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현대 호남 풍류음악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이용식 한국음악사학회 2023 한국음악사학보 Vol.70 No.-

        The p'ungnyu (“wind flowing”) music is an ensemble music enjoyed by the aristocrats and the middle class. The p'ungnyu music was the most important music with the court music in the traditional society. However, it has been extinct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aristocrats and the middle class. The instrumental masters and the amateur musicians have developed p'ungnyu music in the southwestern region. The music was flourished by the masters and the amateur musicians who learned the music from the masters and led the p'ungnyu spaces. Chŏn Kye-mun, a shaman-musician from Chŏngŭp City and the official musician of Chŏnju City, was the establisher of p'ungnyu music in modern times. He was a competent musician of all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led the p'ungnyu music, and trained many musicians. Although he was from outcaste family he was admired by the aristocrats with his extraordinary musical competence. It this sense, the p'ungnyu space was a place of equality without any distinction of the aristrocrat and the outcaste. Chŏn’s music was transmitted to his son, Chŏn Sŏk-dong, and his student, Kim Yong-gŭn. Kim was admired by the musicians and had trained many masters. The p'ungnyu music was developed by the next generation masters of the Kŏmun'go (6-stringed zither) and wind instruments. The zither masters include Im Sŏk-yun, Shin K'wae-dong, Kim Yun-dŏk, Wŏn Kwang-ho, and Kim Byŏng-du. The wind masters were the shaman-musicians including Chŏn Yong-sŏn, Yu Dong-ch'o, P'yŏn Chae-jun, and Shin Dal-yong. There are many p'ungnyu spaces in Koch’ang, Chŏngŭp, Puan, Chŏnju and other cities. The p'ungnyu music was not flourished in a specific region. The masters and musicians wandered many cities and developed the music. In this way, the p'ungnyu music has both commonality and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풍류음악은 조선시대 양반과 중인층이 풍류방에서 즐기던 소편성 음악이다. 풍류음악은 궁중음악과 더불어 우리 전통음악을 이끌었다. 그러나 근현대에 접어들면서 풍류음악을 향유했던 양반과 중인층의 몰락과 더불어 풍류음악은 급격한 소멸의 위기에 처한다. 근현대 호남 풍류음악은 기악 명인들과 지역의 애호가들이 상호교류하면서 전개되었다. 기악 명인들은 풍류방에서 풍류음악의 발전을 이끌었고, 애호가들은 풍류방을 운영하면서 명인들로부터 배운 풍류음악을 활짝 꽃피웠다. 근현대 호남 풍류음악 정립에 가장 큰 역할을 한 인물은 정읍의 무계 출신이자 전주 재인청 악사였던 전계문이다. 모든 악기에 두루 능했던 전계문은 호남 각 지역의 풍류방을 다니면서 풍류음악을 연주했고, 제자들을 양성했다. 전계문은 비록 재인이라는 천민 출신이었지만, 풍류방에서는 양반들과 함께 어우러지면서 풍류음악을 즐겼다. 풍류방은 음악으로 양반과 천민의 구분이 없었던 평등의 공간이었다. 전계문의 음악은 아들인 전석동과 제자인 정읍 출신 김용근에게 이어졌다. 김용근은 당대 전북 일대에서 추앙받던 율객이었고, 많은 풍류 명인을 양성하여 현대 호남 풍류음악을 중흥시켰다. 전계문과 김용근에 의해 정립된 근현대 호남 풍류음악은 다음 세대 거문고풍류와 관악풍류 명인들에 의해 발전했다. 김용근의 다음 세대 거문고풍류 명인으로 임석윤, 신쾌동, 김윤덕, 원광호, 김병두 등이 있다. 관악기를 연주하는 전문음악가인 ‘잽이’들로 전용선, 유동초, 편재준, 신달용 등이 있다. 호남의 각 지역에 풍류방을 중심으로 하는 풍류문화가 성행했다. 고창 흥덕의 성내삼구회, 흥덕아양율계, 성내육이계, 정읍의 초산음률계, 부안의 부풍율계, 전주의 전주율계 등은 20세기 중반 가장 활발하던 풍류방이었다. 호남의 풍류음악은 단일한 공간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여러 명인들과 지역의 풍류객들이 여러 지역을 다니면서 서로간의 상호교류에 의해 호남 풍류음악을 형성했다. 특히 명인들은 지역 풍류음악의 형성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렇기에 호남 풍류음악은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갖기도 하면서 각 지역의 독특성을 갖기도 하는 것이다.

