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심신치유의 통전적 패러다임 모델 : Ken Wilber의 AQAL 모델을 넘어서

        조효남,안희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심신치유 분야의 연구패러다임 부재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통합심 신치유의 포괄적인 개념과 통합패러다임의 모델을 통전적으로 정초하는 것이다. 동양의 전 일적 생명관․인간관과 현대의 신과학․양자과학적 생명관․우주관을 바탕으로 Ken Wilber의 AQAL 통합패러다임의 ‘틀’을 기초로 하면서도, 이를 넘어서는 통전적 통합심신치 유의 체계적인 연구패러다임을 정립하고, 이에 상응하는 ‘통합심신치유’의 기초모델을 제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온건강과 통합심신치유의 체계 적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Ken Wilber의 AQAL 통합모델에 기초한 새로운 통합치유 모델에 따라 통합심신치유 기법으로서 통전적 통합치유생활실천/HIHLP(Holistic Integral Healing Life Practice)모델을 제시하였다. 논의를 통해서 Ken Wilber의 AQAL통합패러다 임에 의해 통전적으로 통합된 통합치유의 모델을 바탕으로 동서고금의 모든 전통 민간 치 유, 자연의학적 치유, 전일의학적 치유, 대체보완/통합의학적 치유, 전일의학/전인의학적 치 유기법들을 모두 포괄하는 통전적 심신치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holistic integral model for comprehensive Mind-Body healing. It aims to overcome a lack of a meta-theory in the emerging field of the integrative Mind-Body healing. This study is based on Ken Wilber's AQAL model but attempts to go beyond his theoretical trajectory to offer a more inclusive and explanatory framework for a holistic and integrative Mind-Body healing. In achieving this proposed goal,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tasks: first, presenting a systematic framework for holistic health and integrative Mind-Body healing; second,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Ken Wilber's AQAL framework when applied in terms of holistic and integral Mind-Body healing; and lastly, offering the Holistic Integral Healing Life Practice(HIHLP) Model. Though not comprehensive, this model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Ken Wilber's integral theory but transcends it by including such knowledge as modern physics, new science, and quantum physic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model could be the expansion of the possibility of highlighting the interconnectedness and complementary nature of a wide variety of healing modalities and approach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is HIHLP model helps healing program developers view their programs from a wider, more holistic, and integral perspective.

      • KCI등재

        동북아 지역주의 모델 확대 및 적용

        박제훈 ( Je Hoon Park ) 한국비교경제학회 2011 비교경제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 지역통합 모델을 아시아 전체로 확대한 지역통합의 아시아 모델을 도출하고자 시도했다. 그 결과 기존 베버모델에 기반한 “시장통합형”과 “개발협력형”의 두 가지 유형이 도출됐으며 “다중심모델”과 “공동체모델”이 각각 도출되었다. 기존의 지역통합이론은 유럽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부분 이미 진행된 통합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반면에 아시아는 유럽과 비교하면 1952년 ECSC출범 때보다도 지역통합 정도가 아직 낮다. 따라서 기존 이론은 왜 아시아가 통합이 안 되고 있는지를 설명할지는 모르지만 통합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설명하지는 못한다. 지역통합의 아시아 모델은 미래에 일어날 통합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고 어떠한 통합이 바람직한지를 설명하는 것이 될 수밖에 없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럽의 재정 위기가 심화되면서 유럽통합 모델에 대한 회의가 증대되고 있다. 아시아 지역통합이 유럽 모델을 그대로 답습할 수는 없지만 지금까지 하나의 벤치마킹할 수 있는 모범으로서의 기능을 해 온 것은 사실이다. 이제 통합을 시작하는 아시아로서는 유럽 모델의 위기는 이를 교훈삼아 보다 창조적이고 아시아에 맞는 새로운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는 추가적인 부담을 가지게 하는 요인이다. 동시에 미국과 유럽 선진권의 글로벌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의 쇠퇴는 아시아 통합이 지향하는 아시아공동체가 어떠한 모습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게 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지역통합을 넘어 새로운 문명 대안의 모색까지 하게 하는 문명사적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This paper tries to derive an Asian model or Asian models for regional integration by expanding the already suggested Northeast Asian model for regional integration. The derived Asian model has three components. One is the Weberian model like the Northest Asian model, which means that the state remains the strongest sector for regional integration. But, in the Asian model, the Weberian model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is “the market integration type”, the other is “development cooperation typ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which field plays the more important role between economy and security. The second component of the Asian model is the multi-core model considering the fact that Asia is a vast region or continent with extreme diversity and huge gaps inside the region. Unlike the European model Asia should have multiple core groups by which the integration proceeds. Currently the most influential core groups are ASEAN and China-Japan-Korea. The third component is the community model. In this case the community has four meanings. One is that the community should start from a low level integration and be a democratic one. The second is that the Asian integration is culture-oriented. The third is that the community should be open to every country who wants to join. The last is that the community should have a vision for “community-capitalism” as an alternative to Western capitalism or the Washington consensus.

