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蒼巖 李三晩의 書藝美學 고찰

        김도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2

        Changam, Lee Samman(1770~1845), who created his own handwriiting to be referred to as the three great writ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vented as the original 'Haengunyusu Typeface' and developed Calligraphy spirit of DonggugJinche in Honam province. He ultimately pursued the state of tonglyeong by raising the personality of 'writing is the person's personality' and the attitude of learning the old. Through the book chang-amseogyeol, he basically polished Haeseo of Han Dynasty and Wi Dynasty and emphasized that Haengseo and Choseo are done automatically when muscle strength and bone strength are established. And since calligraphy originated from ‘nature’, it goes through the stages of the old law through the ‘Beobcheongwijin’ spirit, which values nature's nature. After doing so, expressed the state of tonglyeong of '' mubeob-ibeob '', the stage of reaching. In addition, Changam showed the aesthetic that you can get the novelty by pursuing the philosophy of ‘Wu’ and the ‘beauty of Stupid and Lacking’ based on LaoTzu and ChuangTzu. 'True Wu', which Changam wants to say, is a philosophy of denial that denies everything that is prescribed, and 'Wu' of paradox. This is a philosophy that follows nature's logic to reveal nature's nature. And it is an aesthetic that protects his 'True Wu' without knowing and greedy. To realize this, expressed beauty of Stupid and Lacking logic that follows a philosophy that follows nature's logic that does not distinguish beauty from ugliness, goodness and evil. On the other hand, Changam promoted natural and vital beauty through force in the method of using the brush. He suggested the 'Push and Hard' of the Han dynasty, pushing it with force using this power properly. In particular, the feeling of an IlunMujeog brush in 『Changam Calligraphy-The cloud stays Poem』 overflows with the vitality and bizarre and strange dynamism of the spirit and typeface as eum-yang harmonize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beauty of Push and Hard containing polyeoghamse is misaligned, but it has achieved a natural aesthetic without invading. This work demonstrates the real look of Changam choseo. In addition, the beauty of Push and Hard containing polyeoghamse is misaligned, but it has achieved a natural aesthetic without invading. Changam proves the real look of “Haedong's best Chose Maestro”. 蒼巖 李三晩(1770~1845)은 조선 후기 3대 명필로 일컬어지며, '行雲流水體'라는 독자적 서체를 창안하고, 호남지방에 東國眞體의 서풍을 계승·창달시킨 大書伯이다. 그는 ‘書如其人’的 人品高와 師古法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通靈의 경지를 추구하였다. 저서『蒼巖書訣』를 통해 기본적으로 漢魏 해서를 숙련하여 근골이 확립되면 행서와 초서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書는 무릇 ‘자연’에서 비롯되었으니 자연본성을 귀하게 여기는 法天貴眞 정신을 통하여 有法의 단계, 나아가 그 이후에 도달하는 단계인 無法而法의 通靈의 경지를 발현하였다. 또한, 蒼巖은 老莊의‘愚’의 철학과 거기에 근간한‘拙樸美’를 추구하여 신묘함을 얻을 수 있다는 심미관을 드러내었다. 蒼巖이 말하고자 하는 ‘참된 우(眞愚)’는 규정화된 모든 것을 否定하는 否定의 철학이자, 逆說의‘愚’이다. 이는 자연천성을 드러나게 하는 順自然의 철학이자, 무지무욕의 상태에서 자신의 眞愚를 지키는 미학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美醜와 善惡을 不分한 順自然的인 愚拙美를 지면에 발현하였다. 한편, 蒼巖은 모든 필법에 力을 통하여 천연미와 생명미를 도모하였다. 이러한 力을 적절히 운용하여 힘 있게 밀고 나가는 漢代의 推展이라는 용필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蒼巖書停雲詩』에서 逸韻無跡한 필의는 陰陽對待가 유연하게 조화를 이루면서 神體飛動한 생명력과 奇怪的 역동감이 넘친다. 또한, 抱力含勢의 推展美가 違而不犯하여 得筆天然의 심미경지를 이루었으니, 蒼巖이 “海東第一 草書의 巨匠”이라는 진면목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

