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학에서의 진화론적 접근: 의의 및 한계

        최성락,박경래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8 行政論叢 Vol.46 No.4

        최근 행정학계에서 새롭게 도입되는 자연과학 이론 중 하나는 진화론적 접근방법이다. 지난 3년 사이에 15편 내외의 진화론적 접근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간행되는 등 점차 행정학계에서도 진화론적 접근이 일반적인 접근방법 중 하나로 인식될 수있는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 행정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진화론적 접근방법은 그 내용이 모두 다르고 개념적으로도 서로 충돌한다. 진화론적 접근방법이 여타 접근방법과 어떻게 다르며, 진화론적 접근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공통적인 시각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진화론이 일반 변화 이론과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한국 행정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화론적 접근방법의 의의 및 한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진화는 변화와 차별되는 것으로서, 변화 중에서도 외적 요인과 내적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변화이며 우연적, 무계획적으로 이루어지는 변화이다. 진보성, 방향성, 계획성이 없는 변화가 진화이다. 이러한 진화론은 행정학에서 환경에 대응하는 내적 변화 동인, case by case적인 연구, 기계론 및 결정론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난 연구방법을 제시해준다. 그러나 현재 행정학에서의 진화론적 접근은 진화와 변화의 차이점, 진화와 진보의 차이점, 진화의 원인 등과 관련된 논의, 진화와 방향성 여부 등에 대하여 연구자들 사이에 전체적인 합의가 형성되지 못하고 개념상 혼란이 존재한다. 진화론적 접근방법이 행정학적 접근법의 하나로 인정을 받고 정립되기 위해서는 진화론적 접근방법이 무엇인가 하는 정체성을 확실히 하고, 그러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통일적인 연구 방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evolutionary approach is a natural science theory recently introduced to public administration. Some 15 papers adopting the evolutionary approach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past three years, showing the growing potential of the evolutionary approach as a general methodology in public administration. However, each evolutionary approach considered among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circles varies from the others, and they conceptually contradict one another. There is no common understanding of how the evolutionary approach differs from other approaches, or of what the evolutionary approach is. Thus, this paper has review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volutionary approach and other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evolutionary approach adopted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circles. Evolution is different from simple change. It is change wher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teract. It is irregular and unplanned change. Evolution is change that does not advance, is not directive, and does not have a planned intent. In public administration, such evolution suggests internal causes of change in coping with the environment, case-by-case study, and a methodology that transcends any mechanistic or deterministic paradigm. However, viewing the recent evolutionary approach in public administration, there is no consensus among researchers over the difference between evolution and change, between evolution and progress, over the cause of evolution, and whether evolution is directive, resulting in conceptual confusion. The evolutionary approach should first establish an identity and then set up a uniform methodology of research based on such an identity so that it may be recognized as a public administration approach.

