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씨전>의 통속화 양상과 그 사회적 의미

        서혜은 ( Hye Eun Seo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0

        본 논문은 <박씨전>의 통속화 양상과 사회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박씨전>은 필사본과 활자본 이본이 현전하는데, 판매를 목적으로 간행된 활자본은 표제에 따라 각각 <박씨부인전>과 <박씨전>계열로 분류할 수 있다. 활자본 <박씨부인전>계열의 결말에는 <임경업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임경업과 관련된 서사가, 활자본 <박씨전>계열의 서두에는 이시백의 출생담과 결말에는 <임경업전>의 내용이 추가되어 원본의 형태와 멀어지면서 통속화되었다. 활자본 <박씨부인전>계열의 결말에 추가된 부분은 원본의 형태를 취하는 고대본 계열을 제외하고는 <박씨전>의 모든 이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장면이지만, <박씨전> 전체 이본에서 활자본 <박씨전>계열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다. 따라서 활자본 <박씨부인전>계열과 <박씨전>계열 모두 통속화되었지만 활자본 <박씨부인전>계열은 대중성을 확보했고, 활자본 <박씨전>계열은 통속화된 정도가 지나쳐서 대중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러한 활자본 <박씨부인전>계열과 <박씨전>계열의 통속화된 양상을 1910년대의 시대적 상황과 연관 지었을 때, <박씨부인전>계열은 박씨의 우월성을 국가를 위한 충(忠)과 절(節)을 위한 행위로 귀결시켰으며 <박씨전>계열은 당대 정치 체제에 순응하고 지배 질서를 정립하고자 하는 보수적 시각이 표출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aspects and social meanings of the popularity in <Bak-Ssi-Jeon>. There are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of a different version in <Bak-Ssi-Jeon>. Printed books of <Bak-Ssi-Jeon> are classed as two affiliation. One is of affiliation of <Bak-Ssi-Bu-In-Jeon> and the other is affiliation of <Bak-Ssi-Jeon>. In end of <Bak-Ssi-Bu-In-Jeon> was added narration about Im Gyung-Up. And in beginning of <Bak-Ssi-Jeon> was added narration about Yi Si-Baek`s birth story. In end of <Bak-Ssi-Jeon> was added narration about Im Gyung-Up. Narration about Im Gyung-Up in end of <Bak-Ssi-Bu-In-Jeon> and <Bak-Ssi-Jeon> were assured in <Im-Gyung-Up-Jeon>. In affiliation of <Bak-Ssi-Bu-In-Jeon> is included manuscripts of 16 different versions. But in affiliation of <Bak-Ssi-Jeon> is assured manuscripts of 2 different versions. And narration about Im Gyung-Up in end of <Bak-Ssi-Bu-In-Jeon> is assured all different of version <Bak-Ssi-Jeon> exclude affiliation of original version. But affiliation of <Bak-Ssi-Jeon> is different in kind comparing with the whole of different versions. So I guess affiliation of <Bak-Ssi-Bu-In-Jeon> and <Bak-Ssi-Jeon> were popularity(通俗化) but very affiliation of <Bak-Ssi-Bu-In-Jeon> was very popular(大衆的) version but affiliation of <Bak-Ssi-Jeon> was not. Bak-Ssi`s remarkable activities concluded in ethics of Confucianism in affiliation of <Bak-Ssi-Bu-In-Jeon>. And conservative point of view are revealed itself a political structure in affiliation of <Bak-Ssi-Jeon>.