      • KCI등재

        蒼巖 李三晩의 學書 연마와 書藝論 고찰

        김도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조선 후기 3대 명필로 지칭될 만큼 독자적 서풍을 창안한 蒼巖 李三晩(1770~1845)은 ‘法古’를 중시하였는데, 漢魏代 서예를 근본으로 하고, 東國眞體를 완성한 圓嶠 李匡師를 마음의 스승으로 삼아 수련하였다. 만년에는 올바른 필법 전수를 위해 『蒼巖書訣』을 저술하여 보편적 서예의 기본원리와 자신의 서예관을 피력하였다. 蒼巖이 지향하는 서체는 楷書 筋骨의 확립을 통한 草書로 완결된다. 이를 위해 漢魏의 서체를 典範으로 제안하였는데, 穩厚簡遠한 漢 魏筋骨은 無爲自然的 無法의 경지를 보여준다. 이로 보아 蒼巖 서예론의 핵심이자 궁극적 지향점은 ‘自然’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법의 극치에 이르러 다시 無法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여기에서 陰陽이 생성되고 形·勢·氣가 부드러움을 도 모하면 奇怪함이 생겨난다고 보았던 것이다. 한편, 古法에 얽매이지 않고 愚拙한 自然天成을 발현하면 장법과 포치가 逸韻無跡한 得筆天然을 이룬다고 강조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그의 서체가 자연을 예술로 승화하면서, 조선 고유 의 서예미를 끊임없이 접목·시도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하여 근골이 풍부하고 생명력과 역동감이 넘치는 형세 를 이룬 逸韻無跡을 體化하였고, 得筆天然한 極工의 심미경지를 이루어 독창적인 '行雲流水體'로 구현하였고 마침내 호남지방에 東國眞體의 서풍과 서예정신을 더욱 창달시켰다. Changam, Lee Samman(1770~1845), who created his own handwriiting to be referred to as the three great writ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valued 'beobgo'. Based on the calligraphy of the Han-Wi era, Lee Kwangsa who completed DonggugJinche was regarded as the teacher of the heart. In his later years, he wrote 『ChangamSeogyeol』 to teach how to use the right brush, revealing the basic principles of universal calligraphy and his own calligraphy. The typeface of Changam is completed by choseo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aeseo geungol. For this, I valued Han-Wi's haeseo training, OnhuGanwon Han-Wi geungol shows a state without natural law. This shows that nature is the core and ultimate goal of Changam calligraphy theory. This is a return to the state of 'No law' at the height of the law, where eum-yang is created and bizarreness occurs when form, power and energy are promoted. On the other hand, he emphasized that jangbeob and pochi form IlunMujeog DeugpilCheonyeon when expressing naturalness as it is, without being bound by the old law. His typeface constantly tried to combine the beauty of Joseon's own calligraphy while sublimating nature into art. Thus, he acquired IlunMujeog, a body rich in geungol and full of vitality and dynamism. And DeugpilCheonyeon achieved aesthetics with the highest level of excellence, embodied as the original 'Haengunyusu Typeface', and further developed handwriiting and Calligraphy spirit of DonggugJinche in Honam province.

      • KCI등재

        조선후기 書論의 一局面 : 李 와 李三晩의 서론이 지닌 서예사적 의의 검토를 중심으로

        김남형(Kim Nam Hyung) 한국서예학회 2016 서예학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대표적 서예비평가의 書論을 검토하고 그 특성과 그것이 지닌 서예사적 의의를 검토하기 위하여 집필된 것이다. 본고의 텍스트는 조선후기의 서예비평서 가운데 비교적 온전한 내용과 체제를 갖춘 李 의 『筆訣』과 李三晩의 『蒼巖書訣』이다. 본고에서 논의된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에 이르러 체계적인 서예비평서가 출현하게 된 서예사 및 정신사적 배경은 통일신라시대 이래 중국의 특정 서풍을 무비판적으로 모방하였던 서예사적 질곡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조선이 유교전통문화의 진정한 계승자라는 문화적 자긍심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李 는 당대의 書風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書의 본질에 대해 깊이 사색하고 書의 성립 근원에서부터 창작의 실제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易理를 적용하여 해설하였다. 그러나 이서의 書論은 『주역』과 書를 구조적으로 일원화하여 ‘書法自然’을 표방하면서도 자연과 書 사이에 『주역』이라는 시공을 초월한 典範을 개재시킴으로써 또다른 서예사적 매너리즘을 초래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셋째, 이삼만은 ‘書는 자연에서 비롯되었다’라는 고전적 서예관에 충실하면서, 『주역』이라는 이념적 典範을 개재시키지 않고 ‘卽自然-法自然-象自然’으로 이어지는 일관된 논리를 제시하여 書와 자연과의 긴밀한 관련성을 환기하였다. 이러한 이삼만의 書論은 우리나라의 자연풍토와 민족의 삶에서 형서된 미의식을 서예로 구현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였고, 그 자신이 작품창작을 통해 이를 실천하였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on calligraphy of late Joseon Dynasty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The texts of this paper are Lee Seo's 『Pilkyeol』and Lee Samman's 『Chamamseokyeol 』wich have relatively complete contents and systems among critical books on calligra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Summary of the important inform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that the calligraphic historical and intellectual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systematic critical books on calligraphy in late Joseon Dynasty are critical awareness on the calligraphic historical fetter which uncritically imitated the certain Chinese ways of writing since Unified Silla and the cultural pride that Joseon is the true inheritor of Confucian culture. Second, Lee Seo deeply contemplated on the nature of writing on the bassis of the critical awareness of the way of writing of that time, and explained it by applying it constantly from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writing and the reality of creating. But the discussion on calligraphy of Lee Seo unified 『Juyeok』and writing structurally and claimed to support 'Seobeopjayeon'. And it contains the possibility of causing mannerism of calligraphic history by interposing 『Juyeok』, the role model which transcends the time and space between the nature and writing. Third, Lee Samman was faithful to the classic view of calligraphy that 'Writing is derived from nature', and did not interpose the conceptual role model, called『Juyeok』. And he suggested the consistent logic which leads to 'Jeukjayeon ilbeoojayeon ilsangjayeon' and called attention to the close relation between writing and nature. This discussion on calligraphy of Lee Samman secured the theoretical basis for realizing the aesthetic awareness formed from natural features and people's lives of our country with calligraphy, and practiced it through creating pie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