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북지역 공연예술의 현황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송갑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29 No.1

        이 연구는 충북지역 공연예술의 현황분석을 통해 제도와 공연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이다. 연구범위는 충북지역에 한하며, 연구 대상은 공연예술 중 연극을 중심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예연감’(2015년 ~ 2020년)을 통해 먼저 전국을 기준으로 충북지역과 중앙 의 공연예술 현황을 비교 분석한 이후, 충북지역 창작초연과 재공연의 현황을 세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연예술계에서 충북지역 공연예술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후 충북문화재단의 ‘연차보고서’(2017년, 2019 년, 2020년)를 통해 충북지역 내에서 공연예술의 분야별 현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분석을 바탕 으로 충북지역 공연예술 제도와 공연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 한다. 결론에서는 크게 4가지 문제로 정리한 후 이에 대한 10가지 세부 사항으로 연구를 요약하면서 다 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 번째, 공연예술인력 문제에 대한 방안이다. 1) 현재의 공연예술인력을 재교육하 고 우수 인재를 유치해야 한다. 2) 충북지역의 연극영화학과와 지역 연극인들과의 교류를 확대하면서 이 에 대한 새로운 협회 및 단체를 설립해야 한다. 3) 젊은 연극인 및 단체에 대한 혜택을 늘리고 적극적인 유치가 필요하다. 두 번째, 공연예술 단체 및 예술가 지원에 대한 방안이다. 1) 창작단체와 예술가 개인에 대한 지원금 규모 확대 및 지속적인 지원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2) 충북지역을 연고로 하는 기업들이 기 업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예술단체를 적극적으로 후원해야 한다. 세 번째, 관객을 위한 서비스에 대한 방 안이다. 1) 충북형 관객개발이 필요하다. 2) 창작거점공간으로써 소극장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3) 예술 행정을 전문화 시켜야 한다. 네 번째, 충북을 대표할 단체 및 공연행사에 대한 방안이다. 1) 충북 도립극 단을 설립해야 한다. 2) 충북을 대표할 만한 국제 공연행사를 만들어야 한다.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alysis and revitalization plans of performing arts in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centered on theatre among the performing arts. As for the progress of research, starting with the 'Culture & Arts Yearbook' (2015-2020), the ‘Annual Report’ (2017, 2019, 2020) of the Chungbuk Cultural Foundation was analyzed. Finall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solutions and revitalization plans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 plan for the problem of performing arts personnel. 1) It is necessary to retrain the current performing arts personnel and attract excellent talents. 2) While expanding exchanges between departments of theatre and film in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and local theatrical people, new associations and groups should be established. 3)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benefits for young theatrical people and organizations and actively attract them. Second, it is a plan for supporting performing arts groups and artists. 1) The scale of subsidies for creative groups and individual artists should be expanded and a continuous support system established. 2) Companies based in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should actively support art organizations by establishing corporate culture foundations. Third, it is a plan for service for the audience. 1) The northern Chungcheong-type audience development is needed. 2) The role of the small theater as a creative base space should be expanded. 3) Art administration should be specialized. Fourth, it is a plan for organizations and performance events that will represent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1) A provincial theatre company in the northern Chungcheong must be established. 2) An international performance event that can represent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must be created.

