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지 문화재에 관한 관광 유형인 비이용가치와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지훈(Ji-Hun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에게 직지가 관광문화재로써 활성화할 수 있는 문화 마케팅 및 문화정책적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직지 문화재를 지역특성에 맞춘 관광적 요소에 직지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매력성을 혼합시킬 수 있는 관광 상품들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관광객들에게 지역 주민들이 관광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지역안내, 가격, 서비스 등에 있어 시, 군별로 교육과 홍보 등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둘째,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타 문화재 관광과 차별적인 요소꺼리를 만들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여야 하고, 직지 문화재의 존재가치를 높일 수 있는 인쇄의 기술 및 당시의 생활상 등이 타국에 비해 어떤 점에서 차별성이 존재하는지를 강조함으로써 직지 문화재의 존재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지금보다 더 직지관광이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크다는 점을 강조해야 할 것이고, 나아가 관광에서 타인에게 자랑할 수 있는 독특한 킬러 컨텐츠 등을 개발하여 관광객들에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직지 문화재가 얼마나 우수한 문화유산인지를 인식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지 문화재가 관광적 요소로 부가가치가 높다는 것도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지역민 및 관광객들에게 직지 문화재가 특정 지역에 존재한다는 것에 자부심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직지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value, existence value, heritage value, pride, and show on satisfaction, and suggests cultural marketing and cultural policy suggestions for Jikji cultural assets to activate Jikji as tourism cultural assets. Was intended.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develop tourism products that can mix Jikji cultural properties with the image and attractiveness of Jikji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by city and county in providing local information, prices, and services for tourist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Second,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suggest ways to create differentiating elements from tourism of other cultural properties. By emphasizing the existence, the existence value of Jikji cultural property should be increased. Third,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emphasize that Jikji tourism is more valuable as cultural heritage than now, and develop unique killer contents that can be boasted to others in tourism and present it to tourists. Fourth,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prepare a plan for local residents to recognize how excellent cultural heritage is. It should also be recognized that Jikji cultural property has high added value as a tourist factor. Lastly,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promote various jikji projects to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to increase their pride and awareness that Jikji cultural property exists in a certain area.

      • KCI등재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직지 원본 조사 연구

        남권희,이승철,김성수,임인호 한국서지학회 2006 서지학연구 Vol.35 No.-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from the actual inspection of Jikji(直指) held at the Bibliothque Nationale in France. Four researchers examined the physical features and the general condition of printing and typesetting of Jikji.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from both large and small fonts used for printing Jikji, spots and stains which characterized the method of printing with metal movable types were observed. Therefore, Jikji was again confirmed as the oldest existing print with metal movable types .Second, the inner part of the entire book of Jikji was glued and folded, and the top of the book and its spine became discolored with resin. Papers on which Jikji was printed were also confirmed as Korean Hanji with paper grains that ran lengthwise inside a thin mulberry paper. Third, some letters unclearly printed in Jikji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with calligraphy. Therefore, it should be very careful to select the model shapes of characters from Jikji.Fourth,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condition of its printing and typesetting was not even, the density and clearness of individual letters varied, and some letters were blurred during pressing. Despite all of these weaknesses, however, it is still amazing to be able to print Jikji with metal movable types in 1377, when the general condition of printing was in the primary stage. 이 연구는 위 공동연구자 4인이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의 직지 원본을 실제로 열람조사하고, 직지의 형태 사항 및 전반적인 인쇄 상태와 조판 상태 등을 조사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직지를 인쇄한 대자(大字)와 소자(小字)들에서 금속활자인쇄의 가장 큰 특징인 반점(斑點)의 흔적 등 금속활자본의 특징들을 확인함으로써, 직지는 세계최고(世界最古)의 금속활자인쇄본임을 재확인하였다.둘째, 직지 내형의 책 전체가 배접되어 있고, 책의 상단 및 서뇌(書腦)부 상단 부분에 송진(松津)의 누습으로 인한 갈변현상(褐變現狀)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직지가 인쇄된 바탕종이의 지질(紙質)은 얇은 닥종이에 세로발끈이 보이는 한지(韓紙)임을 확인하였다.셋째, 직지 원본에서 인쇄된 글자의 희미한 부분은 묵서(墨書)로 보충 또는 교정한 사례가 많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직지 활자의 대표자(代表字)의 자형(字型)을 선정(選定)할 때에는 극히 유의(留意)해야 함을 지적(指摘)하여 둔다. 넷째, 직지의 전반적인 인쇄 및 조판의 상태는, 현재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그 상태가 고르지 못하고 각 활자의 인쇄에서 먹의 진하고 엷은 차이가 많았으며, 인출 때 흔들려 이중으로 찍힌 부분이 나타나는 경우 등등의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377년 당시 금속활자인쇄의 초기 미숙한 상황들을 감안한다면, 현재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직지의 인쇄는 경이(驚異)롭다.

