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장 교리토성 성격에 대한 검토

        이일갑 ( Lee Il-gab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교리토성은 일명 기장 고읍성으로 불리운다. 교리토성은 구릉과 평지를 이어 축조한 평산성의 석축기단형 판축토성이다. 평면형태는 타원형을 띤다. 성둘레는 약 1600m로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길다. 특히 성둘레가 여타 토성에 비해 조금 더 긴 것은 인구 및 행정구역위상과 대왜구방어 등에 따른 군사적 중요성이 반영된 성둘레라 할 수 있겠다. 교리토성과 기장산성은 배후에 입보농성형 내지 피난성 성격이 짙은 석축산성과 결합된 치소성으로 상호보완 관계를 보이고 있다. 토성 축조수법 가운데 삭토법에 의한 체성부 축조가 확인된 교리토성 초축 성벽이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고식으로 추정되고 있다. 교리토성 내벽은 수직식으로 시기적으로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체성부 축조수법 가운데 영정주를 놓는 초석 역할을 하였던 석재들의 간격은 약 390~400cm 정도로 확인된다. 이 초석 설치는 강화중성(4m내외), 제주 항파두리성(3m), 충주 호암토성, 마산 회원현성(3.8m) 등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려시대 유행한 토성 축조수법이다. 따라서 교리토성 초축은 기장산성과 기장현 설치를 고려하면 적어도 8세기 중반 이후에 축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장 교리토성은 최근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문헌으로 살펴보면, 무석축기단식에서 석축기단식을 거치면서 8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축조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리토성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시대 전 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고대산성에 설치된 치소성과 관방성 역할이 이전(移轉)된 유적임을 알 수 있다.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lso called the Goeupseong Fortress of Kijang.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 masonry based type stamped earthen fortress of Pyeongsan, which was constructed between hill and flatland. The shape of the plane surface is elliptical. The fortress is about 1600m long, making it the longest within the Busan area. In particular, the fortress is slightly longer than other fortifications because its military importance, such as protecting a large population, the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defense against Japanese raiders and etc were reflected in this fortification.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and mountain fortress of Kijang demonstrates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a governing fortress and a masonry fortress that was obviously intended for protection and shelter. Among construction methods of earthen fortifications,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the body of which has been confirmed was constructed by the carving method, is estimated to be the most ancient among the earthen fortifications within the Busan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built very long ago due to the perpendicular style of the inner walls. Among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body of the fortress, intervals of stones, which played the role of the cornerstone of the crossbeam, were confirmed to be about 390~400cm. The cornerstone installation was a popular construction method of the Koryo Dynasty, where cornerstones, such as Gangwha Middle Fortress (within 4m), Jeju Hangpaduseong Fortress (3m), Hoam earthen fortification of Chungju, Masan Hoewonhyeon Fortress(3.8m) and etc were installed with equal interval measur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t least after the middle of the 8thcentury,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of Kijang and KijangHyu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cent archaeological surveys and literature research, it can be known that the Kijang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nd managed during the 8thtothe14century,undergoingtheprocessfromnon-masonry stylobate type to masonry stylobate type.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underwent continuous change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roughout the Koryo Dynast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a governing fortress and the military defense fortress installed at Ancient Mountain Fortress were transferred remains of historic interest.

