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구분 -금속기의 출현과 정치체의 등장을 기준으로-

        조진선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7 No.-

        The entire Korean Peninsula, Liaodong and Liaoxi regions are within the spatial scope of Korean archaeology in th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The author has established that this geographical area as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cultures,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started from ca. 20th century B.C. to the late B.C. During this period, Early Bronze Age culture, Lute-shaped bronze dagger cultur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nd Early Iron Culture appeared one after the other. The formation of early states, including Gojoseon, had also begun during this period. Based on changes in material culture, Early Bronze Age period lasted from the 20th to 10th century B.C. when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appeared and developed. The Mid Bronze Age spanned from the 9th/8th centuries B.C. when Lute-shaped bronze culture emerged and developed, until the 6th/5th centuries B.C. in Liaoxi, and the 4th century B.C. in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Late Bronze Age lasted from the 5th to 4th century B.C. in Liaoxi when cultures from the Chinese warring states in the Central Plain were spread to the Shiertaiyingzi Culture zone, and until the 3rd century B.C. in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when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emerged there. During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Early Iron Age cultures from the Chinese warring states in the Central Plain entered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Gojoseon entered Chinese historical records since around the 4th century B.C. during the Late Bronze Age, even though it is highly likely that Gojoseon emerged during the Mid Bronze Age. Thus, it is possible to use “Gojoseon” as a period marker from the 4th century B.C. Early states such as Gojoseon, Buyeo and Samhan appeared in Chinese records in large numbers in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during the height of the Early Iron Age. Therefore, Gojoseon, representing early states during that time, can be used as a period marker for this particular period in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한국고고학에서 선사시대는 물질문화의 변동을 기준으로, 역사시대는 왕조의 변천을 중심으로 시대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청동기-초기철기시대는 선사시대에서 원사시대로 전환되는 시기여서 한 가지 기준만으로 시기구분 하기는 어렵다.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공간적 범위는 무문토기문화의분포권이면서 비파형동검문화와 세형동검문화가 분포하는 한반도와 요동·요서지역까지이다. 필자는이를 한국고대문화권으로 설정하였다.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구분은 한국고대문화권을 포괄할 수 있는 안이어야 한다. 한국고대문화권에서 청동기-초기철기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후경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초기청동기문화, 비파형동검문화, 세형동검문화, 초기철기문화가 차례로 등장한다. 또한 고조선을비롯한 초기국가들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물질문화의 변동을 기준으로 시기구분하면, 청동기시대 전기는 초기청동기문화가 등장·발전하는 기원전 20~10세기경까지이며, 청동기시대 중기는 비파형동검문화가 등장·발전하는 기원전 9~8세기부터 기원전 6~5세기(요서), 또는 기원전 4세기(요동과 한반도)까지이다. 청동기시대 후기는 전국시대의 중원계 물질문화가 대거 들어오면서 요서의 십이대영자문화가 크게 변화되고(기원전 5~4세기), 이어서 요동과 한반도에 세형동검문화가 등장하는 때(기원전 3세기 초)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기원전 3~2세기에는 전국시대 중원계의 초기철기문화(세죽리-연화보유형)가 들어온다. 고조선은 청동기시대 중기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중국 사서에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낸것은 청동기시대 후기인 기원전 4세기경부터이다. 그러므로 이때부터는 고조선을 시대 명칭으로 병기해도 좋을 것이다. 초기철기문화가 들어오는 기원전 3~2세기에는 고조선은 물론 부여와 삼한 등의초기국가들이 대거 등장하는 시기이므로 초기국가들을 대표하는 고조선을 시대명칭으로 사용하여도좋을 것이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 옹관묘’ 재고

