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안전부 경찰국 및 지휘규칙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개선방안 연구

        백승엽 한국경찰연구학회 2023 한국경찰연구 Vol.22 No.1

        Since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in 1948, “public security" has been the responsibility of the Minister of Interior(currently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owever, with the enactment of the Police Act in 1991, "public security" became the responsibility of the Commissioner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important policies regarding police affairs must be deliberated and resolved by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in advance. Unde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ay directly direct the Commissioner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important policie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However, since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is a general law and the Police Act is a special law,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ust comply with the Police Ac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Priority of the Special Act.” Under the Police Act,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only authorized to refer important issues to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if necessary, or to require the commission to discuss them again if it deems the content of the deliberations and resolutions to be inappropriate. On August 2, 2022,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mended the Presidential Decree to create the “Police Bureau”,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lso enacted and implemented the Regulations on the Command of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re has been a lot of criticism from police officials, politician, related organizations, and scholars about such measures. There are three main criticisms, which the government needs to address as soon as possible. First, there is nothing "unconstitutional" about the newly created the Police Bureau itself. However, the nature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police department is not a‘subsidiary organ (Line)’ that carries out its duties attached to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but ‘assisting organs (Staff)’ that advice to the head of the agency through professional knowledge or technology so that the head of the agency can perform his duties more efficientl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hange the name of the newly office to 'Public order Policy Officer' or 'Public order Planning Officer', which means 'Staff'.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Rules, any important work of the police must be approved by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advance.However, the "pre-approval authority" newly granted to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Article 2 (1) of the Command Rules is not specifically delegated by the Police Act. Therefore, this provision is judged to be unconstitutional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s "Principle of Prohibition of Comprehensive Delegated Legislation".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remove this provision as soon as possible. Third, there are concerns about 'impartiality' and 'political neutrality' for police officials in the future. In order to dispel this concern,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transfer the "procedure for promotion to the senior superintendent's rank from the chief superintendent" currently organized by the "Central Promotion Review Committe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to the "ordinary promotion review committee" of each police agency. 1948년, 「정부조직법」 제정·시행 이후 ‘치안’ 은 내무부장관(현 행정안전부장관)의 소관 사무였다. 그러나 1991년, 「경찰법」이 제정되면서 ‘치안’은 경찰청장의 소관사무로 바뀌었고, 경찰사무에 관한 중요 정책 등은 사전에 반드시 국가경찰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야한다. 「정부조직법」 상 행정안전부장관은 경찰청의 중요 정책 수립에 관하여 경찰청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 그런데 「정부조직법」은 일반법이고 「경찰법」은 특별법이므로, ‘특별법 우선의 원칙’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은 「경찰법」에 따라야 한다. 행정안전부장관은「경찰법」에 따라 필요시 국가경찰위원회에 중요 안건을 부의하거나, 위원회 심의·의결 내용이 부적정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를 다시 논의하도록 요구하는 권한만 인정되어 있을 뿐이다. 「행정안전부」는 2022년 8월 2일자, ‘대통령령’을 개정하여 경찰국을 신설하였고, ‘행정안전부령’으로「행정안전부 장관의 소속 청장 지휘에 관한 규칙(지휘규칙)」도 제정·시행하였다. 이와 같은 조치에 대하여 그동안 경찰공무원, 정치인, 관련 단체 및 학자들로부터 많은 비판이 있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 세 가지이며, 정부는 빠른 시일 내 개선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첫째, 신설된 직제인 경찰국 자체는 ‘위헌성’이 없다. 그런데 경찰국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성격은 ‘보조기관(Line)이 아니라 ‘보좌기관(Staff)’ 이다. 따라서 그 직제의 명칭은 ‘보좌기관(Staff)’을 의미하는 ‘치안정책관’이나 ‘치안기획관’ 으로 변경하고 장관 직속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지휘규칙」 에 따라 앞으로 경찰의 중요업무는 사전에 행정안전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런데 「지휘규칙」 제2조 제1항이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새롭게 부여한 ‘사전 승인 권한’은 「경찰법」이 구체적으로 위임하지 않은 내용이다. 따라서 이 조항은 헌법상 ‘포괄적 위임입법 금지원칙’에 위반하여 ‘위헌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그러므로 이 조항은 빠른 시일 내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앞으로 경찰공무원에 대한 ‘인사의 공정성’ 및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현재 경찰청(본청) 소속 ‘중앙 승진심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경정의 총경 계급으로의 승진심사 절차’를 각 경찰기관 소속 ‘보통 승진심사위원회’로 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국군의 교전규칙 작성권한: 유엔사와 연합사의 작성권한 유무 및 범위를 중심으로