      • KCI등재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삼국시대 考古資料의 양상과 성격

        박중균,이혁희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6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에 대한 최근 발굴조사에서는 몽촌토성의 축조시점과 성격, 변천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삼국시대 유구와 유물들이 확인되었다. 삼국시대 유구는 도로와 수혈유구·건물지 등이 일정한 공간 분포상의 정형성을 띠며 확인되었다. 즉, 도로는 격자상으로 구획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수혈유구와 건물지 등은 북문지 내측에서 북서쪽으로 치우친 지점의 도로로 둘러싸인 공간에 분포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주목되는 부분은 백제 漢城이 고구려에 의해 함락된 이후의 시기에 고구려가 백제의 유구를 修改築하여 사용하거나 폐기된 백제 유구 위에 성토대지를 조성하고 수혈유구, 건물지 등을 시설하여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구의 양상은 한성백제가 멸망한 이후에도 고구려가 몽촌토성을 일정기간 동안 점유하고 활용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유물상의 특징은 3가지 점에서 몽촌토성의 북서쪽에 인접하여 위치한 풍납동토성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첫째, 원삼국기의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편이 거의 확인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둘째, 삼국시대 문화층에서 출토되는 백제 토기는 한성 Ⅰ기에 해당하는 4세기 중엽 이전의 것들은 극히 드물며, 대부분 4세기 후반~5세기대의 한성 Ⅱ기에 해당하고 있다. 셋째, 풍납동토성에서는 고구려 유물의 출토 빈도가 극히 낮은데 비하여 몽촌토성에서는 1980년대 발굴조사에서도 확인된 바와 같이 고구려 토기·철촉 등의 유물이 상대적으로 출토빈도가 높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유구와 유물의 양상은 몽촌토성이 축조된 지역은 원삼국기~한성Ⅰ기에는 거의 활용되지 않다가 4세기 중엽 이후 몽촌토성이 축조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판단되며, 고구려가 백제 한성을 함락한 이후에도 몽촌토성을 일정시기 동안 남방진출의 중심기지로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몽촌토성 북서벽 구간의 성벽 외측 하단에 대한 조사에서는 기존에 목책으로 인식되었던 柱穴이 土城의 축조와 관련된 협판을 고정하는 목주의 주혈일 가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성벽에서 출토된 유물과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결과를 고려할 때, 조사지점의 성벽 축조시점은 4세기 후반 경으로 추정된다. The recent excavation at the North gate area of Mongchon Earthen Fortress produced relics and artifacts from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o shed light on the construction time, nature, and changes of the Fortress. As for the relics from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life relics, including roads, pit relics and building sites, have shown a fixed distribution in certain spaces. It is noteworthy that Goguryeo renovated and used relics left by Baekje and established embankment land on top of relics discarded by Baekje to use such facilities as pit relics and building sites after it took Hanseong from Baekje. These relic patterns indicate that Goguryeo occupied and utilized the Fortress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even after the fall of Hanseong Baekje. Its artifact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ces from those of Pungnap Earthen Fortress adjacent to it in the northwest in three aspects: first, there was almost no hard plain pottery and pottery of Proto-Three Kingdoms; second, most of Baekje pottery excavated in the cultural layer of Three Kingdoms fell in Hanseong Period II between the latter half of the fourth century to the fifth century with only a few pieces before Hanseong Period I in the middle fourth century; and third, unlike the Pungnap Earthen Fortress where the excavation frequency of Goguryeo artifacts was extremely low, the Fortress recorded a relatively higher excavation frequency of Goguryeo artifacts including pottery and iron arrowheads as demonstrated in the excavation projects in the 1980s. These relic and artifact patterns indicate that the area where the Fortress was built was hardly used from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s to Hanseong Period I and was developed in full scale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in the middle four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Goguryeo made use of the Fortress as its central base for the management and rule of its southern territory for a while even after it took Hanseong(漢城) of Baekje. An examination into the external bottom of the northwestern wall section in the Fortress raises a good possibility that the column pits were made to support wood board for the Fortress. Based on the artifacts excavated in the fortress walls and their radiocarbon dating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the fortress wall, at the point of survey, was built in the latter half of the fourth century

      • KCI등재

        강릉 강문동토성의 축조기법과 성격

        심정보 ( Sim Jeong Bo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5 文物硏究 Vol.- No.27

