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1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국내 폐경기 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분석

        송은주(Eun Ju Song),박숙경(Sook Kyoung Park)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3 사회융합연구 Vol.7 No.6

        본 연구는 2021년 한국 지역사회건강조사 대상자 중 폐경기 여성 46,941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복합 표본설계를 이용하여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범주형 변수의 그룹 차이는 Rao-Scott Chi- square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국내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과 관련된 유의한 요인은 연령(B=-0.01, p=.026), 가구 월소득(B=0.39, p<.001), 직업상태(B=-0.21, p<.001), 배우자 유무(B=-0.13, p=.040), 현재 흡연 여부(B=0.32, p=.001), 폭음(B=0.15, p=.011), 주관적 건강 상태(B=-0.16, p=.040), 스트레스(B=0.92, p<.001), 행복지수(B=-0.22, p<.001), 인지기능 변화(B=0.61, p<.001), 삶의 질 (B=-0.48, p<.001)로 파악되었다. 이들 변수는 폐경기 여성 우울증의 영향요인으로 17.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폐경기 여성의 정신 건강 및 신체적 문제가 우울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의 감소를 위해 본 연구에서 파악된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 극복을 위한 맞춤형 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in Korea.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data from the 2021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of 46,941. The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were calculated using a complex and weighted sample design. Group differences in categorica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Rao-Scott Chi- 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in Korea. After examining the research findings in detail, it was found that age (B=-0.01, p=.026), monthly household income (B=0.39, p<.001), and occupational status (B=-0.21, p<.001)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Other variables that contributed to depression were spouse (B=-0.13, p=.040), current smoking status (B=0.32, p=.001), binge drinking (B=0.15, p=.011), subjective health status (B=-0.16, p=.040), stress (B=0.92, p<.001), happiness index (B=-0.22, p<.001),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B=0.61, p<.001), and quality of life (B=-0.48, p<.001). Together, these variables explained 17.1% of depression in postmenopausal wom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ntal health and physical problems increase the risk of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mid-life depression,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and education programs to overcome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focusing on the influencing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 KCI등재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폐경기 여성의 고혈압 관리를 위한 운동 중재 비교 연구

        문혜경,이은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systematically analyze the dose - response exercise program and its effects for the control of hypertension in postmenopausal women. A total of 15 articles were searched using "postmenopausal women", "hypertension", "dose response", and "exercise" as search terms, using the CINAHL, Pubmed, Cochrane Library, and Ovid-Medline archive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the studies published abroad between January 2001 and May 2017 as exercise programs related to hypertension in postmenopausal women. All of the papers included were quantitative studies that explained the dose-response to exercise in postmenopausal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applying dose - response exercise prescriptions to postmenopausal women was most effective when considering weight, body fat, and BMI, which are factors that cause cardiovascular diseases. In addition, moderate exercise intensity in the 12-week period following menopause was found to cause the most appropriate positive change in most papers in relation to hematologic factors, physical index changes, vital signs, respiratory system and cardiovascular system index changes. Outcome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in the 15 papers: Physical outcomes, bio chemical outcomes, qualitative outcomes and general characteristic outcomes. In conclusion, moderate intensity exercise training is sufficient to improve HRV, coronary heart disease risk factor (body mass, waist circum, body fat, HDL)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 of data analysis, we suggested that nurs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follow the exercis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hypertensive postmenopausal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여성의 고혈압 조절을 위한 용량 반응 운동 프로그램과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CINAHL, Pubmed, Cochrane Library, and Ovid-Medline를 이용하였으며, 검색어로는 “postmenopausal women”, “hypertension”, “dose response”, “exercise”를 이용하여 검색된 총 1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대상은 2001년 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폐경기 여성의 고혈압과 관련된 운동 프로그램으로 국외에서 출판된 연구이다. 포함 된 모든 논문은 폐경기 여성의 운동에 대한 용량 반응을 설명하는 정량적 연구였다. 연구 결과,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시키는 요인인 체중, 체지방, BMI 등을 고려하여 용량-반응 운동처방을 폐경기 여성에게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뿐 만 아니라, 12주의 기간에 중간정도의 운동 강도로 조절하는 것이 혈액학적 요인, 신체적 지수 변화, 활력증후, 호흡계통 및 심혈관계통 등과 관련된 지수변화에 대부분의 논문에서 가장 적절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노년의 삶이 길어지는 현재 폐경기 여성의 고혈압 조절과 관련된 간호교육에 있어 DREW 운동프로그램을 효과적인 폐경기 여성 간호 중재 및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수면의 질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세령 ( Seryoung Park ),오복자 ( Pokja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에 건강증진행위, 수면의 질 영향과 수면의 질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1년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및 수도권지역 폐경기 여성 178명 대상으로 통계분석 방법은 t-test, ANOVA,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증진행위와 수면의 질은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둘째, 수면의 질은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인지기능 간 부분매개효과를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는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 결국 인지지능을 증진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건강증진행위와 수면의 질 관리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sleep mediating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n menopausal women. Data from 178 menopause women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ere collected from Sept. 8, 2021 to Sept. 10, 2021,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first,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quality of sleep effected cognitive fun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leep qua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cognitive function in menopausal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enopause women can improve sleep of quality and eventually improve cognitive function, 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leep of quality management.