        고일홍 숭실사학회 2015 숭실사학 Vol.0 No.35

        청동기시대 옹관묘는 일찍이 ‘송국리형묘제’의 범주에 포함되어 청동기시대 중기의 묘제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청동기시대 ‘전기 옹관묘’의 존재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소위 ‘전기 옹관묘’로 규정된 바 있는 옹관묘의 사례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먼저 ‘전기 옹관묘’로 규정된 바 있는 옹관묘 출토 유적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특히 토기의 형태에만 초점을 맞춘 그간의 시각에서 벗어나 옹관묘의 공반 유구에 대해 자세히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토기형태를 제외하고는 ‘전기 옹관묘’를 청동기시대 전기 무덤으로 비정할만한 근거가 마땅히 없음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전기 옹관묘’를 청동기시대 전기의 문화 요소가 잔존해 있는 청동기시대 중기의 무덤으로 보아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청동기시대 중기의 고고학적 맥락에서 보이는 전기적 토기 요소의 존속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전기 옹관묘’가 분포하는 호남지역에서는 공열토기와 구순각목토기가 중기까지 존속하는 반면, 이중구연토기는 청동기시대 중기에 들어와 대체로 단절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전기 옹관묘’에 주로 사용된 직립구연호의 경우, 호남지역에서는 송국리형주거지의 수용 이후에도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다만, 직립구연호가 청동기시대 전기에 옥내 저장을 담당했던 저장용기인 만큼, 식량저장체계의 혁신적 변화가 일어난 청동기시대 중기에 들어와서 그것이 지속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청동기시대 중기의 고고학적 맥락에서 등장하는 직립구연호가 전세품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Ⅳ장에서는 ‘전세품’(傳世品)에 관한 서양 고고학의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전세’ 현상의 실체에 대해 접근하였다. 특히 특정 유물이 어떤 이유에서든지 유난히 오랜 기간 보유되어 그것의 ‘예상되는 시간적 맥락’에서 일탈한 경우를 넓은 의미에서의 ‘전세품’으로 규정하였다. 아울러 저장용 토기와 같은 평범한 유물도 전세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특히 청동기시대 전기의 직립구연호가 실제로 2~3세대에 걸쳐 사용될 수 있었음을 토기 수명에 관한 민족지조사의 연구사례들을 통해 예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전기 옹관묘’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하고, 또한 고고학 자료의 ‘전세’ 양상에 대한 해석적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The jar burials of the Korean Bronze Age have generally be regarded as ‘Songgukri-type’ burials and have been dated to the Middle Bronze Age (MBA).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some of these jar burials may date to the Early Bronze Age (EBA) has also been suggested, based mainly on the form of the jars, which feature characteristics of EBA pottery.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valuate the claims that have been set forth for the ‘EBA jar burials’. The sites from which these ‘EBA jar burials’ have been unearthed are first examined, with focus on the archaeological contexts of the burial which have been overlooked due to excessive focus on pottery for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EBA jar burials’ are in fact MBA burials which have utilized elements of EBA pottery. A subsequent examination is undertaken on the existence of elements of EBA pottery in definite MBA contexts in the Honam region, where most of the ‘EBA jar burials’ have been found. It is suggested that in the case of the EBA straight-necked jars that were mainly used in the ‘EBA jar burials’, they may have been heirlooms that were maintained into the MBA. Finally, in order to substantiate this suggestion that the ‘EBA jar burials’ were in fact MBA burials that had utilized EBA heirloom jars, the concept of heirlooms and case studies demonstrating the existence of heirloom pottery is presented, along with ethnographic examples concerning pottery use-life.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 시론