      • KCI등재

        박태원 소설의 통속화 전략 - 『여인성장』을 중심으로 -

        조미숙 ( Jo Mi-soo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2

        이 글의 목적은 통속소설로 평가되어 온 박태원의 『여인성장』 서사 전략 연구를 통해 강점 말기 작가의 글쓰기 의미 고찰에 있다. 이를 위해 형식적 측면, 장소성, 시대성 등으로 작품의 서사전략을 살펴 본 바 대표작 『천변풍경』과는 다른 통속화 전략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짧은 장 구성과 복수 시점 사용이 두드러진다. 장 구별, 장 제목은 신문연재 방식을 따른 것이었다. 여러 계층 인물들의 복수 시점은 다양한 입장에서 문제를 관찰할 수 있는 장치였다. 둘째, 서울 문안의 장소성을 드러낸다. 서울 거리 묘사 등 단편소설에서 보이던 양식을 좀 더 넓은 영역으로, 구체적인 양상으로 확대하고 있다. 셋째, 시대성과 당대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940년대 초반 우리 사회에 팽배했던 물질만능주의와 일상 삶의 묘사와 함께 일상까지도 지배하려 했던 일제 규율장치까지 묘사한다. 넷째, 통속소설에 나타나는 클리셰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르기와 엿듣기, 편지, 조우 등 우연성과 함께 작위성, 모른 체하기, 서사 생략 등이 그것이다. 결국 『여인성장』의 서사전략은 1940년대 박태원의 통속화 전략이었다. 그런데 『천변풍경』과 비교해 보면, 보다 통속화되면서도 주제의식이 보다 명확해졌음을 알 수 있다. 통속화에 숨겨진 작가 주제의식 독해를 통해 강점 말기 조국에서 활동한 작가들 글쓰기 의미를 확인하게 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achievement of Park Tae-won, a writer who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various writing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aims to explore the value and limitations of writing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by examining Park Tae-won's narrative strategy in the 1940s, focusing on Park Tae-won's 『Well-dressed Woman』. First, it uses a short chapter structure and multiple viewpoints. Second, it shows the sense of place in Seoul. Third, present the topic of the times. Fourth, use popular cliché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see the strategy of popularization and popularization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and the expression of theme consciousness indirectly. This is the author's intention about the 'growth' implied by the title.

      • KCI등재

        ‘공공적’ 글쓰기와 소설의 통속화 : 박태원의 「명랑한 전망」, 『여인성장』에 대한 연구

        류수연(Ryu, Su Yun)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3 No.-

        1930년대 후반 문학의 경향을 평가하는 중요한 키워드의 하나는 ‘통속화’이다. 이는 출판매체의 양적 성장과 상업화에 기반하고 있다. 1930년대 후반 발표된 박태원의 소설 역시 이러한 시대적 경향 속에 놓여 있다. 박태원 소설의 통속화는 ‘공공성의 상실’이라는 후기 식민지 시대의 현실적 조건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고는 「명랑한 전망」과 『여인성장』을 텍스트로 하여, 이러한 시대에 대한 작가의 예민한 반응이 소설이라는 ‘공공적 글쓰기’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popularization’ is the main keyword to estimate the literature in the latter half of 1930’s. It is based on an increase in quantity and commercialization of publishing media. Bak Tae-won’s novel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latter half of 1930’s, also laid on these tendency. The popularization of his novel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reveals ‘loss of publicity’ in the later colonial period. This thesis intends to reveal how Bak Tae-won’s thought was reflected in his novels as ‘public writing’ with 「The Cheerful View」 and 『The Growth of Women』.

