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강원지역 궁방전의 농업경영

        박성준 강원사학회 2020 江原史學 Vol.0 No.35

        삼남지역을 넘어선 조선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농업발전의 일반성을 추출하기 위해 지금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강원지역의 농업경영을 궁방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강원지역에 형성되었던 궁방전의 비중은 함경도 다음으로 가장낮을 만큼 왕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이후 궁방전의 비중이증가했다. 강원지역에 궁방의 관심이 높아지고, 장토의 비중이 증가했다는 것은그만큼 경제적 이익이 보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원지역 궁방전의 농업경영은 삼남지역 사적 지주와 비슷했다. 궁방은 강원지역에서 답 중심으로 토지를 매득·개간하며 집적했다. 경영방식에서 답은 타조, 전은도조를 선호했다. 궁방은 부재지주였지만 일반 재지지주처럼 현지에 마름을 두고장토를 관리하면서 타조방식을 선호했으며, 도조는 자연재해를 입은 답을 안정된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보조적 장치로 활용했다. 타조로 경영한 답에서 궁방은 결세를, 작인은 종자를 부담했다. 궁방이 半種子를 지급한 경우에는 작인이 결세를 부담했다. 도조로 경영한 전답은 작인이 결세와 종자를 모두 부담했다. 타조로 경영한답에서는 草價를 따로 징수하기도 했다. 궁방이 강원지역 답에서 징수한 지대량은 삼남지역 사적 지주의 지대량에 비해서는 약간 낮은 수준이었지만 동일한 궁방이 삼남지역 답에서 징수한 지대량보다는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전의 지대량은 삼남지역의 사적 지주가 징수한 지대량과비슷한 수준이었다. 일반적으로 강원지역은 산간지역이라 농업이 삼남지역에 비해 덜 발달한 것으로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강원지역의 농업경영 양상과 전답의 두락당 지대량은 삼남지역과 큰 차이가 없이 비슷했다. 그리고 극심한 자연재해가 들어도 지대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이 아니라 다음 해에 이를 극복하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강원지역의 농업은 자연재해를 겪어도 다음 해에 정상적으로 경작할 수 있는 생산력 기반을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조선의 농업생산력은 전국적으로 발전되어 삼남지역과 강원지역이 비슷한 수준을 이루고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Royal Household Land formed in Gangwon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has not received the attention of Royal Family to the lowest point after Hamkyoung Province. However,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importance of Royal Household Land increased as Myeongnye Palace, Gyeongseon Palace, and Yeongchin Royal Palace became to be interested in Gangwon area. What the interest of Gungbang in Gangwon area becomes high and the importance of farmland increased means that the economic profit has been guaranteed as much as that. The agricultural management of Royal Household Land in Gangwon area was similar to the agricultural management of private landowner of three southern provinces. The Gungbang accumulated the land with the field as the center in Gangwon area. The field preferred the system paying the half (50%) of crop, the paddy preferred the system paying the determined amount in the landowner management. The Gungbang bore the land tax, the tenant farmer bore the seed in the field managed by the system paying the half of crop. In case the Gungbang paid the half seed, the tenant farmer bore the land tax. In paddies and fields managed by the system paying the determined amount, the tenant farmer bore the land tax and seed all. The tax items shall be collected separately in the field managed by the system paying the half (50%) of crop. The amount of ground rent that Gungbang collects in the field of Gangwon area is a little bit higher than the amount of ground rent that Gungbang collects in the field of three southern provinces. The amount of ground rent of paddyis similar to the amount of ground rent that the private landowner collects. The aspect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the amount of ground rent by the amount of seed of paddy and field are similar to those of three southern provinces. The agriculture in Gangwon area didn’t continue to decline in the amount of ground rent even though there is the severe natural disaster, it has the productive base to overcome it the following year and recover to the previous level.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Joseon at the end of 19th and early 20th century was developed nationwide, three southern provinces and Gangwon area were at a similar level.