      • KCI등재

        충북지역 전설에 나타난 삼국시대에 관한 기억과 그 흔적

        이효순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61 No.-

        The locality of a region is not single. Just as an individual has many characteristics, a group of individuals formed has various characteristics in a specific culture.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examined the legends of Chungbuk province(North Chungcheong Province) focusing on the specific tim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lthough there are emotiona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s of Goguryeo, Silla, and Baekje, but the wartime situation usually appears in there. This presupposes a temporal perception that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a chaotic period. Legend in Chungbuk province remember that Chungbuk province was a border area and war zone, which may be a reflection of the actual incident or related to the geographical sensibility of the people in the region. The geographical sensibility of the region is to establish the Chungbuk province as a stable space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which is recognized as an era of war. A stable space is implemented in a way that strengthens the solidarity of the inner groups, while rejecting cultural stimuli from the outside world. Considering these aspects, the people of Chungbuk Province remember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a pain from the war. And this legend’s transmission could be understood as a self-purification to weaken or heal the pain. 지역의 지역적 특색은 단일하지 않다. 한 개인에게 여러 가지 특성이 있듯이, 개인들이 모여 형성된 집단은 특정한 문화 속에서 다양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점을 주지하고, 삼국시대라는 특정한 시간에 초점을 맞추어 충북지역의 전설을 살펴보았다. 충북지역 전설에서 삼국시대 배경은 고구려, 신라, 백제가 모두 나타난다는 점, 미상과조선 시대 배경 다음으로 많이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충북지역 전설에서 고구려는 대표적인 인물을 내세워 강대한 국가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백제는 오히려이름 없는 장수의 비극적인 죽음과 충절이 강조되는 것으로 기억된다. 신라의 경우신라라는 영토의 국경임을 강조하며 이 지역이 국가로부터 보호받는 공간으로 드러난다. 이렇듯 각각의 배경에 따라 정서적 차이는 있으나, 충북지역 전설에 나타난 삼국시대의 충북지역은 가장 먼저 전시 상황으로 기억된다. 이는 삼국시대가 혼란스러운 시기였다는 시간적 인식을 전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충북지역 전설에는 충북지역이접경지, 각축지라는 경계 공간이었다는 인식이 드러나는데, 실제 사건의 반영이거나 이 지역민의 지리적 감수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 지역의 지리적 감수성은 전쟁의 시대로 인식되는 삼국시대의 충북지역을 안정적인 공간으로 기억한다. 안정적인공간에 대한 기억은 외부에 대한 무감정한 시선과 더불어 내집단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실천되기도 한다. 이상의 측면들을 고려해 본다면 충북 지역민은 삼국시대를 전쟁으로 인한 승리보다는 그로 인한 아픔으로 기억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전설을 전승하는 것은 그 고통을약화 또는 치유하려는 자기 치유의 자정 작용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충북지역 전설 연구

        오세정(Oh, Se-jeo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지역의 설화, 즉 전설은 다른 구비문학의 설화 갈래에 비해 뚜렷한 차별점을 가지는데, 그것은 바로 지역성이다. 광포전설이 아닌, 일반적인 전설은 제한적인 지역 범위 내에서 생성되고 전승된다. 다시 말해 지역의 전설은 전승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이야기의 형태에 담고 있는 지역문화의 요체이다. 이러한 전설의 의의와 기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전설 연구가 지역과 밀착된 경우는 흔하지 않다.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지역 경계인 ‘도’ 단위의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지역성, 지역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지역의 설화인 전설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의에서는 충청북도라는 지역 단위를 대상으로 세 방향에서 지역전설을 고찰하였다. 충북지역 전설의 자료 현황, 다수의 전설 자료에 대한 분류체계, 분류체계에 따른 지역별 분포현황을 살펴보았다. 자료의 경우, 『한국구비문학대계』와 같이 널리 알려진 구비문학 자료집에는 실제 지역과 밀착된 전설은 많지 않다. 오히려 지역전설들은 해당 지자체나 관련 문화원에서 간행된 자료집에 많이 전하는데 이러한 자료집은 현지를 벗어나면 구하기가 쉽지 않다. 현재까지 파악된 충북의 지역전설은 총 1,467편이다. 본 논의에서는 이 전설들을 대상으로 지역별로 청주, 청원, 충주, 제천, 괴산, 단양, 보은, 영동, 옥천, 음성, 증평, 진천 12개의 시군별로 분류하였다. 전설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증거물을 대상으로 대 · 중 · 소항목으로 나누어 분류체계를 수립하였다. 기존의 분류법을 검토 · 보완하여 규범을 세우고, 이를 실제 1,467편의 전설에 적용하여 다시 규범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증거물을 대상으로 분류한 지역별 전설의 분포현황은 충북지역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한다. 충북 전체를 대상으로 어떠한 전설이 분포하는지에 대한 거시적 정보에서, 소항목의 구체적 증거물을 대상으로 한 지역적 특성과 변별점을 찾을 수 있다. 충북을 구성하는 하위 단위 지역의 고유성과, 이들이 모여 이루고 있는 큰 체계에서의 특성을 살필 수 있는 것이다. The folktales, namely legends have two main features. That stories are transmitted in the limited local area and have real evidences. In other words, the legends convey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local area. Despite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the legends, until recently, researchers have not studied that stories’ locality very much. Few studies have studied legends in the local unit ‘Do’ that is major and typical regional boundary in Korea. Today the importance of locality and local culture are emphasized, there is a need for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legends. In this study, the research object is legends of Chungbuk province, a total of 1,467 legends of Cheongju, Cheongwon, Chungju, Jecheon, Goesan, Danyang, Boeun, Yeongdog, Okcheon, Eeumseong, Jeungpyeong and Jincheon. This study compiles all the legneds that were scattered in the Chungbuk province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 main criteria for classification systems is the evidence of that tales. This distribution of legends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Chungbuk province. We can learn macroscopic information about what kinds of legends are distributed in Chungbuk and find definite and distinct local characteristics centered on concrete evidence.