      • KCI등재

        통합성의 관점에서 본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교사연구회 적용 수업모델 분석

        손연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gration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structional models applied by the ESD Practice Teacher Association in 2016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improv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integrated ESD. As a result of the study, 2 4 instructional models were analyzed with among the 50 models which incorporate the integration into the ESD model. More than half of the instructional models have integrated 'shared' integration type. The subjects that a re integrated into the instructional models applied to the teacher's group for the integration of the subject,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social, and science' subjects showed remarkably. Only about 38% of the instructional models have been combined with time and spa ce dimensions, and about 29% of the instructional models with ethical and moral thinking. Therefore, at the beginning of the application of ESD at the national level, we developed the program development and diffusion efforts to expand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S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development an d appl ication of instructional models for integrated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2016년 교육부에서 운영한 중학교와 고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교사연구회에서 적용한 지속가능 발전교육 수업모델에 대한 통합성을 분석하고, 앞으로 통합성이 높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 학교현장에서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다각도로 파악하여 중등교사의 통합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사전연구를 통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델에 통합성을 접목하여 수업을 구성하고 적용한 연구회의 수업모델은 전체 50개 수업모델 중에 24개 수업모델로 분석되었다. 실제적으로 통합성의 특징을 분석한 수업모델 24개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과반수이상의 수업모델에서 ‘공유형’의 통합 유형을 접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과 통합을 위해 교사연구회 적용 수업모델에 접목한 교과를 분석한 결과, ‘환경, 사회, 과학’ 교과의 통합이 눈에 띄게 많이 나타났다. 한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다원적인 접근과 윤리 가치적인 경험에의 참여와 실천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연구대상이 된 수업모델의 약 38% 정도만이 시간과 공간적인 차원을 함께 접목하였고, 약 29% 정도의 수업모델에서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사고와 더불어 자신의 가치관을 생각해보는 활동을 포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가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학교현장 적용 초기에 강조하였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확대를 위한 교사 프로그램 개발과 확산 노력에 더하여, 향후에는 통합성이 높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수업모델 개발과 적용에 대한 교사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제반 지원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간 통합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의 3려(麗) 통합사례를 중심으로 -

        김이수 한국거버넌스학회 2009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6 No.3

        City-County consolidation is the product of actors’ seeking particular outcomes within a context of existing governments and established rules. This research aims at designing theoretically and analyzing empirically consolidation process model. I modified Leland and Thurmaier's Model of Local Government Consolidation in part. To analyze I selected case study as United Yeosu City and applied modified Model of Local Government Consolidation. Consequently, this research arrives to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Leland and Thurmaier's Model of Local Government Consolidation is in part applied in korea. Second, The Referendum Campaigns is very important in City-County consolidation processes and boundary entrepreneurs play a part in Referendum Campaigns.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간 통합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간 통합과정과 관련된 모델들로 Rosenbaum&Kammerer 모델, Messinger 모델, Johnson 모델, Leland&Thurmaier 모델을 살펴보았고 이중에서 Leland&Thurmaier 모델을 일부 수정하여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분석 틀을 토대로 3려 통합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수정된 Leland&Thurmaier(2005)의 지방자치단체간 통합과정 모델이 3려통합과정에 대해 설명력이 있다는 점과 둘째, 통합과정의 성공 및 실패 요인으로서 지방자치단체간 통합과정상의 행위자들간 선택적 경계유인기제로 인한 이해의 상충, 정치권을 비롯한 경계혁신가들의 합의부족 등을 도출하였다. 특히 통합시 초기에는 경계혁신가인 시민단체가 주도적으로 통합활동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한데, 초기에 시민단체가 통합을 주도할 경우, 인근지역의 시민단체 등 민간엘리트들의 호응과 지지를 유도할 수 있고, 통합시 이해가 상충되는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 등 선출직 공무원들의 통합지지를 유도하거나 통합반대 활동에 대한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통합을 원활하게 유도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동북아 지역통합모델과 통일방안