      • KCI등재

        사회과학의 진화론 수용 비판

        조원광(Jo, Wonkoang)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97

        여러 사회과학의 주요한 입장들은 경쟁이 효율을 낳는다는 명제를 의심할 필요 없는 공리로 여긴다. 이런 일이 가능한 것은 생존경쟁과 자연선택을 통해 종의 효율화와 혁신이 일어난다고 설명하는, 진화론이라는 ‘과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사회과학은 진화론을 수용함으로써 경쟁이 효율로 이어진다는 명제에 ‘객관적 근거’를 확보하게 된다. 하지만 사회과학이 이런 방식으로 진화론을 활용하는 것은 진화론의 여러 다양한 입론에 비추어보았을 때, 일면적이고 편파적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화론은 생존경쟁과 자연선택이 효율과 혁신을 만들어낸다는 명제를 보장하지 않는다. 굴드가 잘 지적하듯, 최적화를 규정하는 환경 자체가 무작위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살아남은 개체나 특질은 때때로 부산물에 지나지 않게 된다. 재벌의 사례는 이에 대한 좋은 예다. 재벌이 한국적 환경에 적응한 진화된 효율적이며 적합한 존재라고 보는 ‘진화론적 재벌론’의 설명과 달리, 재벌의 성립과 성장은 효율과 무관했고, 환경변화에서 적합한 적응을 하지도 못했다. 둘째, 진화론의 여러 입장은 경쟁에 따른 자연선택 이외에도 혁신과 효율에 이르는 다양한 길을 제시하고 있다. 공생진화가 대표적이다. 공생진화는 예외적인 양상이 아니라, 진핵 세포의 등장에서부터 식물의 등장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관찰되는 진화의 방식이다. 경쟁과 분쟁에만 초점을 맞추는 프레임 탓에 제대로 보지 못할 뿐, 사회에서도 공생진화의 수많은 사례가 존재한다. 생존경쟁을 통한 진화만을 특권화 할 이유가 없다는 말이다. 셋째, 현행과 같은 방식으로 진화론을 사회과학에 도입하는 것은 선택적 수용이다. 진화론의 다양한 입장을 무시한 채, 적응주의나 경쟁을 통한 자연선택만을 도입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일종의 순환보충이다. 애초에 사회과학에 존재하던 개념들이 진화론이라는 ‘과학’의 이름을 붙인 채 다시 사회과학으로 돌아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파적이고 왜곡된 수용을 극복하고 좀 더 풍요로운 방식으로 진화론과 사회과학의 만남을 모색할 때다. Many social science theories consider the proposition which maintains competition leads to efficiency as an axiom. It is possible in virtue of a science called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explains efficiency and innovation of species are made by competition and natural selection. That is, social science theories can secure objective basis for the proposition that competition leads to efficiency by adopting the theory of evolution. But this way of applying the theory of evolution to social science theories is biased and partial, considering various positions of the theory of evolut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theory of evolution does not guarantee that competition and natural selection make efficiency and innovation. As Gould pointed it out, evolution of gradual efficiency is impossible because of a random change of environment. Sometimes, existing individual and property are just a byproduct. Many chaebols are good examples of Gould"s theory. Unlike the "evolutionary chaebol theory", the formation and growth of chaebols had nothing to do with efficiency. And chaebols didn"t adapt to environment appropriately facing environment changes. Second, various positions in the theory of evolution suggested many ways to innovation and efficiency in addition to natural selection through competition. Symbiosis is one of them. Symbiotic evolution is not an exceptional but a widely observed phenomenon which includes from appearance of eukaryotic cell to evolution of plants. Even though we cannot see symbiosis in society because of our frame biased to competition and struggle, it has existed. That is,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through competition is not the only and privileged way. Third, an existing way of adopting the theory of evolution to social science is selective acceptance because only particular position, like adaptationism, is introduced and other important positions are ignored. In addition, this is a circular supplement of competition theory. A proposition which connects competition and efficiency/innovation existed in social sciences before Darwin. If so, the proposition about competition ended up coming back to social science with the name of science called the theory of evolution. This is the moment to overcome biased and partial adoption of the theory of evolution and find a more productive way to connect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ocial science.

      • KCI등재

        진화론의 3가지 유형과 진화현상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

        이명곤(Lee, Myung-Gon)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진화론’은 현대에 있어서 대다수의 학자들과 일부 종교계에서도 인정하는 하나의 학설이다. 현대에 있어 진화현상을 전체적으로 해석하고 있는 진화론은 다양한데 그중 크게 3부류로 분류하면 ‘일반진화론’ ‘유전자 진화론’ ‘창조적 진화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윈 등에 의해 출발한 ‘일반진화론’의 핵심은 생명은 애초에 하나의 종으로부터 자연선택에 의해 다양한 종으로 분화되는데, 새롭게 획득한 후천적인 형질이 후세에 유전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론은 하나의 종의 내부에서는 설득력 있는 해명이지만 근본적으로 차원이 다른 종들 가령 ‘동물에서 사유하는 인간에로’의 분화에 대해서 납득할 만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유전공학의 발달로 DNA라는 생명의 기본단위를 발견한 현대의 과학자들은 ‘유전자 진화론’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전자 진화론은 모든 진화의 과정은 ‘DNA’가 자기생존을 위해서 고안한 ‘겉옷’에 지나지 않으며, 진화의 근본원인은 개체로서의 DNA가 ‘보다 잘 생존하기’라는 한 가지 이기적인 목적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명은 인간과 같은 고등동물이 ‘박테리아’ 같은 미세 생명체보다도 생존하기에 더 유리한가 하는 질문에 대해서 충분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윤리도덕적인 삶과 자기희생적인 헌신적인 삶의 형식에 대해서 납득할 만한 해명들 주지 못하고 있다. 일반진화론과 유전자 진화론이 가진 공통적인 문제점은 ‘인간은 왜 존재하는가?’ ‘인간은 어디로 가는가?’하는 인간의 존재의미나 미래의 지향성에 대해서 아무런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들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창조적 진화론’인데, 베르그송, 떼이야르드 샤르뎅 등에 의해 주장된 이러한 이론은 진화의 전 과정에 보이지 않는 의식 혹은 정신적인 힘이 작용하고 있다고 가정하며, 진화의 목적은 의식을 탄생시키고자하는 것이며, 진화현상을 질료적 장벽에 대한 정신의 승리라고 고찰하고 있다. 베르그송은 진화의 근본적인 원동력을 ‘생의 도약’이라고 보았고 그 과정은 자유로운 선택을 통한 ‘새로운 생명형식의 창조’라고 보았다. 반면 떼이야르 드 샤르뎅은 진화의 궁극적인 도착점인 ‘오메가 지점’을 예견하였는데, 이러한 창조적 진화론자들의 사유는 그들이 가정하는 진화의 원리들 자체가 관찰이나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과학적 지식이 아닌 형이상학적인 지식 혹은 가설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형이상학적인 지평에서만이 생명현상 특히 인간의 생명현상에 대해서 충분히 납득할 만한 이론을 제시해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창조적 진화론’ 역시 ‘생의 도약’의 기원에 대한 문제, ‘오메가 포인터’의 존재근거 등 여전히 많은 의문점들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화론이 보다 완전한 학설이 되기 위해서는 철학적, 형이상학적 나아가 종교적 지평에서의 보다 심오한 탐구가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

