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통속심리학적 타자 이해 원리에 대한 3가지 해석

        이기흥(Ki-Heung Lee) 한국철학회 2004 철학 Vol.80 No.-

        타자의 마음 내지 행위의 이해, 설명, 예상 등이 어떤 원리에 따라 일어나는가를 두고 이 론 이론(theory theory), 시뮬레이션 이론(simulation theory), 구현(된 인지) 이론(theory of embodied cognition)이 현재 서로 경쟁하고 있다. 본고는 이 이론들을 약술하고, 이 각각의 이론들을 제3자적, 제1자적 그리고 제2자적 시각과 연계해 재구성하는 가운데, 그것들의 정체성을 좀더 공고히 한다. 그런데 이 각 시각들이, 그 어느 것 하나 배제됨 없이, 삶의 각 상황에 따라 선택되는 것들인 한, 위의 이론들 역시 서로 상이한 이론들이면서 또한, 현재 이해되고 있는 바와는 달리, 서로 보완 관계에 서 있어야 할 이론들로 규정된다. 인지계 모델링 문제가 타자 이해 이론에 의존하는 동안, 위 논의 결과는 인지과학의 개념 틀 형성 문제이기도 한 인지계 모델링 문제와 관련해서도 하나의 새로운 메시지를 던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형식적 마음 모형

        이영의(Rhee, Young 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16 No.-

        인지과학은 인간의 마음, 지능, 인지를 연구하기 위해서 철학, 심리학, 인공지능, 신경과학, 언어학 등 관련된 여러 분야들이 참여하는 학제적 분야이다. 인지과학의 기원은 1950년대에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지능에 관한 이론을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고, 1970년대에 관련 학회가 창립되고 학술지가 창간되면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글의 목적은 인지과학이 제공하는 인지에 관한 두 가지 형식적 모형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인지에 대한 형식적 모형은 튜링기계(Turing machine) 개념에 기반을 둔 기능주의 모형과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에 기반을 둔 연결주의 모형이 있다. 이 글은 그러한 두 형식체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그 체계들에 기반을 둔 마음 모형을 비교할 것이다. The origin of cognitive science started from 1950s when some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ers had developed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began in earnest from 1970s when the Society of Cognitive Science was established and the journal <Cognitive Science> was published.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two formal models of mind in cognitive science. They are the functional model of mind which is based on the notion of Turing machine and the connectionist model of mind which i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is paper shall discuss the formal features of the models and compare the models based on the formal systems.

      • 인간 티칭 능력의 발달 패턴

        장명덕(Jang, Myoung-Duk)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敎育論叢 Vol.5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타고난 인지 기능으로서 티칭 기술의 발달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유아기에서 일반 성인 그리고 일반 성인에서 전문 교사로의 티칭 기술의 발달 과정을 분석하고 연구 및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의 티칭 기술은 1세경 원시티칭에서부터 3세경 시연, 5세경 설명, 7세경 상황 티칭, 9~11세경 전략 충고, 성인의 정신모형으로의 나이에 따른 발달 궤적을 보인다. 둘째, 일반 성인에서 전문 교사로의 티칭 능력의 발달은 크게 티칭 개념 측면과 티칭 실행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전자는 ‘학습자의 증거에 근거한 지식 구성 및 수정을 위한 자문’이라는 관점에서 그리고 후자는 티칭 관련 여러 가지 지식들을 최대한 고려하는 뛰어난 역동적 시스템 사고자로서 ‘전문 티칭’에서 정점을 이룬다. 앞으로 나이에 따른 티칭 개념과 티칭 실행의 발달, 교과 내에서의 영역구체적인 티칭 기술의 확인 및 발달, 예비 및 현장 교사 자신의 티칭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나 자신의 티칭 두뇌의 역동적 실행 과정에 대한 체험 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eaching strategies from the infancy to the adult and from the adult to expert teacher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kills as a human innate cognitive function, and is to draw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uman teaching strategies show developmental trajectory from proto-teaching(direct assistance) around one year old, physical demonstration around 3 years old, explanation around 5 years old, contingent teaching around 7 years old, strategic advice during 9~11 years old to the adult’s mental model. Seco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from a non-expert adult to a expert teacher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different aspects, their teaching conception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The former reaches its peak in the perspective of ‘the consultation for learner’s construction and modification of knowledge based on evidences’ and the latter is at its zenith in the ‘expert teaching’ as a dynamic systems thinking that takes the various teacher knowledge into consideration.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 are also describ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