        박제훈 ( Je Hoon Park ) 한국비교경제학회 2008 비교경제연구 Vol.15 No.1

        동북아판 지역통합의 종합모델은 기존의 경제통합 모델들과는 달리 학제간 종합에 기초하여 국가, 사회, 시장의 세 분야를 종합하고 있다. 동 모델은 기존의 경제주도의 통합모델인 마르크스주의적 모델과 정치안보 주도 모델인 베버 모델 중 베버 모델을 근거로 한다. 동북아 모델은 베버 모델을 바탕으로 하되 국가분야에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정치적 리더십이 특히 중요하며 사회분야에서 지식인과 지방정부가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교육 분야가 중요하다는 점이 구체적으로 강조된다. 또한 시장 분야에서는 기능적 통합은 상당히 진전된 상태이지만 이를 제도적 통합으로 발전시킬 정치적 리더십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동시에 북한의 이행이나 역내 낙후 지역에 대한 개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도 지적된다. 지역통합의 동북아 방식(Northeast Asian Way)은 한일(또는 한중)을 핵심(Core)으로 하고 동북아안보협력회의를 분계점으로 삼는 한편 미국의 참여라는 촉매가 필요하다. 남북간의 협력보다도 동북아 역내 협력과 통합을 우선하는 정책으로의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것은 사안에 따라서는 두 협력의 병행추진이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인도적 지원이나 민간차원에서의 협력을 제외하고는 정부 차원에서는 원칙적으로 국제협력이나 지역협력을 우선하는 접근 방식이라 하겠다. 지역통합을 통한 통일방안(URI: Unification through Regional Integration)이 국내의 이념갈등의 원인도 제거하면서 주변국의 동의를 얻으면서 자연스러운 통일로 이어지게 하는 진정한 `우리`식의 통일방안이 될 수 있다. In Northeast Asia, functional integration in the economy has developed sufficiently. The problem lies in the lag or deficiency of institutional integration, for instance, in the form of CSCNA or CJK FTA. The main impediments to such a move come from the non-economic factors. We, therefore, proposed a Northeast Asian Version of Regional Integration Model. According to this, a state model, a crisis model and a political leadership model are suggested with political leadership playing a critical role in utilizing crises to advance regional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society, we have offered an intellectuals model, an education model and a glocalization model emphasizing the long term role of intellectuals,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in fostering regional integration. Finally, we offer a market-based transition model and a development model aimed at showing how to ease the transition of North Korea and development of underdeveloped parts of the region and making them endogenous variables of regional integration. The `gradual type` in the transition model could be the best option in the sense that it could minimize the so called unification costs. I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strategy of "Unification through Regional Integration" wher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uld be attained only after or through regional integration.