      • 21세기 ‘직지’ 문화 융성을 위한 통섭 모델과 전략

        신동의(Sin Dong-Eui)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6 湖西文化論叢 Vol.25 No.-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21세기 직지문화 융성을 위한 통섭 모델과 전략개발에 초점을 둔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다. 문화의 시대는 인간의 존엄성과 자기존중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직지』는 순수불교와 선사상이라는 불자의 믿음을 강조하는 불경이며, 인류의 기록문화를 혁신적으로 바꾼 유산이다. 새로운 직지 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 논자는 ‘탈영토성’, ‘생성’ 혹은 ‘되기’와 같은 개념들을 제시한 들뢰즈와 가타리의 사고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탈영토성으로서의 직지는 통섭의 개념을 필요로 한다. 직지문화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통섭 모델과 전략으로서, 문화산업에서 기본적인 전략인 ‘OSMU"를 제시한다. 또한, 새로운 직지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시, 소설, 연극, 영화 등의 예술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상상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논자는 성공적인 새로운 직지 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 한국의 김훈과 같은 작가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힌다. 이러한 맥락에서 청주 시민의 마음속에 형상화될 수 있는 ‘직지-되기’는 문화운동에 있어서 문화적 실천을 통해 ‘질적 도약’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silience model and strategy for the prosperity of 21 century"s Jik-ji culture. The 21 century is the era of culture. The genuine age of the culture aims to realize the value of the human"s dignity and self-respect. Jik-ji is the Buddhist scripture which emphasizes pure Buddhism and Buddhist’s belief, Zen thought. Jik-ji is the biggest legacy which innovatively changes human"s recording culture. In order to create a new Jik-ji culture, the researcher will use the thought of Deleuze and Guattari that presents such peculiar notions as ‘de-territoriality’(d territorialisation), é ‘generation(devenir)’, or ‘becoming’. Here Jik-ji as a de-territoriality needs a concept of consilience. The researcher suggests ‘OSMU’ which is a fundamental strategy in the cultural industry as a consilience model and strategy for contents development of Jik-ji culture. Also, in order to create new Jik-ji cultu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imaginative power which is needed in the art field such as poetry, novel, play and movie.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hunt a new writer like Kim Hoon to create a successful new Jik-ji culture. In this way ‘Jik-ji-becoming’ which could be embodied in the mind of the citizens in Cheong-ju city will have to meet a ‘qualitative leap’ through the cultural practice in a cultural movement.

      • KCI등재후보

        초・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직지체험연수 프로그램 개발

        김진수,이명의,이찬웅,은태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敎員敎育 Vol.25 No.2

        JIKJI published in Goryeo age is a metal type printed book that invented first of all in the world. The printing technique corresponds to the communications technology area in technology subjec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who are charged teaching to educate and in-service JIKJI. Because contents of JIKJI are introduced in current 7 textbook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JIKJI in-service program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 have a plan to execute the JIKJI experience in-service program to adopt teachers with the developed program from 2009.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analyzing former in-service status about JIKJI. Second is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bout JIKJI. Third is analyzing demand degree of JIKJI in-service for nation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the questionnaires. Fourth is developing the JIKJI in-service program for nation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ifth is completing the JIKJI in-service program with the result that has executed pre-in-service to adopt the developed JIKJI in-serviced program to adopt teachers. We followed ADDIE model process for developing of the JIKJI experience in-service program. 고려시대에 발행된 직지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이다. 인쇄기술은 기술학에서 통신기술 영역에 해당한다. 현행의 초중등 교과서 7권에 직지의 내용이 소개되어 있으므로,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한 이 프로그램으로 2009년부터 교사를 대상으로 직지연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직지 관련 선행 연수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고, 둘째, 국가교육과정과 초․중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직지연수의 요구도를 분석하였으며, 넷째,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다섯째, 개발한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예비연수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직지연수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랐다.

