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ft-D: 참여 노드의 동적 구성을 허용하는 컨센서스 알고리즘

        하연의,진재환,이명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One of fundamental problems in developing robust distributed services is how to achieve distributed consensus agreeing some data values that should be shared among participants in a distributed service. As one of algorithms for distributed consensus, Raft is known as a simple and understandable algorithm by decomposing the distributed consensus problem into three subproblems(leader election, log replication and safety). But, the algorithm dose not mention any types of dynamic configuration of participant peers such as adding new peers to a consensus group or deleting peers from the group.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consensus algorithm named Raft-D, which supports the dynamic configuration of participant peers by extending the Raft algorithm. For this, Raft-D manag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intained by participant nodes, and provides a technique to check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nodes belonging to the consensus group. Based on the technique, Raft-D defines conditions and states to deal with adding new peers to the consensus group or deleting peers from the group. Based on those conditions and states, Raft-D performs the dynamic configuration process for a consensus group through the log update mechanism of the Raft algorithm. 견고한 분산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있어 주요 문제점 중 하나는 분산 그룹의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데이터에 대한 동의를 보장하는 분산 컨센서스를 어떻게 달성하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분산 컨센서스를 위한 알고리즘 중 Raft는 분산 컨센서스 문제를 3가지(리더 선거, 로그 복제, 안정성)로 나누어 해결한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컨센서스 알고리즘이다. 하지만 Raft는 컨센서스 그룹을 구성하고 있는 참여 노드의 추가나 제거같은 노드의 동적 구성에 대하여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aft를 확장하여 참여 노드의 동적 구성을 허용하는 새로운 컨센서스 알고리즘, Raft-D에 대해 기술한다. 이를 위하여, Raft-D는 참여 노드가 가지는 정보를 확장하고 컨센서스 그룹에 속해있는 노드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기법을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컨센서스 그룹의 참여 노드 추가 및 삭제 작업을 다루기 위한 상태와 조건에 대하여 정의한다. 이러한 상태와 조건을 기반으로, Raft-D는 Raft의 로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한 컨센서스 그룹의 동적 구성 작업을 수행한다.

