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관광과 연계한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의미와 과제 -인천시 아시아 누들타운 사업을 중심으로-

        황희정 ( Hee Jeong Hwang ),심진범 ( Jin Beom Shi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4

        이 연구는 지역관광과 연계한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의미와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내부 자원을 활용한 수익모델을 구축하는 것으로,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비즈니스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커뮤니티의 참여를 통하여 커뮤니티를 사회적.경제적 발전시킴으로써 지역관광의 지속성을 확보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가능성과 잠재력에 비하여 이에 대한 실천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추진주체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3개 범주, 8개 주제모음, 11개 주제, 그리고 24개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었다. 즉,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추진주체들의 진술내용은 지역 현안, 활용가능한 지역자원, 그리고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비즈니스 모델 구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과 연결되는 결과이다.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추진주체들은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위하여 지역 내·외부인력 확보, 누들 자체의 매력 제고, 그리고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역량 축적 등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진술하였다. 특히,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특성 상, 기존 연구에서는 내부 인적자원, 즉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하였으나,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추진주체들은 외부 주체를 지역으로 영입하여 지역주민화하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적 토대를 제시하고, 응용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s to analyze an implication and task of a tourism community business related to a local tourism. A tourism community business(TCB) is to be defined as ``a business activity that a local resident leads``. Not only does the tour community business construct a profit model aimed at tourists that utilizes internal resources of a local community, but also it solves pending issues in a community. It is important that TCB makes it possible for a community to take an active part in the business, which accelerates a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s a result, the local tourism is able to gain sustainability. This study categorized the statements of main agents of TCB in the following manner as three significant categories, eleven subjects and twenty - four constructed meanings. Particularly, the significant categories explain pending issues, available resources and a building a business model that enables a local resident to lead. Additionally, the main agents of TCB contended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internal and external personnel, increase a flavor of a noodle, and accumulate an ability of doing a tourism community business. Specifically, they emphasized an embracement of an external subject, allowing the external one to be localized, that is contrasted with existing research studies that highlighted using an internal subject and a participation of a local resident. This research study presents a conceptual foundation and an application model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tourism.

      •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대중교통체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남양주시를 사례로

        김주락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2012 地理學論叢 Vol.58 No.-

        지방자치제도의 성숙과 참여 민주주의의 성장이라는 시대적 변화는 지역주민의 정책 참여를 촉진함으로써, 교통현 상에 있어서도 지역 사회의 활동이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교통지리학에서도 교통현상의 분석에서 있어 지역사 회의 영향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대중교통정책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이것의 활동이 지역 대중교통체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힌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양주시는 사회경제적 특징, 지형 및 규제 등의 요인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 비해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의 형성 과 대중교통 관련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가 특정 현안의 발생, 해결 여부와 상관없 이 상시적으로 조직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존 온라인 커뮤니티와 차이가 있다. 이는 해결된 현안의 지속적인 피드백이 가능하 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상시적으로 주민의 의견을 청취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하면서 공식부분의 정책적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셋째,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는‘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됐다는 점에서‘ 주제’를 중심으로 형 성된 시민단체와 성격이 다르다.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동은 지역 내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한 문제제기가 대부분으로, 지역의 대중교통체계에 가시적인 변화를 준다. 넷째,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는 지역주민이 대중교통 정책에 참여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체계 정립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중교통 정책의 직접적인 수혜자이자 피해자인 지역주민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적극적인 대중교통 정책참여는 유관 기 관의 변화를 이끌어 냈다. 즉, 대중교통 정책과정에서 지역주민이 주요 고려요인(참여자)이 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대중교 통체계가 정립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 KCI등재

        한일 양국의 온라인지역커뮤니티의 재조직화에 대한 비교 연구 -「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를 중심으로