      • KCI등재

        16세기 호남(湖南) 한시(漢詩)의 풍류론적(風流論的) 고찰(考察)

        박종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民族文化硏究 Vol.48 No.-

        본고는 16세기 湖南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주요 문인의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風流論의 관점에서 조망하고 그 美的 特質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는 당대에 이상적 인간상의 요건이었으며 풍류를 가진 사람, 風流은 선망의 대상으로 여겨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풍류를 향유할 수 있는 환경적 조건은 세속과 단절된 전원의 공간임을 밝혔다. 아울러 전원에서 자연과 동화하며 자유롭고 안온한 삶을 영위하는 것이 삶의 이상형임도 알 수 있었다. 풍류의 기질로서 豪氣의 표출에 대해 살펴보았다. 호기를 일종의 고양된 정신적 기질로 이해할 수 있는데 호기의 적극적 표출이 호남 한시의 뚜렷한 특징의 하나이며, 고고한 풍류 정신과 연계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통상적 규범으로부터의 일탈이나 도학적 가치의 부정으로서가 아니라, 세속을 초탈한 처사적 삶 속에서 때때로 마주치는 인상 깊은 장면과 체험에 대한 심미적 몰입이라는 성격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풍류를 중요시하거나 강조하는 16세기 호남의 시세계는 기본적으로 도학적 시세계와 변별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內的 分化 내지는 擴張으로 이해하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This thesis is for clarifying a few distinctive features of Pung-ryu(風流) appearing in Honam(湖南) Poet's poem during the 16th century. Pung-ryu(風流) is a kind of a ideal man's personality that every poets have been wanted. This Pung-ryu(風流) is appropriate subject for Honam(湖南) Poet's poem world, so that we are going to make it clear. First, we thought about displaying a mundane world and a unworldly space in their own poem world. So we found out this view of dichotomy was very important to Honam(湖南) Poet. The second is we made a check on a substance of Pung-ryu(風流). We found out Honam(湖南) Poet's poem world distinguished themselve by bravery. Finally we talked about a historical subject of their poem world. Now we have to clarify the whole poem world of Honam(湖南) Poet's poem. In the end, I'm so sure that we will get a prospect of their literature.

      • KCI등재

        정읍줄풍류(井邑줄風流) 본령산(本靈山)의 대금(大笒) 음조직 고찰

        문주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1 No.-

        Jeongeup Julpungnyu has widely influenced the chamber music in Yeongnam (Gyeongsang-do) and Honam regions (Jeolla-do) without confining the range to its indigenous music. Its musicality is significant considering its musical features, performers, and influences over the pungnyu activities in different regions. Sangyeongsan, the first piece also known as Bonnyeongsan, is the starting point played from the main piece to the last four pieces of the suite, which is a significant piece that influenced other derivatives of Yeongsanhoisang.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Jeongeup Julpungnyu and the Julpungnyu by National Gugak Center partly including the daegeum melodies by Shin Dal-lyong who is known to have initiated Jeon Gye-mun into the pungnyu daegeum melodies, in order to study the tonal structures of daegeum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The analyses include the tonal system implied in the daegeum melodies of Bonnyeongsan, that is, the structure tone, the tonal center, the scale, the beginning and terminating tones. The study results reveal the features of the tonal structures of daegeum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as the following: Firstly, there are 6 musical symbols for ornaments for the 12 keys presented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and the 10 keys in Sangyeongsan of Julpungnyu by National Gugak Center. Only one symbol, nire (∧) is used in Bonnyeongsan. The main key of Bonnyeongsan is do (the Hwang key) while that of Sangyeongsan is mi (the Jung key). Secondly, the basic 7 keys of Bonnyeongsan and Sangyeongsan are sol, la, do re, mi, sol', la'. Although both pieces extend the 7 keys to an octave higher ones two times, the consequences are different. Sangyeongsan resultingly uses only 10 keys excluding the octave higher sol' and la' whereas Bonnyeongsan uses 12 keys. Bonnyeongsan is similar to Sangyeongsan in the tonal system but reveals som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he basic keys in appearance, the tonal extension, and the usage of ornaments. 정읍줄풍류는 지역의 줄풍류에 국한되지 않고 영・호남지역의 풍류에 영향을 끼친 줄풍류이다.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활동한 인물 그리고 지역의 풍류활동에 미친 영향 등을 고려하면,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중요성은 높다. 정읍줄풍류의 첫 번째 곡 상령산(上靈山) 즉, 본령산(本靈山)는 본풍류에서 뒷풍류까지 연주된 악곡의 출발점이며, 영산회상 관련 파생곡들에 영향을 준 중요한 악곡이다. 본 연구는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의 대금 음조직을 연구하기 위하여 정읍줄풍류와 국립국악원 줄풍류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전계문의 풍류대금 가락을 전수한 것으로 알려진 신달룡의 대금 가락도 일부 포함하였다. 본령산 대금선율에 함의된 음조직(Tonal System) 즉, 출현음ㆍ골격음(Structure Tone)ㆍ주음(Tonal Center)ㆍ음계(音階)ㆍ음의 시종(始終)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에 출현하는 대금 음조직의 특징은 첫째, 정읍 본령산 12음과 국악원 상령산 10음에 해당하는 출현음에 사용하는 장식음에 관한 악상기호는 총 6종이다. 본령산에서는 니레(∧)만 사용되었다. 둘째, 정읍 본령산 핵음은 黃, 국악원 상령산은 仲이다. 셋째, 본령산과 상령산의 기본 7음은 㑣ㆍ㒇ㆍ黃ㆍ太ㆍ仲ㆍ林ㆍ無 이다. 본령산과 상령산의 음은 7음을 중심으로 옥타브 위의 음으로 확장되는 현상이 각각 2회 나타나지만, 확장의 결과는 상이하다. 확장의 결과 본령산은 12음을 사용하지만 상령산은 10음에 그치고 있다. 상령산에서 淋ㆍ潕음은 사용하지 않았다.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의 음조직은 국립국악원 상령산과 유사하지만 기본음의 출현빈도와 음의 확장 그리고 주요 시김새의 사용방법 등에서 일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 KCI등재