        천선행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6 No.-

        본고는 신석기시대부터 통시적 관점에서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석기시대 조기~전기의 복합수렵채집사회에 대한 논의, 신석기시대 후·말기 양상, 청동기시대 조기의 취락·농경·석기·청동기 양상, 돌대문토기문화의 기원지로 여겨지는 마성자문화의 양상을 살 펴보았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 사회는 수렵채집어로를 바탕으로 기후 및 자연환경에 따라 사회규모와 형태를 변형시키는 유연성을 갖춘 사회였음을 확인하였다. 신석기시대 조기~전기는 복합수렵채집사회의 특 징을 보이나, 말기에는 기후악화에 따른 생업환경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생존 전략을 구사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신석기시대 말기는 평등사회의 범주에 포함되나 취락이 가족단위로 이루어진 소규모 분절사회의 형태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청동기시대는 농경사회를 바탕으로 사회복합화가 가속화되는 한 방향의 길을 걷게 된다. 조기 사회는 완만하지만 서열사회를 경험한 이주 농경민에 의해 형성되었고, 정착 및 잉여가 발생할 수 있는 토대가 갖추어진 사회였다. 그리고 가족단위와 친족단위의 분절사회가 공존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리더(리더를 포함한 집단)는 권위 표출이 제한되거나 그것을 표출하는 방식이 제도화되지 못하였다고 보았다. 전기이후 농경사회의 생업과 제도가 확산되면서 비혈연을 기반으로 한 지역집단이 형성되고, 지역집단 통할과 공동체 통합을 위해 취락 내와 취락간의 서열 발생이 가속화된다. 점차적으로 청동기, 지석묘 등의 장치를 통해 집단 내 서열은 더욱 공고해지고 제도화되면서 수직적 사회 분화가 심화된다. 이상으로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사회는 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한 방향으로 변화·발전하는 과 정에 있는 것이 아니다. 신석기시대 사회형태는 수렵채집이라는 획득경제 하에서 각 집단의 선택의 결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청동기시대 사회는 도작농경이라는 생산경제 하에서 집단 통할과 공동체 통합을 위해 사회복합화의 길로 나아가기 시작한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characteristics of society in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which has not dealt with so far by taking a diachronic perspective. Therefore, it examines discussion on complex hunter-gatherer society from the initial phase to early Neolithic Age, aspects of settlement in the initial phase and facets of Machengzi Culture which is considered as an area of origin for banded-rim pottery culture and futhermore, reviews social changes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Neolithic society is flexible as it modifies scale and form of society depending on climate and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fishing, hunting and collecting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the people have to devise various survival strategies to overcome unstable natural environment to make living due to climate changes at the end of the Neolithic Age and this age can be categorized as the egalitarian society. But its settlement clusters are more likely to be small segmentary society, especially in family unit. The Bronze Age accelerates one-way society complexation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expand labor force and centralize in the agricultural society. The society in the initial phase focuses on agriculture, as it’s formed by agricultural people who experience hierarchical society which is moderate and this society is well established so that people can settle in and produce agricultural surplus. Also, it’s presumed that family-orientated or blood-tied segmentary society in kinship unit coexists and also, a leader including group where has leader is considered to be limited in expressing authority in the hierarchy or fail to institutionalize the way of representing the authority. As the livelihood and system is settled in the agricultural society in the early stage, it leads to region group with no blood ties and furthermore, the demand for controlling region groups and integrating communities might accelerate hierarchy between the community. Afterwards, the hierarchy within a group is reinforced and institutionalized through bronze weapon and tomb like dolmen, resulting in vertical social differentiation. To sum up, the society in the Neolithic Age and the early phase of Bronze Age is not changed in one direction gradually and sequentially and form of society is not result but process and differs by livelihood, natural environment, group size and cognition of group.