        민주현,안병곤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2 翰林日本學 Vol.0 No.20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지역커뮤니티인「町内会」와 ‘반상회’를 온라인상의 게시판․카페․클럽 등을 통해 형성된 온라인지역커뮤니티로서「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로 재조직화한 것에 대해 ‘지역성’,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의 결속’을중심으로 한일 양국의 상대적 특징을 비교 고찰 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지역성’에서 한국과 일본은 모두 인터넷 이용 증가의 추이에 따라 양국의지역을 기반으로 하는「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SNS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지역커뮤니티 출현은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의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의 존속에 있어 한국이 46개의 폐쇄 및 미갱신 사이트가 있는 반면 일본은 531개로 가상공간이라는 특성상 한국보다 관리가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본은 디지털 리터러시(정보격차) 현상을 줄이기 위한 정보화 교육을 병행하여 온라인지역커뮤니티의 유지 및 활성화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은 새로운 커뮤니티의 단위인 공동주택을기반으로 온라인지역커뮤니티가 생성되는 반면, 일본은 전통적인 지리적 경계인「町」를 기반으로 기존의 명맥을 유지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양국 모두가 동호회 등을 이용한 정보교환 및 친목의 형성에 의해 전통적 인간관계를 대체 및 보완하는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있다는것이다. 그리고 이미 오프라인상에서 인맥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파급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동호회는 정보교환으로 이루어지는 만남이나 대화가 지속적으로유지될 경우 최종적으로 지역사회의 참여로 연결될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고 본다. 상대적 특징으로 한국의 ‘아나바다’ 사례는 현재의 경제적,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자원 등의 재활용 소비를 통해 소비주의 현상을 극복하려고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생태적 삶과 공생이라는 현대 미풍양속의 현상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동의 결속’에서 한일 양국 모두 지역에 관련된 현안이나 행사 등의 정보게시를 통해 주민이 지역사회의 주체로서 참가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지역현안에 있어서 댓글(답글)을 통해공동체 의식 표현과 참여를 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온라인지역커뮤니티는 온라인 공간에서 생성되는 지역커뮤니티로 재조직화된 것이기 때문에 생성과 소멸의 주기가 불명확하다는 것과 IT 기술의 환경적 변수가존재함으로 인해 모든 온라인지역커뮤니티 사이트를 조사할 수 없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이상으로 살펴 본 바와 같이온라인지역커뮤니티로서의「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는 ‘지역성’, ‘사회적 상호작용’ 및 ‘공동의 결속’ 으로 분류한 지역커뮤니티로서 요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으며 지역사회 발전에 매우 유용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우랄 지역의 고려인 커뮤니티와 한국학 연구, 1991-2003

        송준서 ( Song Joon-seo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4 한국시베리아연구 Vol.7 No.-