        논문 :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의 두 흐름-

        김제란 ( Je Ra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2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이라는 두 흐름을 한·중·일 각국의 근대불교 사상가들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본 근대불교는 서구 기독교에 상대하여 적극적으로 진화론과 불교를 융합하였다. 이노우에 엔료와 키오자와 만시는 진화론과 불교 교리를 연관시켜 진화론적 불교, 또는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였다. 단지 이노우에 엔료의 불교적 진화론은 진화·퇴화를 모두 수용하는 우주적 진화론으로서, 그를 근거로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의 확립을 위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키오자와 만시는 사회진화론을 적극 비판하고 정신주의적 불교 진화론을 제기하고, 개인의 자유·자치·평등을 주장한 자유민권 사상과 함께 하였다. 중국근대불교에서 사회진화론을 수용한 대표적인 인물인 양계초는 사회진화론 수용을 서구 제국주의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이 자립적 국가로서 자유와 주권을 획득하여야 하고 그를 위해 힘을 키워야 한다는 강권론과 연결시켰다. 진화론과 불교의 일치성을 전제로 그 둘을 결합하였고, 진화나 진보를 국가와 개인의 관계로 설명하면서 유식 불교의 종자설을 활용하였다. 이에 반해 장태염은 당시 대세로 받아들여졌던 사회진화론을 불교적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그는 사회진화론을 따르는 이들을 `진화교`라고 비판하고, 유식불교의 아라야식연기에 근거를 둔 `구분진화론`, 선악병진론을 제기하였다. 한국 근대불교의 한용운에게는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비판이라는 두 측면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그는 사회진화론을 현실적 이데올로기로서 긍정하면서 현실 인식과 불교계의 계몽을 위해 활용하는 한편, 양계초식의 강권주의적 사회진화론을 극복하고 불교 본연의 평등주의와 구세주의에서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근대시기 한국·중국·일본의 사회진화론 수용은 일본의 이노우에 엔료→ 중국의 양계초→ 한국의 한용운으로 이어졌고, 사회진화론의 비판과 극복은 일본의 키오자와 만시, 중국의 장태염, 한국의 한용운이 불교의 근원적인 평등성이라는 측면에서 동일한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wo stream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in East-Asian Buddhism. Buddhism in Modern Japan combined Evolution and Buddhism against Western Christianity. Inoue Enry(井上圓了) and Kiozawa Mansi(淸澤滿之) equally accepted Evolution, but the methods or aims were in striking contrast to each other. Both of them brought up Evolutionary Buddhism, or Buddhistic Evolution in relation to Buddhism. Inoue Enry proposed the universial-Buddhistic Evolution through a compromise between Western Linear Evolution and Eastern Circulating System. On the other hand, Kiozawa completely aceepted Evolution into his Buddhistic Evolution theory. He didn`t lose the Buddhistic sense of values respecting `an individual` than `a Nation`. He criticised Western Evolution and raised `the Mental Evolution`. Representative Buddhist in Modern China was Liang Chi-Zhao(梁啓超). He connected the acceptance of social evolution with authoritarianism to gain freedom and national sovereignty for China. He united Buddhism and Evolu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y correspond with each other. Also he made the best use of `the theory of seeds`(種子說) of Only-Consciousness Buddhism to explain the relation of `individual` and `Nation`. On the other hand, Zhang Taiyan (章太炎) criticis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severely from Buddhist standpoint, saying that we should survive in struggle for power. He proposed the theory of dual development going forward with good and evil called `the theory of dual evolution`(俱分進化論). Han Yong-un(韓龍雲) of Buddhism in Modern Korea had two side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He answered in the affirmative for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s the real ideology. On the other hand, he sought the answer in egalitarianism and the idea of mercy of Buddhism. Consequently,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 modern Japan, China and Korea camed on in Inoue Enry of Japan and Liang Chi-Zhao of China and Han Yong-un of Korea. The criticism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continued through Kiozawa Mansi of Japan, Zhang Taiyan of China and Han Yong-un of Korea on the bases of the egalitarianism of Buddhism.