        이상혁 한국국방연구원 2018 국방정책연구 Vol.33 No.4

        The Armistice Rule of Engagement (ROE), in the form of the UNC/CFC regulations, is inconsistent with the ROK-US combined command system. Currently, the UNC commander, who has no command relationship with the ROK Armed Forces, as well as the CFC commander, who only has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ver the ROK Armed Forces, have been involved in issuing the Armistice ROE. In order to comply with the ROK-US command system, the UNC commander must be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issuing the Armistice ROE, and the Armistice ROE issued by the CFC commander should apply to the ROK Armed Forces only after the declaration of a DEFCON-III situation. 유엔군사령관을 겸하는 연합사령관이 작성한 정전교전규칙은 유엔사/연합사 내부규정 형태로 작성되어 국군과 지휘관계가 없는 유엔군사령관이 작성에 관여하고 있고 연합사령관은 방어준비태세 3단계 이후에만 국군을 작전통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전 단계에서도 국군에 적용되고 있어서 국군의 평시 교전규칙 작성 권한이 현행 연합지휘체계와 불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합사령관이 작성하는 정전교전규칙은 방어준비태세 3단계 이후에만 국군에 적용되고 그 이전에는 합참교전규칙이 적용되어야 하며 유엔군사령관이 그 작성에 관여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피의자 호송·인치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현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2 치안정책연구 Vol.26 No.2

        “Transporting persons under investigative agencies’ custody or in jail” refers to transporting to place like the court. In Korea, the police have provided the transport as routine practice, but it is unreasonable practice without a legal basis. It is more desirable if the issue of transport is approached separately from the prosecutor’s direction of police investigation. In light of privatization in the criminal justice area in developed countries and private companies provide transport in the UK,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practical solution. Since the police, the police under the prosecutor and the special police shall execute warrants and special provide the transport, transporting tasks can be divided through consultation between legal institutions. The prosecutor’s office shall be responsible for providing transport of the suspect of prosecutor’s case. It would be more efficient if the police transports the suspect to the D.A’s office nearest to the arrest place, which transports him/her to the D.A’s office that wanted him/her. The reason for conflict of transport between legal institutions is that the fundamental legislation for transporting -the Enforcement Rule of Prisoner Transport- has not been updated yet. Revision of the law is needed for prompt transport. Issues of transport are aggravated due to absence of detainment facilities in the prosecutor’s office or the court. They should secure their own independent detainment facilities to reduce. ‘호송’이란 수사기관 또는 법원 등에 유치·수용된 사람을 다른 장소로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호송 업무를 관례적으로 경찰이 해왔지만, 법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으며, 실무적으로 불합리한 점이 많다. 호송을 수사라고 보고 경찰에 대한 수사지휘권을 행사하고 있는 관행도 수사 및 수사지휘권을 확대해석한 데서 유지될 수 있었다. 호송은 검사의 수사지휘권과 별개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다. 오늘날 선진국을 중심으로 형사사법 영역의 민영화가 하나의 추세로 자리 잡아 가고 있고, 영국의 경우에는 호송업무를 민간업체에 맡기고 있는 것을 볼 때, 관심을 법리적 논쟁에서 벗어나 현실적 타개책으로 돌려야 할 것이다. 영장을 집행할 의무는 경찰관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검찰청 소속 사법경찰관 및 특별사법경찰관도 포함되는 것이므로 기관 간 협의에 의해 호송 업무를 분담할 수 있다. 각 기관에서도 자체 특별사법경찰관을 통해 호송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처럼 검찰도 호송업무를 부담할 필요가 있다. 우선 검사사건 피의자의 경우나 검찰에서 피의자를 조사한 후 구치소로 호송하는 경우에는 검찰에서 호송을 담당하고, 검사지명 수배피의자 검거시 경찰이 검거지 인근 지검·지청까지 호송하면 검찰아 자체 인력으로 수배검찰청까지 호송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그리고 교도소 또는 구치소에 수용되어 있는 자에 대한 감정유치까지 경찰이 담당하도록 한 것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호송과 관련하여 기관 간 갈등이 야기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호송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법령이라 할 수 있는 「수형자 등 호송규칙」이 사회적 변화에 따라 수정되지 못하고 낙후된 채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호송을 수사기관 간의 갈등으로만 생각하고 내부적인 조율을 기대할 것이 아니라, 호송업무의 합리적 분담을 담은 호송법률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使用者에 의한 勤勞條件 變更과 解雇

        노병호(Rho Byoung-Ho)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08 노동법논총 Vol.14 No.-

        It is inevitable to change the labor condition or to discharge the labors under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labor environmen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employment relations which is the continuous relations, and of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enterprises in these days. This Article only analyzes the change of the labor condition by the employer that is explained in two different views: one is the individual change and the other is the collective change. The individual change of the labor condition by the employer is reviewed with the perspective of the supervisory power and the personnel management power. And the Article points out the issue that supervisory power and the personnel management power are used as measures for avoiding the very strict legal principle of discharge, and suggests some schemes for this issue. The collective change of the labor condition by the employer is examined under the consent by the labor union, and explained with the social rationality and the effect of the change of disadvantages if the consent by the labor union is absent. This Article also examines the discharge with the perspective of the general theories and explains the condition of discharge in details. At the end, the Article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the termination system for the change of the labor conditions and analyzes the possibilitie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ermination system to our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