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에서 토괴의 기능과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5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로는 고분·토성·제방·대형 건물 등이 있다. 최근 이들 유적의 발굴조 사 과정에서 덩어리 형태의 흙, 즉 토괴를 성토재로 사용한 경우가 다수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로는 고분·토성·제방·대형 건물 등이 있다. 최근 이들 유적의 발굴조 사 과정에서 덩어리 형태의 흙, 즉 토괴를 성토재로 사용한 경우가 다수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토괴는 그간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었으며 주로 구획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용어의 혼용으로 토괴의 명확한 개념 정리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토괴의 사용 양상 에 대한 관행적 해석이 반복됨에 따라 토괴 사용이 갖는 기능과 의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혀 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먼저 토괴의 개념정리 후 토괴 사용이 알려진 유적 27개소를 대상으로 삼아 검토 하였다. 그 결과 고분·성곽·제방·대형 건물 등 성토구조물이라 볼 수 있는 모든 유구의 축조 에서 토괴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현대공법과 유적 검토 결과를 참고하여 토괴의 구분 기준을 제시하고, 분류를 시도하 였으며, 사용방법과 기능을 제시하였다. 토괴의 사용방법은 유적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구의 성격뿐 아니 라 사용된 토괴의 종류 또한 채토환경의 영향을 받고 종류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얻고자 선택적 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외 유적 사례 검토를 통해 중국, 일본, 넓게는 서~중앙아시아에서도 토괴가 사용되었 음을 확인하게 되면서 토괴를 사용한 축조기술은 특정지역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광 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렇듯 기후조건이 달랐음에도 토괴가 널리 쓰 인 이유는 토괴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얻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근거를 통해 성토구조물의 축조에서 토괴의 사용이 갖는 의미를 단순한 운반의 편의성 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주요 성토기법을 보조하는 하나의 보조공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s ancient Embankment structures are assemblages a complex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is results of reflected in national power. Embankment structures include burial mounds, earthen fortications, embankments and large buildings. In recen...

      Korea’s ancient Embankment structures are assemblages a complex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is results of reflected in national power. Embankment structures include burial mounds, earthen fortications, embankments and large buildings. In recent excavations involving these structures, there are many cases that have been discovered to have used lump shaped soil, as known as clay clod, and such cases are drawing attention. Clay clods have been named in many different terms and have been thought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dividing sections. But with the mixed use of different terms,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clay clod was not made and as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n the aspects of usage of clay clods were made continuously,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that the use of soil clods holds were not specifically identied. This paper firstly clarifies the concept of clay clod and examines 27 sites that have been known to have used clay clods. As a result of examination, it was revealed that every features that can be identied as mound structures such as burial mounds · fortications · embankments · large buildings and etc have used clay clods. Nextly, by referring to modern building techniques and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sites, this paper renders a criteria to classify soil clods, classifies the soil clods and renders the methods of use and meanings of soil clods. It was found out that the usage of clay clods differs by the character of a site. The type of clay clod that is used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character of the feature, but also by the condition of the soil collecting,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each types were collectively used to obtain diverse functions. Meanwhile, by examining sites overseas, the paper found out that soil clods were used in China, Japan and also in West~Central Asia and reveals that mounding technique involving the use of soil clods is not something that is limited to a specic region but a widespread technique in many different regions used over time. clay clodwould have been broadly used, despite the climate dierence, in order to obtain dierent functions from it. In this reason, the meaning of the usage of clay clods in the construction of Embankment structures should be understood not just as simplifying the transport of soil, but as an auxiliary construction technique that assists the main mounding techniqu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토괴의 분류
      • 1. 토낭
      • 2. 블록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토괴의 분류
      • 1. 토낭
      • 2. 블록
      • 3. 브릭
      • Ⅱ. 토괴 사용 유적 검토
      • 1. 고분
      • 2. 토성
      • 3. 제방
      • 4. 기타
      • Ⅳ. 토괴의 기능과 기술사적 의미
      • 1. 기능
      • 2. 기술사적 의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원문화재연구원,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2 홍보식, "蓮山洞古墳群의 調査 成果와 高塚古墳 築造 技術" 釜山大學校博物館 2013

      3 釜山博物館, "蓮山洞古墳群-고총고분 기초 조사" 2012

      4 釜山博物館, "蓮山洞 M3號墳" 2014

      5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화성시 향남읍 요리 270-4번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4

      6 中部考古學硏究所, "화성 향남읍 요리 270-7번지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1

      7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함안 말이산고분군 발굴조사 학술용역 약보고서" 2014

      8 이혁희,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한국고고학회 (89) : 173-215, 2013

      9 손재현,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에서 토괴의 사용과 그 의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5