      • KCI등재

        한국 청동기시대 이주 연구 -문제점 검토와 새로운 대안 모색-

        고일홍 한국청동기학회 2019 한국청동기학보 Vol.25 No.-

        한국의 청동기시대 연구에 있어서 ‘이주’는 피해 갈 수 없는 주제이다.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전환기 이후 한반도 남쪽에서 새로운 문화요소가 등장하게 된 과정에는 주민의 이주가 분명히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며, 이주민의 실체나 기원지에 대한 고찰이 없이는 당시의 문화변동에 대한 설명이 빈약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청동기시대의 이주가 이렇듯 중요한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에서 이주 현상에 대한 이론적 이해가 다소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고, 연구의 틀이나 대상 자료가 적절하지 않게 사용되었던 측면도 분명히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연구자들이 ‘이주’라는 현상에 제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구 학계에서 그동안 진행되어 온 이주 관련 논의 및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고고학 자료상에서 이주의 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 문화요소가 아닌 문화(유형) 그 자체를 이주 집단과 연결시키는 접근방법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거지, 무덤, 토기가 거주자의 정체성과 어떠한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고고학 자료를 통해 이주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할 경우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전환기 이후 한반도 남쪽에서 일어났던 주민 이주 과정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자 ‘2열 기둥 주거지’의 건축양식 및 공간구성에 주목하고, 그것이 왜 이주를 ‘실증’하기에 좋은 문화요소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Migration’ is an important research theme for the Korean Bronze Age. The appearance of new cultural elements in southern Korea following the Neolithic-Bronze Age transition cannot be fully explained in the absence of considerations on human migration, but the misuse of concepts related to migration have led to a situation in which ‘the baby has come to be thrown out with the bathwater.’ In an attempt to readdress this situation, the present paper reviews the current discourse on migration in Korean archaeology. In addition,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culture’, rather than ‘cultural elements’ are used as indicators of migration is considered, and the way in which house structure, pottery, and burials may or may not adequately be used as indicators of the identity of migrant populations is considered. Finally, taking these points into consideration, an alternative way of approaching the issue of migra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Early Korean Bronze Age is presented.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성장 : 충청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나건주 한국청동기학회 2014 한국청동기학보 Vol.15 No.-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통해 당시 취락사회의 성장과 그 배경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전기의 이른 단계에 소규모 취락단위로 이주해온 집단은 대규모 노동력을 필요치 않는 화전과 같은 농경방식으로 생계를 꾸려나갔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안정적으로 취락을 유지하고 자원예측성을 높이기 위해서 농경에 대한 의존도가 강화되고, 그에 따라 취락의 규모가 확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산만지역의 전기 유적에서 확인되는 탄화미 등의 자료로 보아, 당시에 벼재배는일반적 현상으로 생각된다. 천안 백석동 취락의 규모와 구조로 볼 때 수전의 경영도 가능하지 않았을까 추정해 보았다. 당시의 소규모 취락의 경우, 주변의 취락사회와의 관련 없이 단독으로 영속하기 어려웠을 것이며,주변의 취락사회와의 상호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을것이다. 또한 취락사회의 안정을 얻고 생태적·사회적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개별 취락조직의 확대를꾀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형성된 대형취락들은,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두고 분포하는데,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growth and its background of the then settlement societyin the early bronze age. It is thought that the immigrant group, who moved to a small scale settlement unit in an earlystage of the bronze age, earned a livelihood by farming method like slash-and-burn farming thatobviated large-scale labor force. It's presumed that afterwards, in an effort to maintain a settlement stably and enhance resourcespredictability, reliance on farming came to be intensified, and accordingly, the size of a settlementmight have been expanded. Judging from the data like carbonized rice which is identified in theearly ruins of the bronze age in Asan Bay area, the then rice cropping is thought to be a generalphenomenon. In the light of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settlement at Baeseok-dong, Cheonan, this studypresumed that it might have been possible to manage a rice paddy with water as well. In the case of the then small-scale settlement, it might have been difficult to continue to existpermanently single-handedly without having to do with its neighboring settlement society.Nevertheless, it might be possible to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of network formation formaintaining interrelationship with its neighboring settlement society. In addition, this study madea guess that people in the early bronze age might have obtained stability of settlement societyand attempted at expansion of individual settlement organizations in order to overcomeecological, social pressure. The large settlements formed like this pattern were distributed at acertain spatial distance, which, this study presumed, might have been attributable to asocioeconomic factor.