      • KCI등재

        충북의 로컬리티와 전설 연구 - 전설이 표상한 사회구조 측면의 지역 정체성 -

        오세정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0 No.-

        본 논의는 충북의 전설을 중심으로 지역의 정체성, 즉 로컬리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전설은 지역에 실존하거나 실존하였다고 믿는 증거물을 대상으로 형성된 이야기로, 해당 지역의 정체성을 포착하기에 최적의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충북지역을 실재구조, 관계구조, 상징구조의 세 차원으로 나누고, 각 구조를 잘 포착하여 드러낸 전설을 찾아 그 전설들이 충북지역에서 어떤 의미작용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실재구조에 대한 접근은 절대적 공간 속 물리적 대상을 증거물로 형성된 전설들을 중심으로 하였다. 충북의 많은 전설은 산, 바위, 샘, 하천 등 자연물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알려준다. 이 전설들을 통해 지역민들이 자신의 삶의 터전에서 1차적으로 관심을 갖고 반응한 대상들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연물에 대한 의미부여는 해당 지역이 단순 물리적 공간이 아닌 다양한 의미를 가진 공간으로 바뀌게 됨을 알 수 있다. 충북지역의 관계구조는 한반도의 중앙성, 타지역과의 인접성이 핵심이다. 삼국시대에 형성된 중앙성에 대한 지역 정체성은 전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전설로 표상되었다. 이후 시대에서도 이 같은 관계구조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중요한 지역적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관계구조는 개방성보다는 폐쇄성이 더 두드러지며 내부 결속력 강화의 방향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충북지역의 상징구조는 지역과 지역민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중앙이라는 우월한 유표적 자질을 가졌음에도 중심이 되지 못한 경험은 자신의 지역을 이상화하는 방향으로 정체성을 형성시킨다. 전설을 통해 충북지역이 새로운 세계의 왕이 등장할 곳, 새로운 지역의 중심지라는 관념과 욕망이 표출된다. 이러한 정체성이 조선시대에는 수도와 인접한 지역으로 중앙(심) 지향, 유교적 이데올로기 지향의 이상적 공간으로 상징화된다. This paper seeks to research the local identity of Chungbuk province through it’s legends. Legend is a story formed with evidence that exists or believes to exist in the area, and is the best text to capture the locality of the area. I tried to divide the social structure of Chungbuk into three dimensions: real structure, relational structure, and symbolic structure, to find out the legends revealed by capturing each structure well and to reveal what the legends mean in the Chungbuk. The approach to the real structure proceeded with legends formed as evidence of physical objects in absolute space. Many legends of Chungbuk tell us how natural products such as mountains, rocks, springs, and rivers were formed. Through these legends, it is possible to find out what objects the local people were primarily interested in and responded to in their lives. In addition, by giving meaning to natural objects in legends, the area becomes a space of various meanings rather than a simple physical space. The centr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proximity to other area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Chungbuk. Through many legends in Chungbuk, it can be seen that the local identity of the centrality form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s closely related to the war. In a later era, this relationship structure has important meaning as a strategic point area. This relationship structure has a stronger ‘closedness’ than ‘openness’ and establishes an identity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internal cohesion. The symbolic structure of the Chungbuk can be found centering on its stereotype. Despite having the superior quality of the centrality, the experience of the area not being the center made identity toward the idealization of own area. The idea and desire that the Chungbuk will be the birthplace of a new king and the center of a new world is expressed through legends. In the Joseon Dynasty, this identity is symbolized as an ideal space of centered-oriented and Confucian ideologically-oriented as the proximity to the capital is emphasized.