      • KCI등재

        일본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두 시각 - 이노우에 엔료와 키오자와 만시 -

        김제란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5 No.-

        이 글에서는 일본 근대불교가 사회진화론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졌는가를 일본 근대불교의 대표적 사상가인 이노우에 엔료(井上圓了, 1816-1897)와 키오자와 만시(淸澤滿之, 1863-1903)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노우에 엔료와 키오자와 만시는 똑같이 진화론을 수용하면서도 활용 방법이나 지향점이 대조적이었다. 둘 다 진화론과 불교 교리를 연관시켜 진화론적 불교, 또는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였다. 이노우에 엔료는 서양의 직선적인 진화론과 불교의 순환론을 절충하여 우주적·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호국애리(護國愛理)’의 슬로건을 내걸고 그 불교적 진화론을 활용하여 명치의 국가주의를 지지하였다. 반면에 키오자와 만시는 진화론을 불교 인과론 에 완전히 포함하여 받아들였다. 그는 국가보다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불교 본래의 가치관을 최후까지 잃지 않았으며, 물질 문명의 화를 말하는 서구 진화론을 비판하고 정신적 진화를 말하였다. 불교 무아설과 공공주의의 자비 선양에 근거하여 사회진화론의 약육강식적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즉 이노우에 엔료는 사회진화론을 적극 수용하여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고, 그를 근거로 자유민권사상을 부정하고 국가 이데올로기의 확립을 위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키오자와 만시는 사회진화론을 적극 비판하는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고, 자유민권사상을 지지하여 국가 이데올로기를 불교적 장에서 비판하였다. 이렇게 볼 때 두 사람의 사상은 동아시아 사회에서 사회진화론에 일본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두 시각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상이한 두 가지 시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그들 이후의 일본불교는 이노우에 엔료가 지향한 국가주의 지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attitude of Buddhism in modern Japan toward Social Evolution through Inoue Enry and Kiozawa Mansi. They are the representatives of Buddhists in modern Japan. Inoue Enry and Kiozawa Mansi equally accepted Evolution, but the methods or aims were in striking contrast each other. Both of them brought up Evolutionary Buddhism, or Buddhistic Evolution in relation to Buddhism. Inoue Enry proposed the universial- Buddhistic Evolution through a compromise between Western Linear Evolution and Eastern Circulating System. He supported the national ideology of the meiji period using Buddhistic Evolution under the slogan of ‘Protecting nation and love for principles. On the other hand, Kiozawa aceepted Evolution into his Buddhistic Evolution theory completely. He didn't lose the uddhistic sense of values respecting 'an individual' than 'a Nation'. He criticised Western Evolution and raised 'the Mental Evolution'. And he passed judgment on 'the survival of the fittest' of Social Evolution based on 'the theory of non-ego’ of Buddhism and ‘Sympathy for those who suffer’ of 'the theory of the public society'. In the end, Inoue Enry accepted Social Evolution through Buddhistic Evolution actively, and denied ‘the ideas of people's freedom and rights’, and offered the thought- base for National Ideology. Kiozawa proposed Buddhistic Evolution criticising Social Evolution, and give his approval to ‘the ideas of people's freedom and rights’, and criticised National Ideology founded on Buddhism. So their thoughts represents two views on the social evolution in Eastern Asia. But inspite of their differencies, Japanese Buddhism added Buddhistic Evolution theory which have helped it go forward enforcing National Ideology.