        소련방이 붕괴한 이후 우랄 지역 고려인 커뮤니티는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커뮤니티 규모의 확대와 한국학의 발전이 그 주요 변화 이다. 우랄 지역 고려인 커뮤니티는 중앙아시아, 러시아의 극동지방이 나 모스크바, 쌍뜨뻬쩨르부르그 등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그 동안 우리의 관심이 적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중앙아시아로부터 보다 나은 경제 여건을 찾아 우랄 지방으로 들어오는 고려인 들이 급증해 기존의 이 지역 고려인 커뮤니티가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으로부터의 조선족의 이주도 증가하여 이 지역 한인 커뮤니티는 점차 다양성을 더해가고 있다. 중앙아시아로부터 이주한 고려 인들은 조선족들에 비해 러시아어도 능통하고 러시아화된 생활 습관 및 의식 등 기존의 고려인 커뮤니티와 공유점이 많아 융합이 잘 되고 있는 편이지만, 조선족들의 경우 언어, 생활 배경 등의 상이점으로 인해 고려인 커뮤니티와는 큰 교류가 없는 상황이다. 한국학의 태동 및 발전은 소련방 체제의 몰락이후 우랄 지역 고려인 커뮤니티가 겪고 있는 또 하나의 커다란 변화이다. 러시아내 여타 지역의 주요 고려인 커뮤니티와 마찬가지로 1980년대 말 90년대 초반 당 시 소련내의 소수민족 독립운동과 한-러 외교관계 수립에 영향받은 우랄 지역 고려인 지식인들은 소비에트 시기 동안 잊혀졌던 민족 정체성을 되찾기 위해 1991-93년 사이 예까쩨린부르그, 첼야빈스크 등지에 고려인 협회들이 결성되어 한국 문화, 풍습을 함께 모여 기리기 시작했다. 또한 첼야빈스크의 경우 1990년대 중반부터 고려인 대상으로 한국어 수업이 시작되고, 예까쩨린부르그에서는 2001년부터 우랄국립대학교에 서 한국어 강의가 시작되었으며, 2002년에는 우랄 지역 최초로 대학교 에 한국문화센터가 문을 열었다. 더욱 인상적인 것은 고려인 커뮤니티 가 거의 형성되어있지 않은 마그니또고르스크에서 한국미술사를 전공한 러시아인 교수에 의해 한국미술사와 한국문화 전반이 러시아 대학생들 에게 소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모스크바, 쌍뜨뻬쩨르부르그, 중앙아시아 등 한국학 연구의 오랜 역사와 풍부한 인력을 지닌 지역에 비하면 우랄 지역의 한국학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에 있다 하겠다. 우랄 지역의 한국학 연구자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첫째, 한국학 입문의 기본 요건인 한국어를 가르칠 교사가 없다는 점, 그리고 한국의 문화, 역사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젊은 고려인 세대나 러시아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인하고 깊이 있는 연구를 자극할 수 있는 한국학 관련 자료가 극히 부족하다는 것이다. 현재 이러한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책은 우랄 지역 내에 서로 연관 없이 흩어져 있는 한국 학 연구 관련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한국학 연구의 성과에 대한 토론은 물론 자료, 정보, 그리고 인력을 교환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우랄 지역 고려인 커뮤니티에 대해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은 기존의 고려인 커뮤니티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이주한 고려인들과의 관계, 그리고 문화, 언어, 생활환경의 차이로 서로 다른 상황에서 살아가고 있는 조선족 커뮤니티와 고려인 커뮤니티와의 관계 도 이 지역 고려인 커뮤니티의 성격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changes that Korean communities in the Urals have experienced during the first decade after the Soviet Union collapsed. The most prominent changes in the communities were a demographic expansion caused by the migration of Russian-Koreans from Central Asia from the early and mid 1990s and the rise of Korean studies prompted by the awakening of ethnic identity among Russian-Koreans, especially the older generation. Unfortunately, such noticeable changes in Korean communities in the Ural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until now, because of their relatively small size, compared to those in Central Asia, Moscow, St. Petersburg, and the Far East. A lack of prominent Korean studies programs in the Ural region has also contributed to our negligence of Korean communities in this region. My research shows that Korean communities in the Urals have gradually changed during the last decade. The size of the communities has doubled and become more diverse and heterogeneous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both Russian-Koreans from Central Asia and Chinese-Koreans from China, the former seeking a more stable life in the booming Russian economy and the latter drawn to Russia's businesses in market. Thus, the Korean communities in the region can now be categorized by three major groups: firstly,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of Russian-Koreans who were sent to the Urals as factory workers by the Stalin regime during World War II and those who moved onto receive a higher education mainly from Central Asia after the mid 1950s; secondly, "new" Russian-Koreans who migrated from Central Asia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system; and thirdly, the Chinese-Koreans, who recently migrated from China. My research indicates that Koreans from Central Asia who share the same Russified (and Sovietized) culture and language with the Russian-Koreans in the Urals have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the Ural Korean communities. In contrast, the Chinese-Koreans who do not speak Russian fluently and have heterogeneous, non-Russian culture have not developed strong relationships with Russian-Korean communities in the region. The separation--intentional or unintentional--of these Chinese-Koreans from Russian-Korean communities has resulted in their involvement in small religious meetings led by South Korean missionaries. The rise of Korean studies is another key change in the communities. Provoked both by nationalist movement of the non-Russian nationalities in the late 1980s an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Russian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in the early 1990s, some local Russian-Korean elites sought to reconstruct their own ethnic identities by creating Korean studies programs. In major cities in the Urals, like Ekaterinburg and Cheliabinsk, Korean Culture Centers were opened by the efforts of the local Korean elites in the late 1990s and early 2000s. Also, Ekaterinburg State University, a major university in the Urals, started Korean language courses in 2001. In addition to the local Russian-Korean elites, some Russian scholars and students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region. For example, in Magnitogorsk, Korean art history and culture have been taught in a university by a local Russian Koreanist. Yet, despite the recent rise of Korean studies, it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No institutes in the Urals offer a comprehensive Korean studies program that includes language, literature, history, and politics and economy, etc. Further, a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uch as language teachers and published materials on Korean studies are key obstacle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this region. My research suggests that given condition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mote Korean studies in this region is to organize regular meetings among the regional Koreanists.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groups in Korean communities will provide us with more nuanced understandings of the complicated nature of Korean communities in the Urals.