      • KCI등재

        베이징 컨센서스 비판: 라모와 아리기의 논의를 중심으로

        윤상우 ( Sang Woo Yo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4 유라시아연구 Vol.11 No.4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고도성장은 수많은 발전론적 쟁점들을 양산해왔으며, 최근에는 ‘베이징 컨센서스’의 개념으로 호명됨으로써 신자유주의적인 워싱턴 컨센서스를 대체하는 대안적인 발전모델로까지 격상되고 있다. 그러나 베이징 컨센서스의 담론적 주장은 중국의 현실을 오도 왜곡하고 있으며 나아가 제3세계에게 잘못된 대안모델을 제시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베이징 컨센서스 담론을 대표하는 라모(Ramo, 2004)와 아리기(Arrighi, 2007)의 주장을 중심으로 이들 논의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중국 발전모델의 실체를 재구성 재개념화하고자 하였다. 라모의 베이징 컨센서스론은 그가 제시한 혁신, 형평성, 자결의 원칙이 경험적으로 중국의 실제 현실에 부합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어왔으며, 이외에도 개념규정의 엄밀성 결여, 과학성을 빙자한 자의적 설명의 한계점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아리기의 세계체제적 베이징 컨센서스론은 중국의 경제부흥이 과거의 역사적 유산인 비자본주의적 시장경제, 근면혁명(industrious revolution), 스미스적 발전경로 등의 전통과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의 설명 역시 시장경제 및 자본주의 개념의 모호성,중국에 대한 긍정일변도의 역오리엔탈리즘적 인식, 세계 헤게모니 이행에 대한 자의적 설명 등으로 한계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베이징 컨센서스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토대로 중국 발전모델에 대한 핵심 쟁점을 중국모델의 기본 성격, 중국모델의 보편성과 특수성, 중국모델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중국모델의 기본 성격과 관련해서는 신자유주의적 시장원리를 발전국가적 케인즈주의적 국가개입을 통해 관리 통제하는 혼합자본주의로 규정하였고, 중국모델은 대만기업 및 화교자본의 초기투자, 국제분업구조상의 모든 가치사슬 진입이라는 측면에서 보편성 보다는 특수성을 강하게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중국경제의 지속가능성 여부는 현재 중국이 직면하고 있는 축적의 불균형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달려있다고 판단된다. Since 1978 China’s economic miracle has produced various developmental issues, and it was recently conceptualized as the ‘Beijing Consensus’ which would replace the Washington Consensus and suggest an alternative development option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it is argued that the discourse on the Beijing Consensus might misinterpret and distort the realities of China’s development experiences, and also misguide false alternative model to the Third world.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critically the discourse on the Beijing Consensus focusing on Ramo(2004)’s and Arrighi(2007)’s arguments, and to re-identify the natures and features of China’s development model. Ramo’s thesis has definitely so many limitations to explain the China’s experience, due to inadequate conceptualization of core factors enabling the Chinese miracle and to ad hoc interpretations disguising itself as scientific axioms just like quantum physics. And, Arrighi has argued that China’s renaissance in the reform era was associated with its historical traditions such as industrious revolution and Smithian natural path of development. However, Arrighi’s argument also did not make sense, because of false recognition on market-economy and capitalism, ‘orientalism in reverse’ toward China’s renaissance, and ad hoc explanations on transitions of world hegemony. Alternatively, this study identify China’s development model as mixed capitalism including coexistence of neoliberal market and developmental-keynesian interventionism. Also, we can find out that the chinese model have exception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universal properties, and have problems of its sustainability concerning about unbalance of accumul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유럽연합(EU)에서의 베를린 컨센서스의 확장과 프랑스 사회당 정권의 등장

        성일권(SUNG Il-Kwo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2 프랑스문화연구 Vol.24 No.-

        Dans les années 1990, on avait baptisé la politique économique des Etats-Unis le consensus de Washington. C’était une formule qui reposait sur la foi dans le système démocratique, l’ouverture des marchés, le démantèlement des monopoles nationaux, le recul des corporatismes, l’ouverture aux capitaux étrangers désireux de s’investir et de créer des emplois. Avec l’adoption de ce cocktail gagnant, l’Amérique latine s’est engagée durablement sur la voie de la démocratie et de la prospérité, provoquant la colère de peuple isolé et de la class ouvrière. Aujourd’hui, c’est au tour du consensus de Péking. Cela est un terme décrivant la diplomatie et le modèle de développement proposé par la Chine populaire, en particulier auprès des pays en voie de développement, notamment en Afrique. De son côté, l’approche diplomatique chinoise prête une grande estime à la non ingérence (indépendance pour les affaires internes) de tout pays, ainsi qu’un développement 《à la chinoise》 : structurel (chemins de fer, ports, barrages, etc) et économique d’abord (industrie, mines, pétrole), puis éventuellement civique. A partir de maintenant, ce sera au tour de l’Europe de se voir proposer un consensus de Berlin, celui défendu par l’Allemagne. A entendre de nombreux commentateurs, pas seulement à gauche, ce serait un diktat. Berlin ose réclamer que les économies nationales du continent stimulent leur productivité, que l’inflation soit surveillée comme le lait sur le feu, que la devise soit forte plutôt que faible, que les Etats cessent de vivre au dessus de leurs moyens en attendant. Cette étude a un but d’analyser l’essence de consensus de Berlin, et son évolution face à la crise économique de l’euroznone, et d’examiner aussi la possibilité de la transformation du consensus de Berlin par le nouveau gouvernement de la France, en tant que partenaire de Allemagne.

