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의 방언지역 구분

        강경원(Kyoungwon K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1

        본 연구는 언어지리학적 관점을 견지하면서 우리나라방언지역을 구분하고 각각의 지역에서 쓰이는 고유방언을 파악함으로써 방언지역의 특색을 구명하고자 했다. 이 연구가 언어의 공간적 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같은 의미를 갖는 여러 가지 방언의 거리를 중요시하였다. 이를 위해 '방언의 공간거리'리는 개념을 창의적으로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이 '방언의 공간거리'를 기본 자료로 하여 군집 분석을 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7개의 방언지역을 도출하였다: ① 경기도 ② 강원도 ③ 전라도 ④ 서부경남 ⑤ 경상도 ⑥ 충청도 ⑦ 제주도. 지역별로 달리 쓰이는 방언들을 분석한 결과, 방언지역의 고유정은 제주도가 가장 현저하였고, 그 다음은 전라도와 경상도 순이었다. 경기도, 강원도, 서부경남지역은 그 특색이 덜 두드러졌고, 충청도지역의 고유한 특색이 가장 적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both a dialect boundary and its unique lexico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ifferent variants Korean has from space to space and how many dialect regions Korean has. For this purpose, we propose a new concept of'dialect-space distance'. This concept makes us change from geographical features to numbering. Accepting this concept, we have made Cluster Analysis and derived 7 dialect regions; ① Gyeonggi ② Gangwon ③ Jeolla ④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⑤ Gyeongsang ⑥ Chungcheong ⑦ jeju We conclude that the findings of Cluster Analysis are so different from commonsense everyone knows' First, Gyeonggi boasts biggest power overriding Gangwon and Chungcheong. Second,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is split from Gyeongsang. Third, we can place 7 dialect regions with respect to unique features in dialect lexicon. Jeju is placed first; Jeolla second, Gyeongsang third. Chungcheong bottoms the list, having not so much unique items.

      • KCI등재

        문화 융합 시대에서 지역 방언의 교육 방향

        김영식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In a time when a myriad of cultures interact and change each other, awareness of regional dialects can be a core concept with high expandability. In conventional grammar education, however, the concept of regional dialect was formed in a negative or reduced state due to the contrast with the standard language and social dialect. In addition, the learners could not move on to the level of recognizing the value of other regional dialects and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at, in conventional grammar education they were just expected to be able to recogni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ir regional dialect could be used. As an solution, I suggested that we should develop the learner’s grammar competence to understand and utilize an inherent principles and systems of the regional dialect, especially in grammar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of regional dialects in grammar education and highlight that regional dialects are shared resources of all Korean speakers. Specific contents of the education suggested the following: Providing regional dialects as materials to explain the Korean language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language, providing regional dialects as a phenomenon to explore for communication, and providing regional dialects as a factor of Korean culture for the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s. 무수한 문화가 교류하고 서로를 변화시키는 시대에서 다양한 문화에 대응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지역 방언에 대한 인식은 확장성이 높은 핵심 개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문법 교육에서 지역 방언의 개념은 표준어, 사회 방언과 대비되어 부정적이거나 축소된 상태로 형성되었다. 또한 지역 방언과 관련된 교육 목표나 내용은 학습자가 자기 지역 방언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의 적절성을 인식하게 하는 데 머물러 타 지역 방언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이해하여 활용하는 수준에까지는 나아가게 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 대상으로서 지역 방언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고려해, 특히 문법 교육에서 지역 방언에 내재한 원리와 체계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문법 능력을 기르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방언의 실체에 맞게 그 개념을 정립하고 지역 방언 간의 관계에 더 주목하여 지역 방언이 모든 국어 화자의 공유 자산임을 부각할 필요가 있다. 그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지역 방언에 대한 이해 능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 방언을 국어를 설명하는 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 도구로서 지역 방언의 활용 능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 방언을 이질적이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대상이 아니라 분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말로 다루는 것이다. 또한 지역 방언이 국어 문화를 형성하는 요소로서 기능함을 알고 이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 지역 방언을 다루는 구체적이고 생생한 경험의 기회를 교육 내용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 KCI등재

