 디자인 부분과 개발 코드 부분이 분리되어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유지보수 활동에서 디자인과 개발 코드가 얽혀있어 발생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웹의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의 제약으로 인하여 서버 중심적 웹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대부분 사용자 행위들이 다시 한번의 서버와의 통신을 의미하기 때문에 응답성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다. 이런 이유에서, 표준화를 따르거나 또는 특정 기업 소유의 RIA 기술들이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에 따라 서버 중심적 웹 프레임워크 기술들을 기반으로 RIA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기본적으로 일반적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되었던 MVC 디자인을 따르고 있어 RIA 기술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미 오랜 기간을 통하여 기술적으로 충분히 성숙단계에 있는 서버 중심적 프레임워크들과 플러그인 기술을 함께 사용하여 서버중심적 웹 프레임워크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서 기술적 환경을 고려하여 RIA를 쉽게 구현하고 배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