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에서 토괴의 기능과 의미

        손재현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7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로는 고분·토성·제방·대형 건물 등이 있다. 최근 이들 유적의 발굴조 사 과정에서 덩어리 형태의 흙, 즉 토괴를 성토재로 사용한 경우가 다수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토괴는 그간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었으며 주로 구획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용어의 혼용으로 토괴의 명확한 개념 정리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토괴의 사용 양상 에 대한 관행적 해석이 반복됨에 따라 토괴 사용이 갖는 기능과 의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혀 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먼저 토괴의 개념정리 후 토괴 사용이 알려진 유적 27개소를 대상으로 삼아 검토 하였다. 그 결과 고분·성곽·제방·대형 건물 등 성토구조물이라 볼 수 있는 모든 유구의 축조 에서 토괴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현대공법과 유적 검토 결과를 참고하여 토괴의 구분 기준을 제시하고, 분류를 시도하 였으며, 사용방법과 기능을 제시하였다. 토괴의 사용방법은 유적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구의 성격뿐 아니 라 사용된 토괴의 종류 또한 채토환경의 영향을 받고 종류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얻고자 선택적 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외 유적 사례 검토를 통해 중국, 일본, 넓게는 서~중앙아시아에서도 토괴가 사용되었 음을 확인하게 되면서 토괴를 사용한 축조기술은 특정지역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광 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렇듯 기후조건이 달랐음에도 토괴가 널리 쓰 인 이유는 토괴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얻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근거를 통해 성토구조물의 축조에서 토괴의 사용이 갖는 의미를 단순한 운반의 편의성 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주요 성토기법을 보조하는 하나의 보조공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Korea’s ancient Embankment structures are assemblages a complex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is results of reflected in national power. Embankment structures include burial mounds, earthen fortications, embankments and large buildings. In recent excavations involving these structures, there are many cases that have been discovered to have used lump shaped soil, as known as clay clod, and such cases are drawing attention. Clay clods have been named in many different terms and have been thought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dividing sections. But with the mixed use of different terms,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clay clod was not made and as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n the aspects of usage of clay clods were made continuously,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that the use of soil clods holds were not specifically identied. This paper firstly clarifies the concept of clay clod and examines 27 sites that have been known to have used clay clods. As a result of examination, it was revealed that every features that can be identied as mound structures such as burial mounds · fortications · embankments · large buildings and etc have used clay clods. Nextly, by referring to modern building techniques and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sites, this paper renders a criteria to classify soil clods, classifies the soil clods and renders the methods of use and meanings of soil clods. It was found out that the usage of clay clods differs by the character of a site. The type of clay clod that is used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character of the feature, but also by the condition of the soil collecting,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each types were collectively used to obtain diverse functions. Meanwhile, by examining sites overseas, the paper found out that soil clods were used in China, Japan and also in West~Central Asia and reveals that mounding technique involving the use of soil clods is not something that is limited to a specic region but a widespread technique in many different regions used over time. clay clodwould have been broadly used, despite the climate dierence, in order to obtain dierent functions from it. In this reason, the meaning of the usage of clay clods in the construction of Embankment structures should be understood not just as simplifying the transport of soil, but as an auxiliary construction technique that assists the main mounding technique.

      • KCI등재후보

        마한 방대형,원대형 분구묘의 등장배경

        최영주 ( Young Joo Choi ) 백제학회 2015 백제학보 Vol.0 No.14

        마한 방대형 및 원대형 분구묘의 등장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산강유역 방대형 및 원대형 분구묘는 5세기중엽에 등장한다. 그 배경에는 제형 분구묘의 전통(매장시설, 주구, 분정면 경사도) 속에서 분구가 수평·수직확장을 통해 나타나며, 5세기 전반경 왜계고분(원분, 횡구식석실, 부장품)의 영향과 백제 토목기술의 영향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대형 및 원대형 분구묘는 토괴를 구축재로 사용한 분구 축조기술이 필요로 했으며, 이러한 분구의 구획성토기술은 고총의 출현과 함께 나타난 것으로 이해된다. 5세기 후엽에는 영산강유역에 전방후원형고분(분형, 횡혈식석실, 부장품, 장례의례 등 정보)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고분들은 백제와 왜의 교류관계 중에서 영산강유역 제지역 집단들이 정치 사회적인 우월성을 확보하기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그들은 연안항로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교류관계를 유지하였으며, 내륙수운의 발달로 인해 영산내해에 기반한 제지역 집단들은 교류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된다. 그들은 이러한 관계 속에서 고분의 고총화(고대화)를 통한 정치 사회적인 부상과 연대를 모색한 것으로 생각된다. I examined the advent background of square and circular mound burial of Mahan. The square and circular mound burial of Yeongsan River basin appeared in the mid of 5th century. In the background, the mound oppeared via horizontal verfical expansion in tradition of trapezoidal shape mound burial(burial facility, circumferential groove, Mounds top surface slope), also it is comsidered that it was influenced by the Wa(倭) style tombs and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of Baekje(百濟). The square and circular mound burial used the clod as a building material for the mound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compartment embankment technology of mound was understood that appeared with the advent of tumulus(高塚). In the late 5th century, the influence of keyhole tombs(mound shape, stone chamber, grave gods, information such as the funerary rituals) was conspicuous. These mounds were used as a means for regional populations of Yeongsan River ensuring the political social superiority in the exchange relationship of Baekje and Wa(倭). They maintained a continuous exchange relationship using costal Route, and regional groups based on Yeongsan inland sea emerged as a center for exchange through the development of lnland water transport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y sought political social solidarity through Highmound( higher maximization) tombs in this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