        지역어의 역할과 현실대응

        이태영 한국문학언어학회 2019 어문론총 Vol.82 No.-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dialect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he role of dialects in the cultural succession of nations, the role of dialects in Korean dictionaries, and the reality of dialects in terms of cultural dialect research. let us examine the problem of the dialect researcher's response to reality. Dialects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he dialects contributed greatly to the literary life of the common people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literacy of the common peop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dialects contributed greatly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our people. the use of local dialects in Korean classic novels has made it possible for a large number of ordinary people to read Korean. Pansori, folk songs, and tales, including dialects, were delivered from mouth to mouth and developed culture. the dialects were used in modern poetry and modern novels to realize realism. in addition, local dialects were used in hand-written books for the common people to read. thus, dialects responded positively to Chinese character culture. Dialect researchers are still using dialects as a supplementary resource in linguistics research. he does not deal with dialects comprehensively, but deals with only a few of the dialects that suit his major. due to standard language-oriented language policies, people's perception of dialects has not changed. fortunately, the local people's perception has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municipality was implemented. the dialect was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culture of the region. in order to respond to reality and to study dialects, they must be connected with local culture. Therefore, a plan for joint research with local governments should be prepared.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includes the concept of a common language that represents Korean. however, the current standard language of Korea is not enough to represent the vocabulary. this is because, above all, precise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dialect vocabulary has not been conducted. it does not reveal what history the dialect vocabulary has, what rules are generated, and how it relates to the standard language. through a deep understanding and study of dialects, the commo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dialects should be found and put into standard language. for this purpose, the singular standard language policy must be changed around the multiple standard language policy. plural common languages should be expanded for the reunification of languages betwee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Koreans. The dialect explanations in Korean dictionaries are very weak. there are few meanings compared to standard word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because it presents various dialects at once. new dialect dictionaries based on precise meaning and use should be established i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se dialect dictionaries, the national standard language should be selected. only in this way can we establish a common language that represents Korean. 이 연구에서는 방언이 국어의 발전에 끼친 역할, 방언이 민족의 문화 계승 발전에 끼친 역할, 국어사전에서 방언이 갖는 역할, 문화적 방언 연구를 살펴보며, 방언이 처한 현실을 살펴본다. 그리고 방언 연구자의 현실대응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언은 국어 발전에 큰 공헌을 하여 왔다. 조선시대 서민들의 문자 생활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일제강점기 서민들의 문맹퇴치에 크게 기여하였다. 방언은 우리 민족의 문화를 계승하면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한글고전소설에서 지역의 방언이 사용되면서 수많은 서민들이 한글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 판소리, 민요, 설화 등에 방언이 사용되어 구비전승되면서 문화를 발전시켰다. 현대시와 현대소설에서 방언이 사용되면서 리얼리즘을 구현하였다. 또한 필사한 책에 지역 방언을 사용하여 서민들이 읽을 수 있도록 하면서 한문이 대부분인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방언 연구자들은 여전히 방언을 국어학 연구의 보조적인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방언을 종합적으로 다루지 않고 자기 전공에 맞는 아주 일부의 방언만을 다루면서 연구하고 있다. 표준어 중심의 언어정책으로 인하여 방언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바뀌지 않고 있다. 다행히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후에 지역민들의 인식이 크게 바뀌었다. 방언을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로 생각하게 된 것이다. 현실에 대응하고 방언 연구가 힘을 가지려면 지역의 문화와 관련을 맺어야 한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연구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표준어의 개념 속에는 한국어를 대표한다는 공통어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표준어는 한국어를 대표하기에는 어휘의 숫자나 의미 파악 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간 방언 어휘에 대한 정밀하고 종합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방언 어휘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규칙으로 생성된 것인지, 표준어의 어휘와 어떤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지 못한 데 있다. 방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연구를 통하여 방언들이 갖는 공통어적 특질을 찾아서 표준어에 넣는 작업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수 표준어 정책을 복수 표준어 정책을 중심으로 반드시 바꾸어야 한다. 남북한과 한민족의 언어 통일을 위하여 복수 공통어를 확대해야 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국어사전에서 방언의 처리는 아주 미약하다. 표준어에 비해 뜻풀이와 해설이 없고, 한꺼번에 지역어를 제시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해당 지역어가 갖는 정밀한 의미와 쓰임을 바탕으로 작성된 새로운 방언사전을 지자체와 협력하여 구축하여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지역의 방언사전을 바탕으로 표준어를 선정하고 국어사전을 작성하여야만 한국어를 대표하는 공통어적인 표준어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문화적 의사소통과 국어교육 ; 지역방언과 국어교육