      • KCI등재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진화론의 함의

        김성한(Kim Sung-han)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8 No.-

        19세기의 사회진화론자들이 파악한 진화론은 현대 진화론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들 중 일부는 진화를 목적론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진화 과정을 선(善)과 동일시하기도 하였다. 그들은 이처럼 자신들이 나름대로 파악한 진화의 특징을 도덕적 지침으로 삼으려 했는데, 이는 철학적으로 보았을 때 미숙한 태도였다. 나아가 사회진화론은 동물에 대한 인간의 차별은 말할 것도 없고, 인종이나 성 차별 등까지도 옹호하는 듯했는데, 이로인한 폐해는 적지 않았다. 현대의 진화론자들은 더 이상 과거의 사회진화론자들이 범한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는다. 언뜻 보기에 오늘날의 진화론은 인간 아닌 동물과 인간의 격차를 줄임으로써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하는 바가 있는 듯하다. 하지만 동물들과 관련한 새로운 진화론적 사실들 자체가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보장해 줄 수는 없다. 물론 그러한 사실들이 동물과 인간의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러한 사실들은 가치와는 구분되며, 우리가 특정한 도덕 이론을 받아들여야만 비로소 도덕 판단을 내리는 데에서 중요한 정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진화론 자체가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시사하는 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다. 만약 진화론적 사실이 도덕의 배경을 이룰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 그리고 진화론과 도덕의 관계가 논리적인 연역관계가 아니라 단지 전자가 후자를 지지하거나 전자가 후자의 근거를 무너뜨리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 우리는 진화론이 도덕에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이러한 도덕을 통해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Social Darwinist of 19th century adopted was quite different from modern theory of evolution. Some of them considered evolution as teleological and identified evolution with the good. Philosophically their attitude were immature. But it was not the end. They also showed affirmative attitude toward every kind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the one toward animals. The evolutionists of today do not repeat the error of Social Darwinist of the past. At first glance, it seems that modern theory of evolution can contribute something to improv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But the new evolutionary fact concerning animals itself cannot ensur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Of cour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evolutionary facts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gap between non-human animals and man. But those facts are different from value, and they can play a role in making a moral judgment after we accept a certain moral theory. But it is too hasty to think that the evolution itself have no suggestion to the status of animals. If we can think evolutionary fact can give moral support, and if we can think the relation between evolution and morality is not logical deduction but only the former can support or undermine the latter, we might say the evolution has some implication to morality, and by that morality, we can ensur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 KCI등재

        워필드는 유신진화론을 주장하였는가?

        박찬호(Chan Ho Park)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벤자민 워필드는 찰스 핫지와 함께 구프린스턴을 대표하는 신학자이다. 그는 성경의 무오성을 믿으면서도 유신진화론을 수용한 사람으로 인구에 회자되곤 하였다. 이는 그의 저술들을 살펴보면 자연스럽게 도달하는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당시의 진화론에 대해 상당 부분 개방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대적 의미에서 유신진화론에서 주장하는 주장들에 대해 워필드가 과연 찬성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답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워필드는 유신진화론에 어느 정도 여지를 둔 것은 사실이지만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유신진화론을 주장하였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워필드가 유신진화론을 지지하였다는 주장은 그런 면에서 보면 다소 부주의한 주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시대의 유신진화론의 가장 중요한 주장 가운데 한 가지는 아담의 역사성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과연 워필드가 유신진화론을 주장하였는가 하는 문제도 이 문제와 관련하여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많은 부분 진화론에 대해 여지를 남겨두는 것 같은 워필드이지만 이담의 역사성과 관련하여 유신진화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지는 않음이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복음주의 신학이 유신진화론을 수용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이유도 마찬가지다. 그런 의미에서 아담의 역사성은 유신진화론의 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워필드는 이 부분과 관련하여 분명하게 복음주의신학의 입장에 서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Benjamin B. Warfield, along with Charles Hodge, is a theologian representing Old Princeton theology. He used to be talked about by the population as a person who believed in the inerrancy of the Bible and accepted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ism. This can be said to be a natural conclusion when looking at his writings. This is because it is true that he is very open to the theory of evolution at the time. However, in the modern sense, we cannot help but give a negative answer as to whether Warfield really agreed with the arguments asserted in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ism. If so, it is true that Warfield left some room for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ism, but it would be difficult to say that he insisted on theistic evolutionism in a modern sense. In that respect, the claim that Warfield supported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ism can be said to be a careless claim. One of the most important arguments of theistic evolutionism in this era can be said to deny Adam’s historicity. The question whether Warfield insisted on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ism should also be examined in relation to this issue. Warfield seems to leave room for much of evolutionism,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clear that he did not take the position of theistic evolutionism with respect to this historicity of Adam. The same is tru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evangelical theology cannot accept theistic evolutionism. In this sense, Adam’s historicity can be said to be the difficulty in theistic evolutionism. Warfield confirms that he is clearly in the position of evangelical theology in this regard.

