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요구 분석

        공펭 소파(KHONGPHENG SOP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고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교사들이 한국에서 이수한 교사 양성과정과 태국 내 한국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 문화 재교육이 개발되었을 때 필요로 하는 교육 시간, 교육 방식,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 ‘Google Docs’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기초 정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교사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요구 조사 결과, 태국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문화교육에 대한 주제는 일상생활 문화, 대중문화, 예절 문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review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Further, it analyzes the satisfaction with teachers’ training courses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Thailand. Thus, to develop the cultural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 demand survey on the preferred training time, method, and educational content was conducted. The demand survey was emailed to 20 Korean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using “Google Docs”. When elaborating the content of the needs survey,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basic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demand for the teacher culture re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ai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refer the cultural topics of daily life culture, popular culture, and etiquette culture.

      • KCI등재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분석 연구

        ( Patee Isariya ),( Samipak Wissuta )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5 No.-

        This study explores the anxiety that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ncounter when speaking Korean by identifying the different factors that lead to Korean speaking anxiety in Thai learners with low-level, intermediate-level and high-level Korean proficiency. The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communication apprehension, fear of teacher evaluation, fear of peer evaluation, anxiety related to practicing methods, and anxiety in Korean speaking class.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140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result suggests that low-level learners are not much affected by anxiety related to practicing methods, but rather significantly affected by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highly affected by fear of teacher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anxiety in Korean speaking class.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and high-level learners were found to have a high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but they are not much affected by fear of teacher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xiety related to practicing methods, and anxiety in Korean speaking class. Moreover, this study also measured the level of anxiety in each question that is related to each of the five factors. The findings substantiate the types of anxiety factors that really affected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suggest that these factors must be handled so that the anxiety of the learners will subside. (Ewha Womans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