      • KCI등재

        직지심경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차수정 ( Cha Su J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연구에서는 직지심경과 직지를 활용한 문화상품에 대한 의식정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 직지를 활용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을 하고, 이를 패션문화상품에 적용하여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주 및 서울·경기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지심경에 대한 인식, 직지문화상품에 대한 평가 및 패션문화상품의 개발 방향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학생들이 직지관련 문화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디자인, 상품종류의 한정성, 실용성 부족 때문으로 나타났다. 직지심경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이미지는 현대적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 수수한 이미지, 캐주얼한 이미지였다. 색상에 있어서는 가장 많이 선호하는 무채색인 검정과 흰색을 위주로 하였으며, 다음으로 선호하였던 파스텔 색을 접목하였다. 직지심경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은 포털 사이트에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직지심경이미지를 변형하여 모던하고 캐주얼한 이미지, 우아하고 전통적인 이미지, 귀엽고 발랄한 이미지 등 3개의 패턴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텍스타일 디자인을 패션문화상품에 접목하였다. 패션문화상품의 아이템으로는 패션의류 중 가장 선호하는 티셔츠, 패션소품 중 선호하는 에코백과 스카프를 선정하였다. 티셔츠 10점, 에코백 10점, 쁘띠 스카프 8점 등 총 28점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디자인은 상품화를 통해 우리나라의 중요한 문화유산을 외부에 알리고 문화유산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젊은 층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개발을 통해 젊은 층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젊은 층의 제품 착용으로 문화유산의 가치를 파급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연구가 단순히 학문적인 연구와 개발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제품화로 연결되어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cultural sensitivity develops, various needs for unique culture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of cultural products using Jikji and Jikji in Cheongju area. In addition, we will develop a print pattern using Jikji and apply it to cultural fashion products to present design.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basic knowledge for activating fashion products using Jikji.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Jikji fashion product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wareness of Jikji and the preference of cultural fashion product design. Designing textiles by modifying images that appear on the internet and applying them to selected item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extile design using Jikji has developed modern and casual images, elegant and traditional images, and cute and youthful images. We applied the developed textile design to fashion products. Among the items of cultural products, T-shirts, eco bags and scarves were selected as preferred fashion apparel and fashion accessories. A total of 28 designs were presented. 10 T-shirts, 10 eco bags, 8 petit scarves, etc.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desig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nform the important cultural heritage of our country and enhance the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it will be effective to draw the attention of young peop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duct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to spread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by wearing younger products. Hopefully, this research on cultural fashion products will not only lead to academic research and development but also will lead to actual production and create various added value.

      • KCI등재

        直指活字의 鑄造ㆍ組版 方法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08 서지학연구 Vol.39 No.-

        This study attempted to infer the methods of producing and setting Jikji types and their shapes by analyzing the traces of types in Jikji.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1) Jikji types were metal movable types produced by the wax casting method, with a matrix carved into soft materials such as wax, using manuscripts as the base.2) Jikji type was carved in full shape on the face of characters, and its side was not square, and showed irregular patterns. 3) Jikji type was approximately 5mm high, and set by the method of attaching with printing wax.4) The printing plate had fixed margins and vertical lines, and two metal plates in which a center title, chapters and pages could be assembled, were alternately used for printing.5) Jikji types were first cast for the purpose of printing certain books. However, Jikji was not the first book for which these types were cast and used.6) The techniques of casting, typesetting, and printing with Jikji types were not very efficient. 「直指」의 자적을 분석하여 직지활자의 제작방법ㆍ활자의 형태ㆍ조판방법 등을 추적하였다.1) 직지활자는 저본을 이용하여, 밀랍 등의 연한 재질에 어미자를 조각하여, 밀랍주조법으로 주조한, 금속활자였다.2) 직지활자의 형태는 동체의 문자면에 문자를 가득 차도록 조각하였으며, 측면은 방정하지 않은 불규칙한 형태였다.3) 직지활자는 높이가 5mm 정도로, 인납을 이용한 부착식 방법으로 조판하였다.4) 인판은 광곽계선이 고착되어 있고, 판심제ㆍ권차ㆍ장차를 조립한 두 장의 금속제 인판을 번갈아 사용하였다.5) 직지활자는 최초로 인출하고자 했던 서적에 나타난 문자를 위하여 주조한 목적성 활자였다. 그러나 「직지」가 그 첫 인쇄대상은 아니었다. 6) 직지활자는 주조기술ㆍ조판기술ㆍ인출기술 등의 인쇄기술 수준이 그다지 능률적이지 못하였다.