      • KCI등재후보

        사회진화론의 동아시아 수용에 관한 연구

        우남숙(Woo Nam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근대 한국·중국·일본 삼국의 사회진화론 수용 양식의 비교 연구를 위한 선결과제인 역사적 수용과 이론적 원형을 각기 비교해보는 것이다. 사회진화론은 사회의 장기적 변화를 진화 혹은 진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의 총칭으로, 초기 사회진화론으로써 스펜서의 개인주의적 사회진화론과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을 사회에 적용한 사회다위니즘이 대표적 이론이다. 다윈 역시 진화적 생물학에만 집착하지 않고『인간의 계보』를 통해 생물학의 범위를 넘어 자연선택이론을 사회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본격화하여 사회진화론을 전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사회진화론의 수용 시기는 서구열강과 동양 삼국의 만남의 시기이기도 한 19세기 후반으로, 비서양 후발사회인 삼국은 서구로부터의 무력정복·불평등조약·영토분할·정치적 압박·경제적 침략이 강제된 냉혹한 역사에 대응하기 위한 근대화 과정의 하나로, 서양사상과 제도를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진화론은 당시 각국이 지향하고 있던 정치사회적 목표인 부국강병에 의한 근대화와 자주독립을 동시에 달성가능하게 하는 최신 사회과학 이론으로 인식되어 크게 공명된 사상이었다. 수용이 1870년대 일본을 선두로 자발적인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졌던 이유는 서구와 같은 오랜 기독교적 신학의 전통이 결여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최신 생물학을 기반으로 한 최신의 사회과학이론을 제공한 스펜서와 다윈의 이론에 삼국의 사상가들은 큰 지적 매력을 느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독일학의 개척자인 加藤弘之가 선두주자로, 이외의 메이지 지식인들도 자신들의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입장과 관계없이 사회진화론의 큰 영향하에 있었다. 중국의 경우 역시 1880년대 이미 스펜서의 저서가 번역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전파는 청일전쟁의 패배 이후인 1890년대로, 영국 유학생 출신이며 교육자와 져널리스트로 평생을 견지한 嚴復과 실천적 변법운동가이자 14년의 일본 망명을 통해 폭 넓은 서양사상을 흡수한 후발주자 梁啓超가 중심이다. 한국의 경우는 일본 및 미국 유학생 출신의 1880년대 유길준이 최초 수용자이며, 본격적인 전파는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해 가는 과정에서의 사상적 대응 운동이라 할 수 있는 1890년대 후반의「자강」·「독립」사상의 선두주자였던 박은식 장지연 신채호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삼국의 사상가들 다윈의 생존경쟁과 적자생존에 의한 진화의 법칙, 스펜서의 인간의 지덕체의 성쇠에 의한 사회진화에 관한 해석, ‘약육강식’과 ‘우승열패’의 생존경쟁 법칙을 새로운 국제질서 인식의 틀로 받아들여, 중화문명에 대한 압도적인 자신감인 화이우열론을 토대로 하여 서양사회의 부강의 원인을 기술문명에 한정하는, 일본의「和魂洋財」론 중국의「中體西用」론 한국의「동도서기」론을 파산시키고 각국의 독자적인 사회진화론 수용 양식을 전개하게 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mpare historical acceptance and original typ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of Korea·China·Japan in modern century. Social Darwinism, a term that explains longterm changes of society in the view of evolution or advance, is a representative theory of social evolutionism, as a initial social Darwinism, in which Individual social evolutionism of Spencer and Biological Evolution of Darwin are applied to the society. Three countries accepted from Japan in 1870’s with easy and spontaneously, despite their lack of traditionally old christian theology, Original type of social Darwinism of three countries was greatly influenced by Darwin and Spencer and the concern of thinkers was not Biological Evolution, but social Darwinism from the beginning. In case of Japan, a front-runner, Katohiroyuki(加藤弘之), a pioneer of German study, and other Meizi intellectuals was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Darwinism irrespective of their political, social and religious stand. In case of China, a book of Spencer was already translated in 1880s. Full scale of propagation was on 1890s following defeat at China-Japan war and was centered by Yenfu(嚴復), a British studied educator and journalist and a next-runner Liangizao(梁啓超), an activist who assimilated a broad western ideology through 14 years-exile in Japan. In case of Korea, Kil-Jun Yu, a Japan and America studied, is the first in 1880s and full scale of propagation was centered by Eun-Sik Park, Ji-Yeon Jang, and Che-Ho Shin, front-runners of ‘Self Strength’ · ‘Independence’ ideology in later of 1890s, which was a defensive ideological movement during a fall into Japanese colony They accepted interpretation of natural selection by ‘struggle for existence’ and ‘survival of the fittest evolution of Darwin and social evolution by huma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of Spencer.