      • KCI등재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미 ( Lee Jim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공동체 활성화를 촉진하는 사회적 인프라로 분류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해진 지역민들의 요구수용과 높은 토지비용, 공간 조성에 수반하는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 대안으로 시설 복합화 방식이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는 제한된 토지 사용과 비용 효율화의 필요성을 넘어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욕구 실현과 지역 정체성 확립에 이르기까지, 건축을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 수용이 불가피한 현대건축이 당면한 상황을 반영한 특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아래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간 활용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을 유형화하여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활용 특성 도출과 시설 복합화 유형에 따른 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의 실제상황을 살펴본다. (결과) 지역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 공동체 유지와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인 공간으로 공공공간과 그 특성을 공유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촉진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사례 분석을 위해 지역성, 개별성, 접근성, 공유성, 다양성, 안전성 등 6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역 커뮤니티 공간 유형으로는 지역 특성을 기반으로 개별 커뮤니티 공간의 중심기능에 따라 공공행정 기관 중심, 학교 시설 중심, 문화 편의 시설 중심 등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사례 분석 결과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요구수용을 바탕으로 공간의 중심기능을 선정하고 선정된 특정 기능이 중심되어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의 실질적인 이득은 지역 공동체 내부의 만성 민원의 해결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 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화합 도모에 이르기까지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 지역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해서는 각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복합화 유형을 선택하고 그 유형에 따른 공간 조성이 이루어질 때 커뮤니티 공간 조성의 본래의 목적인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티 공간 복합화 양상 자체가 최근 10년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이고, 시설 복합화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정부 정책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대한 더욱 면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Community spaces for local community members can be classified as a social infrastructure that revitalizes the community. In addition, mixed-use facilities have become a general trend as an efficient alternative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high land costs, and the cost problems accompanying the creation of a space. The mixed-use community spaces are also a feature that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facing modern architecture; it is inevitable to accept various programs through architecture beyond restricted land use and the need for cost efficiency to realize divers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members and to establish a local identity. Under this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aning through case studie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tilization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by categorizing the mixed-use facility aspect of local community spaces. (Method) It derived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amined the actual situation of mixed-use facility aspect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case analysis. (Results) The community spaces for local residents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and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they share the characteristics with public spaces. Based on this, six characteristics, such as locality, singularity, accessibility, commonality, diversity, and safety, were derived for the case analysis of community space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space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entered on public administrative agencies, centered on school facilities, and centered on cultural amenities by the main function of individual community spac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function of the space was selected based on the needs of the local resident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mmunity spaces were built focusing on the selected specific function. The tangible benefits of mixed-use community spaces have been shown in various form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from solving chronic complaint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o working on harmony by operating various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uch spaces coul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the original purpose of creating a community space when a complexity type suitable for each region was selected. Space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type for creating the community space to establish the local identity and revitalize the commun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mixed-use aspect of community spaces has emerged prominently in the last 10 years, and the government policy promotes building various types of community spaces through mixed-use facilities, a further in-depth study on the mixed-use type of community spaces may be needed.

