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도사 가람 배치의 변화와 의미

        이철헌(Lee Cheol-h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영축산을 뒤로 하고 산자락에 남향으로 지어진 통도사는 전통적으로 세 구역으로 나누었다. 진리의 부처님인 비로자나불을 모신 대광명전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응화신으로서 역사적인 부처님이 설법하시는 영산전을 그리고 오른쪽에는 석가모니불의 입멸후 수행의 결과로 얻어진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각각 남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통도사는 3원 체제의 사찰로 창건되었다고 말한다. 이럴 경우 통도사의 3원제에서 중심을 차지하고 가장 북쪽에 위치한 곳이 대광명전이다. 자장은 율사이면서도 화엄사상가였기에 비로자나불을 모신 대광명전을 중심으로 통도사를 창건했다. 고려가 시작되어 수도가 개성으로 옮겨지면서 통도사가 위치한 양산은 수도권에서 멀어지면서 불교 활동의 중심지도 개성으로 옮겨갔다. 창건이후 특별한 활동이 없었던 통도사는 고려 중기에 들어와서 왕실의 지원을 받아 불교계의 주요사원으로 부각되고 남산종을 영도하는 위치로 부상한다. 왕실과 통도사를 연결시켜 준 매개는 왕실의 권위를 뒷받침해 주는 불사리신앙이라 할 수 있다. 고려 후기 지공(指空)이 통도사에 들어와 선(禪)과 계율을 설법한 이후 통도사는 위상이 크게 높아졌다. 1305(충렬31)년부터 1369(공민18)년까지 통도사에는 일주문ㆍ천왕문ㆍ불이문을 비롯해 많은 건축물들이 창건되는데 이는 통도사의 가람배치를 새롭게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된다. 가장 먼저 사찰 출입이 남북에서 동서로 바뀌면서 통도사의 중심이 대광명전이 아니라 사리전이 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전소되다시피 한 통도사를 사명유정((四溟惟政, 1544∼1610)이 중창을 지시했고 이후 우운진희(友雲眞熙)에 의해 통도사는 재건하게 된다. 조선시대 통도사는 가람단ㆍ산령각ㆍ삼성각 등을 지어 백성들의 다양한 신앙형태를 받아들였다. 신도들에게 금강계단은 계를 주는 장소에서 부처님진신사리를 모신 사리탑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승려들은 화엄(華嚴)ㆍ선(禪)ㆍ천태(天台)ㆍ정토(淨土)ㆍ율(律) 등을 수학하여 총림으로 자리 잡게 된다. Tongdosa temple, built in front of Mt. Youngchuk facing the south, was traditionally divided into three zones. The temple was founded as a ternary temple with Daegwangmyeongjeon serving Vairocana, the Buddha of Truth, at the center; Youngsanjeon symbolizing Eunghwashin, the historical Buddha, on the left; and the Geumgang Ordination platform enshrining Buddha’s sarira, obtained as a result of the practice after the death of Sakyamuni Buddha, on the right, each of them facing the south. Daegwangmyeongjeon, at the center of Tongdosa temple, was located in the northernmost part. Monk Jajang, a Yulsa and Avatamska philosopher, founded Daegwangmyeongjeon. As Goryeo began, the capital was relocated to Gaeseong. Yangsan, where Tongdosa was located, moved away from the metropolitan area; the center of Buddhist activities instead moved to Gaeseong. Now in the middle of Goryeo, Tongdosa, which held no special activities since its founding, emerged as a major Buddhist temple leading the Namsan sect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The medium that connected the royal family and Tongdosa was Buddha’s sarira faith that supported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After Monk Jigong (指空) entered Tongdosa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preached Zen (禪) and religious precepts (戒律), the status of Tongdosa got elevated. From 1305 (Chungryol 31) to 1369 (Gongmin 18), many buildings were established in Tongdosa, including Iljumun, Cheonwangmun, and Bulimun. This w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newly explore and understand the layout of Tongdosa temple. First, as the entrance to the temple was changed from north to south to east to west, Sarijeon became the center of Tongdosa, not Daegwangmyeongjeon. Then, Monk Samyung Yujeong (四溟惟政) ordered the reconstruction of Tongdosa temple, which was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temple was rebuilt by Monk Uun Jinhee (友雲眞熙). During the Joseon Dynasty, Garamdan, Sanryeonggak, and Samseonggak were built in Tongdosa and accepted people from various forms of faith. Believers recognized the Geumgang Ordination platform as a sarira stupa which enshrined Buddha’s sarira from a place that gave Buddhist commandments. To monks, Tongdosa was known as a Chonglim studying Avatamska (華嚴), Zen (禪), Tiantai (天台), a pure land (淨土), and commandments (律).