      • KCI등재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윤정화,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veal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as they are and clarify the essence of psychological phenomena. 12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to 60s living in the area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experiencing menopaus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For data collection, first a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naire was prepar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all contents were recorded for direct transcription by the researcher and analyzed. For this,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tilized for analysis. As for the research course, 110 meaning constructions were established and homogeneous meanings were grouped to show 38 subjects and finally a group of 10 subjects as the experience essence was derived. The psychological phenomena of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were revealed as ‘impulsive anger’, ‘extreme sensitivity’, ‘valueless depression’, ‘grief about aging’ and ‘sense of falsehood’ about being old without love and recognition. The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had ‘menopause as the completion period of menses’, ‘voluntary will to overcome menopause’, ‘relationship that became precious’ and ‘restructure of life’. as the overcoming methods. This study not only showed the psychological phenomena the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experience as they are but also suggested the essence of the psychological phenomena. Furthermore,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participants’ psychological experiences. 본 연구는 폐경기 중년여성들의 주관적 경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어 심리적 현상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 선정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살고 있으며 폐경기를 경험하는 40~60세의 중년여성으로 12명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은 110개의 구성의미가 수립되었고, 동질의 의미를 묶어 38개의 주제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경험의 본질인 10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폐경기 중년여성의 심리적 현상에는 사랑도 인정도 못 받고 늙어버린 것에 대한 ‘충동적 분노’, ‘극도의 예민성’, ‘무가치함의 우울감’, ‘늙어감에 대한 슬픔’, ‘삶에 대한 허망감’의 정서혼란이 드러났다. 폐경기 중년여성들은 폐경기의 극복방법으로 ‘완경으로의 폐경’, ‘폐경극복의 자발적 의지’, ‘소중해진 관계성’, ‘삶에 대한 재구조화’의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여줌과 동시에 심리적 현상의 본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심리적 경험에 대해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폐경기 여성의 치매부모 간호경험

        김은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1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이 치매부모를 간호하면서 경험한 현상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치매를 앓고 있는 부모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폐경기의 50대 여성 10명으로 의도 표집 하였다.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는데, ‘가족의 빈자리를 부모가 대신함’, ‘노후를 보상받지 못한 채로 치매부모가 되어버림’, ‘늙어버린 몸으로 치매부모 간호를 감당하지 못함’, ‘가족과 함께 할 수 없는 치매노인으로 고립됨’, ‘치매노인의 간호를 자식에게 대물림하고 싶지 않음’, ‘부모와는 다른 새로운 자신의 삶을 계획함’이었다. 치매부모 간호경험에 대한 의미구조는 “상실과 슬픔의 소용돌이에서 자아를 찾음”이었다. 결론적으로 치매부모를 간호하는 폐경기 여성은 폐경에 따른 심리적인 변화와 치매의 질병특성인 비가역성으로 부모를 간병하는 동안 슬픔과 상실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노인부모의 치매증상 관리와 더불어 간호를 담당하는 폐경기 여성의 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간호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enopausal women while they are caring parents with dementia. Ten menopausal women who have experiences in caring for parents with dementia were selected by means of a purposive sampling, an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Six components were identified: (1) “parents did behalf of family vacancies”, (2) “parents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without compensation for aging”, (3) “I am too old to afford to care parents with dementia”, (4) “parents felt isolated living away from family”, (5) “I did not want to pass down my caring responsibility for demented parents to my children”, and (6) “I planned my life which should be different from my parents”. The essential structure of caring experience for parents with dementia among menopausal women was found to be “finding oneself in the vortex of grief and loss.” In conclusion, mental care should be provided to women who are taking care of parents with dementia.