      • KCI등재

        기획논문: 문학의 통속화, 통속의 문학화 : 아속(雅俗)의 교차, 석북신광수가한시(石北申光洙家漢詩)에 나타난 "속(俗)"의 활용 방향

        김동준 ( Dong Jun Kim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본고는 石北申光洙家[申光洙, 申光淵, 申光河, 申禹相등]에서 남긴 漢詩가운데 ‘俗’의 활용 양상을 검증할 수 있는 작품을 택하여 그것의 문학적 가공 방식과 예술사적 맥락을 탐색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문학의 통속화>라는 학회의 기획 논제가 한문학 영역에서는 적용되기 곤란함을 근거로 삼아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雅-俗담론을 분석의 도구로 삼았다. 그리하여 ‘상층과 대비되는 민간의 삶과 언어적 유산, 그리고 범속한 사람이 욕망하는 통속적 정서’를 ‘俗’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제2장에서 신광수가의 한시에서 주목되는 俗의 성분과 현전하는 자료를 검토하였다. 제3~4장에서는 ‘속’의 성분을 활용하여 형상화된 신광수가의 한시를 두 갈래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첫째는 俗의 雅文學化경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생활현장에서 취재한 속의 소재들을 활용하여 실감과 공감을 보유한 시 작품으로 전환해내었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두 번째로는 艶情코드가 강화된 風流공간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담긴 통속적 욕망과 향유층 확장의 시적 전략을 고찰하였다. 우아한 풍류로 포장된 채 출발했으나 결과적으로는 통속적 욕구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이는 雅의 俗文學化현상이라 간주될 수 있었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신광수가의 한시가 俗의 雅化와 雅의 俗化를 모두 보여준 사례였음을 확인한 뒤에, 이들의 시도가 金弘道·申潤福의 풍속화와 미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 민간의 문학적 자산을 예술적 자산으로 활용한 결과라는 점, 나아가 민간의 삶과 욕망에 주의했던 이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성과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chose works that can be verified about the application of ‘security’ among Chinese poems left by poets from the Seokbuk Shin Gwang-su’s family to explore its literary processing method, way of realization, and art historical context. In the first chapter, changing the society’s subject_‘popularization of literature’, discussion of grace-secularity was used as the tool for analysis. By doing so, ‘people’s life contrasted with the upper class and vulgar sentiment desired by the common crowd’ were set as the concept of ‘secularity’. In the second chapter, components of secularity notable in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were review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aspects embodied by using components of ‘secularity’ were divided into two prongs to be illuminated. First, this researcher focused on the tendency of secularity’s turning into the graceful literature, whose gist is that they made use of materials in life to change them into the literary works that holds realistic and sympathetic feelings. Second, being targeted at the works in the space of having taste for arts where romantic feelings were strengthened, this researcher contemplated vulgar desire in it and poetic strategy of expanding the class enjoying it. Its substance is that they started by claiming to stand for grace, but resulted in embodying common desire. And in the last chapter, after diagnosing that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that utilized secularity were sharing aesthetic sense with genre paintings of Kim Hong-do and Shin Yun-bok, it is suggested that they used folks’ literary asset as the artistic one and that they reflected the art historical flow of the former times when artists had paid attention to the people’s life and desire.

      • KCI등재

        조선후기 유교의 통속화와 <우부가(愚夫歌)>

        신성환 ( Shin Seong-whan ) 한국시가학회 2016 韓國 詩歌硏究 Vol.41 No.-

        본고는 일본의 사상가 야스마루 요시오(安丸良夫)가 주창한 `통속도덕`이라는 개념을 통해 조선후기의 사회를 유교의 통속화라는 차원에서 조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부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과 목적의 설정은 <우부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인류가 도달해야할 목적지를 `근대`로 설정하고 조선후기 문학작품을 통해 그곳을 향해 가열차게 달려가는 양상을 탐색하거나 혹은 이미 선취된 근대성의 편린을 찾고자했던 `내재적 발전론`에 영향을 받았다는 반성적 비판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후기를 당대의 시각으로 보고자 하였고, 그 결과 건국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온 `유교를 통한 교화`가 비로소 자리를 잡아갔던 시기로 파악했다. 즉 유교가 통속화 혹은 세속화되면서 民들에게도 내재화되어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현되고 있었고, <우부가> 또한 이러한 당대적 상황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우부가>는 세 주인공인 개똥이·꼼생원·꾕생원의 행실을 차례로 나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의 행위는 `惡`하다기보다 거침없이 욕망을 발산하고 기성의 윤리를 파괴하는 `품행제로`의 초상에 가깝다. 그럼에도 이들은 결국 공동체에서 버림받고 생사의 확인조차 할 수 없게 된다. 야스마루에 따르면 통속도덕화된 공동체 내부의 규율을 따르지 않아 낙오자로 간주된 자는 경제적인 실패자일 뿐만 아니라 도덕적으로도 폄하되어 주변화 되는데, <우부가> 주인공들의 말로는 이러한 견해에 그대로 등치된다. 즉 <우부가>의 세 인물은 그들이 속한 공동체가 요구하는 암묵적으로 내재된 강제성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실패하고 도덕적으로도 타락한 모습으로 작품에 재현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강제성을 견디지 못한 자들에 대해 `추방=주변화`라는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공동체에 남아있는 구성원들에게 강한 경계의 의미를 던져줄 수 있었던 것이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take a view of latter period Joseon Dynasty era accepting the concept of ` popular moral` advocated by Japanese philosopher Yasumaru Yoshio and look into < Ubuga > once again. This setting of method and purpose caused by reflective criticism that the existing studies of < Ubuga > have set the destination as `modern times` and look into how it rush to the gaol through the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era or have reflected by theory of internal development which looking for a part of modernity that already hold. Therefore, it is tried to examine the late Joseon Dynasty era by the vision of the age in the paper. In result, it is realized that `enlightenment though confucianism` progressed consistently from the earliest days finally settled in this time. In other words, confucianism is naturally present in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when they accept it through popularization or secularization. < Ubuga > is also a product of the day. < Ubuga > is composed of listing the behavior of 개똥이, 꼼생원, 꾕생원, and these are more like `bad Behavior` breaking established morality than `evil`. Nevertheless they abandoned by community and faced the situation even had no confirmation whether they are alive or not. The ending of < Ubuga >`s character could be understood by the perspective of Yasumaru which is people consider that whoever broke the rule of popular moralized community would be a failure. In < Ubuga >, they look like losers economically and morally both, because the three character of < Ubuga > couldn`t stand the implicitly demanded internal force of the community they belong. < Ubuga > can arouse the member of the community`s attention that those who can not stand the force of community would be ejected.

