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화선 논쟁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양재영(Jae-Young Yang),이윤철(Yun-Cheol Lee) 한국해사법학회 2018 해사법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1952년 ‘ 평화선 선언 ’ 에 대한 관련국가 간의 논쟁과 주요 쟁점을 분석하여 평화선 선언의 법적 정당성을 규명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평화선 선언은 일제강점기를 전후로 이어져온 일본의 한반도 연안 어장 침탈에 대응하여 한반도 인접해양에 한국의 관할권을 선포한 조치였다. 하지만 평화선 선언 이후 한국은 일본, 미국, 영국, 중화민국 등 국가로부터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치게 되었다. 한국과 관련국 간의 평화선 논쟁은 크게 두 가지의 쟁점에서 논의되었다. 첫 번째 쟁점은, ‘ 평화선은 영해선인가?’였고, 두 번째 쟁점은 ‘ 평화선이 공해어업에 관한 국제법을 위반했는가?’ 였다. 두 가지 쟁점에 대한 분석 결과, 평화선은 한국 정부의 입장, 후속 법률의 내용, 별개의 영해제도 시행 등을 고려했을 때 영해선이 아니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평화선 선언은 당시 새롭게 변경된 공해어업에 관한 국제관습법에 부합하는 조치였으며, 현재의 배타적 어업수역과 EEZ의 창설에 기여한 ‘법창설적 효력’ 을 지닌 관행으로 평가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평화선 선언은 당대의 국제법에 부합했으며, 현대 국제해양법의 발전에 기여한 관행으로 인정받아야 하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gal justification of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in 1952, by analysing the arguments among related countries on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and its main issues.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act of despoiling of coastal fishing ground of Korean Peninsular which was continued by Japan since colonial era, was an action to proclaim the right of jurisdi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over adjacent seas of Korean Peninsular. After the declaration, however, Korean government faced strong opposition from some countries such as Japan, USA, UK and the Republic of China. The controversy among Korea and the related countries derived from two major issues: the first issue was whether the Peace Line is a borderline of territorial waters, and the second was whether the Peace Line violates international law on the high seas fisheries. The research on two issues forms conclusions that the Peace Line was not territorial sea line, regarding the stance of Korean government, content of follow-up legislations and the existence of different system of territorial sea. Furthermore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accorded with customary international law on the high seas fisheries, which was amended at the time. It could be also regarded as a practice which has the effect of the establishment of law in the case of establishment of Exclusive Fishing Zone and EEZ. From these points of view,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corresponded with international law of the tim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practice, which contributed to progress of Law of the Sea.

      • KCI등재

        독도의 영토주권 평화선 존재에 관한 연구

        김명기,김도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3 독도연구 Vol.- No.35

        이 연구는 특수국제법상 수역인 인접해양을 연구 중심으로 하여 인접해양주권선언, 평화선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52년 1월 18일 인접해양에 대한 주권 선언을 국무원고시 제14호로 선언했다. 동 선언은 전문과 4개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1항은 대륙붕, 제2항은 어업보전수역, 제3항은 인접해방주권의 경계선, 그리고 제4항은 공해의 자유이다. 그중 제3항인 인접해양경계선은 평화선 또는 이승만 라인이라고 부르며, 이 경계선 내에 독도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3항은 인접해양의 경계선이고 동시에 독도의 영토주권이 한국에 귀속된다는 독도의 영토주권 선언의 의미를 갖고 있다. 평화선 선언이란 넓게는 인접해양주권선언을 의미하며, 좁게는 제3항의 인접해양 경계선의 선언과 독도의 영토주권 선언을 의미한다. “인접해양 주권선언”이 1952년 있은 후 1965년 “한일어업협정”이 체결되어 이 두 협정에 의해 인접해양 국제선언의 내용이 저촉되게 되고 또한 유엔해양법협약이 채택되고 한국이 이에 가입하게 됨에 따라 제정된 배타적경제수역법에 의해 인접해양주권선언의 내용이 저촉되게 됨에 따라 평화선 선언이 실효되게 되어 평화선이 소멸되게 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게 되었다. 그러나 “한일어업협정”은 한국과 일본이 체결한 것이므로, 이러한 주장은 한국과 일본과의 관계에서만 가능하며 일본 이외의 국가에 대해서는 그러한 주장이 불가능한 것이다. 인접해양주권선언 후 이를 시행하기 위한 어족자원보호법은 법적으로 아직 유효하며, 어업협정과 인접해양주권선언에 저촉되면 어업협정이 우선 적용되는 경우 인접해양주권선언은 무효로 되나 소멸되는 것이 아니다. 영토주권의 선언은 대체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므로 “인접해양주권선언” 즉 “평화선 선언”은 유효하며 독도는 한국의 주권현시 하에 있는 것이다.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eveloped “the Republic of Korea President Proclamation of some over Adjacent Sea” on January 18 1952. The declaration constitutes a preamble and 4. paragraphs. The paragraph 3 stipulates as follow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ereby declares and maintain. The Lines of demarcation as given below, which shall define and delineate the zone of control and protection of the national resources and control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witch shall be liable to modification, in accidence with the circumstance arising from new discoveries, studies of interests that may come to light in future. The zone to be placed under the sovereignty and prote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consist of seas lying between the coasts of the peninsular and insular territories of Korea and the line of demarcation made from the continue” of the following lines. The line of demarcation grave maintained is so called peace line. Dokdo is located inside of the line of demand Korean. The Fishery agreement of 1965 and 1989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the Law of 1998 conflict with the proclamation. Therefore, the Opinion concerning the existence of the Proclamation, that is to say, Peace Line are divided positive and negative. However this study is maintain the Position which the proclamations is not nullified but existence of account the following reasons. (ⅰ) The protection of history resources law to enforce the Proclamation is has the legal effect since history Agreement between the Po-public of Korea and Japan was concluded 1965. (ⅱ) The Proclamation was declared toward not only Japan but also all states. (ⅲ) The Proclamation I contained territorial sovereignty that could not be nullified. (ⅳ) In conflict of law, the law not choose is not nullified but excluded to apply. (Ⅴ) The “Peace Line Declaration” is valid. It is urgently requested for the to inform the fact that peace line is sovereignty to the an peoples.