      • 지역축제 경영 활성화 전략 방안 연구 : 외국축제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신은경 한국음악응용학회 2010 음악응용연구 Vol.3 No.-

        이 논문은 실추된 지역축제 이미지 회복과 축제경영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성공한 외국축제 사례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운영방법 연구 및 이를 지방자체단체가 개최하는 지역축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성공적인 축제경영 운영사례로서 세계적인 축제인 아비뇽 페스티벌, 니스 카니발, 망똥 레몬 축제, 에딘버러 군악대 축제, 에딘버러 프린지 축제,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등을 살펴보았다.이러한 축제들을 통해 살펴본 바로는 성공적인 외국 지역축제들은 각기 지역발전의 의미로서 나름의 구조를 지닌 채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역할과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성공적인 외국축제의 운영사례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현재 처해 있는 축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지역축제 경영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전략적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축제경영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며 둘째, 특화된 축제프로그램개발을 함으로 서 축제프로그램연구개발과 특화된 축제 소재의 개발이 따라야겠으며 셋째, 홍보와 마케팅전략 넷째, 축제참가자 만족도 제고 다섯째, 축제전문평가단 구성이 따라야겠다.이 논문은 축제경영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성공적인 외국축제 운영사례를 통하여 실무적 차원에서 지역축제 활성화의 기반으로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새로이 정립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처해 있는 문제점들에서 발견한 여러 사항들을 극복하고 지역 축제경영의 새로운 방안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전략을 보완.발전 시켜 나간다면 지역축제 활성화와 더불어 지역정체성의 확립, 지역민의 화합, 지역경제 및 국가관광자원의 개발.발전에도 이바지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한국 지역신문 경영 구조 분석 및 개선 모델 연구

        이진로 한국언론학회 2002 한국언론학보 Vol.46 No.2

        지역신문은 지역의 정치적, 경제적 발전을 위한 공개장역할을 수행하고, 지역간 균형발전을 추구하는 화해의 매체로 역할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각에서 지역신문이 현실적으로 직면한 경영 구조를 분석하고 개선 모델을 제시했다. 지역신문의 구조적 문제는 자본과 매출액의 영세성, 경영의 비전문성, 보도 내용의 신뢰성 부족 그리고 판매의 비효율성 등이다. 이러한 문제는 경영의 악순환에서 주요한 고리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조건 하에서 지역신문은 우수한 기자를 확보하여 경쟁력 있는 지역 정보를 게재하지 못한 결과 지역 시민이 지역신문 보다는 전국신문을 선호하게 만들어 지역 내에서조차 소기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따라서 지역신문은 과감한 구조조정과 우수 인력 확보, 경영의 전문성 제고 및 판매 합리화 등을 통해 적어도 지역 내에서는 지역시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역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데 최우선을 두어야 한다. 이와 함께 인터넷의 등장 이후 요구되는 지역신문의 구체적 대응방안으로는 다음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자본과 매출액의 영세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지역신문과 지역의 인터넷 정보 제공 기업 또는 전자상거래 기업과 인수 합병 (M&A)을 통해 자본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익모델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영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신문 종사자의 미디어 환경변화에 대한 인식과 경영의식 제고를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미디어 경영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신문 내용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지역신문은 지역사회에 중요하다고 평가되는 정보를, 언론인의 시각에서 발굴, 가공하여 제공해야 한다. 넷째, 판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독에 의한 신문판매수입의 감소에 대처하고 편의점이나 대규모 할인점 등 새로운 유통망을 확보하고, 기존의 대리점 또는 공동판매 대리점을 지역신문 사이트의 전자상거래를 통해 판매된 물품을 배달하는 창구로 이용하는 등 다각적인 활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농업협동조합의 지배구조와 성과의 관계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이갑두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4 지역산업연구 Vol.37 No.4