      • KCI등재

        특집 : 고전소설의 주인공 ; 충북 지역에 유통된 필사본 고소설의 종류와 향유층

        김재웅 ( Jae Woong Kim ) 한국고소설학회 2011 古小說 硏究 Vol.32 No.-

        충북 지역에 유통된 필사본 고소설은 모두 39종이다. 여기에 충남의 필사본 고소설 42종을 합치면 충청도에서는 81종이 유통되었다. 충청도는 영남보다 유통량이 적지만 호남보다는 유통량이 많다. 충북 지역의 필사본 고소설은 충주, 괴산, 청주, 보은 등과 같이 유교문화적 전통이 풍부한 곳에서 빈번하게 유통되었다. 충북 지역에는 영웅소설의 유형이 가장 풍부하게 유통되었다. 영웅소설은 모두 14종이 유통된 반면에 장편의 가문소설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영웅소설과 장편의 가문소설은 영남 지역에서 매우 풍부하다. 영남에는 가정소설이 풍부한 반면에 판소리계 소설은 빈약하다. 그런데 영남과 달리 충북에는 판소리계 소설도 풍부하게 유통되었다. 따라서 충북 지역의 향유층은 영웅소설 및 판소리계 소설을 선호하였다. 충북에는 다양한 작품이 유통되었기 때문에 이본을 제외하면 31종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충북에는 동일한 작품의 이본보다 다양한 작품이 유통되었다. 그 중에서도 <춘향전> 4종은 <열녀춘향수절가> 계통의 이본이 대부분이다. 다만, <별춘향전>③은 경판 35장본을 대상으로 필사하며서 새롭게 변모된 특징을 보여준다. 그리고 <박씨전> 3종은 활자본의 영향과 관계없이 필사본으로 지속되었다. 이러한 <춘향전>과 <박씨전>은 충북 지역의 필사본 고소설 향유층이 선호한 작품이다. 충북의 필사본 고소설 향유층은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현장조사를 실시하면 여성 향유층이 증가한다. 고소설의 필사시기는 1883년에서 1930년까지로 나타나는데 조선후기에서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로 접어든 격동기에 필사본 고소설을 향유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 중에서도 1900년에서 1920년대에 필사와 향유가 집중된 고소설은 농한기에 풍부하게 필사되었다. 이런 점에서 전통문화를 계승한 선비집안 및 양반집안에서 필사본 고소설을 향유하였다. 다만, 선비집안과 양반집안에서는 농한기에 작품을 향유했다는 점에서 영남 지역과 차이를 보인다. 영남에서는 농한기에 단권의 작품을 향유한 반면에 농번기에는 장편의 가문소설을 향유하였다. 따라서 충북에서는 선비집안의 여성들이 농한기에 필사본 고소설을 즐겨 향유한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Thirty-nine kinds of manuscript novels distributed in Chunnbuk(忠北) area. All eighty-one kinds of manuscript novels were distributed in Chungcheong Province with forty-two kinds of those in Chungnam area. The amount of manuscript novels in distribution are Less in Chungcheongdo than in Youngnam but more than in Honam. Manuscripts of Chungbuk were widely distributed in Chungju, Goesan and Cheongju so on. Chungbuk has many hero novels and war novels. The following is Pansori type of novels but family novels are very poor. Readers of Chungbuk prefered hero novels and Pansori type of novels Like <Chunhyangjeon(春香傳)> and <Parkssijeon(朴氏傳)> The rate of male and female readership is similar. However, the fieldwork shows that female readership is increasing. The manuscript period of novels is from 1883 to 1930. The novels were abundantly manuscript in the agricultural off-season avoiding the farming season. In this respect the majority of readership seems to be Yangban(兩班), ruined Yangban included.