      • KCI등재

        통도사 승가대학의 역사와 문화

        양관스님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5 No.-

        본고찰은 통도사 승가대학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살펴 본 논문 이다. 이 논고에서 필자는 객관적인 근거에 의하여 현재의 통도사 승가 대학이 있기까지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하였다. 그래서 일제시기 통도사 강원의 변천 과정을 살피고, 이후에는 해방 이후 통도사 강원의 운영 그리고 승가대학으로의 전환 내용을 정리하였 다. 그러면서 현재 통도사 승가대학의 전통을 더욱 살피기 위해 역대 강 주, 강사의 이력과 사상을 조사하였다. 동시에 강원의 학칙, 청규, 학제, 교과과정, 졸업생 현황 및 활동 등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바탕하에서 통 도사 승가대학의 특성 및 향후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검토는 통도사 근현대사, 통도사 수행의 역사, 통도사 수행 의 역사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 고찰이 통도사 승가대의 성 찰 및 미래지향의 검토를 할 때에 필요한 근거로 활용될 것을 믿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ongdosa Buddhist Monk University. To do i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make the historic review on this Buddhist Monk University, from macro-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thesis made the reexaminations on how Kwangwon Tongdosa temple went through ups and downs during the occupa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Subsequently, this thesis conducted the analysis of how this temple was operated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the Japanese imperialist oppression, how it was renamed a Buddhist Monk University. Also, this research thesis looked through the history and ideas that academic professors and instructors had, in a bid to study the tradition of Tongdosa Buddhist Monk Un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reviewed school ethical codes, regulations, interdisciplinary rules, curriculum and number and activities of graduator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university and the upcoming tasks, in accordance with such factors.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mprehensive reviews and reexamination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the Tongdosa Temple, and such reviews and reexaminations are essential for providing the blueprint for the future's Tongdosa Temple.

      • KCI등재

        조선후기 환성 지안의 통도사 주석과 문도의 유풍 계승

        이종수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6

        Precept Master Jajang brought the sarira of Buddha from China and enshrined them in the Geumgang Ordination Platform in Tongdosa Temple, Yangsan. Consequently, the temple became one of the most renowned Buddhist temples in Korea and it has been a venue for the Buddhist initiation ceremony. Since the era of Silla Kingdom, Tongdosa had held the status of the representative Buddhist monastery in the Gyeongsang Provincial region and it came to be one of the Three Jewels Temples and to represent Gautama Buddh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leadership of the temple who kept the tradition of monastic training during that time were the disciples of Hwangseong Jian. Hwangseong Jian (1664~1729) was the most renowned teaching master of Huayan Buddhism (Ch. 華嚴) in the late Joseon period. When he held a large Buddhist lecture meeting of Huayan study in 1724, more than 1,400 people gathered to participate the event. But he was accused of plotting conspiracy when some person brought a false charge against him at the time and he had gotten banished to Jeju Island. After he passed away in exile, his disciple Seolchong Yeoncho (1676~1750) inherited his scholastic tradition and initiated the school of Hwangseong which lasted until the modern period. His relics preserved in the Tongdosa Museum enables one to find his trace in the temple. Among the artifacts, his head garment and his autographic poems carved on a wooden panel are kept in the museum while a memorial stone with Hwanseong’s article of the reduction of forced labor is stood among steles. The evidence of his scholastic mantle could also be found by the 76 portraits kept in the Portrait Hall of the temple and steles with his disciples’ names. There also is a stone lantern with inscriptions of ‘本 寺喚惺宗契中’ at the entrance of the temple and it suggests that there was a mutual financing association organized by the Hwanseong School members during the Japanese ruling time. The cadaster of the city office of Yangsan includes an entry of land under the name of Hwanseong and it seems to be land purchased by the financing association in order to help the temple management. Such artifacts and records suggest the fact that the Hwanseong School Members led the administration of the temple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kept the scholastic mantle of their teacher. The relics of master Hwanseong could have been preserved in Tongdosa thanks to his students’ devotions to keep Hwanseong’s tradition. When one considers the fact that Hwanseong was the representative master of Cheongheo Faction, the largest Buddhist fact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ongdosa can be regarded as the head temple of Cheongheo Faction since the scholastic mantle of Hwanseong is kept there. 양산 통도사는 신라 자장율사가 부처님 진신사리를 안치한 금강계단이 있어서 예로부터 수계작법이 이루어졌던 대표적 사찰이다. 신라시대 이래 경상도를 대표하는 사찰로서위상이 있었고, 조선후기에는 불·법·승 삼보 중 불보 사찰로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특히조선후기 통도사를 경영하며 수행 풍토를 이끌어갔던 그룹은 환성 지안의 문도였다. 환성 지안(1664~1729)은 조선후기 최고의 화엄강백으로서 1724년에 금산사에서화엄대법회를 열었을 때 1400여 명이 운집하였을 정도였다. 이때 수많은 대중이 모인것을 보고 누군가 역도의 우두머리라고 환성대사를 모함하였고, 결국 대사는 제주도로유배 가서 입적하였다. 그 환성대사의 제자인 설송 연초(1676~1750)로부터 이어지는환성 문도가 근대에 이르기까지 통도사에서 환성 유풍을 계승하였다. 환성대사가 통도사에 주석했던 흔적은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유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성보박물관에는 환성대사가 사용하던 송낙과 환성대사 친필의 시 현판이보관되어 있고, 비림에는 환성대사 찬술의 蠲役復舊碑 등이 있다. 그리고 통도사의 환성 유풍 계승은 影閣에 소장된 76점의 진영과 비림의 승려명이 있는 비석 등을 통해 그환성 문파의 계보가 확인된다. 또 통도사 입구에는 ‘本寺喚惺宗契中’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석등이 있는데, 일제강점기에 환성대사 문도들이 조직한 환성종계가 성립되어 있었던증거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양산시 『토지대장』에는 ‘석환성’ 소유로 기록된 溜地가있다. 이 유지는 환성종계가 통도사 경영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인근의 토지를 매입한흔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유물과 기록을 통해, 환성대사 문파는 18~19세기 통도사 경영을 주도적으로담당하면서 환성대사의 유풍을 계승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환성대사의 문도들이 스승의 유풍을 계승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환성대사 관련 유물이 남아 전하는것으로 짐작된다. 환성대사가 조선후기 최대의 불교 계파인 청허계를 대표하는 선사였다는 점에서 볼 때 환성 유풍을 계승하는 통도사가 청허계의 사상적 宗院이었다고 평가할만하다.