        강문동토성은 강원도 강릉시 강문동 265번지 일원에 해당하는 죽도봉에 축조되어 있는 토성이다. 이 토성의 존재가 확인되기 이전에 이미 경포대 현대호텔이 건축되어 운영되고 있었으며,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하여 호텔건물 확장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고고학적인 조사가 시행되었고 그 결과 토성의 전모가 밝혀지게 되었다. 이 토성의 입지적인 조건은 동쪽으로는 바로 동해에 면하여 있고, 서쪽과 북쪽으로는 경포호에 접해 있으며, 남쪽으로는 경포천이 경포호에서 동해로 흐르고있다. 강문동토성은 죽도봉의 정상부에서 사면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유사판축 및판축기법에 의하여 체성을 축조하고 대지를 조성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이 토성의 남벽 서단부 발굴 Tr.2에서 확인된 축조기법은 체성 외벽에 벽심을 조성하고 이에 의지하여 토루의 규모를 키워나가거나, 문지를 조성하는 기법은 증평 이성산성의 사례와 유사하며, 중심토루를 축조한 후 중심토루 내외벽에 덧붙여서 체성을 구축하는 공정은 풍납토성의 축조사례에서 찾을 수 있어 백제와의 친연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토성 내에서 백제 성곽에서만 확인되고 있는 대형플라스크형 저장시설이 5기가 확인되고 있어 더욱 그러하다고 하겠다. 이 토성은 이사부가 실직주 군주로 부임한 505년에서 하슬라주를 신설하고 군주로 부임한 512년 사이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파악되며, 이 시기에 전선(戰船)의 건조와 군사들의 훈련도 아울러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512년에 이사부가 하슬라주 군주로 부임하자마자 우산국을 정벌할 수 있었던 역사적인 사실을 해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는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기사에서 울릉도까지의 방향 및 여정을 일관되게 강릉의 옛 이름인 하슬라주 및 명선로부터 기점을 잡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바로 우산국 정벌 시에 이사부의 출항지가 강릉이었음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삼국사기』樂志에 의하면, 최치원의 시에 향악잡영 5수가 수록되어있고, 그 중 ‘금환(金丸)’이라는 제목의 노래에 순금이 바다의 파도를 잠재우게 한다고 하고 있어 당시 신라인들의 의식세계를 알 수 있는데, 강문동토성 내에서 출토된 금환도 전선이 출항할 시에 파도를 잠재울 목적으로 매납하였을 것으로 파악된다. 강문동토성에서 금환과 함께 수습된 의례용 기기인 기대 및 고배류의 출토사례를 종합해 볼 때, 이사부가 이곳에서 우산국을 정벌하기 위한 의식을 행하는 등의 준비를 마치고 출항하였던 출발점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적극적인 고고학자료라고 판단된다.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is located on the Jukdo peak and the address of the area is 265, Gangmun-dong, Gangneung City, Gangwon Province. Before the fortress was found, Hyundai Hotel Gyeongpodae was constructed and run. As the hotel was considering its extension before the 2018 Winter Olympics in Pyeongchang, an archae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thus leading to the discovery of the fortress. The earthen fortress meets the East Sea in its east and the Gyeongpo lake in its north and west. In its south, the Gyeongpo creek flows from the Gyeongpo lake to the East Sea. From the top of the Jukdo peak to the bottom of the slope, the semi or real rammed earth technique wa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body and land formation. As for the western end of its south wall, a wall stiffener was installed in the outer wall of the fortress body in order to increase the size of the earthwork or to form the gate site, a technique that is similar to Iseongsanseong Fortress in Jeungpyeong. In another part of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the fortress body was constructed by adding materials to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main earthwork, as in the case of Pungnap Earthen Fortress, thus meaning an affinity with Baekje. The fact that further demonstrates such an affinity is the discovery of five large flask-shaped storage sites in the earthen fortress; such storage characterizes Baekje’s fortresses. This earthen fortress would have been reconstructed extensively between 505 when General Yi Sa-bu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Siljik Province and 512 when Yi founded Haseula Province to serve as its governor. During this period, combat ship building and military training would have taken place at the same time. This explains how Yi was able to conquer the State of Usan soon after he became the governor of Haseula Province in 512. According to the historical document Samguksagi Akji, A poem by Choi Chi-won called “round lump of gold” says that “pure gold calms the sea.” This poem leads us to infer what the people of Silla believed. In the same vein, the gold ring that were excavated in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would have been buried there when combat ships went into battle, in an attempt to calm the sea. Ritual objects such as gidaes and gobaes that were discovered with the gold ring in the earthen fortress also serve as precious archaeological evidence because they further strengthens the argument that Yi would have held a rite in thie fortress before the battle, wishing for conquering the State of Usan.

      • KCI등재

        삼성동토성 위치추정 연구

        이홍종,안형기 한국문화유산협회 2016 야외고고학 Vol.0 No.27

        한성백제기에 축조되었다고 추정되는 삼성동토성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일대에 존재했었다고 전해지나 도시개발로 인한 지형변화로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에 필자들은 항공사진을 분석하여 과거의 지형을 관찰하는 고지형분석법을 이용하여 삼성동토성의 위치를 파악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삼성동 토성의 흔적을 1982년도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시개발이 실시되기 이전에 촬영된 1966년도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삼성동토성의 흔적이라고 판단되는 성벽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잔존 성벽과 주변 지형을 고려하여 삼성동토성의 예상범위를 추정해 볼 수 있었다. 또한 1966년도 항공사진 이외에 1974·1981·2014년도 항공사진을 비교·분석한 결과 삼성동 일대에서 사라졌다고 전해지던 무동도가 매립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백제 개로왕대에 축조되었다는 제방의 흔적도 1966년도 항공사진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분석된 고지형분석 결과물과 과거 발행된 종이지형도, 항공사진을 가지고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삼성동 일대의 3D 지형복원을 시도하였다. 1960년대 3D 지형복원도와 현재의 수치지형도로 제작한 3D 지형도를 분석하여 삼성동토성의 잔존범위를 몇 가지 형태로 나누어 추정할 수 있었고 삼성동토성의 예상범위 중 일부 지점은 지형변화가 심하게 일어나지 않아서 추후 삼성동토성 조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 동안 충적지만을 대상으로 분석이 시도되었던 고지형분석이 산지나 구릉지의 유적연구에서도 활용될 수 있으며, 과거 항공사진 및 지형도를 이용한 3D 지형복원이 가능하여 향후 고고학조사 및 연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amseongdong Earthen Fortress, which was allegedly constructed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is assumed to have been located in Samseongdong, Gangnamgu, Seoul, but its precisive location is not yet known. Thus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search the excat location of Samseongdong Earthen Fortress through an aerial photograph analysis which is a method to detect the buried ancient landscape.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revious survey reporting relics of the earthen structure visible until 1982, and used aerial photographs taken in 1966 before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The results shows that it is likely some sections of earthen structure, which appear to be Samseongdong Earthen Fortress, still survive. In addition, buried Mudong island, which was known to have disappeared, is identified from the comparison with the aerial photos taken in 1974, 1981, 2014 in addition to those taken in 1966. In addition, 3D landscape reconstruction is attemp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opographic map, aerial photographs, GIS program. This 3D landscape helps to identify sections of remaining earthrn structure identified. Some area seem to preserve the original landscape which can be a subject of survey. This result demonstrates the capability of this analytical techniques to investigate mountain and hill areas in addition to wetland, and the potential of 3D landscape reconstruction for archaeological surveys in future.