      • KCI등재

        초기 근대소설과 진화론 현상윤, 양건식, 염상섭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만영 ( Lee Manyo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2

        본 논문은 1910년대에서 1920년대 초반까지의 텍스트를 대상으로 초기 근대소설과 진화론의 상관관계를 해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본 논문은 초기 근대소설의 정착 과정에 있어서 주요하게 다뤄져왔던 현상윤·양건식·염상섭을 대상 작가로 설정하여, 이들의 작품이 진화론과 연동/결절되는 지점을 발견하고, 이들이 제출했던 (반)진화론의 이론적 자원이 무엇인지를 고찰할 것이다. 먼저, 현상윤은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의 원칙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자강(自强)의 기획`만이 식민지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인식했다. 그는 망국의 원인을 제국 일본이라는 타자가 아니라 민족 내부에서 찾고자 했고, 이러한 망국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 식민지 조선이 실력을 양성하여 강자로 도약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와 같이 현상윤이 제시한 자강론은 강자로의 도약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다분히 진화론적인 성격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양건식은 진화론으로 운용되는 세계의 비윤리성을 고발하면서, 진화론적 사유의 극복방안으로 `동정`을 제시하였다. 그가 제시한 `동정`은 식민지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개체화되고 단자화 되어버린 민족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 제출되었다. 이 개념은, 국가라는 최종 심급이 사라졌을지라도 민족 내부에서만큼은 연대의 공동체를 축조해야 한다는 절박감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양건식의 관점은 진화론에 대한 비판적 의식에서 출발한 것이지만, 그가 제시한 동정 개념은 지나치게 즉자적이고 관념적이라는 점에서 식민지 현실을 타개할 만한 정치적 효력을 갖지는 못한다. 마지막으로 염상섭은 3·1운동 이전, 즉 1910년대 조선의 상황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을 요한다. 그는 `동정`이 오히려 약자를 자립하지 못하게 만드는 근본적 원인이라고 지적하면서, 진화론적 사유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자각, 개성, 생명 등의 개념을 제시한다. 이 개념들은 “너를 스스로 구하여라! 너의 길을 스스로 개척하여라!”라는 테제와 연결되는 바, 염상섭은 이를 통해 3·1운동이 가진 혁명적 역능을 강조하고자 했다. 그런 의미에서 이 개념들은 제국의 논리를 변호하는 데 활용되었던 진화론을 넘어서기 위해 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염상섭의 관점은 약자가 가진 저항과 혁명의 에너지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자강의 원리를 강조하는 현상윤의 진화론적 관점과도, 동정의 원리를 강조하는 양건식의 반진화론적 관점과도 거리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tangling process of the early modern novels and evolutionary theory based on texts written from the 1910s until the early 1920s. The subjects explored are the texts created by HYEON Sang-yun, YANG Geon-sik and YEOM Sang-seop to review how their works associate/collide with the evolutionism and to con-template what they submitted as their theoretical resources for (or against) evolutionism. HYEON, first of all, fully accepted the jungle law and the survival of the fittest, while he con-sidered “project for strenuous efforts” as the only way to resolving colonial issues. He was seeking for the reasons behind the national collapse not from the other, or Japan, but from the inside; and insisted that the colonial Joseon should temper its own competence to emerge as a strong nation. In this regard, the theory of national strenuous efforts set forth by HYEON can be seen as an extremely evolutionary alternative. YANG, on the other hand, criticized immorality of the world that operates on an evolutionary basis, and suggested “compassion” as a way to overcoming the evolutionary thinking. The “compassion” was sug-gested by YANG in order to reinforce the national bond to collect individuals, rather than to overcome the reality under colonialism. The concept reflects desperation in which the people must build community of compassion and solidarity albeit without an ultimate in-stance of a nation. YANG`s stance derived from his criticism against the evolutionism, but failed to have political influence enough to break through the colonial reality in a sense that it was too unattached and ideological. Finally, YEOM, unlike YANG, pointed to “compassion” as a fundamental reason that would prevent the weak from rising on their own feet, and suggested the evolutionary thoughts as means to awakening, personality, life, and the like. As these concepts are associated with the these of “Save yourself! Pioneer your own way!” from Before the Cries of Manse, YEOM tried to put emphasis on revolutionary power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YEOM`s awakening was sub-mitted to overcome the evolutionary theory that had been used to side with the imperialist logic. What YEOM conceptualized underlines the resistance and revolutionary power of the weak, and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strenuous efforts of HYEON`s evolutionary stand-point, and also from the compassion of YANG`s anti-evolutionary one.