      • KCI등재

        교육복지의 모델과 통합원리 탐색

        김경애(Kim, Kyung a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교육 취약성 간의 연동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평생교육의 역할을 확인하고 평생교육의 관점을 접목한 교육복지 모델과 원리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취약성을 만들어내는 현대 ‘빈곤’과 그로 인한 교육적 불리함의 특성을 살펴본다. 현 시점에서 빈곤의 특성은 1) 상대성, 2) 고독성, 3) 예측 불허성, 4) 회복 불가성, 5) 증폭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빈곤한 삶으로의 전락이 자유의 억압, 가능성의 희박, 사회적 참여 기회 박탈을 가져와 학습자로서 불리한 상황에 빠지게 한다. 빈곤의 영향력이 막강하여 교육 형평성 추구를 통해서 사회ㆍ경제적 통합에 기여하는 것이 무망하다고 볼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 부문의 역할을 끊임없이 고민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첫째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교육형평성을 염두에 둔 접근의 가치가 격하되지는 않기 때문이고, 둘째는 형평성을 중요시하는 사회ㆍ경제적 구조와 문화를 만들어가는 일은 빈곤층의 참여 없이는 불가능한데 평생교육이 그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을 고려하여 교육복지 모델로서 기존의 결핍모델, 긍정모델, 첨가모델을 넘어서서 교육적 관점을 접목한 공참여(co-participation)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통해서 공동체성을 살리는 가운데 상호학습 할 수 있는 체제를 지향한다. 이 모델을 활성화할 수 있는 체제 원리로 6가지 통합성을 제시하면, 먼저 학습자 및 학습자 집단의 측면에서 본 1) 삶의 영역 통합성, 2) 발달단계 통합성, 3) 가족 통합성, 4) 계층 통합성이 있다. 그리고 교육복지가 이루어지고 있는 장의 원리를 함축한 5) 지역 통합성, 마지막으로 정책 추진과정에서 요구되는 연계체제로서의 6) 정책 영역 통합성이 있다. This article identifies the roles of the lifelong education and explores the model and principles of educational welfare in this society where the link between the social-economic disadvantageousness and educational disadvantageousness is stronger. The characteristics of poverty in this era are 1) relativity, 2) solitariness, 3) unpredictableness, 4) restorableness, 5) amplification. A downfall to poverty leads people to freedom-free, gloomy prospect, and deprivation of chance to participate on social life. Finally it means a state of educational disadvantageousness. The power of poverty is so strong that most people agree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tribute to a better social integration through pursuing of educational equity.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reasons to seek the role of education. First, the approach to educational equity should not be downgraded in any occasion. Second, the social equity prioritized society itself can only be made by unprivileged people themselves. And lifelong education can help them as a bridge-head to social participation. As a result, this article suggests a co-participation model as educational welfare model. This model orients us to the inter-learning system through participating among various social classes. The activating principles of this model are 1) various fields integrity, 2) life developmental stages integrity, 3) family integrity, 4) social class integrity, 5) community integrity, 6) policy area integrity.

      •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 연구

        김은형,Kim, Eun-Hyu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지자체 GIS 정보화가 확산되어감에 따라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확산, 타 정보와의 연계 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지자체 행정업무의 70-80%가 공간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만큼, 지자체 GIS 통합 연계가 지자체 정보화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지자체GIS 통합 연계 현황과 기존연구에서의 지자체 GIS 통합 연계 이슈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자체 GIS 통합 연계 이슈정립 및 해당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지자체 GIS 통합 연계 고도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지자체 GIS 통합 연계 고도화모델은 지자체 지리정보 담당부서 중심의 통합연계에서 확대하여, 지자체 전 부서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통합연계를 고려한 모델이다.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을 위한 추진전략으로 자료공유방안, 지자체GIS 공통기반 데이터정비, 지자체 GIS 통합DB구축 및 연계구조 기반의 아키텍쳐 개선, 시스템 및 DB 구축 및 개선, GIS DB 통합인프라 표준정비, 지자체 GIS 통합연계 정보화 기반조성이라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제시된 모델의 구현을 위해선 협업의 개념이 바탕이 된 제도적인 뒷받침이 우선시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As applications of GIS technology have grown in local governments, the wider and integrated use of spatial information is demanded more than before. Particularly because 70-80%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in local governments are related spatial, it becomes a key issue to connect and integrate non-spatial information with spatial information for more advanced use of GIS applications in local gover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advanced Implementation model by analyzing obstacles in existing GIS applications and suggest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The strategy, as an important part of the model, includes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establishment of commonly usable GIS Database, architectural improvement for Enterprise GIS in terms of database and system implementation, standardization far the model, and establishment of spatial infrastructure in the local governments. The study concludes that administrative collaboration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perspective has a highest priorit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el.