      • KCI등재

        청동기시대 석제 목공구의 변천과 생업경제

        임숙(Sook Im) 한국상고사학회 2022 한국상고사학보 Vol.118 No.118

        본고는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석제 목공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와 관련시켜 이해해보고자 한 것이다. 청동기시대 목공구는 돌도끼, 대팻날자귀, 돌끌, 턱자귀, 홈자귀로 신석기시대보다 기종이 다양해졌다. 이러한 목공구 자료들을 시기(전기, 중기, 후기)와 문화유형(미사리유형, 가락동유형, 역삼동-흔암리유형, 검단리유형, 천전리유형, 송국리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공구의 크기 및 조성비가 시기와 문화유형에 따라 달라졌으며,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에 대한 연구결과들과도 관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목공구 조성비에서 돌도끼의 비중이 가장 높고, 크기가 크다는 점에서 신석기시대와 비슷하다. 그래서 청동기시대 전기의 생업 활동은 신석기시대와 상당히 유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청동기시대 중기의 검단리유형, 천전리유형, 송국리유형의 목공구는 크기와 조성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래서 비슷한 시기에 유행하였지만, 지역과 생업 활동의 특성이 목공구의 크기와 조성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검단리유형의 목공구는 청동기시대 전기의 전통을 강하게 유지하며, 천전리유형은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이어지는 돌도끼의 감소와 자귀류의 증가 현상이 점진적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송국리유형에서는 돌도끼와 대팻날자귀의 크기 차이가 뚜렷해지고, 돌도끼의 비중이 급감하는 대신 대팻날자귀의 비중이 급증하면서 청동기시대 전기와는 전혀 다른 획기적인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송국리유형이 청동기시대 전기는 물론 중기의 다른 문화유형들과도 구분되는 생업 활동을 기반으로 해서 새로운 사회에 진입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 보아, 청동기시대 목공구의 크기와 조성비의 변화는 당시의 생업경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Woodworking tools made of stone during the Bronze Age include stone axes, flat-adze, stone chisels, pillar-shaped adze, and grooved adze. Woodworking tools can be divided into periods that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e first, middle, and late periods, and cultural types that include localities such as Misari assemblage, Garakdong type, Yeoksamdong assemblage, Heunamri assemblage, Songgukri assemblage, Geomdanri assemblage, and Cheonjeonri assemblage. Changes in the assemblages of woodworking tools by period, cultural type, and woodworking tools are in line with the existing Bronze Age research on the livelihood and Economy. As a result of the analy sis, the s tone axes of the early Bronze Age were s imilar in s ize to those of the Neolithic Age. Therefore, in the early Bronze Age, the Livelihood and Economy related to the use of woodworking tools would have been similar to that of the Neolithic Age. Woodworking tools of Geomdanri assemblage, Cheonjeonri assemblage, and Songgukri assemblage in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were all different in size and assemblages. Woodworking tools of the Geomdanri assemblage maintain electrical tradition. The Cheonjeonri assemblage maintains the phenomenon of decreasing stone axes leading to the early Neolithic and Bronze Age and increasing the flat-adze. As for the Songgukri assemblage,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stone axe and the blade of the flat-adze. In additio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stone axe is greatly reduced,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flat-adze of the plane is greatly increased. This aspect means that the Songgukri assemblage has entered a new society based on the living environmen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ultural assemblages in the early and mid-term. As described above, changes in the size and assemblage of woodworking tools in the Bronze Age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ving environment.