      • KCI등재

        속초시 속초리토성의 역사적 성격과 실체

        홍영호(Hong Youngho)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8

        속초시에서 최근에 시굴조사가 이루어진 속초리토성은 자연적인 산 능선을 성벽으로 활용하 였고, 평지와 연결되는 한 쪽을 출입부로 만들은 평면말굽형태의 포곡식산성이다. 속초리토성은 일부 토성벽에 대한 시굴조사 결과 고려시대의 축조 기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실제 ‘天慶三年’명(1113년) 기와가 수습되어 이 성의 축조시기를 고려 전기까지 설정할 수 있게해 준다. 여기에 속초리토성은 ‘官舍’명 기와가 수습되었고, ‘長安’이라는 지명도 전해지므로 치소적 성격이자 행정적 군사적 거점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이 성은 고려 전기에 지역토착 세력의 거점이자 중심마을로 활용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속초리토성이 바닷가 평지에 입지하였다는 점에 주목하면, 이 성이 고려 전기 동여진 해적과 같은 소규모 적을 방어하거나 입보하는 데에도 활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어쩌면 고려시대 東界의 海運을 위한 항구의 역할을 했을 수도 있다.그 후 고려 말~조선 초기 왜구의 침입 시기에 沿海지역을 재건하기 위하여 백성들을 安集하면서 연해민들을 入保시키는 산성(토성)을 운영하고, 水軍浦鎭을 설치하여 왜구를 방어하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속초리토성은 다시 활용되었을 것이다. 나아가 동해안에서 배의 피항과 정박에 유리한 석호[청초호] 옆에 위치한 까닭에 필요시 漕運과 海運의 거점 역할도 수행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속초리토성을 역사의 문헌자료에서 찾아보면 조선 초기의 水軍浦鎭인 束草浦鎭으로 판단되며, 雙成浦, 山城浦는 속초포진의 다른 명칭일 뿐 그 실체는 동일하다고 판단된다. The Sokchori earthen wall,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in Sokcho, is a mountain fortress, looking like a flat horseshoe, which used the natural ridge of a mountain as the wall, and made the side connecting to the flatland into the entrance. According to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of part of the wall, the Sokchori earthen wall clearly shows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Goryeo dynasty. Actually, a roof tile, inscribed with ‘Cheongyeong Samnyeon(天慶三年)’(1113), was discover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date the fortress to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On top of that, a roof tile, inscribed with ‘Gwansa(官舍),’ was discovered at the Sokchori earthen wall, and the geographical name ‘Jangan(長安)’ has been handed down. Therefore, it can be said to serve as the ruling place and the local administrative and military defensive stronghold. In other words, this fortress was used as a regional powerful family stronghold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central village. If we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Sokchori earthen wall is located on the flatland on the beach, it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to defend against minor enemies like Eastern Jurchen pirates(東女眞)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and perhaps it might have served as a port for marine transportation in the Donggae Province(東界) in the Goryeo dynasty. Then, as they gathered people to rebuild the coastal areas during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Wokou, 倭寇)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he Sokcho earthen wall might have been used again as a mountain fortress (earthen wall) to safeguard the people living along the coast and defend against Japanese pirates by installing a naval base. In this historical context, the Sokchori earthen wall might have been put to use again. Furthermore, as it is located next to a lagoon [the Cheongchoho Lake] favorable to sheltering and berthing on the East Coast, it is presumed to have served as the base for tax shipping and marine transportation when necessary. Searching the historial literature for the Sokchori earthen wall, it is believed to be the Sokcho naval base(束草浦鎭), a naval base(水軍浦鎭)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nd Ssangseongpo(雙成浦) and Sanseongpo(山城浦) are different names of the Sokcho naval base, and they are thought to be the same.