      • KCI등재

        일본 국회에서의 독도정책 논의와 함의 - 전후초기를 중심으로

        곽진오 ( Kwak Jin-o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翰林日本學 Vol.- No.39

        이 연구는 전후 초기 일본의 독도영유주장에 대해 크게 세 가지로 분석하고 있다. 첫째, 평화조약과 독도, 둘째, 평화선과 독도, 그리고 셋째, 한일회담과 독도이다. 상기 세 가지를 분석대상으로 정한 이유는 평화조약이 체결되자 일본은 독도가 일본영유가 되었으며, 한국의 평화선 선언으로 한일 간에 독도영유권 분쟁이 발생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일본은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일회담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러나 평화조약이 체결된 뒤에도 SCAPIN677-1이 존재 했기에 평화조약과 독도문제는 무관함이 밝혀졌다. 그리고 미국이 평화선에 대해서 한국의 해상방위구역임을 인정했기에 평화선은 일본의 주장과는 다르게 불법이 아니었으며 또한 독도는 한일회담의 주요의제가 되지못했다. 그래서 전후 초기 일본의 독도영유주장은 허구가 되는 것이다. 한편 1965년 한일양국은 국교가 정상화되었으나 일본은 지금도 독도영유를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이하 세 가지를 요약해서 본 논문을 갈무리하고 있다. 첫째, 평화조약을 통한 일본의 독도영유주장은 모순이며, 둘째, 평화선은 주로 한국의 어업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선언이었으며, 셋째, 한일회담은 어업협정이 중심이었기에 한일 간에는 영유권문제가 존재하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Japan's claim to sovereignty over Dokdo in the early postwar period in three major ways. First, the peace treaty and Dokdo, second, the peace line and Dokdo, and third,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and Dokdo. The reason why the above three facto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is that when a peace treaty was signed, Japan became Japanese possession of Dokdo, and Korea's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caused a dispute over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between Korea and Japan. So, Japan raises the need for a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to resolve these issues. However, since SCAPIN677-1 existed even after the peace treaty was signed, the peace treaty and the Dokdo issue were found to be irrelevant. And since the United States acknowledged that the peace line was a Korean maritime defense zone, the peace line was not illegal unlike Japan's claim, and Dokdo did not become the main agenda of the Korea-Japan talks. Therefore, Japan's claim to sovereignty over Dokdo in the early postwar period is a fiction. On the other hand, although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normalized in 1965, Japan still insists on sovereignty over Dokdo. Therefore, this thesis summarizes the following three and captures this thesis. First, Japan’s claim to sovereignty over Dokdo through the peace treaty is contradictory, second, the peace line was a mainly declaration to protect Korea's fishery resources, and third, the Korea-Japan summit was a fishing agreement, so it is clear that there is no territorial issue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 KCI등재