        백운풍류(白雲風流)와 삼걸적(三傑的) 사유(思惟)

        백숙아 ( Suk Ah Bae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8

        이 논문은 조선성리학의 꽃을 피우는데 당연 화두로 꼽히며 이 땅에 도학을 뿌리내리게 한 金宏弼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고 金麟厚와 柳希春등 당대 유명한 학자들을 지도했던 崔山斗와 湖南三傑, 그리고 유일한 스승인 호남도학의 조종인 김굉필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조선 성리학은 주자학을 근원으로 사물인식에 있어 산수자연을 음영하여 심성수양의 기틀로 삼는 문학이다. 우주섭리와 인간심성을 연결 짓는 성리학적 세계관과 그 미의식을 체계화하여 ``성리미학``이라 규정한다. 조선 사림파의 조종으로서 음영성정에 뜻을 둔 성리미학의 올곧은 학문을 전파한 한훤당 김굉필의 학문은 조광조와 최산두 같은 제자들에게 계승되어 도의 구현에 앞장서게 했다. 16세기 호남의 풍류문학을 논함에 있어 원림중심이나 계회형식 등 어떤 방법으로 연구하든 누가 뭐래도 역사적 사실과 종교·철학적 영향관계를 피해 갈 수 없다는 것은 여러 학자들의 논증에 의해 이미 주지한 바이다. 이 논문 역시 16세기의 호남문학의 역사적 사실과 그 시기 사림들이 지향했던 도학적 사상을 토대로 백운풍류를 논하려 한다. 한편 백운풍류라는 새로운 명명을 조명하게 된 계기는, 조선전기 호남(전남·북과 광주를 아우르는 말)의 풍류문학을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 담양권의 계산풍류와 전북권의 태산풍류, 그리고 전남 동부권의 백운풍류로 분류함이 사림문학의 발전과정을 보다 더 면밀하게 재조명할 수 있는 좋은 분류라 생각해서이다. 먼저 조선성리학의 조종인 김굉필이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며 제자를 길러낸 신재 최산두가 살았던 백운산을 기점으로 하여 백운풍류를 논하게 됨은 사림들이 학문을 뿌리내리게 한 주변의 명산이 한 시대의 문학명명에 쓰임은 바람직하다는 생각 때문이다. 강호시가를 풍류문학 속에 포함시킬 때, 강호시가에서 말하는 자연과 인공이 결합하여 경치 좋은 공간에 경영되어 하나의 세계를 이룬 것이 바로 문학적 가치가 아닐까 생각했다. 특히, 호남의 마지막 정맥인 백운산 자락에서 태어나 학문의 道를 닦은 최산두를 화두로 그와 관련된 인물들의 시적·정신적·학문적 교유관계 등을 통해 백운풍류라는 새로운 문학명명에 대한 의미를 부여한다. This thesis will be a useful material for understanding Choi San-doo and the three Honam masters who studied under Kim Goeng-pil (1454- 1504), who is counted as one of major contributors to the blooming of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and rooted Taoism in this land, and taught famous scholars in those days including Kim In-hoo (1510- 1560) and Ryu Hee-choon (1513-1577), and their only teacher and the originator of Honam Taoism Kim Goeng-pil.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is literature that recites landscape and nature and disciplines mind through perceiving things based on Chu Hsi Studies. It systematizes the Neo-Confucian world view and its aesthetic consciousness associating cosmic providences with human nature, and names it ``Neo-Confucian aesthetics.`` The scholarship of Hanhwondang Kim Goeng-pil, who is the originator of the Sarim faction in Chosun and spread the upright learning of Neo-Confucian aesthetics pursuing the recital of human nature, was handed down to his disciples such as Cho Gwang-jo and Choi San-doo and led the implementation of ``Tao.`` As many scholars have already demonstrated, in discussing Pungryu literature in Honam during the 16th century, it is impossible to neglect historical facts and the relations of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nfluence regardless of whether its focus is forest garden, social gathering, or anything else. This study also aimed to discuss Baekun Pungryu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of Honam literature in the 16th century and Taoist ideas pursued by Sarim scholars in those days. With regard to the reasons for the new name Baekun Pungryu, on the other hand, Pungryu literature of Honam (a term comprehending Jollanam-do, Jollabuk-do and Gwangju) in the early Chosu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are Gyesan Pungryu in the Damyang area, Taesan Pungryu in the Jollabuk-do area, and the Baekun Pungryu in the east Jollanam-do area, and this classification is considered desirable for reilluminat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Sarim literature more closely. We discussed first Baekun Pungryu, which was closest to Kim Goeng- pil, the originator of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and where Sinjae Choi San-doo educated his disciples. The inclusion of the name of a nearby noted mountain in literary naming is considered a meaningful literary value in that when gangho (river and lake) poetry is included in Pungryu literature the combination of nature and artificiality in gangho poetry is managed in scenic spaces and forms a world.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the new literary name Baekun Pungryu is enhanced by Choi San-doo who was born in the outskirt of Mt. Baekun, the last vein of Honam, and refined his scholarship there as well as by the poetic, spiritual and academic association of people related to him.