      • 거창 정장리토성의 축성세력과 성격

        홍성우,김강옥 한국성곽학회 2010 한국성곽학보 Vol.17 No.-

        거창 정장리 일반공업지역내 발굴조사에서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구가 조사되었다. 특히, 이번에 확인된 정장리토성은 구릉 능선 가장자리를 따라 돌려져 있으며, 전체 길이는1,000~1,200m정도이다. 체성은 기초석열·영정주·판축토에 의해 축성되었으며, 체성관련 시설물로는 추정문지·4주식건물지·배수시설이 있다. 토성에서 출토된 유물은 대호경부편·개·개꼭지·인화문 편구병 등으로 8세기 중반에서 9세기 중반 정도로 편년되지만 체성에서 출토된 유물의 하한을 근거로 볼 때, 토성은 9세기 중반에 축성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토성의 성격에 대해 지방 행정조직의 치성과 통일신라말 호족세력의 거점성일 가능성에 대해 상정해 보았다. 통일신라말의 정세로 볼 때, 재축성한 치성의 성격보다는 호족의 거점성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이해되었다. 정장리토성의 축성 시점이 호족의 지방세력 확장과 맥을 같이하고 있음은 중요한 사실이라 할 수 있다. 居昌正莊里の一般工業地域內の發掘調査では舊石器時代から朝鮮時代に至る多樣な遺構が調査された。その中で、特に、統一新羅時代の土城と製鐵遺構が注目される。土城の全体の長さは1000~1200m程度と思われ、今回の調査で分れられる長さは178mである。體城は基礎石列·永定柱·版築技法で築城され、體城と関係のある施設物としては推定門址、4柱式建物址、排水施設がある。土城から出土された遺物としては、大壺頸部片、蓋、蓋のつまみ、印花文編球甁等があれ、遺物の檢討の結果、その年代は8世紀中半から9世紀中半程度に位置つけられると認められる。出土遺物の下限が遺構の上限を決定する根據資料になることに基づいて, 正莊里の土城の築城年代は9世紀代であると認められる。土城の性格については、地方行政組織の治城と統一新羅末の豪族勢力の據點城としての可能性があると思われる。檢討の結果、正莊里の土城は統一新羅時代の末、再築城した居昌郡の治城であると認めることより、当時のその地方で頭をもたげた豪族勢力の據點城であると認める方が適切であると思われる。正莊里の土城の出現の時點で推し量って、豪族の地方勢力擴張と脈を一緒にしていることは重要な事實と言える。したがって、正莊里の土城の築城勢力とは當時あたまをもたげた豪族勢力であることと思われるでしょう。

      • KCI등재

        최근 고고학적 성과로 본 익산토성의 성격

        이문형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8

        익산토성은 오금산 줄기의 정상부(해발 125m)에 축조된 포곡식 산성이다. 익산토성은 일명 ‘오금산성(五金山城)’ 또는 ‘보덕성(報德城)’으로도 불린다. 익산토성은 지금까지의 발굴조사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익산토성은 석축성이다. ②기존 알려진 남문지는 새롭게 확인된 서문지(폐쇄)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개축된 것이다. ③익산토성은 북성벽(외성벽) 하부에서 확인된 주공열과 기존에 조사된 남문지 서측 판축토루 등을 종합해 볼 때 토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④익산토성의 남동모서리(Ⅲ-2구역)에서 기존 성벽과 다른 축조 방법과 석재 등으로 보아 백제시대 익산토성의 평면 형태는 지금과 다른 모습일 가능성이 있다. 익산토성에서는 출토된 유물 대부분이 백제시대 유물이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익산토성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로 「北舍」銘 토기편과 「首府」銘 인장와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지금까지 「북사」명 토기편과 「수부」명 인장와는 부여와 익산 지역에 한정되어 왕실 관련 유적에서만 출토되고 있다. 익산토성은 금마 지역의 이원적 방어체계 내에서 왕궁과 미륵사의 중간 연결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익산 왕궁의 피난성으로 해석된다. Iksan Earthen Fortress is a mountain fortress of Pogok type (包谷式) built at the top of Ogeumsan Mountain range (125m above sea level). It is also called ‘Ogeumsan Mountain Fortress (五金山城)’ or ‘Bodeokseong Fortress (報德城)’. The excavation results of Iksan Earthen Fortress so far may be summed up as follows: ①Iksan Mountain Fortress is a stone-built castle. ②The south gate (南門址) which was already discovered seems to have been re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judging from the newly confirmed site of west gate (西門址) (closed). ③Considering the row of pillar holes found in the lower part of the northern wall (outer wall) of Iksan Earthen Fortress and the existing investigation of the stamped earthwork mound on the west side of the south gate, the possibility that it must be an earthen fortress cannot be ruled out. ④Judging from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tone materials used in the southeastern corner (section III-2) of the Iksan Earthen Fortress which are different from existing walls, it is possible that the planar shape of Iksan Earthen Fortress during the Baekje period was different from the present one. Most of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Iksan Earthen Fortress are from the Baekje period. In particular, the pottery with inscription of ‘Buksa(北舍)’ and roof tiles with stamped letters ‘Subu(首府)’ are the representative relics that display very well the character of Iksan Earthen Fortress. So far, such relics have been excavated only in the royal family-related ruins, limited to Buyeo and Iksan. Considering that Iksan Earthen Fortress is located on the midway link between the royal palace and Mireuksa Temple within the dualistic defense system of the Geumma area, it is interpreted as a refugee castle of the Iksan royal palace.