        이승만 라인(평화선)의 재고찰

        배규성(Bae, Kyu Sung) 동아시아일본학회 2013 일본문화연구 Vol.47 No.-

        The main purpose of the Peace Line was to protect Korea’s marine resources around the East Sea from Japan’s reckless over-exploitation of the fishery resources. It was inevitable of the Korean Government to declare the Peace Line so as to protect Korea’s marine resource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MacArthur line established after World War II to set the limit of Japanese fisheries area would be abolished by the Treaty of San Francisco scheduled to come into effect on April 28, 1952. At that time, in terms of fishing techniques, shipping and shipping tonnage, the gap between Korea and Japan was too harsh. The secondary purpose was to prevent communist invasion in the final stages of the Korean War. At the same time, the most important, considered by the author, of all the meanings of Peace Line is that Korea could block Japan’s sovereignty claim over Dokdo in advance, and secure sovereign rights and exclusive jurisdiction on the EEZ and continental shelf by this line which included Dokdo in Korean territory.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Peace Line in the development of the Law of the Sea was confirmed by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1982). It was a leading and subsequent practice, which shows the surprising insights of a leader to declare maritime sovereign rights up to 200 miles from the coast. Finally, in a sense, this theme would be a critical examination of Jujii Genji’s critical review of Syngman Rhee line in ?The Final Reports of the second Takesima Study Meeting of Shimane Prefecture?(2012.3).

      • KCI등재

        1950년대 전반기 한국의 해양주권 수호에 대한 연구 : 독도와 주변해역을 중심으로

        임호민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12 한국민족문화 Vol.45 No.-

        This paper is to study of the territorial dispute issu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early 1950s. Japan has claimed the territory For the Dokdo as unfair grounds and crap. Through this research, I will give the facts about the legitimacy of owning Dokdo in relation to the territory of South Korea. Japan claims Repetitive and progressively ownership of the dokdo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he reason for this is that Japan's claim get recognized thanks to sponsorship of the USA and England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And japan induced Diplomatic friction In order to cause a dispute in connection with the Dokdo ownership and marine boundaries. Historically, It is weak Japan's historical data related to the ownership of Dokdo. Shimane county notice would be illegal in 1905. Because it is a unilateral announcement of the militaristic Japan, at the same time, announce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rather than a national dimension. Also our government did not approve a Shimane county notice. Our government has responded legally. For example, our government has declared only the Syngman Rhee Line on January 18, 1952 by the MacArthur line was proclaimed 1945. San Francisco Peace Treaty signed April 1952. Syngman Rhee Line proclaimed for the purpose to ensure the marine sovereignty and peace. Although the Dokdo have been excluded in the peace treaty with Japan, USA and England are not included in the territory of Japan. Maritime sovereignty Declaration has not mentioned separately in San Francisco Peace Treaty. As a result, our government's independent marine sovereignty Declaration is reasonable. 해방직후부터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복적이며 점진적으로 주장하였던 까닭은 한국전쟁에 대한 전후처리 과정에서 미국과 영국 등 서방국들의 후원에 힘입어 그들의 주장을 관철시키고자 함이었다. 일본이 독도 소유권 및 해양경계선과 관련된 외교적 마찰을 유도한 것에 대해 우리 정부는 한국 어민을 보호하기 위해 경비대의 파견과 주둔, 표지석의 설치, 독도 전반에 대한 정밀 조사, 등대와 같은 영구 시설물의 설치, 그리고 일본 해양순시선을 비롯한 일본 선박이 출현할 경우 위협적 무력 사용과 같은 강경책으로 대응하였다. 한국의 일련의 조치들은 ‘인접해양에 대한 주권에 관한 선언(이하 ‘평화선’으로 표기함)’ 이후 대일강화조약 체결 때 한일간의 해양경계선 논의에 있어서 우선권을 확보하고자 함이었다. 역사적인 측면으로 보아도 1616년 근거 자료는 사료적 신빙성이 미약하며, 1905년 시마네현 고시 역시 합법적인 명분을 갖고 있지 않다. 이미 512년 신라가 우산국을 복속한 사실이 있으며, 1905년 고시 이전부터 독도는 울릉도 부속도서였으며, 또한 무주지가 아닌우리의 영토이다. 그리고 맥아더라인에서 평화선으로 이어지는 우리의 해양 주권은 독도 영유권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우리 정부가 맥아더라인 내에서 일본 어선을 나포한 것은 우리의 해양 주권을 사수하기 위한 조치였다. 대일평화조약에 독도가 배제되었다고 해서 미․영 양국이 인정한 것은 아니다. 평화선 역시 대일강화조약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으므로 우리 정부의 평화선은 자주권의 발동이었다. 또 1953~1954년 한․일 간 반복적인 영토표식의 설치와 철거는 양국 간 어업 및 독도 영유권 분쟁에 있어서 물리적 시도와 충돌로 전환하는 상징적 사건이었다. 이에 우리 정부의 강경 대응은 대내외적으로 독도가 한국땅임을 확고히 하는 결과를 낳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시마네현 다케시마문제연구회의 연구 경향 분석-평화선 및 독도 어업 관련 연구에 대해서-