      • 지역 유형에 따른 인구이동 특성 분석 : 충북 기초자치단체를 사례로

        채성주 충북연구원 2015 지역정책연구 Vol.26 No.2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and in-migration factors based on the regional classification using degree of regional retardness in Chungbuk Province. In this research, the regional types were established using regional statistics. And then, personal characteristics, origin of migration and in-migration factors by regional types were studied. The twelve fundamental local governments in Chungbuk Province were classified three types by the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It focused on the migration data provided by the Micro Data Service System(MDSS) of Statistics Korea.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In-migration ratio of “20-30 age group” was high in the Developed area, and “elderly group over fifty” was high in the Depressed area. In the case of the Developed area, in-migration ratio from inside of a province was high, but in-migration ratio was low from “Seoul Metropolitan Area”. In the Developing area, in-migration ratio from outside of a province was high, and in-migration ratio was highest from “Seoul Metropolitan Area”. Also, in the Developed area and the Developing area, the ratio of in-migration by job was higher than the province aver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fundamental local governmen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충북지역 시 · 군의 지역 유형을 정립하고, 유형별 인구이동의 개인 속성, 전입 속성, 전출 지역별로 인구이동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시 · 군별 외부이동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통계청의 마이크로데이터 서비스시스템(MDSS)에서 제공되는 2012년도 국내인구이동 통계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활용한다. 지역 통계를 활용하여 유형을 분류한 결과 충북지역 12개 시 · 군은 ‘번영지역’, ‘성장 중인 저발전지역’, ‘저발전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유형별로 인구이동 대상자의 개인 속성에 차이가 있었다. ‘번영지역’은 20~30대 젊은 층의 비율이 다른 유형에 비해 높았으나 5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비율은 가장 낮았다. 둘째, 지역유형별로 인구이동 기원지에 차이를 보였다. ‘번영지역’은 충북도내 기초자치단체로부터의 이동비율이 높고, 수도권으로부터의 전입 비율이 가장 낮고, ‘성장 중인 저발전지역’은 도내 기초자치단체로부터의 전입 비율이 가장 낮고, 도외 지역으로부터의 전입 비율은 높은데 특히 수도권으로부터의 전입 비율은 모든 유형 중 가장 높았다. ‘저발전지역’의 인구이동 특징으로는 도내 타 시 · 군으로부터의 전입 비율이 세 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반면, 수도권으로부터의 전입 비율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유형별로 인구이동 사유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번영지역’과 ‘성장 중인 저발전지역’에서는 직업요인의 비중이 가장 높고, ‘저발전지역’에서는 가족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성장 중인 저발전지역’에서는 교육요인의 비중이 다른 유형에 비해 높고, ‘저발전지역’은 건강의 비중이 모든 유형 중에서 가장 높은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충북 시조의 실상과 의미

        변승구(Byun Seung-ku)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6 No.-

        본 연구는 충북 시조의 작가와 작품을 살펴보고 주제 표출의 양상을 밝혀보았다. 또한 그 역할과 의미를 조명해 보았다. 이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충북 시조의 현황과 분석을 살펴보았다. 총 작품 수는 197수이며 이중 작자가 2인 이상 표기된 작품은 12수이다. 작자가 2인 이상 표기된 작품을 검토한 결과 8수를 충북지역 시조로 확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충북지역 시조는 작자가 단독 표기된 185수와 확정된 8수를 포함하며 총 193수이다. 다음으로 충북의 시조 작가의 현황과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작가 수는 총 10명이며 시기별로는 고려 말부터 조선후기까지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작가가 나타난 시기는 조선중기이다. 다음으로 신분은 모두 문신이다. 그리고 지역별로는 총 5개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가장 많은 작가가 나타난 지역은 청주로 3명이고 단양과 옥천이 2명씩 확인된다. 그 외는 한명씩이다. 그리고 충북 시조의 주제 표출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관료적 성향의 표출은 ‘戀主 忠君’과 ‘憂國慨世’가 있었으며 또한 ‘관료생활의 人生無常’이 있었다. 다음으로 사대부적 면모의 표출은 ‘學問修德’과 ‘田家閑居’, 그리고 ‘人生行樂’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인간적 정서의 표출로 ‘白髮嘆老’와 ‘自然順理’, 그리고 ‘思鄕歸心’이 표출되고 있었다. 끝으로 충북의 시조가 갖는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먼저 충북에는 적지 않은 시조 작가와 작품이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과 충북의 시조는 다양한 주제를 표출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지역학적 측면에서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 등이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Sijos and the writer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in an effort to illuminate the roles and values in the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 have examined the current analysis on Sijos in the region. 193 works in total have been found, 185 of which were written by a sole writer in addition to confirmed 8 works. I have also conducted a research on writers of Sijo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had been 10 writers in Chungbuk Province. They had written their works from late Koryeo to late Joseon Dynasty. In terms of the social status, most of them are civil ministers. The number of writers in Cheongju accounts for three out of total 5 provinces. The theme of Sijos in this province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n terms of being bureaucratic, ‘戀主忠君’, ‘憂國慨世’ and ‘人生無 常’ have been found. Meanwhile, the expression of nobility is included in 學問修德’ ‘田家閑居’, and ‘人生行樂’. Lastly, ‘白髮嘆老’, ‘自然順理’, and ‘思鄕歸心’ express the human emotion. It has been found in this research that even though there are relatively small number of Sijo writers and works dealing with various theme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comparing to other provinces, Chungbuk Sijo has its own meanings and values for further research with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 17대 대선과 18대 총선에서 충북의 정당지지도 비교분석