      • KCI등재

        동아시아 컨센서스에 관한 연구

        강정모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0 동북아경제연구 Vol.22 No.3

        신고전학파의 경제발전론에 입각하여 신자유주의를 옹호한 워싱턴 컨센서스가 신뢰를 잃어 경제발전 방안으로 수명이 다한 후 동아시아경제발전모형이이를 대체할 마땅한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정형화된 기존의 다른 컨센서스와달리 본 논문은 동아시아국가들의 성공적인 경제발전에 고유한 발전경로를 포착하는 모든 것을 포괄하는 변수인 소위 정책으로 강화된 인적자본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동아시아 컨센서스를 제안한다. 정책으로 강화된 인적자본은 유능한 정치지도자에 의해 인도된 경제발전에 적합한 단계별 안내도가 있는 인적 자본이다. 낙후된 경제는 주로 인적 자본의 부족, 일관된 산업정책의 결여및 정치적 불안정 때문에 가난하다. 동아시아 컨센서스는정책으로 강화된 인적자본과 경제적 차별화, 지속적인 산업포트폴리오의 조정, 정치적 안정을 사용하여 낙후된 경제에서 산업화된 경제로의 성공적 이행을 설명한다. 유능한 정치지도자와 효율적인 행정능력에 의해 고안된 일련의 일관된 정책을 갖고 있는 국가는 그렇지 못한 국가보다 가난을 축출하고 정치적 안정을 성취할 더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 KCI등재

        워싱턴 컨센서스에 관한 고찰

        이현정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e controversy over the Washington Consensus continues. In particular, there is a criticizing view that the WC is a measure that disregards the reality. Another views is that the WC forces developing countries to set up certain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to attain the neo-liberalistic economic programs. The former claims post-WC while stressing regulatory and competition policies of the government, arguing that each country must come up with a different policy guide. The latter claims, using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Korea as an example, that developing countries have to accept what is offered by the WC. Regarding such criticisms, WC advocates refute, it is beneficial for countries suffering economic crises to receive a routine guideline instead of not taking any measure because of the diversity issue. Nowadays, the neo-liberalistic system has already been spread in the entire world. Most countries follow the policy suggestions of the WC, though they can vary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intensity. Since the existence of the WC cannot be denied, it would be more helpful to propose a complementary alternative than to criticize the WC. The adaptability of the WC can be increased by applying adequate measur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워싱턴 컨센서스와 관련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지만, 신자유주의적 체계가 모든 국가들의 경제적 측면에 깊이 관여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WC는 부정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워싱턴 컨센서스와 그에 따른 비판과 반박들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발전적인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는 문헌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C에 대한 비판은 현실을 무시한 일괄적인 처방이라는 견해와, WC는 신자유주의적 경제체제 프로그램을 관철시키고자 개도국에 어떠한 정치・경제적 조건을 갖추게 하고 있다는 견해가 대표적이다. 둘째, 위와 같은 비난에 대해 WC 주창자들은 경제적 위기를 겪고 있는 나라에게 각 나라별 다양성을 이유로 아무 처방도 하지 않는 것 보다는 루틴화된 하나의 지침을 내려주는 것이 유익하다고 반박한다. 결국, WC 자체를 부정할 수 없는 현 상황에서는 WC 자체를 비판하기보다는 보완적인 대안을 주장하는 것이 보다 발전적인 방안으로 여겨진다. 이를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적실성이 높아 보인다. 본 연구는 WC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WC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주의의 중국화와 덩샤오핑이론 - 중국식 발전모델의 혁명사⋅문화사적 독해 -