        서인원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0

        다케시마문제연구회의 후지이 겐지의 평화선과 어업문제에 대한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평화선이 독도 어장 보호, 영유권 강화를 위한 제도가 아니고 이것이 독도해역에서의 어업분쟁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일본정부는 시마네현의 기선저예망어업이 효율이 좋기 때문에 연안어업 분쟁을 일으켜서 어업 규제를 강화하고 어장을 동중국해, 황해 해역으로 유도해서 더이상 시마네현 기선저예망어업을 할 수 없게 되었고 일본 어업 정책에 의해 시마네현 어민의 피해가 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마네현에서도 동중국해, 황해 어업 지역에 이주하여 어업을 했지만 이 지역에서의 나포 어선 피해가 커지면서 평화선에 의한 피해 의식이 계승된 것이라 볼 수 있다. 1960년대 말부터 독도주변해역은 일본의 오징어잡이 어선의 어장이 되고 1970년대가 되면 한국도 동해 해역 어업을 본격적으로 참가하면서 독도문제를 둘러싼 한일 대립은 독도문제와 어업문제로 연결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독도 주변해역은 일본과 한국양국에서 나라 전체 어획량으로 따져보자면 양국이 함께 논의해야할 정도로 중요한 어장은 아니라고 보고 있으며 1978년 5월 이후 한국이 독도 12해리 이내의 일본 어선의 조업을 단속하고 일본 어선이 자체 철수하고, 중유의 급등과 어업 자원 상황의 악화, 출어해도 채산이 맞지 않는 경우 등의 이유로 독도 주변 해역으로 출어하는 사람들이 대폭으로 줄어 전무한 실정이라 분석하고 있다. 또한 후지이 논문에서 동해지역 오징어잡이어업어획량에서의 독도 주변 비율을 보면 1970년대 일본의 어획량 수치는 한국의 어획량보다 2배 많았기 때문에 시마네현과 일본 어민의 피해보다 한국 어민의 피해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독도는 1946년 SCAPIN 677호에 의해 일본 영토에서 제외되었고 강화조약이 발효된 1952년에는 한국정부가 이미 독도를 통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독도에 대한 영유권, 통치권에 아무런 영향이 없으며 강화조약에는 독도에 대한 아무런 규정도 없고 한국은 강화조약에서의 비조인국이기 때문에 독도에 대한 아무런 영향을 끼칠 수 없다. 평화선은 트루먼선언(1945), 중남미국가들(칠레와 페루(1947), 산티아고 선언(1952.8))을 바탕으로 200해리 영해 또는 어업수역을 한국해역에 도입하였고 이런 배타적 어업수역은 1970년대 이후 배타적 경제수역으로 일반화되었고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에도 수용되었다. 평화선은 맥아더라인을 승계하면서 국제적 선례들을 참고하여 한국 주권수역을 대외적으로 선포한 것으로 국제법상 법적 타당성 및 실효성을 갖는 국제법 규범으로 보야 한다. In the study of the Peace Line and fishery issues of Genji Fujii in the Takeshima Issue Research Society, it is notable that the Peace Line is not a system for protecting Dokdo fishing grounds and strengthening territorial sovereignty, and it proved that this is not a fishing dispute in the Dokdo area. It was mainly led to fishing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where fisheries are abundant, and the Japanese government strengthened regulations and guided fishing grounds to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to cause disputes in coastal fishing because steamer trawl fishing is profitable. Shimane Prefecture also migrated to this fishing area to fish, but it is said that the damage of captured fishing boats in this area was larg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damage consciousness was inherited by the Peace Line. From the late 1960s, the waters around Dokdo became a fishing ground for Japanese squid fishing boats, and Korea also participated in the East Sea fishing industry in earnest by the 1970s. It is said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the Dokdo issue led to the Dokdo issue and the fishing issue. In response to this criticism, however, the waters around Dokdo are not so important fishing grounds that both Japan and South Korea should discuss together in terms of the country’s total catches. Since May 1978, Korea has cracked down on the fishing of Japanese fishing boats within 12 nautical miles of Dokdo, and Japanese fishing boats withdrew themselves, and due to a sharp rise in heavy oil, deteriorating fishery resource conditions, and inadequate profits even if they fished, they moved to the waters around Dokdo. It i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fishers has drastically decreased. The Peace Line was based on the Truman Declaration(1945) and the claim of 200 nautical miles of territorial waters or fishing waters, which spread around the Central and South Americans (the Santiago Declaration of the three countries of Chile, Peru, and Ecuador(1952.8), Chile and Peru(1947)). It was a detonator introduced into the region. The concept of an exclusive language zone, which Japan accused of being illegal, became an EEZ after the 1970s, and was accepted by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n 1982. The Peace Line, which succeeded MacArthur Line, referred to international precedents, and declared the sovereign waters of Korea externally, and should be regarded as an international legal norm with legal validity and effectiveness under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죽도문제연구회’의 「평화선」에 대한 사실 날조 방식