        안성호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08 사회과학연구 Vol.25 No.1

        국민들로부터 과반수에 육박하는 높은 지지로 이명박후보가 17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되었다. 이로써 1997년 김대중정부로 정권교체게 이뤄진 뒤 10년만에 다시 정권이 바뀌었다. 이명박대통령의 등장으로 한국정치변화가 불가피해졌다. 다른 때보다도 대선과 총선이 이렇게 가깝게 실시된 적이 거의 없어 결국 대선의 영향이 상당부분 총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명박대통령당선과 인수위출범, 17대 대통령취임식과 고위직 임명파동, 18대 총선 공천파동 등의 일련의 짧은 과정에서 이명박대통령과 한나라당은 작년 12월 19일의 감격에서 많은 손실을 입었다. 특히 전국구도보다는 충북지역에서는 8석중 1석만 당선되어 더 큰 충격을 받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국구도와 다르게 충북지역에서 나타난 정당지지도 변화추이 분석을 중심으로 대선과 총선에서의 민심의 변화와 양 선거가 주는 정치적 함의를 분석하여 보았다. 17대 대선 전국 정당지지 구도에서는 한나라당의 압승으로 진보에서 보수로의 정권교체 성공이었다. 17대 대선 충북 정당구도에서도 충북의 표심은 일단 이명박후보에게 안겨주었고 민주당과 선진당이 팽팽하게 2-3등을 차지하였다. 18대 총선 전국 정당지지구도에서는 대선에 이은 과반수이상의 의석을 확보하여 의회권력도 차지함으로써 일단 정권교체가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18대총선 충북정당지지 도에서는 전국구도와는 달리 한나라당이 참패하고 민주당이 압승하여 진보 및 호남정권의 연속선상에 머문 것으로 인식되어 대선때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12월 19일 부터 4월 9일까지의 기간동안에 충북표심이 상당히 한나라당으로부터 이탈하였다. 충북홀대론,인사파동, 공천파동, 수도권대 비수도권 대립격화, 혁식도시문제 재검토, 세종시문제 불투명,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건설문제 유야무야, 대운하문제 중앙당차원공약에서 빠지는 등 찬반혼란 등이 한나라당후보에 대한 지지약화로 돌변하였다. 특히 공천파동으로 탈당하여 친박연대나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한라당지지표가 분산되고 분열되었다. 정책대결보다는 인물론에 중점이 있었고, 수도권규제완화냐 규제강화냐, 대운하찬성이냐 반대냐, 친이냐 친박이냐,또는친이냐 반이냐 등으로 이분법적으로 지지를 단순화시켜버려 한나라당이 지지에서 상당히 손해보았다. 이는 오히려 집권세력으로써 오만하게 보인측면이 있다. 섬기는 정부가 아니라 군림하는 정부로 착각하도록 만들 수 있었다. 짧은 기간 동안 충북의 민심은 상당히 돌변하였고 이는 반 이명박 친호남정권으로 인식되어 앞으로 이명박정부하에서 충북의 정치적 방향이 순탄하지 않을 것을 예고한다.