      • KCI우수등재

        호르몬 치료중인 비만 폐경기 여성에서 체중감소치료와 골밀도 변화의 상호관계

        이득주,김상만 대한비만학회 200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0 No.4

        연구배경: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과 비만은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문제이다. 연구자료에 의하면 비만은 골다공증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비만 환자에서 체중감소치료는 골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호르몬 치료를 받고 있는 폐경기 여성에서 체중감소와 골밀도 변화의 상호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여성호르몬 치료를 받고 있는 폐경기 여성 36명을 대상 (평균 체질량지수 28.8±3.1 ㎏/m2)으로 하였으며, 체중감량요법으로 하루 섭취량을 1400 kcal로 제한하고, 운동량을 200 kcal로 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체중, 신장, 골밀도를 치료 전후 2년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체중감량 치료 후 평균 체중은 5.2±3.4% (3.8∼15.8%) 감소되었고 (P<0.01), 체지방도 2.9 ±0.9%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P<0.01), 척추 골밀도는 -0.04±0.09%로 증가되었다 (P<0.01). 골밀도와 체지방 체중변화와의 상호관계는 대퇴골 골밀도와는 0.09, 척추 골밀도와는 0.02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partial correlation, P>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호르몬 치료를 받고 있는 폐경기 여성에서 저열량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은 골밀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Background: Osteoporosis and obesity at the time of menopause are thought to be a common problems, Obesity is known as protective factor of the osteoporosis. Therefore, weight reduction therapy in obese patients may be decrease bone mineral density (BM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correlation of BMD change and weight reduction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have studied in 36 post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are obese (BMI 28.8±3.1 ㎏/㎡), they are managed in obesity clinic (diet therapy, formatted behavioral therapy, exercise calory consumption 200 kcal, use estrogen). Weight, height, body fat and BMD (by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ere measured at initial treatment and 2 years later. Results: The mean weight change was 5.2±3.4% (3.8∼15.8%) after weight reduction therapy (P<0.01). And the mean body fat, BMD change was 2.9± 0.9% (P<0.01), -0.04±0.09%, respectively. In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MD change and weight change (weight change and spine BMD = 0.02, weight change and femur BMD = 0.09, P>0.05, partial correlation adjusted by activity, age). Conclusion: This weight reduction therapy did not influence significant BMD change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receiving hormone replacement therapy.

      • KCI등재

        저소득층 폐경기 여성의 비만에 따른 대사적 건강상태와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과의 관련성

        이호민,정호진,정인경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0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8 No.2