      • KCI등재

        직지에 사용된 활자와 조판에 대한 분석 연구

        이승철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연구 Vol.38 No.-

        More than 14,000 movable metal types were used for printing the second volume of Jikji. They can be classified as normal large types, small types and medium types. Typesettings of movable metal types in Jikji were neither regular nor consistent, when compared with the technology of typesetting in the Joseon Period. Jikji, as the oldest existing movable metal prints in the world, is the valuable research material from which the technology of printing in the Goryeo Period, including te methods of casting and typesetting of movable metal types, could be traced. The classificati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all these types used in Jikji confirmed various known facts regarding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the kinds of movable types used for printing Jikji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typesettings are analyzed and discussed. 직지하권에 사용된 금속활자의 전체수량은 반복사용을 포함 약 14,000여 자가 넘는다. 이들 활자는 보통 큰자와 작은자 그리고 중간 크기 정도의 기타 활자로 분류할 수 있다. 직지금속활자의 조판은 조선시대 활자 조판기술에 비하면 규칙적이지도 일정하지도 못하다. 본 연구는 직지에 인쇄된 글자를 토대로 인쇄에 사용된 활자의 종류와 조판상태를 분석해 보고자하는 의미로 시도되는 것이다. 직지는 잘 알려진 것처럼 현존하는 세계 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 인쇄된 활자의 字跡을 통해 금속활자의 주조와 조판 등 고려시대 금속활자 인쇄기술을 추정해 볼 수 있는 귀중한 연구 자료이다. 그동안 직지에 사용된 각각의 활자들을 분류하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비교분석을 통해 직지활자와 관련한 여러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고는 인쇄된 글자들을 통하여 활자의 종류와 조판과 관련한 특징을 개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 KCI등재

        直指의 字跡에 나타난 直指活字의 特徵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연구 Vol.38 No.-

        직지의 자적을 분석하여 직지활자의 특징과 제작방법 등을 추적하였다.1) 직지활자의 특징으로는 단필기포너덜이필획 어긋남서체 불균형크기 불균일결필약필약자번필 등을 들 수 있다.2) 직지활자의 어미자는 목재가 아닌 연한 재질에 조각하였다.3) 직지활자는 조선시대에 사용된 주물사 주조법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었다.4) 직지활자는 통일된 과정으로 일시에 주조한 것이 아니었다. 계획 초기에는 전문가에 의하여 대부분의 활자가 주조된 후, 부족분은 비전문가에 의하여 수시로 보충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methods of Jikji types based on type traces in Jikji.1) Jikji types were characterized by broken strokes, blowholes, superfluous matters, irregular strokes, unbalanced character styles, unstandardized character sizes, omitted strokes, abridged strokes, simplified characters, and redundant strokes.2) The Jikji type matrix was carved into soft material other than wood.3) Jikji types were not produced by the sand mould casting method used in Chosun dynasty.4) Jikji type was not cast with single, unified procedure. Most of the types were cast by experts at the early stage of planning, whereas the remaining types were occasionally supplemented by inexperienced personnel.