      • KCI등재

        民·官 그리고 知識人 주도의 반부패운동-중국 반부패소설의 주선율화, 통속화, 예술화를 중심으로-

        김창경(Kim ChangGyeong),안승웅(Ahn SuengWoong) 한국부패학회 2014 한국부패학회보 Vol.19 No.4

        본 논문은 중국의 부패문제를 문화사적인 입장에서 반부패소설을 중심으로 하여 살 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반부패소설이 중국에서 흥성하게 된 원인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반부패에 대한 중국정부의 의지와 반부패소설의 주선율 문 화로의 편입이다. 반부패운동의 성패여부가 당과 국가의 존망을 결정짓는다는 인식을 한 중국정부는 반부패운동의 성공을 위해 반부패소설의 창작을 적극 지원하였다. 둘째, 대중의 심미요구와 반부패소설의 통속화를 들 수 있다. 반부패소설은 내용상 독자대중 의 흥미를 끄는 요소를 풍부히 가지고 있었으며 동시에 권력의 폭력에 저항하고자 하 는 민중의 염원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이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주제의식과 형식 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중국지식인의 현실참여 정신과 반부패소설의 문학적 성취를 들 수 있다. 반부패소설의 창작이 단순한 어용문학으로서 정치적 구호에 머물거나 통속 문학으로서 대중의 말초적 호기심에 영합하지 않았던 것은, 현실주의 문학으로서 반부 패소설이 지닌 리얼리즘 때문이었다. 결론적으로 반부패소설의 성행은 사회의 부패를 일소하려는 정부의 의도, 시대적 요 구에 호응하려는 작가들의 창작정신, 그리고 독자대중의 문화적 수요라는 삼요소가 일치함에 따라 말미암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부패소설의 연구는 기존의 사회학 적 측면과 다른 인문학적 차원에서 부패의 문제를 바라보는 것으로서 보다 다양한 측 면에서 부패의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Chinese corruption issues focusing on the anti-corruption novel from cultural perspective, and analyzed the causes to promote anti-corruption novel from the thre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reason is Chinese governmental intention which tries to absorb a main melody culture of anti-corruption novel for the governmental propaganda of anti-corruption. As we know with the title of the anti-corruption novel, anti-corruption novel is closely related to the anti-corruption movement which was led by the Chinese government. Chinese government supported the creation of anti-corruption novel for the success of the anti-corruption movement. The second reason is the aesthetic demand by the public and the popularization of anti-corruption novel. The anti-corruption novel had a lot of factors that were the allure of the people’s interest, the people’s desire for resistance against the violence of power, and the easy topic and format for the public. The third reason is Chinese intellectual’s participation in political issues and the achievement of anti-corruption novel. Even if anti-corruption novel is popular literature, it did follow the people’s trivial curiosity which a popular literature try to satisfy. It does not remained just as political slogan. The anti-corruption novels are based on the reality. In conclusion, the popularity of anti-corruption novel in China are influenced by governmental intentions to eradicate corruption, authors’ creation spirit which fulfills the need of the times and readers. Therefore, the research of anti-corruption novel makes a opportunity to see a corruption problem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while the current studies of corruption are made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sciences.