      • KCI등재

        통치이념으로 본 통도사의 시·공간 : 선덕왕과 자장율사를 중심으로

        문정필(Mon, Jung-Pil)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2

        King Seondeok of Silla administrated national affairs with faith in Buddhism. The record that 25 Buddhist temples were built during King Seondeok’s reign is the clue to his Buddhism-centered political activities. In the center was Jajangyulsa, a Daeguktong, and he also founded about 10 temples. King Seondeok and Jajang governed in a Buddhistic way by implementing both Doseung and relief in order to overcome a national crisis, which wa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emples or towers. King Seondeok and Jajang combined the religious belief in Buddhism of those times and politics and society, and built many temples and towers as its symbols including the nine-story wooden pagoda of Hwangryongsa Temple and Tongdosa Temple. These traditional buildings were the outcome of the king and Jajang’s ruling ideology the nation based on Buddhism. Accordingly, time and spatiality was examined ideologically through the traditional buildings reflecting Buddhistic control by King Seondeok and Jajang. Therefore, in this research, with the temples and pagodas established during King Seondeok’s reign as the background, the ideological values that Tongdosa Temple tried to pursue in terms of time and spatiality wereinvestigated. The time and spatiality studied through King Seondeok and Jajang’s ruling ideology reflected in Tongdosa Temple and that of faith in Buddhism at that time are as follows. First, the establishment of temples including Tongdosa Temple showed the will to expand the Buddha land in time and space with the meanings of virtues and defending the nation through Buddhism which was given by King Seondeok through his piety. Second, Jajang practiced his ideology of time and space to restore public sentiment that had been devastated in the wars, recover morality and lead Silla society to the Buddhist Elysium through the architectural medium of Geumgang stairs to receive Gye. Third, the foundation of Tongdosa Temple and the tale of a dragon brought about the timely and spatial space through which people came to recognize the dign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the faith in Buddhism as the ruling ideology during King Seondeok’s reign. 신라 선덕왕은 불교의 신앙심으로 국정을 운영하였다. 선덕왕 재임 기간에 25곳의 불 사찰을 창건하였다는 기록이 불교 중심적 정치행태를짐작하게 한다. 그 중심에는 대국통인 자장율사가 있었고, 그가 창건한절도 10여 곳에 이른다. 선덕왕과 자장은 국난극복을 위해 도승과 구휼을 병행 실시하여 불교 중심적 통치력을 행사하는데, 여기에는 사찰이나탑 건립이 관련되어 있다. 선덕왕과 자장은 불교 신앙을 정치와 사회에 융합시키면서 상징물로황룡사9층목탑과 통도사를 포함한 많은 절과 탑을 건립한다. 이러한 전통건축물은 불교를 바탕으로 하여 통치력을 행사한 결과물이다. 그리하여 선덕왕과 자장의 불교적 통치력이 반영된 사찰건축물을 통해 시ㆍ공간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덕왕 대에 건립한 사찰과 탑을 배경으로, 통도사의 시ㆍ공간에 추구하고자 했던 정치ㆍ사회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통도사에 녹아있는 선덕왕과 자장의 통치이념에 나타난 시ㆍ공간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덕왕은 능력 있는 신하들을 배치하여 합리적인 국정운영과 종교적 믿음으로 통도사를 포함한 사찰의 건립을 통해 불국토를 확충하는통치력을 펼쳤다. 그렇기 때문에 통도사는 불교의 보살계에 따라 국왕이베푸는 미덕과 삼국통일에 대한 호국불교의 시대정신이 담겨있는 시ㆍ 공간적 장소성을 간직하고 있다. 둘째, 자장은 통도사 금강계단이라는 건축적 매개체로 하여 신라 사회를 정토로 인도하는 통치이념을 시ㆍ공간에 담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통도사는 과거의 영산회상을 구현하는 장소로 설정하였으며, 여기서 계를 받는다는 것은 전쟁으로 인한 민심을 복구하고 인간적 윤리의식을 회복해 번영하는 통일된 국가를 기대했을 것이므로 과거ㆍ현재ㆍ미래가 공존하는 시ㆍ공간성을 지녔다. 셋째, 통도사에 관련된 용 신앙은 불교와 습합을 보여주고 있어 불교 신앙이 갖는 지배이념을 인식할 수 있다. 설화에서, 자장이 용을 물리치고 화해를 함으로써 불교가 가진 위엄과 문제해결 능력을 드러내고 있다. 현재의 ‘구룡지’는 통도사가 들어서기 이전의 구룡이 살았던 큰 못을 상상하게 하는 시ㆍ공간성을 갖는다.