      • KCI등재

        직지와 금속활자 인쇄의 가치와 중요성을 규명하기 위한 조선 초기 금속활자 간행 도서의 주제분석

        김성수 한국서지학회 2004 서지학연구 Vol.28 No.-

        This research attempt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Jikji(直指) and printing by metal movable types(金屬活字 印刷) by analyzing publications by subject, functions and government policy of printing by metal movable types during the early Chosun(朝鮮) Dynasty. The following has was found: 1) Printing and distribution of books by metal movable types were very successfully used to help justify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by disseminating new knowledge relating to Confucian ideology. Those books printed by metal movable types contributed to the building of a firm infrastructure of national information flow as well as the legitimacy of the New Country.2) Since King Sejong(世宗), printing by metal movable type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literacy among people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quality of life by illustrating and promoting the proper use of Hangul(한글) and therefore reducing inconvenience in using it.In conclusion, printing by metal movable types flourished during Chosun Dynasty contributed much to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of communication, and the advancement of Chosun Dynasty as a nation with a unique cultural identity. 본 연구는 直指와 금속활자 인쇄의 가치와 중요성을 導出하기 위한 序說로 考究된 것이다. 그 연구의 방법으로, 1) 조선 건국 후 초기 100년 동안의 금속활자 간행도서를 주제별로 분석하고, 2) 금속활자의 기능 및 조선 초기의 서적인쇄 정책 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조선 초기 금속활자 인쇄문화는, 1) 고려에서 조선으로 국가의 체제가 변화하는데 있어서, 儒家政治의 이념과 관련한 新知識의 정보를 신속하게 보급확산시킴으로써 조선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금속활자 인쇄도서는 조선 건국의 기틀(functioning) 및 국가적인 정보유통의 인프라(infrastructure)를 구축하는데 그 기능을 완수하여 함으로써 ‘500년 조선왕조’의 주춧돌과 기둥의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糾明하였다. 2) 세종 이후의 금속활자 인쇄문화는 한글의 사용 용례를 啓導하고, 한글의 전파와 이를 사용하는 일반백성들의 일상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함으로써, 民生의 고통 및 문맹을 타파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3) 결국, 직지에서 비롯되어 조선 초기에 발전된 금속활자 인쇄문화는 커뮤니케이션(정보유통)의 기반(infrastructure)을 구축함으로써, 조선이라는 국가를 주체성 있는 문화국가로 성장시키는데 원동력이 되었다.

      • KCI등재

        초등 저학년 셈하기 과제 수행에서의 직지하기의 역할

        박휴용 ( Hyu Yong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2

        본고는 수 개념 발달 이론의 하나인 핵심지식 이론과 직지하기 이론을 바탕으로 초등 저학년들의 셈하기 과제 수행 전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연령 집단(8세와 10세)의 연구참여 아동들을 대상으로 3-수준(A, B, C)의 직지하기 검사를 실시하고, 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그들이 어떠한 셈하기 전략을 사용하였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검사 방식은 아동들에게 3-수준으로 나누어진 검사지에 표현된 원(점)의 개수에 대해 대답한 결과를 분석하는 양적 분석과, 그 이유에 대한 응답을 통해 그들의 셈하기 전략을 분석하는 질적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검사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단계(3~5개)에서는 학년 간 응답속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B, C 단계에서는 학년 간에 직지하기의 속도 및 수행 전략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아동들은 셈하기 대상이 많아질수록 기본 직지하기(A단계: 2+3, 2+2+1, 4+1)에서 직지하기의 응용(B단계: 2+2+2+2, 3+3+2, 4+4, 2+3+4), 그리고 단위의 확장(C단계: 3X3, 5X5, ‘7+7’ב3+3’)로 발전시켜나가고 있었다. 셋째, 나이에 따라 패턴인식 능력과 집중력에 차이가 나며, 이는 직지하기 능력을 바탕으로 과제수행의 속도와 정확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Core Knowledge theory and subitizing theory, this paper analyzed the number-counting strategies of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blems, the author administered 3-level(A, B, C) subitizing tests for two age-groups(8- and 10- year olds) and conducted interviews asking their strategies for solution. For each test, the participating children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test materials, which showed various numbers of dots; all the participants` answers and the duration time of their respons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analysis of this paper was two-fol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ir response time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ir explanations about how they subitized when they counted the dots. The result of this paper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ccuracy and response time for Test A,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ponse time and strategies for Test B and C. Secondly, most of the participants extended subitizing units as the level of test complicated(e.g., A: 2+3, 4+1, B: 3+3+2, 4+4, 2+3+4, and C: 3×3, 5×5, ‘7+7’ב3+3’).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paper signifies that older children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pattern recognition and concentration which actually help them to increase accuracy and speed in their subitiz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