      • KCI등재

        六溪土城의 調査ㆍ硏究成果와 歷史的 價値

        백종오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8

        This article summarizes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f Yukgye Earthen Fortress through surface surveys and excavation surveys. Then, it examines the current status, structure, and historical value of Yukgye Earthen Fortress by reviewing documents in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maps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atural environment of Yukgye Earthen Fortress consists of the alluvial plateau on the riverbank of meandering rivers, the cliffs formed along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the development of rapids due to the inflow of tributary streams, mountainous areas such as Mt. Gamak and Mt. Papyeong in the south, and tributary rivers flowing to the north. It is believed that such a blessed environment acted as the cause of the formation of Yukgye Earthen Fortress and many fortress relics around it. In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on Yukgye Earthen Fortress, the name Yukgye Toseong(六溪土城, meaning Yukgye Earthen Fortress) was used in the Jeokseonghyeon Eupji(積城縣邑誌, Journal of Jeokseong-hyeon) after it was mentioned in Gihaeng Musul Juhaenggi(記行戊戌舟行記) as Yukgye Goru(drum tower) by Misu Heo Mok in 1658. In a topographical map of 1914, "Yukgye Toseongji(六溪土城址, meaning the site of Yukgye Earthen Fortress)" was indicated. It was indicated as Yukgye Seong(六溪城 meaning Yukgye Castle) in a national forest boundary map of 1915. The fortress structure shows the three-layered plane: inner, outer, and baby castles. Next, looking at its historical value, Yukgye Earthen Fortress condenses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stages of the fortress and provides a junction point of earthen fortresses on flat ground and mountainous stone fortresses. Chiljung Fortress(Chiljungseong) at the rear also changed from an earthen fortress to a stone fortress during this period. Until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Chiljung Fortress was a multi-layered earthen fortress. It was a double-layered fortress, like YukgyeEarthen Fortress. For example, in the Samguk Sagi(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Goguryeo's invasion of Chiljung Fortress in October and November of the same year, brilliant performances of Alcheon of Silla Kingdom, and Goguryeo's attack on Chiljungseong in November 660, and deaths of King and the ordinary people during the war occurred in theearthen fortresses with several layers. In addition, Horo Goru, known for stone structure with earthen axis along the Imjin River or stone fortress, Dangpo Fortress, Eundaeri Fortress, and Deokjin Mountain Fortress, also assumed to have natural structures of the earthen structure until this time. In addition, as the only triple flat castle in Korea, Yukgye Earthen Fortress was the largest base fortress in the Baekje Hanseong Period in the Imjin River Basin. The best Goguryeo relics and relics in South Korea were excavated there. After that, a military defense system was established centered on Horogoru, Dangpo Fortress, Eundaeri Fortress, Ami Fortress, Durubong Fortress, and Taebongsan Fortress. In other words,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of Yukgye Earthen Fortress + Chiljung Fortress + Mt. Gamak = flatland fortress + mountain fortress + high and stiff mountain was the basis for forming the ancient military defense system in the Imjin River basin. So far, this study has tried to figure out the plane structure of the earthen fortress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of Yukgye Earthen Fortress. It provides a standard for examining the change process by period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approach the fortresses with diverse perspectives with comprehension of natural topography and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rapids, cliffs, and mounds in the future. 이 글은 육계토성의 고고학적 성과를 지표조사와 발굴조사 등으로 나누어 정리한 후조선시대 문헌과 일제강점기 전후 근대 지도류 등의 검토를 통해 육계토성의 현황 및 구조 그리고 역사적 가치를 살펴본 것이다. 육계토성의 자연환경은 사행하천의 하안 충적대지,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형성된 단애, 지류하천의 유입에 따른 나루와 여울의 발달, 남쪽의 감악산, 파평산 등 산간지대와북류하는 지류하천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천혜의 환경은 육계토성과 그 주변에 많은성곽유적을 잉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고 여겨진다. 육계토성에 관한 조선시대 문헌은 1658년 미수 허목의 「記行戊戌舟行記」에 ‘六溪 古壘’라고 언급된 이후 『積城縣邑誌』 에서 ‘六溪土城’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1914년 지형도에서는 ‘六溪土城址’, 1915 년 국유림 경계도에는 ‘六溪城’으로 표기하고 있다. 성의 구조는 성의 구조는 내성, 외성, 자성의 3중 성곽의 평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그 역사적 가치를 보면, 육계토성은 성의 출현과 발전단계를 응축하고 있으며 평지 토성과 산지 석성의 갈래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배후의 칠중성 역시 이 시기를거치면서 토축성에서 석축성으로 변화하였으며 이전 7세기 중반까지도 육계토성과 마찬가지로 여러 겹의 토성 즉 重城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三國史記』에 나타난, 638년10월과 동년 11월에 벌어진 고구려의 칠중성 침입, 신라 알천의 활약, 660년 11월에 고구려의 칠중성 공격과 군주 필부 전사 등의 사건은 여러 겹의 土城에서 벌어졌다고 하겠다. 이외 임진강 변의 토심석축 혹은 석축성으로 알려진 호로고루, 당포성, 은대리성, 덕진산성 등도 이 시기까지는 토성의 景觀이 자연스럽지 않을까 한다. 또한 국내 유일의 3중 평지성으로 임진강 유역 백제 한성기의 최대 거점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남한내 최고의 고구려계 유구와 유물이 발굴되었으며 이후 호로고루와 당포성, 은대리성, 아미성, 두루봉보루, 태봉산보루 등을 위시하는 관방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즉 육계토성+칠중성+감악산=평지성+산성+고험처의 조합관계는 임진강유역의 고대 관방체계를 형성하는 모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육계토성의 연구사적 검토를 통해 토성의 평면 구조를 파악해 보았는데 이는 향후 시기별 변천과정을 고찰하는데 하나의 기준을 제공하였다고 생각한다. 앞으로여울, 단애, 토루 등 자연 지형과 인공 구조물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이해를 가지고 성곽에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기장 교리토성 성격에 대한 검토