      • KCI등재

        부산지역 범패승 계보 연구

        서정매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1 No.-

        현재 부산지역에서는 통범소리를 잇고 있는 부산영산재가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어 전승하고 있다. 그러나 부산지역은 1972년에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용운스님이 범음범패 보유자로 지정된 바 있으나 이듬해에 후계자 지정 없이 작고하게 되면서 이후 21년간 문화재는 공란으로 비워지게되었고, 아울러 용운스님의 소리제자들도 묻혀지게 된 결과를 낳았다. 이후 1993년 부산시무형문화재제9호로 부산영산재가 다시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용운스님의 직계 소리제자들은 여전히 계보에 누락되어 있어 부산지역 범패승들의 제대로 된 계보의 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문은 부산지역 범패승들의 계보를 사승관계를 중심으로 1세대ㆍ2세대ㆍ3세대ㆍ4세대로 세대별 나누어 정립하였고 아울러 부산지역의 범패를 지칭하는 통범소리 명칭의 어원, 통도사소리와 범어사소리와의 차이점 유무, 그리고두 사찰이 보유하고 있는 괘불연대와 전적(典籍) 비교를 통해 통도사와 범어사의 범패역사에 대해서도가늠해 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범소리’의 명칭은 1990년 이후 타 지역과의 소리 구분을 위해 생성되어진 것이며, ‘통도사소리’와 ‘범어사소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출신 스님들의 목소리의 특징에 따라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확대해석한 것이다. 둘째, 두 사찰의 범패 유물로는 통도사는 1700년대에 만들어진 괘불이 2점이나 있는데 비해, 범어사는 1905년에 제작된 괘불 1점으로, 통도사가 범어사보다 약 150년 정도 앞서있다. 반면 전적류에서는통도사는 의식집은 현재 찾아볼 수 없지만, 범어사는 불교의식집만 약 30여종 이상이며 1700년에 판각된 어산집 책판 30판을 온전히 소장하고 있는 등 두 사찰의 범패 관련 유물은 각각의 특징을 지닌다. 셋째, 1세대 어장인 대산스님이 편찬했다고 알려진 「대산집(大山集)」은 「범음요집(梵音要集)」ㆍ「예수문(豫修文)」ㆍ「각점안문(各點眼文)」로 합본으로 묶어져 있는 것을 법안스님이 다시 나누어 보관하고있다. 이 중 「범음요집(梵音要集)」의 말미에는 ‘광무원년(1897년) 섣달(음력 12월) 중완 때 사문 설천이금정산 금강나약의 소나무 창 아래에 향로 곁에서 옮겨 쓰다’로 정확히 기록되어 있어서 책을 집필한당시 대산스님은 27세의 젊은 나이이고 설천(雪泉)은 출가 때의 법명으로 추정된다. 넷째, 부산지역 범패승들의 계보는 세대별로 보았을 때 1세대 어장으로는 대산스님, 2세대 어장으로는 용운스님이 대표이며, 그 외 동명스님, 호산스님․함허스님․벽파스님․원봉 스님이 있고, 통도사출신 범패승으로 월호스님, 그리고 윗녁출신 범패승으로 축산스님이 있다. 3세대 어장으로는 용운스님의 소리제자들로 구성되는데, 대붕스님ㆍ성봉스님ㆍ취봉스님ㆍ박만하스님ㆍ영봉스님 등이 대표된다. 이 외 통도사 출신 범패승으로 경명스님ㆍ만산스님, 또한 전라도 계통의 범패승으로 효산스님ㆍ윤호스님ㆍ덕봉스님이 있으며, 충청도 계통 범패승으로는 영파스님ㆍ영담스님ㆍ보광스님, 송만해스님이 있으나, 송만해스님은 표충사 범패승이기도 하다. 그리고 해인사 출신 범패승으로 화봉스님, 그리고 이북출신 범패승으로 법홍스님․흥월스님(女僧)을 들 수 있다. 4세대는 3세대의 어장들로부터 소리를 배운제자들로, 구암스님․혜륭스님․청공스님, 응산스님ㆍ도진스님ㆍ한파스님이 있으며, 이 외 범패장엄의대가로 종욱스님, 그리고 현재 부산영산재 소속의 범패승들을 들 수 있다. 이처럼 해방 전후를 중심으로 부산에서는 주로 범어사 범패승들이 중심되어 있고 통도사 스님은 범어사에 비해 몇몇 되지 않는다. 또한 당시 부산에서는 통도사ㆍ범어사 출신뿐 아니라 충청도ㆍ전라도ㆍ이북 지역에 이르기까지 출신 사찰을 구분하지 않고 함께 어산 활동을 하였다는 특징을 지닌다. 영제범패 부산지역 범패승들의 세대별 계보 정립은 향후 각 세대에 따른 음악적 특징과 음악의 시대별변화 양상 연구에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밑거름을 제시했다고 본다. Presently in Pusan, Pusan yeongsanjae which inherits Tongbeom-Sori is being handed down with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1972, monk. Yong-un was entitled to No.1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Beompae by Pusan city. Unfortunately, two years later,he passed away without appointing any of his successors. Afterward, the position has been open for 21 years, which resulted in submerging the monk Yong-un's disciples. Although Pusan yeongsanjae was entitled to No.9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1993 by Puasn city, Monk Yong-un’s direct disciples are left out in the list of the genealogy of Young-je Beompae. That is why the reconstruction of it is necessary. There were several researches on the genealogy of Tongbeom-Sori, but it can be said that among them the most detailed one is professor Yoon so-hi's work. There are findings that the monks who were not actual Beompae monks were in the genealogy and the real Beompae monks are omitted, which requires more accurate rebuilding of it. Therefore, with making references to the former researches. the parts which are left out and errors are intended to be complemented and corrected in the way that the Beompae monks in Pusan are classified in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generation in the body of this paper. The first generation was led by monk.Daesan. the second generation includes monk. Yongun and Dongmyeong who were direct disciples of monk.Daesan. Aside from them. there were monk.Hosan, Hamheo, Byeokpa, and Wonbong who were the music disciples of monk.Daesan. Besides, monk.Wolho from Tongdo temple. monk and ChukSan was from the northen part of South Korea. The third generation consists of music disciples, not direct ones whose names are monk.DaeBung, Seongbong, Chuibong, Park manha, Yongbong and so on.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all Beompae monks. Other monks can also be in the third generation as follows Monk, Gyeongmyeong and Mansan from Tongdo temple,monk.Hyosan, Yunho and Deokbong from Jeonra Province, monk, Yongpa, Yongdam. Song maanhae and Bogwang from Chungcheong Province, monk. Whabong from Haein temple, and monk.Beoheung and Heungwol(female) from the part of North Korea. Besides,monk.Geumhae, Whadam, Myeonggyo, Gil yeonggwan was Beompae-Jangeom monks in Pusan area. The fourth generation are composed of music disciples of the third generation. Monk Guam, Haeryung, Chunggong, Eungsan, Dojin, and Hanpa belong to the fourth generation. And monk Jonguk who is an authority on Beompae-Jangeom and Beompae monks who are the performers in Pusan Yeongsanjae cannot be left out in the list of the fourth generation. Through comparing the monks from Tongdo temple and Beomeo temple who were performing in Pusan area before or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 the characteristic that most of them were the monks from Beomeo temple and only a few monks are from Beomeo temple is revealed.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 performances were conducted together by not only the monks from Tongdo temple and Beomeo temple but also the ones from chungcheong, zulla Province, and the parts of North Korea no matter where they were from. The reason why Beompae in Pusan area is called Tongbeom Sori is that the performers are mostly from Tongdo and Beomeo temple in Pusan area, and that in the past, the two temples were called TongBeomYangSa. It is likely that this term was mad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s after 1990’s. It is certain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rituals or characteristics of the two temples. Therefore, the terms ‘Tongdosa-sori and Beomeosa-sori’ are made from judging subjective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ks' personal tones or volumes. Rebuilding the genealogy of Young-je Beompae-monks in Pusan area by the generations Rebuilding the genealogy of Young-je Beompae-monks in Pusan area by the generations like this can provide the fertilizers for more systematic researches on the music features in each generation and on the phase of changes depending on the generat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es, the music traits of Tongbeom-Sori, Beompae in Pusan area, must be uncovered. Afterward, the research on what relation it has with the other YoungJe Beompaes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통도사(通度寺) 환성지안(喚醒志安)의 선시(禪詩) 연구