        전홍석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1 韓中關係硏究 Vol.7 No.2

        본 연구는 21세기 중국식 발전모델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기획 되었다. 2001년 미국 신경제의 거품이 꺼지고 중국의 성장활력이 다른 지역의 경제회 복에 크게 기여하면서 ‘신아시아시대—베이징 컨센서스(the Beijing Consensus)’가 다양 한 문맥에서 조명되고 있다.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베이징 컨센서스가 사회주의혁명의 유산으로서의 중국식(중국특색) 사회주의에 원천을 둔다는 주장에 합류한다. 이른바 중국특색 사회주의란 현 중국공산당의 노선・방침・정책의 기조로서 직접적으로는 ‘덩 샤오핑(鄧小平)이론—실사구시實事求是사상’에 토대를 둔다. 따라서 본고는 덩샤오핑 이론의 전후맥락을 추적해 베이징 컨센서스의 원천, 즉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혁명사・ 사상사・문화사적 실체와 그 전개양상을 검토했다. 또한 그에 대한 독법의 하나로 세계 최대의 현실사회주의와 베이징 컨센서스라는 성장모델을 만들어낸 사회주의의 중국화 실험이 전통사상에 뿌리를 둔 실사구시, 실용주의, 인민주의(민본사상), 소강小康사상 등을 매개로 전개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연구진행은 선행적으로 마오쩌둥(毛澤東) 시대와 연결되는 사회주의 중국화의 배경 속에서 덩샤오핑이론이 차지하는 담론사적 위치를 파악했다. 그런 다음에 덩샤오핑이론의 요체인 ‘소과도론’을 재구성해 중국특 색 사회주의의 역동성과 다면성을 관찰했다. 더해서 그 문화적·사상적 토대로서 전통 문화와의 연원관계를 추적・규명함으로써 중국모델의 원천으로서의 의미망을 보다 포 괄적이고 다원적인 시야에서 점검해보았다. This study was planned out to broaden the horizon of a new understanding of Chinese growth models in the 21st century. As the bubbles of the American new economy burst in 2001 and the growth energy of China greatly contributed to the economic restoration of other regions, new light has been shed on the ‘New Asian Age—Beijing Consensus’ under various context. This study joins the argument that the Beijing Consensus originates from Chinese socialism(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which is a heritage of the socialist revolution. So-called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refers to the keynote of routes, principles, and policie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based on the ‘Deng Xiaoping Theory—empirical tradition ideology’.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ed the revolutionary, ideological, and cultural nature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nd its development aspects as the source of the Beijing Consensus by tracking the context of the Deng Xiaoping Theory. In addition,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xperiment on Chineseization of socialism, which generated the world’s largest real socialism and a growth model called the Beijing Consensus, was mediated by empirical tradition, pragmatism, populism(people-oriented ideology), and small tranquility rooted in the traditional ideology.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the discursive position of the Deng Xiaoping Theory in the background of Chineseization of socialism, which is connected to the Mao Zedong Era. ‘Small transition,’ the key point of the Deng Xiaoping Theory, was reorganized to observe the dynamics and manifold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Moreover, by tracking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cultures based on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foundation, this paper inspected the semantic network of the Chinese model in more comprehensive and plural perspectives.