      • KCI등재

        풍류로 본 여가와 여흥

        박흥주(Park, Heung Ju) 실천민속학회 2013 실천민속학연구 Vol.21 No.-

        본고는 여가와 여흥문화를 풍류란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향후 한국인의 여가생활과 여흥문화가 어떻게 ‘격’을 갖게 되고, 현대 한국인들의 ‘멋’진 삶에 여가생활과 여흥문화가 기여할 수 있겠는가?를 모색하기 위해서였다. 본고는 현대의 여가문화가 가져야 할 ‘격’으로서 ‘멋’을 제시하였다. 현대의 여가문화가 지향하는 ‘행복한 현대인들의 삶’과 ‘멋있는 삶’과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멋진 삶’을 찾아가는 데 있어 적절한 문화로서 풍류를 제기하였다. ‘풍류가 바로 멋이다’는 정의에 공감대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풍류는 그 자체로 여가문화로서의 성격을 이미 갖고 있다. 풍류의 면면과 그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풍류를 생활로서 향유하는 ‘풍류객’에 주목하였다. 풍류객 즉, 화랑, 한량, 위항인, 기생, 주모 등의 풍류를 이해하면서 현대여가문화와의 접점 찾기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풍류객들이 일상적으로 놀았던 풍류는 현대여가의 정체성을 제공해주는 3가지의 조건, 즉 ‘자유, 행복, 사회와의 조화’라는 3가지 요소를 이미 포함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그 질적인 측면에서는 여가가 감당할 수 없는 영역까지 포괄하고 있음도 드러났다. 즉, 그것은 풍류가 ‘우주적 존재로서의 나를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자(우주인으로서)’로 위치지우는 우주관과 세계관을 기저로 하기 때문에 야기되는 결과였다. 이런 인식론에 바탕을 두고 자연에 인공미를 결합시켜 양자 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차원에서의 삶을 ‘멋진 삶’으로 여겼다. 이에 도달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내 자신 속에 있는 신명을 밝혀내 자연으로서의 생명성을 체감하게 하며, 이를 통해 우주와 삼라만상과 소통하도록 하였다. 이를 구현해나가는 효과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방안이 바로 가무를 중심으로 한 놀이와 예술이었다. 인공미의 발현인 것이다. 가무(예술)와 놀이가 풍류의 주요한 속성일 수밖에 없는 연유이기도 하다. 이런 풍류의 가치 지향은 “‘자유로우면서도 행복한 삶’을 사회와의 조화를 깨지 않는 한계 내에서 구가하려는” 여가의 삶과 차이를 보여준다. 멋진 삶은, 사회적 존재에 함몰되지 않고 우주적 존재로서의 자아를 ‘생명’ 차원에서 인식하고 위치 지우기 때문에, 생명이 본성대로 자유?자연스럽게 흘러가는데 장애가 되는 개인적?사회적?정치적인 요인들을 용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생명에 대한 저해요인을 해소시키려는 행동도 불사하였다. 사회보다도 더 근원적인 생명 차원에서의 상호 조화를 추구하는 결과인 셈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창의성으로 발현되어지며, 이것이 가능한 놀이내용과 활용방식을 계발해 놓았다. 종합하면, 풍류로서의 여가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명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은 적극 해소하려 행동할 필요가 있으며, ‘창의성’도 발현될 필요가 있었다. 대중여가시대를 완성해야 하는 책무와 함께 ‘개인적인 여가 창조시대’를 열어가야 할 시점에서 ‘여가의 질적 고양을 위한’ 즉, 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풍류성을 적극 수용한 여가의 창출’ 이라는 개념과 방안모색이 요구됐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개미와 배짱이의 장점을 함께 아울러 성공한 사람”으로서의 또랑광대가 갖는 풍류성의 적극 수용과 “자기에게 주어진 여건을 최대한 즐기는 것”으로부터 출발할 것을 제기하였다. In this paper, we consider about leisure and culture of entertainment in the view of Pungryu. By following the way which Koreans have been making ‘Geouk’(formation) in their leisure and entertainment, we are going to find how leisure and entertainment realize ‘Meot’ in contemporary Koreans lives. ‘Meot’ is important formation of Koreans’ leisure in this time. Because happiness which is keypoint of modern life is very related to ‘Meot’. Pungryu is suitable culture in finding ‘Meot’ in lives these days. Also pungryu already has characters about culture of leisure. To recognize Pungryu’s value, we pay attention to Pungryugeak, such as Hwarang, Hanryang, Wey-hang-in, Geesang, Jumo, who enjoy Pungryu in part of thier lives. This attempt is finding commonplace of Pungryu and modern leisure. As a result, Pungryu which is everydaylife of Pungryugeak already has three contents of modern leisure-freedom, happiness, harmony with society. In the aspect of quality, Pungryu deals with blank places which modern leisure couldn’t cover. It is because of Pungryu’s concept about universe. Human being is the link of the ground and the sky in this view. Meot is, moreover, consonance of natural amd artificial beauty. To approach this stage, you enlighten shinmyung in yourself to feel vigor about nature so that communicate with universe and Samramansang(all of the things). Art and playing with singing and dancing is useful and specific method to realize shinmyung. It is also rising of artificial beauty. This is the reason that singing, dancing, playing is important features of Pungryu. This pungryu’s value is similar with leisure which makes freedom and happiness in harmony with society. Lives with Meot did not lean on social burden. It considers oneself just in natural way. It cannot allow political, social or personal aspects to interrupt human being’s nature. So it cannot help diminishing whatever is harmful to vitality of life. This is the result of activities to make valance with basic nature. If you archive this, creativity is naturally born. Afterall the way how can play and adapt meot is naturally developed. All the take together, we have to remove all the obstacles about realizing nature of lives and developing creativity. This is the time to making popular leisure culture and personal creative method. It is needed to make leisure that is full of Pungryu. One of the specific methods is just enjoying conditions in one’s lives.