        The purposes of this paper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governance, especiallycharacteristics of ownership structure and executive structure, and performance in regionalagricultural cooperative in Kyungnam Prefecture, Korea. According to empirical study, first, the number of partnership including semi-partnership has apositive relation with performance. This result mean that the representativeness of partnership has a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Second, The number of board of executive has a positiverelation with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efforts of s to incorporate needs of cooperatives’members into policies have a very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Third,additional job of CEO and chairman of board has no causual relation with performance. This resultmeans that independence of CEO has no impaction on performance. Fourth, the outside directors donot have any impact on the firm value. The outside director system is a relatively new in agriculturalcooperative and it does not seem to be utilized actively by the firms so far. The measures to overcome the problems present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the valuesand identity of the cooperative should be established. As organizations are more differentiated underthe reorganization of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dentity to practicethe values and principles of the cooperative. Second,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cooperativetaking members of cooperative the most important should be created. Even differentiated subsidiaryunder the reorganization of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should take the intention of themembers of the cooperative. Third, the principles of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the cooperativeshould be restored. When the government support cooperatives, it should not compromise theprinciples of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the cooperative. Fourth, articles of incorporation asautonomy laws of the cooperative must regain autonomy. While the law only govern necessary part,detailed provisions be delegated to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executeco-prosperity of the cooperatives sector and cooperation between cooperatives. 본 연구는 지역농협의 경영혁신의 핵심은 합리적이고 투명한 지배구조의 형성에 있다는 전제하에 소유구조와 이사회 구조를 중심으로 지역농협의 지배구조와 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소유구조와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조합원(준조합원 포함)의 규모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지역농협은 조합원(준조합원 포함)수를 확대하여 사업이용량을 늘리는 것이 지역농협의 경영성과를 개선하는 바람직한 길이다. 둘째, 지역농협은 조합원의적극적인 경영과 사업 참여가 있어야 그 존재의 의미가 있다. 셋째, 이사회 구조와 경영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사회 규모는 클수록 종합경영평가점수가 높아 긍정적인 효과를 주므로 많은 이사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조합장의 이사장과 최고경영자 겸직이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지역농협 이사회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사회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경영자의 통제보다는 경영자의 지원역할에 충실하고 있기 때문으로 짐작할 수 있다. 다섯째, 지역농협의 상임이사제의 도입은 상임이사제가 지역농협의 필요성에 따라 도입되었다기보다는 정부의 시책, 사회적인 분위 등에휩싸여 정책적으로 도입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조직의 통제와 관리측면에서 기존의 전무제도가 지역농협의 실정상 더 유익하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사외이사제의 취지는 사외이사가 이사회와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전문성을 겸비한 외부전문가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이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 KCI등재

        지방경영행정에 있어서 지역경제지원 측면에 관한 실증분석

        장인봉(張仁鳳) 경인행정학회 2002 한국정책연구 Vol.2 No.1

        세계화, 지방화, 민주화의 물결이 심화될수록 지역의 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의 근간을 이루는 현시점에서 지역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방자치단체운영의 경영화는 우리나라 지방자치제의 정착ㆍ발전을 위한 중대한 과제중의 하나라 하겠다. 즉, 지방자치의 실시가 지역주민들의 행정수요에 대응하고 복지수준을 제고하는데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운영과정에서 지역의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결집하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지원체제를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구축하는 것이 요구되며, 행정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이러한 요구가 자치경영체제의 구축으로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 하에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과 지방의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방경영행정 추진실태 특히, 지역경제지원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발전적인 지역경제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함의를 도출해 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지역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자치경영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경영행정의 목표와 필요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 혁신적 리더십의 확보와 경영마인드의 제고, 계획ㆍ예산ㆍ투자ㆍ회계의 조화모형 정착, 수요중심 공공서비스 공급체제 구축, 지역총력생산체제의 구축 등이 요구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경기도 소기업ㆍ소상공인의 경영성과 분석 및 시사점