      • KCI등재

        북한 서포항 유적과 연해주 청동기문화의 비교고찰 -편년을 중심으로-

        김재윤 한국청동기학회 2018 한국청동기학보 Vol.23 No.-

        북한 서포항 유적은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형성되어, 동북한 선사시대 문화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유적의 절대연대가 측정되지 못해서 북한학계에서도 중국과 비교연구 하면서 연대를 소급시킬 뿐이었다. 그런데 이 유적에서는 신석기문화층 뿐만 아니라 청동기시대문화층도 연해주문화와의 관련성이 토기 및 토우 등에서 뚜렷하게 관찰된다. 이미 서포항 청동기시대는 연해주 청동기문화와 관련지어져 왔으나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1유형이 새롭게 고찰되고, 리도프카문화의 토기가 관찰됨에 따라서 서포항유적의 청동기시대층의 편년을 정리하고자 한다. 그 결과 서포항 청동기시대 4계의 단계로 구분되는데, 서포항 청동기 1단계는 유적의 5기가 해당된다. 7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시니가이 문화 서부 1유형의 파수가 한쪽만 달린 토기가 출토되는 등 토기와 석기가 모두 시니가이 문화 서부 1유형과 비슷하다. 서포항 청동기 2단계는 5호, 6기 퇴적층 일부 토기가 포함되며,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1유형과 동부 2유형이 공존하는 특징이 확인된다. 서포항 청동기 3단계는 2호 주거지와 이와 유사한 유물이 확인되는 7기 퇴적층 일부를 포함한다.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2유형과 동부 2유형이 함께 확인되는 단계이다. 서포항 청동기 4단계는 7기에서 확인되는데, 4호와 10호 주거지 및 7기 퇴적층 유물과 6기 퇴적층유물도 일부 포함되며, 주로 리도프카 문화와 관련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시니가이 문화 및 리도프카 문화와 절대연대를 비교하면 1단계는 3300~3200년 전, 2단계는 3200~2900년 전, 3단계는 2900~2500년 전, 4단계는 2500~2300년 전으로 볼 수 있다. 서포항 5기보다 이른 시기의 동북한 청동기시대 유적은 범의구석 1호인데, 이곳에서 출토된 대부마연 토기가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의 돌대각목 혹은 이중구연의 적색마연토기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따라서 동북한에서 청동기시대는 신석기시대부터 단절 없이 이어지며, 자연스럽게 변화되며, 특히 서포항 유적의 5~7기에서는 연해주의 청동기시대문화인 시니가이문화, 리도프카문화 특징이 반영되었다. The Seopohang Site of North Korea are formed not only in the Neolithic Age but also in the Bronze Age, and are at the center of this local period. However, as the site were unearthed in the 1960s, there was no absolute data accurately measu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will compare the remains of the adjacent the culture of the Bronze Age in Russia Maritime Province with the 5-7 levels of the site. As a result, the Bronze Age of the SeoPohang is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corresponds to the fifth level of the remains, and it is characteristic of first type of Sinigai culture western part. the second stage corresponds to 5th dwelling and the 6th sediment deposit in the site, and it is characteristic of second type of Sinigai culture eastern part and first type of Sinigai culture western part. The third stage is part of the No. 2 settlement of 6th layer and some remains of 7th layer deposit and the Sinigai culture features two types of eastern and two Western types. The fourth stage is the seventh most common artifact, which is the nature of Lidovka culture in Russia Maritime Province. Phase 1 is between 3300 and 3200 years ago, phase 2 is between 3200 and 2900 years ago, phase 3 is between 2900 and 2500 years ago, and phase 4 is between 2500 and 2300 years ago. Therefore, in the 5th~ 7th levels of Seopohang Site, Sinigai culture and Lidovka culture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Age culture of the Maritime Province were reflected.

      • KCI등재

        청동기시대의 어로활동

        金姓旭 한국청동기학회 2008 한국청동기학보 Vol.3 No.-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fishing imag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shing tool and a fewshell mound site of the South Korean Bronze Age. As a result, fishing tools of the inland areamainly consist of small fishing net sinker. And few sell mound of Bronze Age are fou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Neolithic Age and Early Iron Age. The background related to these twophenomena results from change in occupation activity in the Bronze Age.It is considered that fishing image was changed by the variation in occupation activity becauseof the population growth and change in location, in other words, the transition to active agricul-ture. The transition from Food Collection system to Food Production system(agricultural society)made the change in fishing tools, and this raised the overall change in occupation activities andsociety.Therefore, In Bronze Age, actively agriculture as the main occupation, fishing was changed toauxiliary measures of agriculture to be a main occupation, different to Neolithic Age. In otherwords, the inland fishery to take river as a fishing ground near the agricultural land was popular. 본고는 청동기시대의 어로활동을 엿보기 위하여 어로구와 수 적게나마 발견되고 있는 패총유적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청동기시대의 어로구는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소형의 토제어망추가 주체를 이루고 있으며, 패총유적은 이 시대를 전후한 신석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에 비하여 패총의 발견예가 현저히 적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두 현상과 관련한 그 배경과 원인을 청동기시대의 생업활동의 변화 안에서 찾아보았다.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어로상의 변화는 인구증가와 유적의 입지조건 등의 변화에 동반하는 생업활동의 변천 곧, 농경의 본격화가 그 배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량획득 사회에서 식량생산 사회(농경사회)로 전환되면서 어로구 구성이 변화하였는데, 생업활동의 장인 어장의 전면적인 변화에 기인한 생업 및 사회 전반에 변화가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청동기시대의 어로는, 농경이 본격화되면서 어로를 생업의 주된 생계방법으로 이용해 오던 신석기시대와는 달리 농경의 보조적인 양상을 띠게 된 것으로 파악된다. 즉, 청동기시대에는 농경의 본격화로 인하여 경작지에서 가까운 크고 작은 하천을 어장으로 하는 내수면어로가 성행하게 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무문토기문화권에서의 청동기시대 시작과 끝