        이일갑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lso called the Goeupseong Fortress of Kijang.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 masonry based type stamped earthen fortress of Pyeongsan, which was constructed between hill and flatland. The shape of the plane surface is elliptical. The fortress is about 1600m long, making it the longest within the Busan area. In particular, the fortress is slightly longer than other fortifications because its military importance, such as protecting a large population, the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defense against Japanese raiders and etc were reflected in this fortification.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and mountain fortress of Kijang demonstrates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a governing fortress and a masonry fortress that was obviously intended for protection and shelter. Among construction methods of earthen fortifications,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the body of which has been confirmed was constructed by the carving method, is estimated to be the most ancient among the earthen fortifications within the Busan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built very long ago due to the perpendicular style of the inner walls. Among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body of the fortress, intervals of stones, which played the role of the cornerstone of the crossbeam, were confirmed to be about 390~400cm. The cornerstone installation was a popular construction method of the Koryo Dynasty, where cornerstones, such as Gangwha Middle Fortress (within 4m), Jeju Hangpaduseong Fortress (3m), Hoam earthen fortification of Chungju, Masan Hoewonhyeon Fortress(3.8m) and etc were installed with equal interval measur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t least after the middle of the 8thcentury,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of Kijang and KijangHyu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cent archaeological surveys and literature research, it can be known that the Kijang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nd managed during the 8thtothe14century,undergoingtheprocessfromnon-masonry stylobate type to masonry stylobate type.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underwent continuous change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roughout the Koryo Dynast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a governing fortress and the military defense fortress installed at Ancient Mountain Fortress were transferred remains of historic interest. 교리토성은 일명 기장 고읍성으로 불리운다. 교리토성은 구릉과 평지를 이어 축조한 평산성의 석축기단형 판축토성이다. 평면형태는 타원형을 띤다. 성둘레는 약 1600m로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길다. 특히 성둘레가 여타 토성에 비해 조금 더 긴 것은 인구 및 행정구역 위상과 대왜구방어 등에 따른 군사적 중요성이 반영된 성둘레라 할 수 있겠다. 교리토성과 기장산성은 배후에 입보농성형 내지 피난성 성격이 짙은 석축산성과 결합된 치소성으로 상호보완 관계를 보이고 있다. 토성 축조수법 가운데 삭토법에 의한 체성부 축조가 확인된 교리토성 초축 성벽이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고식으로 추정되고 있다. 교리토성 내벽은 수직식으로 시기적으로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체성부 축조수법 가운데 영정주를 놓는 초석 역할을 하였던 석재들의 간격은 약 390~400cm 정도로 확인된다. 이 초석 설치는 강화중성(4m내외), 제주 항파두리성(3m), 충주 호암토성, 마산 회원현성(3.8m) 등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려시대 유행한 토성 축조수법이다. 따라서 교리토성 초축은 기장산성과 기장현 설치를 고려하면 적어도 8세기 중반 이후에 축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장 교리토성은 최근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문헌으로 살펴보면, 무석축기단식에서 석축기단식을 거치면서 8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축조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리토성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시대 전 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고대산성에 설치된 치소성과 관방성 역할이 이전(移轉)된 유적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서울 三成洞土城에 대한 연구