        남주하,김주영,이순재,허지은,황상연 경기연구원 2009 위탁연구 Vol.200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내 소기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30개 도소매, 서비스업종(표준산업분류 4자리 기준)에 대해 주요경영성과 및 2001년과 2005년사이의 시점간 경영성과의 구조변화를 분석하여 경기도의 지역경제 발전을 워한 정책자료로 활용하고, 나아가 잠재 창업자들에게 창업 정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업종별 분석뿐만아니라 경기도내 소재 31개의 시, 군별(44개의 시, 군, 구별 분석 포함)로 나뉘어 지역별 및 시점별로 소기업, 소상공인의 경영성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통계청에서 실시한 「2001 도소매업 및 서비스총조사보고서」와 「2005 서비스총조사보고서」의 데이터를 사용한 정기도의 소기업,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와 구조변화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에 소재한 소기업, 소상공인의 업체수, 종업원수, 매출액, 사업경비, 영업이익 등 주요경제지표의 비중(합계기준)은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중에서 17%~19%로서 서울시 다음인 2위를 기록하고 있어 경기도의 지역경제가 국민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둘째, 경기도내 소재 소기업, 소상공인 전체의 4년간 구조변화를 종합적(합계)으로 살펴보면, 사업체수(16.75%), 종업원수(20.74%), 매출액(53.04%) 등에서는 상당한 성장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매출원가(55.89%)와 판매관리비(124.54%)도 크게 증가하여 영업이익은 24.25% 증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 업체당평균개념을 사용한 경기도내 31개 시, 군별 경영성과 구조변화분석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성장성은 어느정도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익성의 개선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먼저 지역별 업체당평균 매출액의 31개 시, 군 전체 평균증가율은 31.08%에 달해 경기도 소재 도소매, 서비스업의 소기업, 소상공인들은 4년동안 어느정도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업체당 평균고용인원은 경기도 전체평균증가율이 3.42%에 달하고, 영업이익의 증가율이 6.42%에 달해 고용창출과 수익성의 개선은 미미한 수준에 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001년과 2005년의 30개 업종별내 순위를 이용한 상관분석에서 업종별 매출액, 업종별 고용, 업종별 영업이익 모두 상관계수가 0.97로서 대부분 순위가 2005년에도 2001년과 비슷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업종내에서는 4년간 증가율의 차이는 있지만 업종내에서의 순위의 변동은 미미하여 장기간에 걸쳐서도 순위가 비슷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지역별 순위를 이용한 상관분석에 의하면 지역별 매출액, 지역별 고용, 지역별 영업이익의 상관계수가 각각 0.839, 0.844, 0.623으로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2001년의 지역내 순위가 상당 부분 2005년에도 유지되지만 업종별 분석에 비해서는 변동이 심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경기도내 소기업, 소상공인의 발전을 위해 몇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찾을수가 있다. 첫째 창업정보를 파악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창업은 실패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실패확율을 줄이기위해서는 지역별, 업종별 경영성과의 분석결과가 중요하고 또한 구조변화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2005년기준 지역별, 업종별 분석에서 업종평균 영업이익 순위와 업종별 순위가 상위에 있으면서 2001년에 비해 증가율도 높은 지역과 업종을 선택한다면 창업의 성공확율을 높일 수 있다. 31개 지역과 30개 업종 등 전체 930개 지역별, 업종별분석에서 30위내에 위치한 영업이익의 증가율(2001년과 2005년 사이)을 분석한 결과중에서 2005년기준 영업이익지수가 높은 시군에 위치한 업종이면서 2001년에 비해 증가율이 높은 업종에 창업을 한다면 그만큼 성공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예를들어 의왕시의 재생용 재료 및 기타 산업용 중간재 도매업과 그와 기타 분류 안된 서비스업, 과천시의 재생용 재료 및 기타 산업용 중간재 도매업과 그외 기타 분류안된 서비스업, 양평군의 기타 기계 및 장비 도매업, 구려시의 재생용 재료 및 기타 산업용 중간재 도매업, 김포시의 비가공 식품 도매업, 연천군의 가전제품, 악기, 음반 및 통신기기 소매업, 양평군의 비가공 식품 도매업, 포천시의 기타 기계 및 장비 도매업 등은 영업이익의 증가가 높은 지역이면서 2005년에 수익성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창업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지역정제의 취약성은 고용기회가 적다는 것이며, 지방정부는 고용창출을 위해서 방향성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려한 고용창출을 위한 방향성은 업체당평균 고용인원의 증가율이 높은 지역과 업종에 지원한다면 고용확대효과를 그만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과천시의 그외 기타 분류안된 서비스업과 재생용 재료 및 기타 산업용 중간재 도매업, 의왕시의 관광 숙박시설 운영업, 이천시의 비가공 식품 도매업, 의왕시의 기타 기계 및 장비 도매업, 연천군의 기타 기계 및 장비 도매업, 오산시의 보육 시설, 가평군의 기타 기계 및 장비 도매업 등은 2005년도 업체당 평균고용인원도 높으면서 고용지수의 증가율도 높은 지역 및 업종으로 나타나 고용확대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의 고용안정을 위해서는 930개 업종별, 지역별 고용지수분석결과를 참고하여 시, 군별로 고용효과가 높은 업종과 낮은 업종을 구분하여 정책적으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본연구의 결과는 정기도내 지역정제 불균형을 해소하는 정책적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특정 시 또는 군에 한정된 예산으로 발전을 극대회하기위해서는 그 시 또는 군에 속한 업종중에서 가장 성장이 높은 업종에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대로 경영상황이 어려운 업종을 지원해 경제적 불균형을 축소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그 지역내에서 경영상황이 어려운 업종에 지원을 한다면 소기의 목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전체 930개 지역별, 업종별 분석결과중에서 상, 하위에 위치한 지역과 업종을 고려하여 성장성의 차이가 큰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려한 격차를 고려하여 지역불균형완화 정책을 펴는 것이 한정된 재원하에서 경제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economic performance of small enterprises in 30 major industries arrong retail & wholesale and service sectors as well as the structural changes of economic performance between 2001 and 2005.