        천선행 호남고고학회 2022 湖南考古學報 Vol.71 No.-

        본고는 무문토기 연구성과를 되짚어 보며, 청동기시대 시간적 범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새로운 물질문화 출현이라는 익숙한 기준을 고대사의 활동무대인 중국 동북지역에까지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였다. 물질자료의 출현을 대신하여 청동기문화의 형성·발달·쇠퇴과정을 온전하게 설명할 수 있고, 그 과정이 문화변동의 중심에 선 고조선의 성립에서 멸망까지 아우를 수 있도록 청동기시대가 재조정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먼저 한반도는 더 이상 ‘청동기가 없는 청동기시대’가 아니고, 이른 시기의 청동기 출토 예가 증가하면서 청동기의 출현 시점이 빨라지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초기 청동기는 청동기시대 시작과 더불어 무문토기문화권 내 네트워크를 통해 유입되었고, 그 시점은 기원전 2000년~기원전 1500년경으로 지역마다 편차가 있다. 다음으로 초기철기시대 특징인 청동기(세형동검), 점토대토기, 철기의 출현시점이 지역마다 상이하여 기준으로 삼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특히 철기는 새로운 물질자료로 기술상의 획기가 될 수 있지만, 철기가 출현하여도 당시 기층문화인 세형동검문화와 문화변동의 주체였던 고조선이 지속된다. 따라서 청동기시대는 고조선이 멸망하는 기원전 2세기(기원전 100년경)까지로 이후 기원전 1세기경부터 세형동검문화를 대체하여 철기가 생활이기로 정착하고, 고화도소성, 회전판성형 등 새로운 제도기술이 도입되어 정형화되고 규격화된 토기의 대량생산체제가 서서히 갖추어지기 시작하며, 한반도를 비롯한 곳곳에서 고대국가의 기틀이 움튼다고 보았다

      • KCI등재

        북한 청동기시대 편년연구의 비판적 검토 : 대동강유역 주거지를 중심으로

        정동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5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5 No.-