      • KCI등재

        만화 <토지>의 서사 변용 연구

        최유희 ( You Hee Choi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3

        소설을 각색하여 만화로 만드는 과정에서는 원작 소설에 만화 작가의 목소리와 매체의 특성이 개입된다. 그래서 각색 만화는 원작 소설과는 다른 가치와 판단을 독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 논문은 박경리의 소설 <토지>를 각색한 오세영 만화가의 만화 <토지>를 분석하여 원작 소설의 서사가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첫째, 만화는 구조상 수용자의 높은 참가를 요구하는데, 사실적인 그림 스타일 때문에 인물의 구분이 어려워서 수용자의 감정 이입을 방해하고 있다. 둘째, 서사의 통속화이다. 만화의 칸을 분석한 결과 애정서사에 대한 강조는 근접화면화를 통해 서사에 리듬을 만들어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이 아주 미미하다. 아울러 노골적인 성적 묘사에서 각색자의 통속화 전략을 읽을 수 있다. 셋째, 말풍선을 열심히 읽어내면서 <토지>의 서사를 읽어내야 한다. 그림을 보는 게 아니라 글을 읽어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다가 보기를 강조하는 몇몇 경우는 익스트림 클로즈업을 통한 데포르망과 추상화를 통해서 서사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만화의 예술성을 담보하기 위한 작가의 전략이 이 지점에 있다. 소설에서는 서술자의 논평이나 주석을 통해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평가를 많이 한다. 이 부분을 만화가 오세영은 익스트림 클로즈업이나 추상적인 선을 통한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다. 만화가 오세영이 목표한 바, 컷을 통한 만화 예술의 구현 지점이 바로 이 부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아쉽게도 이러한 부분은 전체 만화 서사에 비해서 그렇게 풍부하지 않다. 또한 만화 『토지』에서 사건은 애정서사에 대한 강조와 노골적인 성적 표현으로 인해 사건들이 계열 안에서 의미화되지 못한다. 시각적 재현을 통해 만화 『토지』를 창조하는 일은 사실주의 작가로서 엄청난 공을 들여야 하는 작업이다. 그렇지만 각색 만화의 역할을 서사의 복원에만 한정한다면, 대중성을 확보하는 것에서도 멀어질 것이다. 스토리의 재현이 정신의 구현일 수는 없고 통속성의 강화가 곧바로 대중성을 확보하는 것이 될 수는 없다. 각색은 원작 작품의 문학적 상상력이 아니라, 각색 만화의 만화적 상상력 안에서 재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각색 작가의 역할은 문화재 복원가가 아니며, 각색이 서사의 재현과 동의어가 될 수는 없고 통속서사에 대한 집중이 대중성 확보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만화적 상상력을 통한 재창조 작업은 함축을 통한 의미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The voices of cartoon writers instilled in the process of a novel adaptation to cartoon. Thus, cartoons adapted from novels convey the different values and decisions. This paper inspects how narratives have been modified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First, readers are disturbed by ambiguous distinction of character due to unusually detailed pictures while cartoons structurally required a high level involvement of readers. Second, narratives become popularized. In the research of cartoon panels, empathies of love affairs constitute the rhythm of narratives through zoom in. However, these factors are really subtle. Sexual depiction reveals the adapter`s popularization strategy. Third, the narrative of Land should be revealed by reading text balloons. Readers have to read the text not looking at pictures In the case of emphasizing pictures, meaning of narratives are realized by deformant and abstraction through extreme close-up. The adapters` strategy to obtain artistic values is at this point. In the original novels, evaluations of characters are usually through story tellers` comments and annotations. For this point the Cartoonist Oh seyoung use extreme close-up and abstraction. As his intention, making artistic cartoon realized at this. However, these points are not enough compare to narratives. The events in the cartoon Land are scattered because of emphasis on love affairs and sexual depiction in detail. Adaptation the novel Land to visual art requires tremendous effort as a realist. If the role of adapted cartoon is limited only on the restoration of narratives, securing popularity is rarely possible. The restoration of the story can not be the realization of spirit and the emphasizing popularization does not directly connect to the obtaining popularity. Adaptation should not consist of novelist`s imagination but be restructure in cartoonist`s imagination. Adapters are not the restorers of cultural property. In other words, adaptation is not the same words with restoration of story, and focusing on popularization does not assure obtaining popularity. Deformant, and zoom in brings the rhythm in narratives base on cartoonist`s imagination. Thus, restructuring through cartoonist`s imagination should be done with implicated signification