        김봉국 ( Bong Gook Kim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지역방언`과 `국어교육`이 둘의 관계는 양립하기 어려우며 어떤 때는 대립적인 관계에 놓이기도 한다. 이 글은 이들 둘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국어교육에 있어서 지역방언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그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개념적인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가 집단이나 비전문가 집단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역어, 방언, 사투리`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고 지역방언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어교육에서 지역방언을 국어 사용 기능 중 어느 영역에 활용할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를 논의하였는데, 이를 위해 언어학적 층위인 어휘, 음운, 문법적 층위를 고려하여 각각 이들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그리하여 지역방언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언 어휘와 방언 음운, 방언 문법 등의 구체적인 예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적 특성이 제대로 국어교육에 제대로 반영되어야만 의사소통의 원활성뿐만 아니라 말하기 교육이나 쓰기 교육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It is necessary that reginal dialect as a subject to educate should be flexible. It is because learners expand range of their reginal dialect according to grow 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icient relation made use for reginal diale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ach the goal of this study, it should be examined thoroughly notions as follows: reginal language, dialect, reginal dialect. considering linguistic hierarchy, it is investigated issues as follows; (1) to make use of dialect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2) to make use of dialect phonem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3) to make use of dialect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specialis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to keep their mind on significance of dialect. And they have to do their best to improve Korean language lesson and to attain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충남의 방언지역 구분 - 어휘를 중심으로 -

        강경원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8 문화 역사 지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both a dialect boundary and its unique lexicon of Chungnam Provinc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ifferent variants of Chungnam dialect can be identified from place to place and how many dialect regions of Chungnam can be classified. For this purpose, a new concept of ‘dialect-space distance’ is suggest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change geographical features to quantified data. Accepting this concept, cluster analysis has been applied to the data on dialect-space distance of cities and counties, and as a result, 4 dialect regions of ① Northwest ② Southwest ③ Northeast ④ Southeast have been identified. Meanwhile,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on the data of eup (읍) and myeon (면) has shown two dialect regions of ① West ② Eas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indings of cluster analysis are fail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ontention. First, the East-West difference and the North-South difference are prominent. Second, the East-West difference is evident. Third, the distance from the coast is more important than the impact of mountains and rivers on dialects. 본 연구는 충청남도의 방언지역을 구분하고, 각각의 지역에서 쓰이는 고유 방언을 파악함으로써 어휘의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가 창안한 ‘방언의 공간거리’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① 서북방언 ② 동북방언 ③ 서남방언 ④ 동남방언 등 4 개의 방언지역을 도출하였다. 이로써 남북과 동서 방향의 분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더 상세한 수준으로 방언지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읍·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충남의 방언은 ① 서부방언 ② 동부방언으로 구분함이 타당하였다. 이로써 기존의 주장과는 달리, 어휘의 차이만 고려한다면 차령산맥이나 금강과 같은 지형이 방언지역을 가르는 장벽으로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오히려 해안 지역과 내륙 지역 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방언의 남북 분화는 전라북도와경기도의 방언이 충남지역과 각각 공유하는 부분이 많은 까닭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시·군 지역을 단위로 자료를취급한 결과, 경계선의 정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읍·면 단위까지 다시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를 재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사라져 가는 방언과 그것을 토대로 하는 지역의 특색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좋은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 위기 극복을 위한 방언콘텐츠 계발 방안

        박성호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0 No.-

        스마트 미디어 시대에는 세계의 모든 언어가 대표언어가 될 수 있다. 인터넷과 스마트 폰의 언어 번역은 각 나라의 언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한국어는 ‘국제 언어’라고 분류해도 무방할 정도로 관심도가 높은 언어 중 하나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어, 그중에서도 방언의 특성에 문화콘텐츠를 덧입혀 기획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판단된다. 현재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의 등장으로 지역의 중요성이 커진 사회적 변화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표준어의 하위개념으로 인식되어 위계질서 속에 놓인 방언의 위상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사실 방언이 늘 위계질서 속에 놓인 것만을 아니다. 방언은 중앙 정부가 일괄적으로 통치하던 시기를 벗어나, 지방자치단체가 권한을 갖고 지역의 발전을 위해 정책을 펼치던 때에 그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 하지만 지자체가 지역의 색을 드러내기 위한 도구로만 방언을 활용하는데 그침으로써, 방언이 위상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말았다. 최근에 지역소멸 위기까지 더해지면서, 지역에서 사용하는 방언은 큰 위기에 놓여있다.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방언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가치를 재발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언의 개념을 확인하고 방언이 콘텐츠화 되어 방언콘텐츠로서의 가치를 확보할 수 있는 계발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방언콘텐츠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방언콘텐츠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 방언 교육의 가치와 문법 교육적 수용 방안