      • KCI등재

        李鼎輔 時調의 風流地理

        김주석(Kim, Ju-Seok)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4 No.-

        이 논문은 이정보(李鼎輔)의 풍류지(風流地)와 그 의미(意味)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정보의 풍류지는 ‘호동(壺洞)’과 ‘학탄(鶴灘)’이었다. ‘호동’은 그의관인생활(官人生活)의 근거지로 종묘(宗廟) 동쪽의 황교(黃橋)와 연지(蓮池)가 있는 마을이었다. ‘학탄’은 그의 귀거래(歸去來) 근거지로 주변에 저자도(楮子島)와 무동도(舞童島)가 있던 곳으로 탄천(炭川)과 양재천(良才川)이 한강(漢江)에서 만나는 학여울이었다. 주목되는 의미는 이정보의 풍류생활(風流生活)이 비록 치사(致仕) 후에 본격화되었다고는 해도 이미 관직에 봉직할 때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학탄풍류(鶴灘風流) 역시 그 시원(始原)이 오래된 것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object of determining place of Lee, Jeong-bo(李鼎輔)’s Pungryu(風流) & its meaning. Place of Lee, Jeong-bo’s Pungryu(風流) is Hodong(壺洞) & Haktan(鶴灘). Hodong(壺洞) is located toward east at Jongmyo(宗廟). That place was Hwanggyo(黃橋) & Yeonji(蓮池). At that time, Haktan(鶴灘) was in Eonju-myeon(彦州面) of Gwangju-bu(廣州府). That place is Hangnyeoul flowing together Tancheon(炭川) & Yangjaecheon(良才川). Jeojado(楮子島) & Mudongdo(舞童島) was neighborhood. Lee, Jeong-bo’s Pungryu-life(風流生活) was already beginning since serve in a government. Therefore HaktanPungryu(鶴灘風流) is also beginning a long time ago.