      • KCI등재

        근대전환기 女訓書가 전통을 수용하는 방식 : 『婦人言行錄』의 『女學』 변개에 대하여

        성민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2 No.-

        본고는 근대전환기의 여훈서가 전통을 어떻게 수용해서 변개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동원하게 될 자료는 청대의 여훈서 『女學』과 근대전환기 식민지 조선의 여훈서 『婦人言行錄』(이하 『부인』으로 지칭)이다. 『부인』은 책에서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목차 상의 유사점이나 『여학』의 논평이 여러 군데 인용된 것으로 볼 때, 『여학』을 참조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 즉 『부인』은 『여학』의 체재를 참조하여 목차를 구성하고,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한 것을 바탕으로 국내의 사례를 첨가한 저작인 것이다. 『부인』은 전통 여훈서의 범주에 포섭되는 저작이지만 근대전환기의 국어 교과서에 해당하는 ‘讀本’의 역할도 겸할 수 있었다는 특징이 있다. 『부인』은 『여학』을 전기체로만 일관하는 전기집의 형태로 변개했고, 세분화된 덕목들 중 보다 핵심적이라고 할 만한 것들로 집중을 꾀했다. 결과적으로 『부인 이 『여학 의 지나치게 세분화된 덕목을 통합해서 간소화한 것은 실제 통용되는 여훈서로서 갖는 실효를 제고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인』은 『여학』을 수용함에 있어 전반적인 체재를 재조직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을 첨가했다. 특히 『부인』이 독자적으로 수록하고 있는 인물들의 존재는 비교적 덜 알려진 여성 인물들이 역사 속에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한편 『여학』과 『부인』은 모두 ‘학문’으로 별도의 항목을 구성함으로써 학문이 여성에게 필요한 덕목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있는데, 『부인』은 『여학』의 이러한 측면을 계승하면서도 여성의 한시 작품을 수록함으로써 여성의 詩詞를 긍정하는 한층 진전된 면모를 보인다. 『부인』의 여성 한시 수록은, 비록 소극적일지언정 여성교화의 최전선에 있는 여훈서조차도 시대적 변화를 거부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여성의 시사에 대해 방어적 경계로 일관하고 있는 전통 여훈서의 흐름에 비추어보면 그 긍정적 변모의 의미를 더욱 또렷하게 드러내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부인』이 『여학』을 변개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또 하나의 특징은 규범의 통속화이다. 이것은 유교적 여성 규범이 지식 엘리트나 사족 부녀의 영역을 벗어나 여성 일반에게 한층 수용되기 용이한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그 효과는 일제강점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 거듭된 『부인』의 재간행이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how Yeo-Hoon-Seo(女訓書) in the transitional period embraced and changed the tradition. The materials we will be mobilizing for this work are 『Yeo-Hak(女學) and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Hereinafter referred to as 『Buin』) Although 『Buin』 is not disclosed, it seems clear that a reference to 『Yeo-Hak』 has been made given the similarities in the table of contents or the comments of 『Yeo-Hak』 are cited in several places. In other words, 『Buin』 is a work in which domestic cases are add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by referring to the format of 『Yeo-Hak』 and the excerpts of the contents. 『Buin』 transformed 『Yeo-Hak』 into a biographical book, and focused on the subdivided virtues that could be considered more essential. As a result,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simplification of 『Buin』 by incorporating the overly subdivided virtues of 『Yeo-Hak』 has im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al Yeo-Hoon-Seo. And 『Buin』 not only reorganized the overall format in accepting 『Yeo-Hak』, but also added new content. In particular, the existence of characters that are independently included in 『Bui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relatively lesser-known female characters to establish themselves in history. On the other hand, both 『Yeo-Hak』 and 『Buin』 recognize that scholarship is a necessary virtue for women by composing separate items as 'academics'. The dissertation affirms women's Chinese poetry by including women's poetry while inheriting this aspect of the book. It shows a more advanced aspect. The women's poems in 『Buin』 show that even Yeo-Hoon-Seo at the forefront of women's revitalization, although passive, did not reject the changes of the time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oint where the meaning of transformation is more clearly revealed. Another characteristic that 『Buin』 reveals in the process of changing 『Yeo-Hak』 is the popularization of norms. Thi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Confucian women's norms to be more easily accepted by women in general, out of the realm of the knowledge elite or the Yangban women. And it can be said that the effect can be proved by the re-publishing of 『Buin』 repeated from the early to mid-term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조선사회의 유교적 변환과 그 이면