        민덕식 서울역사편찬원 2013 서울과 역사 Vol.- No.85

        Seoul Samsungdongtoseong was on summit of mountain it was behind Dakjeom village Samsungdong Gangnamgu Seoul city. This mountain's height was 83.2m. Samnungdongtoseng made of soil. But this castle was destructed to expand city area on 1982. This present position is Bongeun middle school. The distance of castle's wall was about 500m. Type of castle is similar to sanboksik. Samsungdontoseong's north wall that was to han river was below summit. The slope of outside of wall was steep. Samsungdontoseong's south wall was from summit to hillside. Thus Samsungdontoseong was constructed to defend enemy from Han river. Samsungdongtoseng's position was easy to defend enemy because of the outside's slope of Samsungdongtoseng's north wall was very steep and Han river and Tancheon that was on east side were natural moat. etc. Samsungdongtoseng was earthern castle of Hanseong Bakje Period. Samsungdongtoseng's purpose was support castle of capital city. This castle was last defend facility to defend enemy from Han river to Pungnapdongtoseong that was capital city and Mongchontoseong. Samsungdongtoseng was strategically important catsle beacause located 7.5km Han river downstream from Pungnapdongtoseong. And Ships on Han River from region and foreign is thought to be controlled by Samsungdongtoseong. 삼성동토성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 닥점마을 뒤 해발 83.2m의 야산 정상에 위치했던 토성이나, 도시 확장 과정에서 1982년에 완전히 없어지고 말았다. 현재의 봉은중학교 자리에 있었다. 성벽의 전체 둘레는 약 500m 정도였고, 성의 형태는 산복식에 가까웠다. 삼성동토성은 한강 쪽인 북벽은 정상부 바로 아래에 있었고, 성 밖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었으며, 남벽은 산중턱 까지 내려와 있었는데 이는 삼성동토성이 북쪽인 한강의 방어를 염두에 두고 축조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삼성동토성이 자리 잡은 입지조건 자체도 한강 쪽인 북벽이 급경사를 이루고, 한강과 동쪽의 炭川이 자연해자를 이루는 등 방어에도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삼성동토성은 한성백제기의 토성으로 추정되며, 도성의 보조성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가 있다. 삼성동토성은 한강을 통해 도성인 풍납동토성과 몽촌토성을 향하여 올라오는 적들을 막는 마지막 방어시설이었다. 풍납동토성에서 한강 하류로 약 7.5km 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라고 볼 수가 있다. 또 한강을 통해 도성으로 들어오는 지방이나 외국의 선박들은 삼성동토성의 통제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벽은 외부에서 고운 붉은 점토를 날라다 盛土法으로 쌓았다. 잡석은 전혀 들어 있지 않았다. 풍납동토성이나 몽촌토성이 수평 성토다짐공법을 활용하고 판축공법을 응용하지 못한 것은 한성백제기의 축조공법 수준을 가늠하여 볼 수가 있다. 여기서 판축공법이란 협판을 사용한 축조공법을 의미하며, 수평 다짐에서의 精粗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하여튼 풍납동토성이나 몽촌토성에서는 수평 성토다짐공법이 응용되었으나, 삼성동토성에서는 단순 성토법이 응용된 것은 삼성동토성의 축조 시기가 앞선 다기보다는 도성인 풍납동토성이나 몽촌토성은 이들이 가지는 중요성 때문에 당시의 모든 토목기술들을 동원하여 공을 들여 견고하게 쌓았기 때문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