      10 중원문화재연구원, "충주 탄금대토성Ⅰ" 2009

      1 중원문화재연구원,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2 홍보식, "蓮山洞古墳群의 調査 成果와 高塚古墳 築造 技術" 釜山大學校博物館 2013

      3 釜山博物館, "蓮山洞古墳群-고총고분 기초 조사" 2012

      4 釜山博物館, "蓮山洞 M3號墳" 2014

      5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화성시 향남읍 요리 270-4번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4

      6 中部考古學硏究所, "화성 향남읍 요리 270-7번지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1

      7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함안 말이산고분군 발굴조사 학술용역 약보고서" 2014

      8 이혁희,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한국고고학회 (89) : 173-215, 2013

      9 손재현,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에서 토괴의 사용과 그 의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5

      10 중원문화재연구원, "충주 탄금대토성Ⅰ" 2009

      11 우리문화재연구원, "창녕 교동 고분 유적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2

      12 중원문화재연구원, "증평 이성산성Ⅰ-남성 남수문지-" 2011

      13 중원문화재연구원, "증평 이성산성 4차(북성)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집"

      14 중원문화재연구원, "증평 이성산성 3차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1

      15 우리문화재연구원, "울산우정혁신도시부지 2구역 1차 C2-B구간 내 蔚山 藥沙洞 遺蹟" 2012

      16 전용호, "영암 옥야리 방대형고분의 대외교류상과 연대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4

      17 경기도박물관, "소근산성" 2012

      18 홍보식, "삼국시대 고분 축조기술" 대한문화재연구원 2013

      19 임지나, "삼국시대 고분 축조기술" 대한문화재연구원 2013

      20 권오영, "삼국시대 거대 토목구조물의 축조기술–성과 제방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博物館 2013

      21 慶南考古學硏究所, "봉황토성" 2005

      22 권오영, "백제와 주변세계" 성주탁 교수 추모논총 간행위원회 2012

      23 권오영, "백제 한성기의 도성과 지방도시" 중부고고학회 11 (11): 85-110, 2012

      24 곽스도, "백제 벽골제 발굴보고" 백제학회 2013

      25 충청문화재연구원, "당진 성산리 유적 추가 법면구간 및 성산리 유적(3-1지점) 약보고서" 2011

      26 전라북도문화재연구원, "김제벽골제(사적제111호) 3차 학술발굴조사 자문회의 자료"

      27 전라북도문화재연구원, "김제 벽골제Ⅰ-사적 제111호 벽골제 1차년도 중심거 발굴조사" 2014

      28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고성 송학동 고분(기월리 1호분)"

      29 권오영, "고대 성토구조물의 축조기술과 의림지"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10

      30 권오영, "고대 성토구조물의 성토방식과 재료에 관한 시론" 한강문화재연구원 5 : 2011

      31 大東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 第73~75號墳" 2012

      32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2011년 동성벽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33 尹武炳, "金堤 碧骨堤 發掘報告"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7 : 1976

      34 李承烈, "達城 城下里1號墳의 構造와 築造方法" 2012

      35 李奕熙, "華城 吉城里土城의 構造와 性格"

      36 江浦洋, "羽曳野市蔵塚古墳の築造技術とその系譜" 14 : 1998

      37 曹永鉉, "盛土封墳의 築城方式" 2005

      38 조영현, "皇南大塚과 天馬塚의 區劃築造에 대하여" 영남고고학회 31 : 83-116, 2002

      39 金義中, "生産遺蹟을 통해본 採土行爲와 흙의 活用" 2014

      40 이혁희, "漢城百濟期 土城의 築造技法"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3

      41 青木敬, "武蔵府中熊野神社古墳の墳丘と石室" 東京考古談話会 2006

      42 慶南考古學硏究所, "昌寧 桂城 新羅 高塚群" 2001

      43 青木敬, "日本古墳の墳邱築造技術とその系統" 釜山大學校博物館 2013

      44 青木敬, "小羽山墳墓群の研究編" 2010

      45 曹永鉉, "封土墳의 盛土方式에 관하여-區分盛土現象을 中心으로" 嶺南考古學會 13 : 1993

      46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堤川 義林池 시·발굴조사보고서" 2014

      47 金宇植, "土木施工技術士" 성안당 2013

      48 우리문화재연구원, "咸安 伽倻里 堤防遺蹟" 2010

      49 青木敬, "古墳築造の研究-墳丘からみた古墳の地域性" 六一書房 2003

      50 江浦洋, "古墳築造の復元的硏究" 雄山閣 2009

      51 江浦洋, "古墳築造と土のう積み工法" 102 : 2008

      52 青木敬, "古墳時代研究の現状と課題 上" 2012

      53 青木敬, "古墳における墳丘と石室の相関性" 23 : 2007

      54 三浦淸, "出雲市大念寺古墳の築造技術-特に土木地質學的視點から"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2.65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