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be helpful to develop the province's regional economy and further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potential new business start-ups. This research analyzed business achievements of the small enterprises in the province by business type and compared the achievements by region after classification into 31 cities and guns (counties). Using the '2001 Overall Survey Report on Retail & Wholesale and Service Businesses' and '2005 Overall Survey Report on Service Businesses'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conomic performance and structural change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major economic indicators, number of companies and employees, sales, business expenses, operating profits, etc. of the small enterprises (based on the total) ranked second only to Seoul with 17-19% among 16 provinces. This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regional economy of Gyeonggi-do plays important role to determine the national economy. Second, the analysis comprehensively studied the management structural changes in the small enterprises during the past four years and found there was considerable growth in the number of companies (16.75%), number of employees (20.74%), and sales (53.04%). Since sales costs (55.89%) and sales management expenses (124.54%)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rofitability improved with a 24.25% increase in operating profit.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of management achievements and structural changes for the 31 cities and counties in terms of per-capita, there were increases in growth, however, the growth of profitability is relatively low. The per-capita average sales growth of all companies in the 31 cities and counties was 31.08%, verifying that the four years of growth of the province's small enterprises in retail & wholesale and service businesses was significant. However, as the average employment rate and operating profit per company reached 3.42% and 6.42%, respectively, it was analyzed that profitability has also improved over the past four years but they are relatively low compare to the growth of GDP. From these results, we can deriv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he small enterprises. First, successful business start-up factors can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Since business start-ups, in general, have a high possibility of failure, analyses of management performance by region and business type are important to reducing the failure probability rate and understanding the degree of structural changes is important as well. The success probability rate of business start-ups can be improved if those regions and business types, which achieved higher growth in 2005 compared with 2001 while being at the upper level in the ranking for average operating profit among business types in the analysis by region and business type, were used as benchmarks. Second, it was fomd that a vulnerability of the regional economy is that there are fewer employment opportunities. To create employment, therefore, regional governments need policy support that is appropriately directed. Directed support for employment creation would enhance the employment expansion effect if support were provided to those regions and business types where an increase in the average employment rate per company is correlated to greater profitability. Thir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also be utilized as policy data to resolve imbalances in Gyeonggi-do's regional economy. For example, to maximize development with limited budget for specific cities and counties, it is necessary to intensively support business types that have the highest growth potential