      • KCI등재

        충북 학교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청-학교-지역사회 연계 모델 연구

        박정연,옥일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to build a model suitable for the Chungbuk region by seeking ways to connect the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schools, community and civil societ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the Chungbuk’s official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personal activists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diagnosing the status of linkages between the schools and community, research findings suggest tasks to be prepared in the community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Chungbuk, and continues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linkages between Chungbuk’s Office of Education, the schools and community. For the continuous promo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civil-government-schools, that is, Chungbuk Provincial Office, the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unit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hould establish practical governance. So we proposed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upport Center as an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This center promotes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and complements each other's functions in relation to the work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preading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community, and promoting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promote a democratic school culture. 본 연구는 학교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충북교육청 및 학교와 지역사회, 시민사회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여 충북 지역에 맞는 모델을 구축하는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과 교육청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경험과 민주시민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지역 자원의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현황 진단을 통해 충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지역사회에서 준비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 충북교육청,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민주시민교육의 지속적인 추진 체계’를 제시하였다. 민주시민교육의 지속적 추진을 위해 민ᆞ관ᆞ학인 충북 도청, 충북교육청, 단위학교, 지역사회, 시민사회단체들이 실질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과 중간지원기구로 민주시민교육지원센터를 제안하였다. 이 기구는 민주시민교육 업무와 관련하여 각기관들의 협력을 촉진하고, 서로의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지역사회에 확산시키고,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여 민주적인 학교문화를 형성하는 구심점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충북의 시·군 간 지역격차 변화와 지역격차 영향 요인 분석

        조철주,원광희 충북연구원 2020 지역정책연구 Vol.31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fold: It traces the temporal changes in regional disparity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Chungbuk Province, on one hand, and identifies plausible determinants of regional disparity, on the other hand. The spatial Gini coefficient and the decomposed Theil index are used to analyze the features of inter-local disparity. The analysis of the spatial Gini coefficient shows that inter-local inequality in terms of per capita GRDP has decreased between 2000 and 2009, and reversed to be slightly widened after 2009. On the other hand, the estimation of the decomposed Theil index indicates that inter-local disparity in Chungbuk Province is attributed more to the disparities between the four area-wide subregions in Chungbuk Province than those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Next, a PMG/ARDL model is estimated to find plausible key determinants of inter-local disparity in Chu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empirical estimation of the model show that four variables, including, among others, the local employment rate, local fixed assets, local industrial expenses, and local fiscal health, have a long-term relationship with the per capital GRDP of local governments. This means that these four variables are significant in the determination of GRDP growth, and therefore inter-local inequality in Chungbuk Province. In particular, the variables of local industrial expenses and local fiscal health appear to exert short-term impacts on regional inequalit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strong implication that inter-local disparity in Chungbuk Province would be reduced by concentrating the policy efforts on narrowing the gaps between the four area-wide subregions. In addition, improvements in the local employment rates, local fixed assets, local industrial expenses, and local fiscal health would contribute to a reduction of inter-local disparity in Chungbuk Province. 본 연구는 충북의 시·군 간 지역격차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과 지역격차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지니계수 분석 결과 시·군 간 격차는 2000년대 중반 이후 2009년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 미약한 증가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분타일지수를 이용한 분석 결과는 충북의 시·군 간 지역격차가 충북의 4개 권역 내의 시·군 보다는 권역 간 격차에 더 크게 기인함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통합집단평균/자기상관분포시차(PMG/ARDL)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시·군 간 지역격차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모형추정결과 시·군의 고용비율, 고정자산, 산업경제비, 재정자립도 등이 시·군의 지역내총생산과 장기적 균형 관계에 있음이 밝혀졌다. 이들 중 산업경제비와 재정자립도는 지역내총생산과 단기적으로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향후 충북의 지역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이 권역 간 격차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충북의 저발전 시·군의 고용비율, 고정자산, 산업경제비, 재정자립도 등을 증가시킴으로써 충북의 지역 간 격차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