      • KCI등재

        유럽화(Europeanisation) 담론의 변환: 베를린 컨센서스의 확대 적용을 중심으로

        성일권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2 EU연구 Vol.- No.31

        모든 중요한 개념들이 그렇듯이, 유럽화(Europeanisation) 역시 뚜렷한 정의를 내리기란 쉽지 않다. 이 개념은 흔히 미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빗대에 유럽연합(EU)의 정체성을 드러내는데 사용되어 왔다. 즉,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유럽회의(Council of Europe),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등과 같은 기구들을 가리키는 정치제도적인 EU용어가 아니라, 유럽의 가치와 비전을담은 목표지향적인 용어인 셈이다. 이 글에선 유럽 재정위기의 상황에서 독일 정부가 강제하는 베를린 컨센서스에 초점을 두고서 유럽화 담론의 변환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스와 같은 몇몇유로존 국가들은 유럽 집행부에 의해 긴축재정 같은 경제개혁의 채택을 강하게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유로존 국가들의 공공재정 개혁은 필요하지만, EU 차원에서 그 해결책으로 회원국들이 독일식 경제 모델로 변환되길 강력 권고한다는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논문 구성과 관련하여, 연구자는 유로존의 실패국가들에게 강제되는 베를린컨센서스 개념을 정리하고, 유럽화의 이론적 쟁점과 전개과정을 살펴본 뒤, EU 전개과정의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베를린 컨센서스의 확산에 유럽화 담론의 변환을 살펴보고자 한다. As with all significant concepts, Europeanisation lacks a consensual definition. The term has been used sometimes to describe the identity of the European Union, not to talk about the definitions stretching political Europe to organizations such as the EFTA, Council of Europe or OSCE. This paper intends to study a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isation's discourse by focusing on Berlin consensus encouraged by Germany government. Facing the financial crisis, some countries such as Greece in Eurozone are compelled to accept economic reforms like austerity by EU institutions. Efforts regarding Eurozone members' public finances are necessary but the prevailing narratives to come out of EU-level mechanism suggests a solution where Eurozone countries are transformed into Germany's economic model. Concerning the subject, I begin by studying Berlin consensus concept adopted to failed countries of Eurozone, while approaching the theoretical issues linked to Europeanisation, and expect the EU's future. I further explore the problem of domestic change caused by Berlin consensus and the studied effects of Europeanisation and then discuss conditionality as a form of Europeanisation.

      • KCI등재

        중남미의 발전모델은 순환하는가?

        김원호(Won-Ho Kim)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04 라틴아메리카연구 Vol.17 No.4

        As the market-oriented neoliberal reforms since the mid-1980s have not brought about the expected outcomes i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most Latin American countries, new policy directions have been suggested. The new prescriptions are often termed as the “second-generation reforms,” “good governance,” “building institutions,” and “post-Washington Consensus.” They even emphasize democracy, anti-corruption, and human face.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the new trend vis-a-vis those of the Washington Consensus. In doing this, the author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development models in Latin America recycles throughout the history. Several components of the new prescriptions such as social safety nets, poverty eradication, civil society and democracy are contradictory to those of the Washington Consensus while many others still keep the core of it. The hypothesis here is that all this confirms the recyclical feature of the development models in the region even though it is too early to say the old model of the 1960s has been brought back in.

      • KCI등재

        국제금융기구와 빈곤 축소 프로그램

        김성현(Kim Seong-Hyun)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80

        1990년대 후반 금융위기와 반세계화 운동에 직면해 국제금융기구는 대안적인 금융개혁 모델로서 통합발전 프로그램과 광범위한 빈곤 축소 전략을 수립했다. 이 연구는 일부 진보 학계에서도 수용되고 있는 이 대안적 모델이 사실상 신자유주의적 경제개혁의 본질을 유지하고 잇으며, 시민사회의 이름으로 경제적인 분야뿐 아니라 정치사회적인 분야에까지 시장의 논리를 확대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새롭게 등장한 포스트 워싱턴컨센서스의 논리와 세계은행에서 강조되는 책무성, 참여, 권능강화 등의 논리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나아가 시민사회 논리와 결합한 신자유주의 논리가 마이크로파이낸스에 침투할 위험을 경고하고, 빈민의 권능강화이라는 목표하에 수행되는 실천이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성찰한다. Faced with the financial crisis and anti-globalization movements in the late 1990s,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constituted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grams and the extensive poverty reduction strategies as the alternative model of financial reforms. This study notes that this alternative policies preserve de facto the essence of neoliberal economic reforms and that they are extending the logic of market not only to the economic field but also to the socio-political fiel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 between the logic of emerging post-washington consensus and the democratic logic such as accountability,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sisted by the World Bank. Moreover this study reflects on the problems of practices conducted by the commitment for the empowerment of poor communities, denouncing the risk of the infiltration of neoliberal logic, combined with civil society, into the microfin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