        북한에서는 1950년대 말 이미 한반도에 청동기시대라는 개념을 적용시켰고, 1960년대를 거쳐 1970년대에는 세부적인 편년틀까지 제시했다. 그러나 1990년대 대동강문명론으로 객관성이 상실되었고, 이는 북한 청동기시대연구 퇴보와 이어졌 다. 남한에서도 최근까지 청동기시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북한 과의 지리적인 단절은 한반도라는 큰 틀에서의 청동기시대 연구에 큰 걸림돌이 되 고 있다. 북한의 자체적인 연구는 오래되고 검증이 부족해, 이를 적용시키기 위해서 는 북한 자료에 대한 검토가 선행돼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에 대한 초보적인 연구로 북한 청동기시대 편년연구 중에 주거지를 중 심으로 비판적인 검토를 진행했다. 지역적으로는 북한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의 44% 를 차지하는 대동강유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거지에 대한 속성은 크기ㆍ장 단비ㆍ장축방향ㆍ바닥다짐ㆍ화재흔적ㆍ출입구시설ㆍ작업대ㆍ노지ㆍ주공배치(내 부와 벽가)등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리고 속성 중에서 시간과 공간적인 의미를 가 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크기ㆍ장단비ㆍ바닥다짐ㆍ노지ㆍ주공배치(내부와 벽가)를 통해 각각의 주거지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고, 층서관계를 근거로 유적의 분기설정 을 통해 속성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유적 중에서는 명확한 층서관계를 가지고 있는 표대ㆍ남경ㆍ고연리유적을 중심으로 주거지의 특징과 변화양상을 파악하였 다. 이들 유적은 서로 근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유물을 통해서 볼 때 미송리형토기 ㆍ팽이형토기ㆍ변형팽이형토기가 비슷한 양상으로 변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유적들은 대동강유역 주거문화를 대표 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 세 유적 모두 보고서와는 조금씩 다른 분기를 설정할 수 있었고, 대동 강유적 주거지의 각 분기별 특징과 변화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변형팽이형토기 와 미송리형토기의 등장과 소멸은 이들 세 유적의 분기를 설정하는데 큰 기준으로 적용되었고, 각 유적들이 분기별로 서로 대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기 준으로 각 분기별로 세부적인 속성에 대한 몇 가지 공통적인 요소와 유적간의 차이 도 파악하였다. 주거지의 크기는 세 유적 모두 중형이 중심을 이루다가 표대유적 3 기, 남경유적 3기, 고연리유적 2기부터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장단비는 표대유 적의 경우에만 2기부터 장방형의 비율이 증가하며 세장방형도 등장하지만, 나머지 두 유적은 기본적으로 모두 장방형이다. 바닥다짐은 세 유적이 어느 정도 같은 양상 으로 변화하고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에 노지는 유적별로 차이가 뚜렷한 데, 대표적으로 고연리유적은 무시설식과 수혈식이 공존하다가 무시설식이 우위를 차지하지만 남경유적은 무시설식에서 위석식으로, 표대유적은 비교적 다양한 종류의 노지에서 수혈식으로 단일 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주공배치는 일정한 규칙성과 동시에 지역적 차이를 모두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세 유적 모두 내주공이 규칙적으 로 배열되는 변화양상을 보이지만 표대유적은 규칙적으로 주공을 파고 초석을 배치 한 반면에 고연리유적은 주춧돌을 외주공과 종ㆍ횡상 평행하게 배치하는 발전된 형 태를 보인다. In North Korea, the concept of Bronze age was applied in the late 1950s. Through the 1960s, details of chronology frame were suggested in the 1970s. However Bronze age research in North Korea was regressed because Taedong River civilization theory was lack of objectivity in the 1990s. South korea also have been studying Bronze age widely. But old and subjective North korea materials are lack. So if south Korea want to be able to accept the data presented in the North Korea, they have to examine them. Therefore this article investigates critically reexamination of the North Korea chronology study focusing on the dwelling. Regionally, analyse around Taedong river basin which accounts for 44% of North Korea dwelling sites. About properties of dwellings, analyse sizeㆍfineness ratioㆍground tampingㆍhearthㆍ entrance facilityㆍbankerㆍfire potㆍpillar arrangement. And through sizeㆍ fineness ratioㆍground tampingㆍhearthㆍpillar arrangement containing temporal and spatial meanings, apprehend characters about each dwellings. After that, study aspect of transition on each properties basing the authority of stratigraphic relationships. On dwelling sites, concentrating on PyodaeㆍNamgyungㆍGoyunri sites having clear stratigraphic relationships, study characters and aspect of transition of dwellings. That sites are located in the local area around the Taedong river and when analysing artifacts, not only Misongri-type pottery but also Top-type and transform Top-type pottery similarly had changed. They constantly interactions exchanged each other, so will be represent Taedong river basin bronze dwelling culture. The results suggest that all sites can be established different quarte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characters of each quarters and aspect of transition. The emergence and extinction of transform Top-type pottery and Misongri-type pottery is applied to important standards for setting quarters of the three sites. When viewed through it, assure that any quarter of each site is associated with any quarter of other sites. And by using this standards, study some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 of each sites about detailed properties involved each quarters. The size of three site dwellings tends to change medium size into variety size, since Pyodae site 3quarter, Namkyung 3quarter, Goyunri 2quarter. Fineness ratio is that only from Pyodae site 2quarter, the ratio of rectangle increase and thin-rectangle appear. But other 2 sites are basically all rectangle. Ground tamping also, three sites change into basically common tendency and tend to diversific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hearth, the difference is distinct. Typically Goyeonri site first had been non-facility and pit hearth together, after that non-facility hearth was more. But Namkyung site was changed non-facility hearth into upstanding stone hearth, Goyeonri site tended to unify over being changed variety type into pit hearth. Pillar arrangement shows certain regularity and Regional differences together. Basically, inner pillar of all three sites tend to change regular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Pyodae site dig pit regularly and arrange cornerstones. And Goyeonri site shows developed method that cornerstones was arranged vertical and horizontal parallel sha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Bronze age chronology study of North Korea reviews critically and presents some solutions about that. So I have done basically study on dwellings of Taedong river basin. I hope to continue this study to obtain finally goals that combine South Korea bronze age with North Korea bronze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