      • KCI등재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개발을 기반으로 한 농산촌 발전 프로세스도입 방안 연구 : 충청북도 괴산군 사례를 중심으로

        장주연,김재현,박정윤,최현선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1

        본 논문은 지역자원(territorial resources)과 커뮤니티 발전(community development)을 기반으로 한 농 산촌 발전 프로세스(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를 현장에 적용하고, 국내에 효율 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2년 6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충북 괴 산군을 대상으로 총 3단계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괴산 내 지역자원조사를 실시하고 대표자원을 발굴하는 과정이다. 지역자원조사 결과, 대표자원으로 ‘산림’과 ‘귀농귀촌인’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는 지역자원과 커뮤니티발전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을 유도하는 단계로, 괴산의 대표자원으로 도출된 산림자원을 활용한 비즈니스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하였다. 산림자원을 활용한 지역주민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방법으로, 약 1개월간 모집·선발하였다. 3명 이상으로 조직된 팀별 지원을 원칙으로 했으며, 구성원으로 귀농귀촌인들을 반드시 포함할 것을 명시하여 원주민과 귀농귀촌 인의 연계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공모전 결과, 대부분의 아이디어는 임산물 생산판매와 산림휴양활동 에 집중되어 있었고, 최종 5개 커뮤니티가 선발되었다. 세 번째는 지역자원을 활용한 전략적 계획을 수 립하는 단계로 선발된 5개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산림자원을 활용한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사업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2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 커뮤니티의 사업모델을 도출하 였다. 괴산에 적용한 3단계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지역자원과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촌 발전 모델을 효 과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4가지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 영한 지역발전의 가이드라인과 핵심요소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는 지역주민들이 스스로가 조직을 구성하고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지역의 인적자원을 발굴하고 양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중간 지원조직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농산촌 지역개발에 있어 소홀히 되었던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발굴 및 교육을 강조한 연구로 지역자원과 커뮤니티를 연계한 농산촌 지역발전모델을 만들어 내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 볼 수 있다. 향 후 ABCD 프로세스 도입을 통한 지역발전의 효과성과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실증적인 연구가 추가적으 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cesses of rural development based on territorial resources and community development to Korean rural areas and provide suggestions on implementing the processes effectively in Korea. From June 2012 to February 2014, 3 step-processes were applied to Goesan, in Chung-buk. The first step was to investigate territorial resources in Goesan and find representative resource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representative resources are categorized as “forest” and “migrants from urban cities”. The second step was to increase local people’s awareness of territorial resources and community development. To do so, this study proposed a contest among businesses to develop ideas for using forest in Goesan. Most ideas focused on making and selling forest products or on recreational activities that involve the forest. Consequently, 5 communities were selected. The last was to discuss strategies and plans for businesses using territorial resources.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4 communities set up such strategies and plans for about two month. Based on the application processes in Goesan, four factors are needed to implement the process effectively in Korea. First are guidelines and key factors for rural development. Second is a system through which local people are able to participate in and organize communities. This necessitates a third factor: an education system that identifies and cultivates human resources in rural area. Finally,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ystem.