        강상순(Sangsoon Ka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0

        조선을 건국한 사대부들은 성리학을 지배이념으로 삼고 이상적인 유교적 예교사회를 건설하고자 노력했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불교와 무속에 기반한 재래의 사생관과 제의를 이론적으로, 실천적으로 극복하고 유교적인 사생관과 제의를 보급할 필요가 있었다. 조선전기의 필기나 역사기록은 재래의 주술적이고 신비주의적이며 실체론적인 귀신관․사생관을 타파하기 위한 사대부들의 이론적․실천적 노력들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성리학적 지식인들은 귀신사생론을 저술하여 그러한 귀신관․사생관의 허구성과 미신성을 폭로하고 비판했다. 하지만 17세기 전반의 『어유야담』을 분수령으로 해서 조선후기의 야담집에는 오히려 유교적 도덕과 가치를 내장한, 그렇지만 주술적이고 실체론적인 귀신관에 바탕한 귀신 이야기들이 많이 수록되기 시작한다. 이 이야기들이 강조하는 것은 귀신은 실체로 존재하며 제사는 귀신이 흠향하는 실질적인 의례라는 것이다. 이처럼 제사의 중요성이 강조된 것은 사대부들이 지향했던 유교적 예교사회란 제사공동체라는 기반 위에서만 재생산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대부들은 예의와 교화로 다스려지는 예교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여기에서 제사는 매우 핵심적인 의의를 지닌 의례였던 것이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회자된 조상의 귀신에 대한 이야기들은 조선사회의 유교적 변환이 일방향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즉 조선사회의 유교적 변환이란 귀신이나 사후세계가 실체로 존재한다는 재래의 귀신관․사생관을 수용하면서 이를 유교적 가치관에 따라 전유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무속이나 불교의 유교적 가치화로도 말할 수 있고 유교의 무속화라고도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교는 통속화와 기복화라는 값을 치러야 했다. Jentry(Sadaebu) who founded Joseon accepted confucianism as a ruling ideology and was trying to build a ideal confucian society. Especially they suppressed buddhism and shamanism ritual calling the ‘dirty and evil ritual-Umsa(淫祀)-’, and disseminated confucian ritual and Ideology. Such a confucian transformation of Joseon society here it was called the confucian enlightenment. But from Eouyadam(於于野談) started to talk a lot more with a built-in confucian morals and values, but sharmanistic and incantatory Guisin story. It said that confucian ritual funeral rites-‘Jesa(祭祀)’- were important and effect. Because the ideal confucian society was sustained by Jesa-community. In the ghosts(guisin 鬼神) story widely circulated 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knew that confucian transformation of Joseon society does not have one-way. Joseon’s confucian rejected Buddhism and shamanism, but accepted notions about ghosts(Guisin) and view on life and death of Buddhism and shamanism. Sharmanism and buddism accepted moral and values of confucianism. But, in the process, Joseon’s confucianism was the popularization and became a religion relief.