      • KCI등재

        일본 고전문학의 풍류와 미야비에 대한 연구 - 만엽집과 이세 이야기, 다케토리 이야기를 중심으로 -

        이상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2

        본 논문에서는 고대 동아시아의 문학을 풍미했던 풍류(風流)가 고대 일본 문학에 언제부터 존재했고, 이 풍류 는 어떻게 변천해서,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문학의 미의식을 대변하는 「미야비」로 발전하였는가? 그리고, 이 미야비는 <이세 이야기>의 「이치하야키미야비」와는 어떻게 다른가? 하는 점을 구명하려고 한다. <만요슈(万 葉集)>의 「풍류(風流)」와 「유(遊)」는 일본의 상대(上代) 문학과 헤이안 시대 문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미의식의 하나다. 중국에서 도덕적 풍격을 의미하는 풍류가 호색을 의미하는 풍류로 변화하는 것은 육조기(六朝期)의 노장사상 (老莊思想)의 유행, 특히 육조 후기에 신선도(神仙道)가 큰 세력을 가진 것과 관련된다. 선계(仙界)의 생활을 모방하는 것으로, 금(琴), 시(詩), 술(酒), 기(妓)를 중요한 요소로 하는 당시(唐詩)의 풍류가 생겨나게 되었다. 오후미조(近江朝)에는 여가가 생겨서, 한시문(漢詩文)이 흥륭(興隆)하고, 이것은 의례제도(儀禮制度) 정비의 일환이고, 그 성공을 현창(顯彰)하는 것이다. 오후미 풍류(近江風流)는 천자(天子)와 현신문사(賢臣문사文士) 의 풍류로, 중국의 풍류 중에서 개인적인 도덕적 품격을 의미하는 풍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풍류」와 「미야비(みやび)」는 본래 다른 말이다. 「풍류」를 「미야비」로 읽는 것은 「풍류」가 서울 풍(都風)으로 인식된 것에 의한다. 「미야비」가 지토조(持統朝)에 모습을 나타낸 것은 지토조에 후지와라쿄(藤原京)가 건설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후지와라쿄는 도성제(都城制)를 채용한 최초의 본격적인 서울인 미야코(都)다. 서울 풍(都風)인 것을 주장하는 「미야비(みやび)」는 본격적인 서울(都) 없이는 출현할 수는 없는 것이다. 02/0126-0127 가군(歌群)의 「미야비」는 서울이 예의질서의 공간으로 간주된 것은 무관하지 않다. 후지와라쿄 에서부터 천황(天皇)의 덕(德)을 유출(流出)시키고 있는 한, 후지와라쿄에서는 예의가 지켜진다. 후지와라쿄 의 예의질서는 천황의 덕성(德性)이 발현되는 증명이다. 그리고, 상기의 가군에서는 후지와라쿄의 예의질서를 지키는 풍류를 「미야비」로 하고 있는 것이다. 후지와라구(藤原宮)의 풍류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 오호토모 스쿠네타누시(大伴宿祢田主)의 「풍류」이고, 그의 풍류는 도덕적인 것이다. 이시카와 이라츠메(石川女郎)의 풍 류는 호색적인 것으로 헤이죠쿄(平城京)의 「미야비」의 가교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관매(觀梅)의 대아연(大雅宴)은 덴표(天平)의 「풍류사(미야비오)」들에 의해서 정진정명(正眞正銘)한 「미야비」 라고 하는 말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결국, 만요 시대의 미야비는 이렇게 해서 중국으로부터 도래한 풍류사상과 새롭게 완성된 서울 문화를 중심으 로 해서, 일본적인 문화이념으로까지 발전하여 헤이안(平安) 시대의 문학이념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세 이야기(伊勢物語)>의 「이치 하야키 미야비」는 미야비의 세계를 생애 처음으로 경험하는 젊은이가 과감 하면서도 세련되게 한 성급한 행동」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표현이 아닌가 한다.

      • KCI등재후보

        변찬린의 풍류사상에 대한 종교적 이해

        이호재(Lee Ho-Jae)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5 No.-

        이 글은 변찬린(Byun, Chan-lin, 1934-1985)의 풍류(Pung-ryu)사상에 대한 종교적 이해를 통해 풍류체라는 궁극적 인간(Ultimate Human)이 포스트휴먼시대의 영성담론으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고, 기존의 풍류사상이 한민족의 종교적 정체성을 규정하는데 한정된 담론으로 형성되어 포스트 휴머니즘이라는 공론화된 담론과는 동떨어진 논의로 전개된 한계를 극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에 포스트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에 대한 종말론적인 우려와 매력에 대한 많은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 이런 담론은 정보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공학 등 과학기술의 도움으로 새롭게 탄생될 인간 유형에 대한 관심이 대부분이다. 즉 생물학적인 인간의 한계를 인정한 후 외부의 힘을 빌어 이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에 대하여 변찬린은 한국의 종교적 정체성인 풍류사상과 성서의 부활체의 이해지형의 융합을 통한 풍류체(The Body of Pung-ryu)로서 포스트 휴먼 시대의 담론으로서 정초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풍류(Pung-ryu)=신선(Immotal)은 생물학적인 인간이 과학기술의 도움 없이도 궁극적 인간으로 존재론적 탈바꿈(transformation)을 하는 인간담론으로 자리매김한다. 즉 궁극적 인간인 풍류체는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공을 초월하며 자유자재로 현신(顯身)한다. 동시에 풍류체는 세계 종교가 지향하는 궁극적 인간의 메타언어이자, 창조적 진화를 구현한 영성적 인간이다. 풍류체는 과학문명의 힘을 빌리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종교적 황금률을 실천하는 생활종교인이며, 공동의 깨달음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종교적 기제이다. 이를 통해 풍류사상과 풍류체 담론은 과거의 회귀적인 닫힌 민족담론을 탈피하여 포스트 휴먼 시대의 열린 담론으로서의 타당성과 가능성을 동시에 제기하며, 포스트 종교운동의 지향점을 제시하기도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Ultimate Human, also known as the body of Pung-ryu, is possible as spiritual discourse in the post-human era through the religious understanding of Byun Chan-lin`s (1934-1985) Pung-ryu (風流) ideology. Existing Pung-ryu ideology was developed with some limitations with regard to defining the religious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Thu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whereby existing Pung-ryu ideology has been disconnected from the public discourse of post-humanism. Recently, many discourses have been developed regarding eschatological concerns and the appeal of post-humanism and the era of post-humans. Most of these discourses focus on the new types of human beings which will be born with the help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information engineering, biotechnology, nanotechnology, and robotics. In other words, these discourses relate to attempts by humans to overcome their biological limitations by artificial means. With regards to this, Byun Chan-lin presents a new perspective that could lay the foundation for post-human era discourse based on Pung-ryu ideology, i.e. Korea`s religious identity. The idea of ‘Pung-ryu = Immortal’ has been positioned as a human discourse on the ontological transformation of biological human beings into the Ultimate Human without the aid of science and technology. Meanwhile, the Body of Pung-ryu is the meta-language of the Ultimate Human sought by world religions and a spiritual human who is an embodiment of creative evolution. The Body of Pung-ryu does not seek help from scientific civilization. It is, instead, a lifestyle and religion that involves practice of the religious golden rule in everyday life. It is a religious mechanism that can be realized through common enlightenment. Through this, the Pung-ryu ideology and the Body of Pung-ryu discourse breaks away from the regressive, closed national discourses of the past, raises both the feasibility and possibility of an open post-human era discourse,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post-religious movement.