        최장근(崔長根) 한국일본문화학회 2017 日本文化學報 Vol.0 No.73

        This study examined the way in which the `Takeshima Problem Research Group` faked the essence of `peace line`. The Peace Line, which was signed by the Peace Treaty for Japan and establish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East Sea, maintained the fishing order of the East Sea until the 1965 fishery agreement of the Korea - Japan Agreement was signed. Dokdo`s sovereignty was recognized by the Allied Supreme Command as Korea`s territory after Japan`s defeat and Dokdo was recognized as a jurisdiction for 12 nautical miles around Dokdo. In the Peace Treaty for Japan the Allied Powers changed the actions of the Allied High Command to avoid mentioning Dokdo`s status, but did not recognize Dokdo as Japanese territory. However, today`s Takeshima Problem Research Group succeeds the previous Japanese government`s position and fosters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by adding new logic to it.

      • KCI등재

        한일어업협정 전사(前史)로서의 GHQ-SCAP 연구: 맥아더라인이 평화선으로

        박창건 ( Chang Gun Park ) 현대일본학회 2014 日本硏究論叢 Vol.39 No.-

        본 연구는 한일어업레짐의 성격을 규정하는 전사(前史)로서 당시 일본을 점령·통치 하고 있던 연합국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SCAP: General Headquarters,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의 관련 문서를 중심으로 한일어업협정의 태동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한·미·일 관계라는 프리즘을 통해 한일어업협정의 성격을 규정하는 전사를 추적한다는 외교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일국사적 관점을 넘어서 국제해양레짐의 재편과 연동되어 나타난 동북아 지역 영해 질서의 이해를 ‘영해 자원민족주의’라는 개념을 변형·발전시켜 한일어업협정에 대한 전사(前史)의 규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GHQ-SCAP의 자료를 중심으로 ‘맥아더라인’이 ‘평화선’으로 바뀐 한일어업협정 전사를 추적하여 한국 사회과 학 연구의 공백으로 남아 있는 GHQ-SCAP의 일본 점령과 그 정책에 대한 실증적 분석 뿐만 아니라 한일관계의 구조적 틀이 형성된 이 시기를 외교사적으로 재조명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맥아더라인에서 평화선으로 이어지는 한일어업협정은 ‘해결되지 않은 것을 해결된 것으로 간주한다’는 미완성의 합의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에 한일관계가 엇박자 로 나아가면 언제든지 여러 가지 문제가 분출될 수 있는 협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nature of Korea-Japan Fisheries Regime at the time when Japan was occupied and governed by GHO-SCAP relevant documentation and to explore the beginning process of the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with GHO-SCAP relevant documentations. This study has the diplomatic meaning as the circumstances leading up to pursuit defining the nature of the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through the trilateral relations of South Korea, US and Japa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has a focus on understanding the region of Northeast territorial waters order beyond the historical perspectives of a country in conjunction with reorganization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regime transformed the concepts of ‘territorial waters resource nationalism’. To do this, the study illuminates diplomatically this period formed empirical analysis about Japanese occupation and occupation policies that remain in the space of the research of Korea social science, as well as structural framework of model of Korea-Japan relations with the data of GHO-SCAP through tracking the circumstances leading up to the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which transformed from the MacArthur Line to the Rhee Line. Interestingly, the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which the MacArthur Line leading to the Rhee Line, does not solve but is considered as solved since the adoption of unfinished consensus method. Therefore if there are some proble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agreement could unleash a dispute at any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