        본 연구는 저소득층 폐경기 여성들의 비만여부에 따른 대사적 건강상태를 비교하고 신체활동, 좌식행동과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해보고자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4년~2016년) 원시자료 중 가구별 소득수준이 하위 25%에 해당하는 폐경기 여성(822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조사대상자의 경우 비만율 및 대사증후군 위험율이 높았고 자신의 건강상태를 다소 부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삶의 질 수준이 낮았다. 또한 걷기 위주로 신체활동을 하고 있었고 좌식행동 시간이 많아 신체활동량이 매우 부족하였다. 특히 저소득층 폐경기 여성 중 정상 및 과체중군에비해 비만인 경우 삶의 질 수준이 낮았으며, 복부비만 등 각 대사증후군 지표 위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및 과체중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과 좌식행동 수준에 따라 HDL-C 수준 과 혈압,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만 여성 역시 걷기 같은 가벼운 운동을 주 5일 이상 실천할 경우 복부비만 위험율이 낮았으며 삶의 질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저소득층 폐경기 여성과 같은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건강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etabolic healthy status according to obesity in low-income menopause women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and health statu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2016) results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SPSS package program.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822 participants of the bottom 25% of income level. Results showed that these subjects had high the risk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d they are perceived negatively and quality of life was low. Also, while the rate of leisure exercise was low,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was very insufficient because of much sitting times.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life level in obese women were lower than normal or overweight and the risk of each metabolic syndrome indicator was higher. In normal or overweight menopause women, the level of HDL-C and blood pressur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practice rate of different types of exercise and the amount of sedentary behavior. Obese women who practice walking exercise more than five days a week also had lower risk of abdominal obesity and higher quality of life. These result indicated that various policy support should be prepared for customized health education for menopause women in low-income families.

      • KCI등재후보

        부천 지역 폐경 전후 여성의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유병율

        박준식 ( Jun Sik Park ),김태희 ( Tae Hee Kim ),이해혁 ( Hae Hyeog Lee ),이우석 ( Woo Seok Lee ),정수호 ( Soo Ho Chung )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3

        연구목적: 부천 지역에 거주하는 폐경 전후의 여성들의 HPV 아형 분포와 HPV 유병률을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및 조직검사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관련성을 알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11년 1월부터 3월까지 본 병원 산부인과 외래에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thinprep pap test)와 HPV DNA chip test를 동시에 시행한 환자 280명의 여성 (연령의 평균값은 41.9세, 범위 21~90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이번 연구에 포함된 여성 전체 HPV 유병률은 33.9% (95/280)이었다. 폐경 후 여성의 HPV 유병률은 24.3%(17/70)로 폐경 전 여성 (37.1%)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 = 0.049). 결론: 부천 지역에 거주하는 폐경 후 여성의 HPV 유병률은 24.3%로 추산된다. 폐경 전 여성과 비교해서는 낮은 유병률이지만 HPV 감염 자체가 폐경 여성에게서는 자궁경부암이나 자궁경부 상피 내 암종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번 연구를 기초로 향후 더 많은 폐경 후 여성을 면밀히 추적 관찰하며, 전향적 연구를 통한 역학적인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HPV) infection in Bucheon province. Methods: Two hundred eighty Korean women (average age 41.9, range 21~90 years) were enrolled, who received a regular thinprep pap test and an HPV deoxyribonucleic acid (DNA) chip test simultaneously at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Bucheon, from February 2011 to March 2011.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HPV infection was 33.9% (95/280). The prevalence of HPV infe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24.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remenopausal women (37.1%, P = 0.049). Conclusion: Although the prevalence of HPV infe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was lower than that of premenopausal women, HPV infection is more critical in postmenopausal women as HPV infe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is more likely to induce cervical cancer than in pre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155-159)

      • 택견 수련과 걷기운동이 폐경기여성의 호흡순환 기능과 요부근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덕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택견과 걷기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요부근력, 최대산소섭취량, 노력성 폐활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폐경기여성 14명을 택견 수련집단 7명과 걷기 운동집단 7명으로 구분하였다. 택견수련과 걷기운동집단은 12주간 주4회 1일 60분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요부근력, 최대산소섭취량, 노력성 폐활량을 운동전후로 측정하였으며,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최대산소 섭취량은 택견 수련집단과 걷기 운동집단 모두 12주간의 운동 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2. 노력성 폐활량은 택견 수련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집단간의 차이에서도 걷기 운동집단보다 12주간의 운동 후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3. 요부관절 신근은 택견 수련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집단간의 차이에서도 걷기 운동집단보다 12주간의 운동 후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4. 요부관절 굴근은 택견 수련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집단간의 차이에서도 걷기 운동집단보다 12주간의 운동 후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