      • KCI등재

        徐花潭에 관한 ‘이야기 만들기’와 「서화담전」의 형성

        권순긍(Kwon, Sun-keung) 한국고전번역원 2016 民族文化 Vol.48 No.-

        花潭 徐敬德(1489~1546)은 氣철학을 제창하고 象數學을 통하여 數理를 밝힌 조선 중기의 儒學者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설화와 신작 고소설 「서화담전」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 이야기도 대개가 氣철학이나 유학에 관한 것이 아니라 도술을 잘 부린다거나 당대 명기인 황진이와 얽힌 일화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화담에 관한 구비나 문헌전승 중에 가장 많은 것이 도술설화인데 특히 세상의 이치를 어기며 어려운 처지의 사람을 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세상의 정해진 이치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부당하면 바꾸어야 한다는 개혁의지가 이야기 속에 담겨있는 것이다. 실제로 화담이 그런 사회 개혁의 일을 수행하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평생을 벼슬에 나가지 않고 화담에 은거하면서 세상의 이치를 궁구하여 도를 통달한 그의 학문적 경향이 사람들에게 도술을 잘 부리는 인물로 부각되었고, 그것이 세상의 바꾸려는 이야기로까지 확대된 것이다. 보통 사람들이 할 수 없는 도술이라면 응당 세상의 잘못을 바로 잡고 바꾸어야 되는 것이고, 그런 민중들의 요구에 의해 ‘서화담 도술설화’가 다양하게 만들어진 것이다. 구비와 문헌으로 전승되던 ‘서화담 도술설화’는 1926년 李鍾楨에 의해 정리되고, 편집되어 光東書局에서 「서화담전」이란 신작 고소설로 출판되게 되었다. 여기에도 다양한 도술설화들이 실려 있는데 특히 제자 허운을 보내 虎患을 당할 처녀를 구하고 그와 결혼시키는 삽화가 반 이상의 분량을 차지할 정도로 작품의 중심을 차지한다. 어려운 처지의 사람을 구하는 도술설화와 달리 제자 허운의 결혼이야기가 중심에 오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유사한 형태로 같은 광동서국에서 출판된 「소강절전」에서도 도술을 이용해 이웃에게 며느리를 얻어 주는 것을 작품의 중심에 두고 있다. 더욱이 작품의 마지막 삽화에서 부인에게 도술을 보여주면서 이제까지의 도술이 모두 헛일이라고 함으로써 「서화담전」은 도술이 갖는 사회변혁의 기능과 의미를 제거하여 도술 이야기를 단지 흥밋거리로 통속화 시켰다. 이는 당시 흥미위주의 읽을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활자본 고소설의 출판과도 연관되는 일이다. 당시에 신작으로 많이 등장한 활자본 고소설의 역사소설은 역사를 이야기 상품으로 만들어 대중화 시킨 점도 있지만 역사의식을 제거한 채 이를 통속화시킴으로써 우리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의식을 오히려 마비시키는 역기능을 수행했던 것이다. Although Hwa-dam Seo Kyeong-deok(花潭 徐敬德, 1489-1546)was a Mid-Choseon(朝鮮) Confucianist who studied Ki(氣)-philosophy and mathematical principles, he was usually pictured as a main character in many legendary stories and 「Seohwadamjeon」 as new written classical novel. Most of it’s stories are not about Ki and Confucianism, but rather an anecdote about Taoist magic and Hwangjini his contemporary Korean famous geisha. Shown in many tales and other written documents, he violated some of the social standards and ultimately rescued the people in need. Instead of simply following the established values, he attempted to introduce newer ideas for renovation. Actually, Seo Hwa-dam himself was not involved in reforming the society. He did not seek for any government positions, but only devoted himself to studying world views and Taoism. Because of this, he was mainly represented as an influential figure, whose role was expanded to change the society of his time. The diversity of 「Taoist Magic tale of Seo Hwa-dam」 originate from such expectations of the people, who believed in the renovation of the time. While 「Taoist Magic tale of Seo Hwa-dam」 had been delivered in orals and documents, thanks to Lee Chong-jeong(李鍾楨)s work in 1926, it was published as a new written classical novel 「Seohwadamjeon」 by Kwangdongseoguk(光東書局). The novel also had many tales of Taoist magic, and more than half of the book included many episodes that Heo Un saved a virgin girl from the tiger’s horrifying attacks and got married. The stories were more about the marriage of his disciple Heo Un, unlike Taoist magic that saved helpless people. The other book 「Sogangjeoljeon」 that was published by Kwangdongseoguk in the same period had a similar story about a daughter-in-law who was brought into a neighbors family by performing Taoist magic. Moreover, in the last episode of 「Seohwadamjeon」, his wife was shown a Taoist magic, which had no power of renovation but only carried the meaning of popularity and amusement. This fact was also related with many other publications of printed old novels which attempted to attract the simple interest of the readers at the time. The history novels of the time, appearing in the form of printed materials, made history matters popular among people. At the same time, however, it also produced negative effects on having right understanding about our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