      • KCI등재

        음악교과서의 풍류음악 수록 양상 및 지도방향 모색

        한영숙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풍류음악은 초․중등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에 대표적으로 수록되는 악곡 중의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풍류음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풍류음악의 올바른 지도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풍류음악의 지도내용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교과서에는 전혀 수록되지 않았고, 5~6학년군 및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는 풍류음악을 간략하게 다루었으나 일부 개념을 잘못 제시하거나 범주를 설정함에 있어 오류가 있다. 풍류음악의 관련 내용이 극히 단편적으로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내재된 역사․문화적 맥락과 문화적 가치 등을 폭넓게 지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풍류음악의 지도방향을 설정해 보았다. 첫째, 역사적 맥락에 기초하여 풍류음악은 풍류객들이 풍류방에 모여서 연주하고 즐겼던 음악임을 알고, 풍류객들이 인격 수양, 즉 자신의 정서를 순화하기 위하여 연주한 음악이었음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풍류음악의 범주는 원래 기악곡에 영산회상과 천년만세가 해당하고, 성악곡에는 가곡․시조․가사가 포함된다. 근래에 악기편성의 맥락에서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줄풍류와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대풍류로 구분한다는 것에 유의하여 지도해야 하며, 간혹 악곡명으로 쓰이는 경우 영산회상을 보통 줄풍류라고 한다. 사용 용도에 따라서 동일한 악기편성이지만 무용반주인 삼현육각에 비해 감상 위주의 기악곡으로 연주될 때, 대풍류라고 부른다. 또한 지영희가 계승한 ‘대풍류 한바탕’에서 대풍류라는 명칭이 하나의 악곡명으로 자리매김하였는데, 기악곡이나 일부 무용 반주음악에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풍류음악과 관련이 있는 고악보와 가집을 통해서 선비들이 가장 즐겨 연주했던 악기는 거문고이며, 영산회상과 가곡을 즐겨 연주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넷째, 영산회상과 가곡은 오랜 세월 동안 보존․전승되었고,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음을 이해함으로써 풍류음악의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풍류음악의 교수․학습은 음악교과서에 명확한 개념 제시와 적절한 악곡 수록, 그리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문화적 가치 인식에 관한 활동이 수록될 때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풍류음악의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악곡을 이해시키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지도내용을 구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Pungryu music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pertoires for appreciation in music textbooks. This study aims to find a desirable educational approach to Pungryu music by examining the contents relevant to Pungryu music in music textbooks. The examination of the Pungryu music in the textbooks revealed that the music was included in none of music textbooks for 3th and 4th grade and only short description of the music was introduced in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 In addition, errors were identified in defining some concepts and setting categories, so it was believed that there was a limit to extensively teach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nd cultural values inherent in Pungryu music. For this, the instructional approaches for Pungryu music were set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ly,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the focus of the educational approaches should be on the fact that Pungryu music is a type of music that Pungryugaek played and enjoyed in pungryubang and it was meant for building their personalities and characters, in other words, musical performance for refining their emotions. Secondly, in the original category of Pungryu music, Yeongsanhoesan and Cheonnyeonmanse belong to instrumental music while gagok, gasa, and sijo belong to vocal music. However,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note that in a recent orchestration context, the string instrument-oriented Pungryu (julpugnryu) is separate from the wind instrument oriented-Pungryu (daepugnryu). When used as the title of a song, Yeongsanhoesang is often referred to as julpugnryu. It is the same orchestration with samhyunyukgak for the accompaniment of Korean dance, but when being played as instrumental music on the purpose of appreciation, it is called daepugnryu. In addition,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understand that Daepungryu., as a title of music, originated from Daepungryu hanbatang succeeded by Ji, Young-hee and it is used in instrumental music and some dance accompaniment music. Thirdly, through ancient scores and collections of poems related to Pungryu music,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understand that seonbi enjoyed playing Yeongsanhoesang and gagok on the goemungo. Fourthly, the cultural values of Pungryu music should be recognized by making students understand that Yeongsanhoesang and gagok, inherited and preserv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re work of great artistic value. Teaching Pungryu music can be completed with the accurate presentation of concepts, the inclusion of appropriate repertories,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inclusion of class activities for the recognition of cultural values of the music. Thus,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Pungryu music in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nd design lesson plans with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선비풍류(風流)가 빚어낸 문인화의 이상향(理想鄕) - 풍죽(風竹)의 문인화(文人畵) 경계(境界) -

