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증평 이성산성 축조기법에 대한 검토

        심정보 한국성곽학회 2014 한국성곽학보 Vol.25 No.-

        증평 이성산성은 토축산성으로 남성과 북성이 이격하여 축조되어 있어 입지적인 약점을 서로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백제산성의 특징 중에 하나인 모자성에 해당한다고 하겠으나 두 城모두 내성과 외성을 갖추고 있는 특이한 유형에 속한다고 하겠다. 북성의 전체 둘레는 내성 219m, 외성이 310m로 내외성의 공유벽 100m를 포함하여 전체 둘레는 429m이다. 南城은 이성산 정상부를 에워싼 테뫼식산성과, 계곡을 포함한 포곡식산성이 부가된 복합식산성으로 테뫼식산성의 둘레는 741m이고, 포곡식의 외성은 1,052m으로 내·외성 공유벽 191m를 제외하면 전체 둘레는 1,411m에 달한다. 남성의 체성 축조기법은 성토기법을 기본으로 하되 부분적으로 유사판축기법이 채용되고 있으며, 북성은 남성 보다 유사판축기법이 좀 더 많이 채용되면서 판축기법도 관찰되고 있어 남성 보다 발전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하겠다. 기저부 조성에 있어서 성토층의 유동성을 억제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목주를 시설한 점과 암반 외벽 경사면에 성토층의 접착력 감소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길게 홈을 파서 기저부 성토층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시설은 새롭게 확인된 것으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특히, 남성과 북성 모두 체성 축조에 있어서 벽심을 시설하여 이에 의지해서 축성해 나간점과, 남성 서벽에서 확인된 표토블록의 사용 사례는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토성축조기법에 있어서의 다양한 축성방법 중의 하나가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영정주와 협판을 사용하지 않고 성벽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벽심이 협판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기 때문에 유사판축에 의한 축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토성 축조에 있어서 판축기법이 보급되기 이전에 축성공정을 앞당길 수 있는 중요한 시설이라 하겠다. 남성 서벽에서 확인된 표토블록은 외벽 벽심을 내향하여 사직선으로 보축하여 형성한 중심토루를 보강한 것이라 하겠다. 표토블록은 유사판축이 판축기법에 준해서 목봉으로 다지기 때문에 이 압력으로 중심토루가 뭉개지거나 내려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한 발전된 축성기술의 하나라 하겠다. 중심토루를 토괴(土塊)로 보강하고 이 중심 토루에 의지해서 유사판축으로 토성을 구축한 사례로 지탑리토성이 주목되며, 증평 이성산성 보다 선행한다고 판단되어 어느정도 계통성을 살필 수 있는 성곽유적이라고 하겠다. 앞으로도 점토괴나 표토블록을 사용한 토성의 조사사례가 축적되어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그리고, 토성 조사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성토법, 삭토법, 판축법 외에도 다양한 축조기법이 확인될 가능성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할 점이라 생각된다. Iseongsanseong Fortress in Jeungpyeong is an earthen fortress which is composed of north and south fortresses. Since these two fortresses were built separately, each of them can make up for the other one’s geographical weaknesses. Such a structure called “mother and son” was commonly used for many of Baekje’s mountain fortresses. However, what makes Iseongsanseong unique is the fact that each of its north and south fortresses has an inner and outer wall. The body of the south fortress was mainly constructed with the remblai technique while part of it was built with the semi-rammed earth technique. For the north fortress, this second technique was used more often while the real rammed earth technique has also been identified. This implies that the north one has a more developed form compared to the south one. Meanwhile, new meaningful discoveries were made in Iseongsanseong. First, wooden poles were erected on the base in order to keep the remblai layer from moving. Second, a special structure with a groove was used to ensure that the remblai layer on the sloped outside is fixed to the one on the base. Other important discoveries were made; each of north and south fortresses has a center line of wall in its body and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fortress includes surface soil blocks. These discoveries are notable because they constitute two of the diverse construction techniques of earthen fortifications that have been discussed recently. First, a center line plays the role of planks when building a fortress without pillars or planks, so the semi-rammed earth technique can be used. Second, surface soil blocks complement central earthworks that are formed in a diagonal line coming from the central line of the wall on the outside. Such blocks also constitute another advanced construction technique. When using the semi-rammed earth technique, these blocks are hardened as they are hit by wooden clubs. Such strengthened blocks prevent the central earthworks from collapsing. Finding other cases of earthen fortifications using clay masses or surface soil blocks could contribute to a rich comparative study.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diverse construction techniques other than remblai, soil levelling and rammed earth techniques which have already been found through research on earthen fortifications.