      • KCI등재

        자연주의 경향의 염상섭 소설과 진화론적 상상력 -『만세전』을 중심으로

        오윤호 ( Youn Ho Oh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4

        본고는 한국 근대소설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서구 진화론이 어떠한 양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특히 염상섭의 『만세전』 속에 나타난 진화론적 상상력에 주목하여 염상섭이 갖고 있는 진화론적 시각이 비유적인 언어와 경성에 대한 묘사, 개성에 대한 인식으로 드러나는 양상을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한국근대소설 형성과 과학담론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는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만세전』에 나타난 진화론적 상상력은 세 가지 정도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주인공인 인화는 근대화된 문명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반-사회진화론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가 근대인을 ‘이기적 동물’로 비유하는 내용에서는 인간이 곧 동물이라는 생물학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데, 문화적으로 진화한 근대인이라 하더라도 막연한 동경의 대상이 되거나, 긍정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반-계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단지 일본인을 대할 때뿐만 아니라, 식민지 조선인을 대할 때에도 반복되어 나타난다. 두 번째로 인화는 식민지 조선을 ‘구더기가 들끓는 무덤’으로 인식하고 있다. ‘무덤 속에서도 진화론적 조건이 작동하고 있다’라는 인화의 발화를 통해 그의 세계관 속에 내면화되어 있는 진화론적인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 대한 비유적 표현이며, 비참한 현실을 경험하면서도 뜯어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 전근대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조선 민족의 현실을 질타하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인화는 ‘자기 스스로 구하라’라고 말하면서, 가족, 경성, 민족, 국가, 제국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낭만주의적 의지’ 혹은 ‘이기적인 욕망’을 드러낸다. 사회진화론을 옹호했던 개화기나 식민지 시기의 지식인들이 보기에는 인화의 ‘자립’적 태도는 반민족적·반국가적 태도와 다름없는 것으로, 이 장면에서 인화가 가지고 있는 제국의 식민지 지배 시스템에 대한 거부 의식을 잘 확인할 수 있다. 『만세전』은 염상섭의 자연주의 경향의 세계 인식을 가장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소설이다. 『만세전』이 식민지 현실을 생물학적 생태로 파악하며, 진화론적인 인식을 통해 당대를 풍미했던 왜곡된 사회진화론적인 담론을 비판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소설적 의의는 크다. 본고는 인화의 민족주의적 자각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와 함께 내재되어 있는 진화론적인 상상력이 한국 근대 소설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히려고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e perspective from Darwinian criticism on the experience of modern colonialism and Naturalistic novels. “Mansejeon(萬 歲前),” written by Yeom Sang-seop, represents the ideology and activity of colonists, or individuals who should adapt to a colonial culture by their choice. The evolutionary imagination described in “Mansejeon”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aspects. First, In-hwa, a main character, has a perspective against Social Darwinism on people living in a modernized civilization. When he depicts a modern man as a “selfish animal,” his evolutionary recognition can be found, which implies a statement saying a human being is an animal. That is to say, In-hwa shows his position against Social Darwinism in the way that a culturally developed modern man is not an object of admiration or an object with a positive value. Second, In-hwa recognized the colonized Joseon as “a tomb infested with maggots.” From his remark saying “even in the tomb, the condition of evolutionary theory is still activated,” it can be found that his outlook on the world is embedded with the evolutionary perception. His mention is not only a metaphor for the reality of his colonized nation, but also a criticism on the reality of people in Joseon who have a premodern way of thinking and are not willing to overcome the disastrous situation while suffering from it. Finally, while In-hwa says “deliver yourself,” he reveals his romantic willingness or selfish desire to be free from family, Gyeongseong, nationality, nation, and empire. From the view of intellectuals in the enlightenment or colonial era, In-hwa`s independent attitude means anti-national or anarchistic attitude, and it can be clearly identified his repulsion toward the colonial system of Japanese empire. “Mansejeon” is the first novel that shows the author`s realistic perspective on the world. The novel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 because Yeom writes the story with a critical view on a distorted Social Darwinism which was so popular at that period while he understands the reality of colonized nation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f course, In-hwa`s nationalistic awakening is important, but the evolutionary imagination underneath it has a great impact on modern Korean realistic novels, so I truly believe that this study proposes a new critical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