        권동순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3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Zen poetry of Hwanseong Jian that stayed at Tongdosa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to reconstruct his death, reaffirm his stay at Tongdosa,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is Zen poems. The study made a further step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that Hwanseong died a martyr, getting involved in Lee In-jwa's Revolt after promoting the Zen style and serving as the Jongju of Buddhist writings. The study found that the primary cause of his death was a calumny by some Buddhist monks. His calumny was because he put an emphasis on the selfpurific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and the realization of youngerstudents rather than exchanges with the nobility due to his Gyeolsunmujap character. The fact that his poems were followed by most Buddhist monks was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It is thus more valid that his death should be considered as the death of a martyr to spread Buddhist teachings as the Daejongjang of Zen Buddhism in the political situations in early Joseon when Buddhism was persecuted. It was reconstructed that he must have been subjected to the same Seosa and worship as Heoeungdangbowoo in middle Joseon. The study then examined his Zen poems given to Buddhist monks that stayed at Tongdosa and those who were recorded in the Munjeong list as Jeonbeop poems and histwo poemsinscribed on the signboard ofBaekryeonam at Tongdosa and his poems that he cited in the Gyeongsang region as Yuhaeng poems. He wrote Jeonbeop poems to promote the realization of his pupils. In his Jeonbeop poems, he used topics as poetic words and presented a typical Gyeokui poem form as he enjoyed writing a quatrain with five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The study also estimated his influences on Tongdosa based on these poems. His whereabouts in the Gyeongsang region can be tracked with his Yuhaeng poems. His two poems inscribed on the signboard of Tongdosa, in particular, indicate that they were written at theBuddhist temple. One of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oems is that the Sichuihwa of Seonchui. In these poems, he sought after Cheongsi whose sentiment was Han.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his aesthetics of realistic expressions and his viewpoint of poetry based on Cheongiron had certain impacts on the direction and horizon of Zen poetry in the history of itsliterature, thus granting some significance to his Zen poetry. 본고는 조선후기 통도사에 주석하였던 환성지안의 선시연구를 진행하여 환성의 죽음에대한 재조명과 환성의 통도사 주석을 재확인하고 그 선시의 특징과 의의를 살폈다. 선풍을 진작시키고 법문의 종주였던 환성의 죽음과 관련하여 불법홍포를 위해 희생된순교자로 보았으며 조선중기 허응당보우와 같은 반열에서 서사되고 추존되어야 한다고조명하였다. 환성의 선시를 통도사에 주석하였거나 문정목록에 실린 승려들에게 전해준 시를 전법시로 살펴보았고, 통도사 백련암 현판에 새겨져 있는 두 편의 시와 경상도 지방에서 읊은 시를 유행시로 분석해보았다. 전법시의 특징은 무분별지와 불이(不二)의 사상으로 제자들에게 깨달음을 인가하였다. 이때 화두를 직접 시어로 사용하였으며 오언절구를 즐겨 지어 격외시의 전형을 이루어내었음을 보았다. 유행시에서는 경상도 지역의 행적을 추적할 수 있었으며 특히, 통도사 현판에 새겨진 두 편의 시가 통도사에서 지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시의특징은 선취(禪趣)의 시취화(詩趣化)를 이루었으며 청시(淸詩)를 추구하였는데 이때의 정서는 한(寒)이라고 보았다. 이들 시작품을 통해서 환성이 통도사에 주석하였던 사실과 현재까지 통도사에 환성의 선맥과 시풍(詩風)이 계승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환성 시의 현실주의 표현미학과 천기론(天機論)적 시관(詩觀)은 선시문학사의 방향정립과지평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고 그 의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통도사의 해장보각(海藏寶閣)과 원당에 관한 고찰