        이승왕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effective methods to regional dialects education in curriculums due to the removal of the dialect achievement standard. I will discuss the dialect education process and prove its significance as well as discuss an educational approach to reintroducing it back into the curriculum. Prior to the curriculum being revised in 2009, there were 1∼2 dialect contents for each curriculum that were considered to be as valuable as standard Korean. In many cases dialects are utilized to reveal necessity of standard Korean. Dialect is a form of language according to specific geographical features. There is no doubt that they are valuable but the education for them is different. Dialect can be summed up to four things: to help instruct standard Korean effectively,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understand literacy texts successfully and provide the rationale to grammar. Therefore, confrontational situations between dialects and standard Korean need to improve. There are three access methods to realize the worth of education dialects. The three access methods are language-cultural approach, area integration approach, and practical approach in using Korean. It is important that educate using a new angle into the grammar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에서 지역 방언에 대한 성취기준이 삭제됨에 따라 교육과정 내에서 효과적으로 방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적 수용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문법 교육에서의 지역 방언 교육에 대한 내용의 변화와 교육적 가치를 고찰한 후 지역 방언 교육의 교육적 접근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제4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방언과 관련된 내용은 교육과정별로 1∼2개였으며, 표준어와 지역 방언을 동일한 층위의 언어로 다루는 경우도 있었으나 대체로 표준어 교육의 필요성을 드러내기 위한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지역 방언은 지리적 요인에 의한 언어 변이로 하나의 언어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언어학적 관점에서 지역 방언에 대한 가치를 논의하는 데에는 이견이 없으나 지역 방언 교육은 이와는 관점을 달리한다. 여러 선행 연구와 교육과정의 내용을 통해 지역 방언 교육의 가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표준어 교육에 효과적이다. 둘째,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된다. 셋째, 국어사용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 넷째, 문학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섯째, 문법적 판단이 필요할 때 근거를 제공한다. 언어 체계를 근거로 제공된 문법 지식적 관점을 달리하여 표준어와 지역 방언의 대립관계를 벗어나기 위한 수용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첫째, 언어 문화적 접근, 둘째, 영역 통합적 접근, 셋째, 국어사용 실제적 접근으로 문법 교육적 접근 방안을 달리하여 문법 교육 내에서 수용함으로써 지역 방언 교육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 KCI등재

        소멸위기 언어 보전의 관점에서 본 지역방언 교육의 방향 - 제주방언 말소리 아래아(",")를 중심으로 -

        이철기 ( Cheolki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8 No.-

        국어는 다양한 지역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제주방언을 유네스코는 2010년 9월에 심각한 소멸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하였다. 제주방언에는 독특한 단모음 아래아(‘·’)가 존재하는데, 이는 내륙방언에서 16-18세기에 걸쳐소멸된 ‘·’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현재 ‘·’를 발음할 수 있는 제주방언화자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고 이내 소멸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이 논문은 문법교육에서 지역방언을 다룰 때 제주방언 아래아(‘·’)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두 가지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통시적 접근법으로 내륙방언에서 16세기부터 소멸되기 시작한 ‘·’와 관련짓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공시적 접근법으로 ‘·’를 포함하는 제주방언의 단모음 체계를 현대국어의 단모음체계와 관련짓는 방법이다. 제주방언의 아래아(‘·’)는 학습자가 언어의 생명력과 가변성을 인식할 수 있고, 지역방언의 가치와 언어 다양성의 이점을 인식할 수 있으며, 언어 소멸 현상에 대해 학습자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소재라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 제주방언 아래아(‘·’)가 문법교육에서 유의미하게 활용됨으로써 국어 학습자들이 지역방언의 가치를 깨닫고 그것의 소멸위기 상황에 경각심을 갖게 되기를 바란다. Korean language consists of various dialects. Among them, Jeju dialect was earmarked for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by UNESCO in Sept. 2010. Jeju dialect has a unique monophthong named ‘Are-a’(·) which is bound up with a monophthong of the middle Korean. The number of speakers who can pronounce Are-a(·) are rapidly decreasing recently and it will become extinct in the near future. In this paper, I suggested two ways how to use the Are-a(·) of Jeju dialect in korean grammar education. One is how to relate to Are-a(·) which already had disappeared in 16th century. The other is how to relate to a single vowel system of Modern Korean Through the ways above-mentioned, I expected Korean Learners to get to know the value of regional dialect and to have caution about the endangered dialects.