        권윤희 ( Yun Hee K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6 동양예술 Vol.31 No.-

        풍류(風流)는 ‘바람이 정체되거나 막히지 않고 흐르는 것’으로 ‘자유’, ‘자연스러움’, ‘변화’, ‘움직임’, ‘아름다움’ 등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풍류는 자연과인생과 예술이 혼연일체가 된 미적 표현으로 자연·멋·음악·예술·여유·자유분방함·즐거움을 본질로 한다. 또한 풍류는 자연친화적인 것이며 동시에 자연과의 교감이며 나아가서는 자연과의 합일, 자연으로 회귀를 의미한다. 그러나 풍류를 즐기는 방향은 사람마다 그의 개성과 기호에 따라 서로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선비의 풍류는 노는 것이지만 정신적인 영역까지 포함하고, 예술적·심미적 요소가 함께하고 있다. 즉, 선비풍류의 본질은 자연 속에서 ‘자연’과 ‘나’를 합치시키는 근원적인 미적 체험이 선비가 지향한 풍류의 본질이다. 선비풍류가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은 선비정신의 추구와 자연과 친화의 추구에 있다. 풍죽은 선비풍류를 담고 있는 대표적인 문인화로서 바람과 맑음의 선비풍류적인 요인을 가지고 있다. 즉, 바람과 맑음은 풍죽 문인화가 선비풍류를 문인화라는 장르에서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자이다. 따라서 바람은 기운생동한 기세의 미학으로, 또한 맑음은 俗除淸至한 신채의 미학으로 심미된다. 이러한 경계의 풍죽 문인화는 강암의 풍죽 등에서 심미하여 볼 수 있다. 특히 강암의 풍죽에는 선비풍류의 본질과 조건이 담겨 있으며 견정의 미감·광일의 미감 등 다양한 미감으로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문인화 장르 가운데 선비풍류를 대표하는 풍죽의 이상경계이면서 상징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풍죽의 심미경계를 고찰하여 보면 선비풍류가 빚어낸 문인화의 이상향이 풍죽의 문인화에 구현될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는 결국 선비정신의 추구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과 함께하는 삶과 철학의 결과에서 나오는 예술경계이며 선비풍류가 빚어낸 이상향의 구현이라 살 수 있다. Pungryu is a kind of taste and wisdom that make people calm and happy with nature. Pungryu means ‘wind or water flows without clogging’ and it involves the concept, ‘freedom, being natural, change, moving, beauty’ But pungryu has very complicated meaning, because it is not the simple flowing wind and water but the nature must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with human. So pungryu is a kind of amusement culture based on esthetic cognition, the original of amusement culture, and the original of artistic culture. Pungryu developed as a religion·religious ritual in the thinking world and as a poem·caligraphy ·painting ·go·kayag?m that enjoy culture and art as time goes. Pungryu is nature friendly, and at the same time a mutual response with nature, and further it is a union with nature. Therefore pungryu is a esthetic expression of the state of whole unity with nature, life, and art involving the concept of nature·taste·music·art·free spirit·joy. The spirit of pungryu pursues natural harmony without artificial skill. So pungryu is freedom and ideal thing. But the direction of enjoying pungryu is various depending on human’s individuality or taste. Especially a confucian literati enjoyed pungryu in the groups named, sisa·sigye·gyehyue. writing poem, doing caligraphy, and drawing painting. One of the best among them can be windy bamboo. A windy bamboo is a literati painting symbolizing literati’s spirit and that can express esthetic state when all three of poem, caligraphy, and painting are making harmony. A windy bamboo contains a symbol of literati’s spirit as a metaphor and interaction, flowing, and sympathy. Like this a windy bamboo basically contains characteristics of pungryu. A windy bamboo is a literati painting containing literati’s pungryu esthetics. Therefore it is a utopia and symbol of pungryu that ex presses a noble style and dignity. I studied esthetic state of Gangam’s windy bamboo based on pungryu esthetic side. Gangam’s windy bamboo esthetics showing strongness became incarnation of literati spirit and showed various esthetic state such as stable & solidityi, rush about & deviation. This is ideal state and symbol representing literati’s pungryu. And the pungryu of Gangam’s windy bamboo is ‘sound of pure bamboo- leaves’ So my ‘sond of pure bamboo-leaves’ is another symbol of windy bamboo that is a utopia created by pungryu. Therefore I think joyful windy bamboo esthetic state depends on pursuing one and appreciating one as the utopia created by pungryu became a windy bamboo of ‘sound of pure bamboo-lea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