        김미경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8 No.-

        Tongdosa Temple has many temple buildings to the east and west and mainly consists of three areas. Sangnojeon(上爐殿) is located around Gumgang Stairs and Jungnojeon(中爐殿) by Daegwangmyeongjeon(大光明殿). Hanojeon (下爐殿) includes Yeongsanjeon(靈山殿). Haejangbogak(海藏寶閣) and Gaesanjodang(開山祖堂) are the small buildings with three units each to the west of Yonghwajeon(龍華殿) of Jungnojeon(中爐殿) in the middle of the three areas. Daemunchae and Bonchae make a set and are located in between the existing areas. Soseulsammun at the front is called Gaesanjodang and to the back is Haejangbogak. Soseulsammun used to be encased by a wall and is in the form of a Confucian-style shrine. It has been introduced as a royal buddist shrines as it is an atypical building for temples. Today, Haejangbogak(海藏寶閣) is a type of Josadang(祖師堂) that enshrines the portrait of Priest Jajang(慈藏) who started a new order, so its sign is suitable for the character of the current building. The current study analyzed various records and books of priests in Tongdosaji(通度寺誌) concerning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functions until it received the current name of Haejangbogak(海藏寶閣). In other words, the current building with the sign for Haejangbogak(海藏寶閣) had the name of Chukseonggak(祝聖閣) in charge of royal Buddhist ceremonie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With the activ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in 1899, Haeinsa Temple’s Daejanggyeong was enshrined with the sign for Janggyeonggak(藏經閣). Later, the name was changed to Gaesanjodang(開山祖堂) with the portrait of Priest Jajang(慈藏). Therefore, the sign for Haejangbogak was given after the modern times. Wanmun that currently remains at Tongdosa Temple is mainly expressing Tongdosa Temple’s complaints about various labor duties, especially for paper-making, and exploit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ce it was designated as a royal buddist shrines and given various benefits for exemption of labor and taxes, it was protected by the authority for the local government, schools, and Confucian students to evade exploitation. That is why Tongdosa Temple actively pursued its designation as Wondang. As it was designated as a temple for Suryukjae(水陸齋), a ceremony for the peace of Late King Sunjo, by Queen Sunwonwanghu(純元王后) in 1836, it began services to pray for the deceased as a royal Wondang. Tongdosa Temple maintained solidarity with the royal family and the palace until the end of Joseon Dynasty by performing ceremonies for Queen Sunwonwanghu and Queen Sinjeongwanghu(神貞王后), accepting offerings from Queen Minbi of King Gojong, and interacting with Queen Sunmyeongbi(純明妃) of King Sunjong. By doing so, it continued to function as a temple for Seongsuwichukbonghyang(聖壽爲祝奉香). 통도사의 가람은 동서로 길게 많은 전각들이 놓여 있으며 크게 3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중심으로 한 상로전(上爐殿)과 대광명전(大光明殿)을 축으로 중로전(中爐殿)이 위치하고, 영산전(靈山殿)이 있는 하로전(下爐殿)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장보각과 개산조당은 3개의 영역 가운데 중로전의 용화전 (龍華殿) 서쪽에 자리한 각 3칸의 작은 건물이다. 대문채와 본채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기존 영역 사이를 비집고 들어서 있다. 앞의 솟을삼문은 개산조당(開山祖堂), 뒤의 건물은 해장보각(海藏寶閣)이라고 부른다. 원래 담장이 둘러져 있었던 솟을삼문은 유교건축의 사당(祠堂) 형식으로 사찰에서는 특수한 건물 형태라는 점에서 그동안 왕실(王室)의 원당(願堂)으로 소개되어 오는 정도였다. 오늘날 해장보각은 내부에 개산조(開山祖) 자장율사(慈藏律師)의 진영(眞影)을 모신 일종의 조사당(祖師堂)이기에 대문에 걸린 개산조당의 현판이 현재 전각의 성격에 더욱 적합하다. 본 글에서는 해장보각이라는 지금의 현판을 달기까지 그 원형과 기능의 변형 과정에 대하여 통도사지(通度寺誌)에 실린 각종 기록자료 및 승려문집(僧侶文集)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즉 해장보각의 현판이 걸린 현재의 전각은 조선말기 왕실의 불교 의례를 담당하는 축성각(祝聖閣)이라는 명칭으로 존재하였다. 이후 1899년 왕실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인출된 해인사 대장경(大藏經)을 봉안하며 장경각(藏經閣) 현판을 걸었고, 다시 자장스님의 진영을 봉안하면서 개산조당(開山祖堂)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해장보각의 현판은 근대 이후 붙여진 명칭이다. 현재 통도사에 남아 있는 완문(完文)에는 조선후기 통도사가 각종 잡역과 부역 가운데 특히 지역(紙役)의 폐해와 각종 침탈을 호소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왕실원당으로 지정되면 각종 면역 면세의 혜택이 주어지며 권력의 비호를 받고 관청은 물론 향교, 지방 유생들로부터 수탈까지 피할 수 있었다. 이에 통도사는 원당 지정에 매우 적극적이였던 것 같다. 1836년 순원왕후(純元王后)에 의하여 순조(純祖)의 극락왕생을 위한 수륙재(水陸齋)를 치루는 사찰로 지정되면서, 왕실원당으로서 본격적인 추천(追薦) 행위를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후 순원왕후와 신정왕후(神貞王后)의 탄신재(誕辰齋)를 비롯한 고종의 황후인 민비(閔妃)의 법화도량 시주, 그리고 순종비인 순명비(純明妃)에 이르기까지 조선말 왕실 및 궁방(宮房)과 통도사간의 상호 유대를 유지하며 성수위축봉향(聖壽爲祝奉香) 사찰로서 기능을 하였다.