      • KCI등재

        교회가 참여하는 지역 공동체 운동으로서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재영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최근 다양한 마을 만들기 운동 중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마을 만들기의 일종으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건강하게 만드는 주민 주체의 지역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교회가 이러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여기서 지역공동체 운동의 사례로서 굳이 비즈니스를 논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자본주의와 기업의 개념이 지나치게 오염이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에서 자본주의는 자본 곧 돈이 중심이 되는 사회를 의미하고, 기업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목적인 양 이해되고 있다. 최근에는 약육강식의 논리가 아니라 약자를 배려하고 소수자를 존중하는 태도로 기업을 하는 ‘공동체 자본주의’가 현재 자본주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공동체 자본주의는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성경적, 시대적 대안으로, 경제자유와 경제정의의 유기적 조화를 지향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바로 이러한 공동체 자본주의를 지향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 사회를 기점으로 주민이 친밀한 유대관계 속에서 주체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 사회에서 잠자고 있는 다양한 자원을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지역 문제의 해결에 착수하고, 바로 비즈니스로 성립시키며, 지역사회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일에 지역 교회가 참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지역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는 외국과 달리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부족한 한국 사회의 현실에서 지역 교회가 내부 자원을 활용하여 지원 조직의 역할을 하거나 지원을 하는 것은 지역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교회가 직접 소규모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모델과 교회 연합 기관이 대규모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모델, 그리고 교회 연합 기관이 중간지원조직을 만들어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interest in ‘community business’ as a part of various community-building movements. Community business is one of the methods of community building where the residents are the principal agents in building healthy community through local businesses. This article looks into methods where churches can participate in these community businesses. The reason why business is discussed as an example of local communal movement is because capitalism and the concept of corporation in our society are overly corrupted. In our society, capitalism symbolizes capital, or money-centered society, and corporation is understood to seek profit at all cost as if it is the goal. Lately, ‘community capitalism’ that does not function on the philosophy of the law of the jungle but gives consideration for the weak and respects the minority is rising as a way to overcome current weaknesses of capitalism. Community capitalism as a biblical and periodic alternative supports the organic balance between free economy and economic justice. Community Business supports this kind of communal capitalism. Community Business has its starting point in local community and maintains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residents as it operates independently. Community business aims at utilizing many dormant resourc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o voluntarily arrive at a solution to a local problem and establishing businesses to vitalize the local community. It is very meaningful that a local church participates in these things. In a situation where community involvement and interest by the Korean societies is still lacking, unlike other countries where local communities are active, a local church’s support as an organization utilizing internal resources will be a great help to local vitalization. This article presents three models: a church operating directly a small community business; unified church groups operating a large scale business; and unified church groups creating a smaller support organization that will run the community business.

      • KCI등재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관점에서 아파트단지 커뮤니티 시설의 설치 현황과 한계

        차성미(Cha, Sung-Mee),이정형(Lee, Jung-Hyung),김지엽(Kim, Jee-Yeop)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 내 커뮤니티시설과 지역 커뮤니티의 관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그 설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아파트단지의 커뮤니티시설이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파트단지 밀집지역인 서울시 역삼2동을 중심으로 커뮤니티시설 설치 현황과 특성을 지역커뮤니티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2개 단지에 설치된 커뮤니티시설은 허가당시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에서 규정한 단지 규모별 설치기준 및 최소 면적기준에 따라 계획되어 동일한 시설의 최소면적기준을 제공하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또한, 의무설치시설 이외에 설치된 주민공동시설은 활용도가 떨어져 단지내부에서도 커뮤니티 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폐쇄적인 단지구성으로 주변지역과 단절되어 있는 각각의 아파트단지 내에서 조성되는 커뮤니티시설들은 주변지역에서 접근이 어렵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에 면해 있는 시설도 배치나 디자인에 있어 지역커뮤니티와 연계되지 못하고 있어 지역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ommunity facilities provided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and to draw some lesson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To do so, it analyzed 12 apartment housing complexes in a block located in Yeoksam 2-dong in Seou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facilities were built only to meet the minimum requirements under law and some of various facilities, such as library and community room, are not being used. Second, the facilities located in each complex are closed to the surrounding communities and even to streets and public spaces. Third, and most important, even some facilities that are located along a street or public space are not designed to connect to the street, so that members of the surrounding communities cannot physically access to them. In sum, most of the community facilities do not work for the local communities. As a conclusion, it suggests some schemes to improve the law and system to reflect the characters of a local community and provide the proper design guidelines.

      • KCI등재

        연구논문 : 대학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이 지역커뮤니티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를 사례로-

        문창용 ( Chang Yong Moon ),나주몽 ( Ju Mong Na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3 지역개발연구 Vol.45 No.2