      • KCI등재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 개발 연구

        남궁영,김경미,김미선,이지영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7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petenc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ist and was to confirm a competency model through validation. Methods :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expert opening survey, and expert focus meeting to draw up draft competency model. And then, we carried out Delphi survey twice and consulted an expert to confirm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petenc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ist. Results :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petenc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i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tructured into 4 competency cluster, 15 competency, 60 competency indicators. 4 competency clusters had expertise, professionalism, interpersonal skill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 The competency model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critical data to foster development of competency based curriculum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KASI).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한 수준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 개방형 설문조사,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역량군, 역량, 행동지표의 체계를 가진 감각통합중재를위한 역량모델 초안을 작성하였고, 2차의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받아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결과 : 총 4개 역량군, 15개 역량, 60개 행동지표로 구성된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전문성 역량군’에는 5개의 역량(작업치료 일반 지식, 감각통합중재이론 지식, 평가 기술, 분석 기술, 중재 기술)과31개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었다. ‘전문가 의식 역량군’에는 4개의 역량(전문성 고취, 교육, 윤리 의식, 정책적 관심)과13개의 행동 지표가 포함되었다. ‘대인 관계 역량군’에는 2개의 역량(의사소통, 협력)과 6개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특성 역량군’에는 4개의 역량(자기 확신, 자기 성찰, 자기 관리, 긍정적 태도)과 10개의 행동 지표가포함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의 한 영역인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한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는데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의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상황에 적합한 통합교육 지원 모델 탐색

        강종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통합교육 상황에 적합한 지원 모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 정책 및 체제를 다루는 외국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국내에 적합한 통합교육 지원 방안을 살펴보았다. 통합교육 정책 및 체제에 관한 문헌 고찰 결과는 외국 문헌은 통합교육의특징, 통합교육에 있어 특수교육의 역할, 통합교육 정책에서의 고려 사항, 통합교육에 있어특수교육 지원 방안,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통합교육 전문성 개발, 통합교육 협력 체제구축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외국 통합교육 정책 및 체제 연구를 토대로 본연구는 국내 상황에 적합한 통합교육 지원 방안을 살펴봤으며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육 역할,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요구 반영, 국내 상황에 적합한 통합교육 지원 구축, 보편적 학습 설계를 통한 통합교육 지원, 통합교육 협력 체제 구축과 같은 다섯 가지 요인들이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다섯 가지 고려 사항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황에 적합한 통합교육 지원 모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I aimed to explore a support model suitable for domestic inclusive education context. For this purpose, I explored inclusive education support ways suitable for domestic context, focusing on the review of foreign literature on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s. The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on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s showed that the foreign literature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education,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considerations in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special education support ways in inclusive education, curriculum for inclusive educ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clusive education, and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systems for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on foreign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s, this study explored inclusive education support ways suitable for domestic context and found that five factors needed to be considered: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the reflection on the needs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s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 the support of inclusive education throug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inclusive education cooperation systems. Based on these five considerations, this study tried to explore an inclusive education support model suitable for domestic context.

      • KCI등재후보

        ‘통합’ 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과정모델의 연구

        양만재(Yang, Man-Ja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3 비판사회정책 Vol.- No.41

        본 논문은 한국의 『지역사회복지론』 교재와 논문에서 기술된 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모델과 영국학자들의 대표적인 두개의 모델에 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서 대안적인 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모델을 예시적으로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의 교재와 논문은 주로 미국학자들의 지역사회 실천모델을 소개하지만, 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개입과정에 관해서는 거의 규명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영국학자 P. Henderson과 D. N. Thomas의 실천기술과 조직화 단계를 중시한 ‘이웃공동체 실천모델(neighbourhood work model)’과 P. Stepnney과 K. Popple, D. Evans 등의 구조변혁과 비판적 실천의 원칙을 강조한 ‘비판통합 실천모델(critical integrative community work model)’을 분석한다. 그리고 두 모델의 강점 요소를 살리고 약점 요소를 보완하는 ‘통합’지역사회 역량강화 실천과정모델을 제안한다. 통합모델은 실천과정에서 비판반성 실천을 위한 학습조직, 지역사회의 집합적 역량강화를 위한 조직, 참여, 네트워크, 대중학습, 평가에서 주민의 참여를 중시한 실천과정에 역점을 두었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prefiguratively an alternative model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by analysing and criticizing both the model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described by articles and text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published in Korea and two models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proposed by the UK’s scholars. Korean texts and articles have introduced mainly community work model of American professionals, but there have seldom been explained intervention processes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To achieve the aim of this paper, I examined the neighbourhood work model of T. Henderson and D. N. Thomas and the critical integrative community social work model of P. Stepnney, K. Popple and D. Evans. The integrative model of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will be suggested through selecting their strength and making up for their weaknesses. The process model of integrative community empowerment practice composed in terms of 6 phases is underlined the critical reflection practice, community learning organizations,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for practising collective empowerment, participation of service users, social network based social capital, popular education, empowerment measurement based on the inputs, processes, and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