      • KCI등재

        통도사의 고승진영 연구

        신광희 불교미술사학회 2024 불교미술사학 Vol.37 No.-

        불교 진영은 깨달음의 길을 간 불교 수행자들의 삶과 사상이 담긴 시각 조형물이자 문중의 결속을 위한 매개체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통도사 고승진영은 통도사의 유구한 역사와 함께 한 큰 스님들의 행적을 보여주는 위대한 유산이며 동시에 귀중한 불교회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고 이 글에서는 통도사 진영의 현황과 제작 목적, 그리고 도상 및 화풍을 살펴보았다. 통도사 진영에 관해서는 이미 여러 논고가 존재하지만, 진영과 승려 문중과의 연관성, 그리고 화풍에 관해서는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 필자는 통도사 진영의 일괄 조사를 토대로 기존에 미처 다루어지지 않은 점들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현존하는 진영이 통도사의 역사를 열고, 이끌었으며, 이후 재건과 부흥을 도모한 스님들의 초상화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그 과정에서 동일 승려의 진영이 복수로 존재하는 사례와 그 의미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찬문 및 사찰의 기록을 살펴봄으로써 당시 조선후기 통도사의 선사 숭배와 진영의 제작 목적도 엿볼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진영을 통해 조선 18세기 이후 20세기까지 통도사에서 환성당지안 문중이 크게 세거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도상의 분석을 통해 <자장율사 진영> 도상의 연원과 그 의미를 제시했으며, 마지막으로 화풍 분석을 통해 일부 작품의 화사와 제작 시기도 구체화했다. 특히 <월허당계청 진영>과 <화곡당계천 진영>이 <해송당관준 진영>(1786년)보다 앞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Monk portraits are paintings that contain the lives and thoughts of Buddhist practitioners on the path to enlightenment, and are also a medium for solidarity among clans. Therefore, the Tongdosa monk portraits can be said to be a great legacy that shows the long history of Tongdosa Temple and at the same time a valuable Buddhist painting.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existing state, production purpose, iconography, and painting style of Tongdosa monk portraits. Previously, several researchers had analyzed the portraits of monks at Tongdosa Temple,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raits and the monk clan and the painting style were insufficient. With these points in mind, I intensively analyzed areas that had not previously been cove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xisting portraits of Tongdosa monks are composed of portraits of monks who opened and led the history of the temple and led its subsequent reconstruction and revival. And by examining the records written on the portraits and the literature handed down to the temple, it was possible to find out for what purpose monk portraits were produced at Tongdo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rough the monk portraits, it was confirmed specifically that many monks of the Hwanseongdangjian Clan stayed at Tongdo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Next, through analysis of the iconography, the origin of the iconography of the portrait of the Venerable Master Jajangyulsa was found and its meaning revealed. Lastly, through analysis of painting style, the painter and production period of some works were also specified.