      • KCI등재

        특집 논문 : 사회언어학의 이론으로 본 지역 인구 변동과 지역어 변화의 관련성

        오새내 ( Sae Nae Oh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본고의 목적은 지역 인구의 변동이 지역어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하는지 소개하고 20세기에 인구 변동과 경제적, 사회적 구조 변화를 겪은 한국 사회에서 사용되는 현대 한국어에도 인구 변동을 고려한 사회언어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자는 제안을 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지역은 고정되고 전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인식되지만 실제로 지역 구성원들은 이동성을 지닌 존재이며 지역은 지역 구성원들의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지닌다. 전통적인 방언학에서는 이동 경험이 없는 고령의 1차 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현재 한국은 1차 산업이 쇠퇴하고 20세기 후반 산업화 사회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노년층에 진입하고 있다. 사회언어학은 변화하는 지역어 사용 환경에서 지역어 연구의 대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인구 집중에 의한 언어 접촉 상황에서의 방언변화 유형론을 소개하고, 표준어와 방언이 공존하는 현실을 반영한 지역어 연구 이론도 다루었다. 그리고 지역 인구 감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방언 소멸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비도시지역 인구과소화에 주목하여 방언 사용자의 감소와 표준어 또는 다른 방언의 영향으로 인한 방언사용 축소로 인한 지역어 변화 가능성도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introducing the sociolinguistic approach to relationship among regional population change and dialect change. In the late 20th century Korean situation has undergone population growth and social change that effects Korean dialec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pproach of sociolinguistic method to Korean dialectology. Generally it has been recognizes that region is stable and stereotyped and dialect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region. However population has dynamic phenomenon. Regional features are diverse and heterogeneous. Traditional dialectology collected data informants who non-mobile and rural elderly people. Nowadays primary industry is decreasing and people was born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rrives at senescence. Sociolinguistic approach is an alternative research in a changing environment. This article proposes to study focused sociology of population, mobility and population decreasing in Korean rural community.

      • KCI등재

        전북 ·충남 접경 지역어의 움라우트 현상 -완주·논산지역어를 중심으로-

        이현주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2

        This paper aims to describe Umlaut in Jeonbuk Wanju Dialect and Chungnam Nonsan Dialect, and makes a comparison between two dialects. In the previous generation, Umlaut in Wanju Dialect was lively like other Southern dialects in Korea, but lately appears to be weakening. Umlaut in Nonsan Dialect and Geumsan Dialect, meanwhile, were lively compared with other Southern dialects in Chungnam, but currently Umlaut in Nonsan Dialect has lost strength, so that is approaching adjacent dialects in Chungnam. To conclude, while Umlaut in Wanju Dialect has decreased but still appears in some degree, Umlaut in Nonsan Dialect is nearly being lost. 이 논문은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의 경계에 있는 두 지역어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어에서 일어나는 움라우트 현상을 정밀하게 기술하고, 전북방언과 충남방언의비교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충남방언을 다룬 기존 논의에서는 충남의 남부 지역중에서도 금산과 논산을 전북방언의 영향이 짙은 지역으로 한데 묶어서 논의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충남의 남부 지역이 어떻게, 어느 정도 전북과 가까운지는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완주지역어의 움라우트 현상은 이전 세대에는 다른남부방언과 마찬가지로 활발하였는데, 최근에 그 세력이 상당히 약화되어 여전히활발한 움라우트 실현형을 보이고 있는 남부방언과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알 수 있었다. 논산과 금산은 충청남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다른 지역어에 비해움라우트 현상이 활발한 편이었지만 현재 그 세력이 거의 소멸되어 논산지역어는 인접한 전북방언, 즉 완주지역어에 가깝기보다는 인접한 충남의 지역어들과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완주지역어와 논산지역어의 움라우트 양상을 비교해 보았을 때, 완주지역어는 움라우트 현상이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어느 정도 실현이 되고 있는 반면, 논산지역어에서 움라우트 현상은 현재 거의 소멸되어 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