      • KCI등재

        일본 지역방송의 지역성 강화를 통한 지역방송 활성화 사례 연구 : 일본 지역민방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환 한국지역언론학회 2017 언론과학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evitalization ways with respect to local broadcasting system on the decline by analyzing the barriers to its revitaliz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research reviews current changes in the local broadcasting sector and analyze local broadcast content business in Japan. Local broadcasting have a common understanding about community-based services. However, program of local broadcasting has a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in general. Firms with lower local program rations and per capita production cost have created values. The conclusions drawn which could be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are the followings: First,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pursue unrelated diversification in various industrial areas, in order to gain maximum profit. Second, The scale of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ffects positively to diversification. Third, localism contributes to obtain of successful outcome. 일본 지역방송에 있어서도 지역성은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경향이다. 지역방송의 경영합리화라는 명목으로 지역 프로그램의 제작비를 줄이고 제작 인력을 감소시키는 경영 관행이 일반화되면서 지역방송의 인력 채용도 줄었다. 하지만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 일본의 지역방송은 지역성 강화를 내걸고 방송 외 사업을 지역 프로그램 제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송사들이 늘고 있다. 지역방송의 지역성 강화를 위한 경영전략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크게 2가지다. 첫째는 대규모 제작비를 투입해 자체제작비율도 높여 대규모 수익을 얻고자 하는 사업자들로 이들은 해당 방송권역 내의 인구규모나 소득수준 등의 측면에서 규모의 경제 실현이 가능한 광역도시권에 속한 방송사들이 선택하는 사업확대모델이다. 둘째는 제작비, 인건비 축소로 경영합리화를 도모하는 사업축소모델로 대다수의 소규모 지역방송사업자들이 채택한 방식이다. 일본의 지역 지상파방송사들은 지역과 연계된 스포츠 이벤트, 지역 프로그램의 공동 유통, 지역 프로그램을 활용한 비방송 부문의 사업 강화, 지역 프로그램의 해외 유통을 통한 지역 활성화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지역방송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지역방송은 광역화, 전파료, 재송신 요금 인상, 광고 연계판매 비율 재조정을 통해 지역방송의 활로를 찾고 있다. 향후 국내 지역방송들도 지역방송 재원 확보를 통한 방안과 더불어 일본처럼 지역방송이 지역성과 연계한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지역 프로그램의 유통 강화와 비방송 부문의 연계 사업 강화를 추진하는 자체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경영전략 방안연구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김종원 한국경영교육학회 2008 경영교육연구 Vol.50 No.-