      • KCI등재

        일제강점기 통도사 주지 김구하와 독립운동 자금 지원

        한동민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5 No.-

        김구하(1872~1965)는 한국 근대 불교계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사찰인 경남 양산 통도사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그는 1911년 통도사 주지로 부임한 이래 10년간 통도사를 주도적으로 운영하였다. 재 정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학교와 강원을 개설하고 각지에 포교당을 설 치함으로써 통도사를 새롭게 변모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여성과의 스캔들과 공금횡령 등의 비리를 저지른 비리 승려로 지 탄을 받으며 1925년 주지직을 사임하였다. 이러한 공금횡령 사건의 배 후에는 상해 임시정부와 관련한 청년승려들에게 독립운동 자금 지원 때 문이라는 것이 김구하의 주장이었다. 따라서 ‘친일과 항일을 넘나든 비리 주지’로 낙인찍힌 김구하에 대한 역사적 평가의 잣대 가운데 하나가 13,000원의 독립운동 자금지원의 진 실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지주나 유력 인사들은 상호보험적인 측면에서 일회적이고 한시 적으로 독립자금을 지원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김구하는 독립운동 관 련자 10명에게 자금을 지원한 점과 정확한 기억과 진술의 일관성, 그리 고 13,000원이라는 거금이라는 점에서 좀더 적극적인 독립운동 지원이 라 할 수 있다. 또한 1920년 5월 김구하가 주도한 동아불교회(東亞佛敎會)의 조직은 친일적 성격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상해 임시정부와 관련한 신상완 등 청년승려들과 연결된 항일운동적 불교단체라 할 수 있다. 또한 불교개혁을 주장하는 불교유신회의 청년승려들과 입장을 같이한 총무원(總務院)을 이끌었던 통도사의 김구하는 조선 총독부와 본산 주지 의 입장을 강화하는 보수적인 교무원(敎務院)과 갈등관계였다. 따라서 1924년 총무원이 교무원으로 흡수 통합될 때까지 김구하는 친일적인 행 태를 보였다고 보기 어렵다. 동시에 김구하는 대본산 통도사 주지로서의 권위와 권력에 의해 점차 보수화되어 간 것도 사실이다. 3.1운동 이후 사찰령 체제와 절대적 권력 을 향유하는 본산 주지에 대한 비판이 본인에게도 해당한다는 사실을 망각한 점이다. Kim, Gu-Ha(1872-1965) is a figure who represents Korean modern Buddhist's community. He was the abbot of Tongdosa, Yangsan, South Gyungsang Provinc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emple of Korea, and he took the lead at managing Tongdosa for 10 years since he was appointed as the abbot of Tongdosa in 1911. He has been evaluated that he newly transformed Tongdosa by securing finance stable and founding schools and Buddhist Lecture Halls and establishing Dharma Instruction Centerat various places. On the other hand, he resigned the position of the abbot in 1923 by being criticized as a corrupt monk who committed irregularities such as scandals with women and embezzlement of public money. His claim was that the case of embezzlement of public money was to support finance for independence movement of young monks related with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one of the criteria for historical evaluation on Kim, Gu-Ha who has the sigma of 'a corrupt abbot crossing over pro-Japanese and anti-Japanese'laid on the financial support of 13,000won for independence movement.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independence fund was for once and temporarily supported in the mutual insurance aspect of landlords or important figures at that time. However, Kim, Gu-Ha can be said that he offered a more active support for independence movement in that he supported finance to 10 persons related with independence movement with his exact memory and consistency of his statement, and it's a fortune as much as 13,000won. Besides, the organization of Dong-A Buddhist Association at which Kim, Gu-Ha took the lead in May, 1920 has been understood that it had the feature of pro-Japanese but it can be said to be Buddhist organization with the nature of anti-Japanese connected with young monks such as Shin, Sang-Wan etc. related with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In addition, Kim, Gu-Ha of Tongdosa who led Headquarters of the Order in the same side of young monks of Buddhist Association for reunification of Revitalizing Reform that claims the renovation of Buddhism had the relationship of conflict with conservative Buddhist Clerks that reinforced the posi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of the abbot of head temple. Therefore, until Headquarters of the Order was merged into Buddhist Clerks in 1924, it is difficult to say that Kim, Gu-Ha showed pro-Japanese behavior. Simultaneously, it is also the fact that Kim, Gu-Ha wag gradually conservatized by the authority and power as an abbot of Tongdosa which is the main temple of a Buddhist sect. Sinc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he forgot the fact that the criticism for the system of Temple Act Promulgated and for the abbot of the main temple that enjoys the absolute power corresponded to himself as well.

      • KCI등재

        조선 후기 통도사 선묘(線描) 화엄경변상도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선희(Kim, Seon-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7 미술문화연구 Vol.10 No.10

        조선 후기 통도사 선묘 화엄경변상도는 한국불교사상과 불교미술사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선 『화엄경』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언어 즉, 미술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불교도로 하여금 화엄사상에 대한 이해와 경전의 가르침에 따라 실천적 신앙으로 이끌어가는 역할과 작용을 하였다. 우리나라의 『華嚴經』 관련 불화의 제작은 대부분 영 · 호남 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들 지역은 18세기부터 호남지역의 송광사 · 선암사 · 쌍계사와 영남지역의 통도사와 같은 대찰을 중심으로 화엄경변상도가 집중적으로 제작되는 경향을 보인다. 19세기 초반에 조성된 통도사의 화엄경변상도는 한국화엄사상의 전래부터 조선 후기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축적된 도상의 특징을 담고 있다. 이 불화의 화기를 판독한 결과, 1811년으로 해석되므로 조선 후기 선묘불화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화승은 천수, 관보, 승활, 지한, 성의 등이 통도사 화엄경변상도 제작에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도사 화엄경변상도의 봉안처는 선승들의 수도처인 보광전에 봉안되었다가 현재는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화엄경변상도는 이전 시기의 화엄경변상도와 비교했을 때 새로운 도상의 출현과 7처9회의 구성, 필선, 문양장식 등에서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어 도상 및 양식적인 면에서 좋은 비교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불교미술사가 지닌 독자성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Tongdosa line drawing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of late Joseon has remarkable characteristics in Korean Buddhist thought and Buddhist art history. First, the contents of the Avatamsaka Sutra are expressed in a visual language, that is, the fine ar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This served Buddhists the role of leading to practical faith in accordanc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Avatamsaka philosophy and the teachings of the scriptures. Most of production of the the Avatamsaka Sutra‐related Buddhist paintings in Korea are concentrated in Yeongnam and Honam regions.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tends to be intensively built around large temples such as Songgwangsa, Seonamsa, Ssanggyesa in Honam region and Tongdosa in Yeongnam region from the 18th century. From the decipherment of this Buddhist painting year, it is interpreted as 1811, and it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earliest line drawing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19th centur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inter monks such as Cheongsu, Gwanbo, Seunghwal, Jihan, and Seongui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ongdosa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In addition, the enshrinement place of Tongdosa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was enshrined in Bogwangjeon, the place where the Zen Buddhist monks lead an ascetic life, and is now on display at the Seongbo Museum in Tongdosa, Yangsan. This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has distinctive features in the appearance of new iconography and Chilcheoguhoe"s composition, lines, patterns compared with the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in the previous period. It is not only a good comparison in iconography and style, but it is meaningful as well in that the identity and value of Korean Buddhist art history can b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