        도시 내 대토지소유자이자 지역경제의 주체로 대학의 캠퍼스는 소재 주변지역에 경제적·사회적·물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 대학 소재 주변지역 사회와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 재생과 대학의 사회적 책임 및 공헌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도시형 캠퍼스가 지역 커뮤니티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하에 캠퍼스 외부시설 및 외부공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이 지역 커뮤니티 형성에 필요한 구성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과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에 대한 속성을 변수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성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과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간의 영향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조사대상의 모집단은 전남대학교 외부시설(용지, 봉지, 종합운동장)을 이용하는 이용자로, 2012년 5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회수된 112부 가운데 유효한 100부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인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5가지 공적공간의 특성(개방성, 접근성, 연계성, 교류성, 위계성)을 연구 목적에 맞게 2가지(개방성·접근성, 연계성·교류성)로 정의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종속변수인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는 지역성, 공동체성, 유기체성이였던 요인들을 연구목적에 맞게 지역성과 유기체성을 통합하고 공동체성을 상호작용과 유대감으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가설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캠퍼스 외부시설의 교류성·연계성이 주민들의 상호활동에 큰 영향을 주며, 캠퍼스 외부시설의 개방성·접근성은 지역주민들의 지역유기체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이 느끼는 공동유대감측면에서는 독립변수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이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할 수 있다. 연구결과, 대학의 물리적 계획(이전·확장·시설확충)을 수립시 대학은 지역사회와의 상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계획을 고려해야하는 사회적 책임의 당위성을 실증분석을 통해 입증하였다. 즉, 대학은 지역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느끼는 캠퍼스 존재가치를 높이기 위해 캠퍼스 외부시설의 개방성, 접근성을 고려한 설계요소가 필요하며, 지역커뮤니티형성을 위해 유대감과 상호활동을 할 수 있는 설계요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 계획·설계를 통해 지역과 지역, 지역과 대학의 커뮤니티를 형성함으로 지역사회-대학의 협력을 기반한 지역 재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mpus`s external facilities on a local community, this paper finds each variable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 and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advanced research. the attributes of the campus`s external facilities arc openness and approach. exchange and connectivity rank by understanding public space and factors of local community component arc locality and organism, community friendship. interac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So as to check the validity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paper analyzed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verified a hypothesi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mpus`s external facilities influenced a local community compon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paper proves that the university considers plan with local community a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y when the university establish physical plan. This paper is to expect that regional regeneration based on local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on.

      • KCI등재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에 대한 평가지표 항목구축에 관한 연구

        왕휘휘,홍관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Recently, the vitality of local communities is being decreased due to numerous vacant houses generated by factors such as the hollowization of cities, exacerb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loss of placeness of houses. Hence, this research,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ies, aime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vacant houses and detailed items of the criteria to arrange references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placeness evaluation of vacant house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research contemplated upon relevant concepts and characteristic,regeneration value of placeness and commun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vitalization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current status of local communities and placeness. First, the researchers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through 6 dimensions (morphological dimension, perceptional dimension, societal dimension, visual dimension, functional dimension and temporal dimension)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rom <City Design> by Matthew Carmona. Subsequently, the study organized the detailed items for the placeness evaluation criteria for vacant houses within local communities by analyzing precedent researches. Lastly, for the detailed items above, research was done by 15 experts through the Delphi method for 3 times, and after the items were derived, for scientific valida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his research, while excluding the subjectivity and the emotional parts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Delphi method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expert group,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laceness of the local communities, 9 criteria: connectivity, identity, safety, aesthetic impression, diversity, 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publicness have been derived, and 33 detailed items have been derived. It is only possible to revitalize the communities, restore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and provide clear statistical data on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if the state’s items are referred as standards. 최근 도시의 공동화, 생활환경의 악화, 집의 장소성 상실 등의 이유로 도시에 빈집이 급증하면서 지역커뮤니티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와 세부항목을 구축하고, 빈집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참고기준과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빈집, 장소성과 커뮤니티의 개념 및 특성,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현황, 재생 가치와 장소성 간 상관관계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Matthew Carmona가 제기한 <도시설계>의 6가지(형태적, 지각적, 사회적, 시각적, 기능적, 시간적) 차원을 분석하여 계층분석법(AHP)을통해 장소성의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특성을 정리한 후,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에 대한 세부항목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세부항목에대해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기법을 통해 15명의 전문가 조사를 진행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한 후 과학적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주관성과 감정적인 부분을 배제한 채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전문가 그룹과 상호 작용하면서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로 각각 연계성· 정체성· 안전성· 심미성· 다양성· 접근성· 개방성· 편리성· 공공성의 9가지와 33가지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상술한 항목들을 참고기준으로 해야만 빈집의 장소성을 복구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활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명확한 통계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