        Every yea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funding for culture business in regional areas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funding is provided in hopes of revitalizing regional areas economy through cultural business activities and in turn, will advance and benefit the nation. It is through this investment that regional festivals are funded. The purpose of the regional festivals are to showcase that regions identity, provide tourism merchandise, and to revitalize that regions economy. Yet, most festivals are unable to show success in these areas.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facing regional festivals, research was conducted on festivals from Korea as well as around the world, and analysis on the different problems. This research found six solutions for the improvement of regional festivals in the areas of: redefining the area's identity through the programming of the festival, increasing the advertising of the festival, creating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discours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estival, finding local businesses for regional merchandise development and sales, creating a network and education with the city and community for the creation of a festival management specialist, and creating research groups and specific checklists for the research of the festival. 정부는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문화산업 발전과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문화산업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의 문화산업에 대한 지원을 매년 늘여나가고 있다. 특히 본격적인 문화의 지방분권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역 축제를 통한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문화관광상품의 개발을 통한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지자체와 지역민은 다양한 축제들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축제프로그램의 획일화와 문화산업 경영의 전문성 부족 등으로 인하여 축제운영과 축제를 통한 지역민의 화합과 지역경제 살리기에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발전적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축제경영의 현황과 분석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축제경영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연구하였고, 문화산업으로의 지역축제 경영발전 방안에 대하여 6가지 전략을 제안한다. 1) 축제프로그램 연구개발을 통한 축제의 정체성, 차별화 전략. 2) 축제관련 이슈들을 개발하고 시기별로 미디어매체를 활용한 홍보전략. 3) 축제가 축제기간에 끝나지 않고 On-Line으로 지속성을 가진 축제전략. 4) 지역 내의 기업들과 연계하여 축제지역 상품개발과 축제경영 지원확대 전략. 5) 지자체, 교육기관, 상공인단체, 예술단체, 기업 등이 연합하여 축제발전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축제경영 전문가를 양성시키는 전략과 6) 협력네트워크의 또 다른 기능과 역할로서 축제의 전문평가단을 구성하여 올바른 축제문화를 정립하고, 정확한 관찰과 평가를 통해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별도로 평가에 대한 평가단위별로 항목별을 구분하여 평가서를 첨부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략적 지역마케팅에 관한 연구

        김항석(Kim, Hang Seok) 글로벌경영학회 2008 글로벌경영학회지 Vol.5 No.1

        21세기 세계화․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지역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은 지역정체성(Identity) 확립과 새로운 발전전략이 추진돼야한다. 지역 마케팅은 세계화․지방화의 큰 흐름 속에서 지역간 생존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개별지역이 생존․발전하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 공공부문에 기업가 적인 경영 마인드를 도입 활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략적 지역 마케팅은 전략적 경영(strategic management) 기법을 지역 마케팅에 적용하여 지역발전을 효율화 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역간에 경쟁체제가 본격화됨에 따라 지역마케팅의 핵심은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매력적인 지역정체성을 창출하는 것으로 모아지고 있다. 따라서 지역은 전략적 경영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차별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고자 지역의 자 산을 브랜드화 하여 지역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o to expose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through the strategic marketing on local areas. Under the local self government, a local area have recently been regarded very effective means of developing local economies and increasing awareness in those areas.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local development strategy of these areas. Today, the projected image of a city may play a greater role than its reality in shaping the views of visitors, investors, and, even, residents. High pressure marketing and sales techniques are frequently used to help troubled cities in their transition to post-industrial centers of tourism, culture and reinvestment. Yet for all the slick professionalism, none of this in new. Selling Places details the successive waves of how places have been sold and marked as attractive locations for resorts, residential areas, and cultural and business centers over the past 150 years in Europe. From studies of cities and nations throughout the world, so many places have fallen on hard times, and make recommendations on what can be done to revitalize a place s economy. The hidden key to vigorous economic development, the authors argus, is strategic marketing of places by rebuilding infrastructure, creating a skilled labor force, stimulating local business entrepreneurship and expansion, developing stro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identifying and attracting place compatible companies and industries, creating distinctive local attractions, building a service-friendly culture, and promoting these advantages effectively. Strategic marketing of places requires a deep understanding of how place buyers tourists, new residents, factories, corporate headquarters, investors make their place decisions. With this understanding, place sellers economic development agencies, tourist promotion agencies, mayor s offices can take the necessary steps to compete aggressively for place buy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to establish effective the strategic local marke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