      • KCI등재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에서 토괴의 기능과 의미

        손재현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7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로는 고분·토성·제방·대형 건물 등이 있다. 최근 이들 유적의 발굴조 사 과정에서 덩어리 형태의 흙, 즉 토괴를 성토재로 사용한 경우가 다수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토괴는 그간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었으며 주로 구획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용어의 혼용으로 토괴의 명확한 개념 정리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토괴의 사용 양상 에 대한 관행적 해석이 반복됨에 따라 토괴 사용이 갖는 기능과 의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혀 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먼저 토괴의 개념정리 후 토괴 사용이 알려진 유적 27개소를 대상으로 삼아 검토 하였다. 그 결과 고분·성곽·제방·대형 건물 등 성토구조물이라 볼 수 있는 모든 유구의 축조 에서 토괴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현대공법과 유적 검토 결과를 참고하여 토괴의 구분 기준을 제시하고, 분류를 시도하 였으며, 사용방법과 기능을 제시하였다. 토괴의 사용방법은 유적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구의 성격뿐 아니 라 사용된 토괴의 종류 또한 채토환경의 영향을 받고 종류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얻고자 선택적 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외 유적 사례 검토를 통해 중국, 일본, 넓게는 서~중앙아시아에서도 토괴가 사용되었 음을 확인하게 되면서 토괴를 사용한 축조기술은 특정지역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광 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렇듯 기후조건이 달랐음에도 토괴가 널리 쓰 인 이유는 토괴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얻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근거를 통해 성토구조물의 축조에서 토괴의 사용이 갖는 의미를 단순한 운반의 편의성 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주요 성토기법을 보조하는 하나의 보조공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Korea’s ancient Embankment structures are assemblages a complex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is results of reflected in national power. Embankment structures include burial mounds, earthen fortications, embankments and large buildings. In recent excavations involving these structures, there are many cases that have been discovered to have used lump shaped soil, as known as clay clod, and such cases are drawing attention. Clay clods have been named in many different terms and have been thought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dividing sections. But with the mixed use of different terms,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clay clod was not made and as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n the aspects of usage of clay clods were made continuously,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that the use of soil clods holds were not specifically identied. This paper firstly clarifies the concept of clay clod and examines 27 sites that have been known to have used clay clods. As a result of examination, it was revealed that every features that can be identied as mound structures such as burial mounds · fortications · embankments · large buildings and etc have used clay clods. Nextly, by referring to modern building techniques and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sites, this paper renders a criteria to classify soil clods, classifies the soil clods and renders the methods of use and meanings of soil clods. It was found out that the usage of clay clods differs by the character of a site. The type of clay clod that is used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character of the feature, but also by the condition of the soil collecting,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each types were collectively used to obtain diverse functions. Meanwhile, by examining sites overseas, the paper found out that soil clods were used in China, Japan and also in West~Central Asia and reveals that mounding technique involving the use of soil clods is not something that is limited to a specic region but a widespread technique in many different regions used over time. clay clodwould have been broadly used, despite the climate dierence, in order to obtain dierent functions from it. In this reason, the meaning of the usage of clay clods in the construction of Embankment structures should be understood not just as simplifying the transport of soil, but as an auxiliary construction technique that assists the main mounding techn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