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 사용 경험 요소와 지속적 사용 의도의 관련성 연구 -전동칫솔을 연구대상으로-

        장지파,고정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경험경제 시대에 제품의 핵심 가치는 단순한 기능과 조형에서 제품 사용자 경험(PUX)으로 옮겨갔다. 제품의 경험 만족도는 지속사용성을 높여 기업 제품의 시장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존연구는 PUX와 제품의 지속사용성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과 검토가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 편의 제품인 전동칫솔의 PUX와 지속적 사용 의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PUX 요소, 경험 만족도 변화와 지속적 사용 의도 간의 연관 경로를 설정하고 조사와 분석,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은 1)“제품 특징 및 시장 현황 조사”, 2)“사용자 조사와 PUX요소 도출”, 3)“설문 조사 및 경로 분석 방법을 이용한 PUX 요소-지속적 사용 의도의 연관성 분석”, 4)“분석결과 도출” 4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토대로 제품 지속사용성에 포함된 “현 보유 제품의지속사용성”, “동일 모델의 지속사용성”과 “동종 제품의 지속사용성”은 각각 PUX 요소 집단 “만족성, 효율성과 사용 편의성”, “만족성, 브랜드 신뢰성, 구매 경제성과 사용 경제성”과 “효율성, 조작 간편성, 안전성, 브랜드 신뢰성”에 직접적 영향을 받고, 경험 만족도 변화를 통해서 PUX 요소 “만족성, 기능성, 보관성, 위생 유지성, 구매 경제성과 사용 경제성”에 간접적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알게 되었다. 연구결과는 기업에서 전동칫솔과 유사한 제품을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연구방법은 향후 다른 제품의 지속사용성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속 사용 행동이 실 사용량에 끼치는 영향

        최훈(Hun Choi),유성열(Sungyeol Yu)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

        정보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사용을 계속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하는 것보다 기존 사용자를 지속시키는 것은 기업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정보 기술과 관련한 연구들은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따라서 기존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웹 사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웹의 지속적 사용을 위한 지속 사용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지속 사용 행동이 실제 사용량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웹의 지속적 사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발굴하였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후 기대인 사후 유용성, 사후 사용 편의성, 사후 즐거움, 사후 지각된 가치가 사용자의 만족, 사용 지속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끼쳤으며, 사용자의 사용지속의도 역시 모바일 웹의 실 사용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 결과와 더불어, 만족과 사용 지속의도에 중요하게 끼치는 영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 만족과 사용 지속의도를 높이는 전략이 서로 다르게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의 한계점과 실증적 시사점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Since the current mobile web market is already in its maturity, a research concerning the continued behavior of mobile Internet users should be carried ou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user's continued behaviors by theoretically constructing and empirically testing a continued model using real usage data. The model consists of four post-expectation factors (usefulness, ease of use, enjoyment, and perceived value) as well as user satisfaction, continuance intention, and the actual usage amount. To test the model, an on-line survey had been conducted, and we collected the actual usage data of survey respondents via the support of telecommunication companie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ost expectation variables were found to influence satisfaction, continuance intention, and actual usage amount of mobile web users. This paper ends with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n mobile web industry.

      • KCI등재

        해군 장비정비정보시스템의 지속 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강동덕,백승령,이문걸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해군 및 해병대에서 사용 중인 장비정비정보시스템의 지속 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고, 영향요인과 지속 사용과의 관계에서 IT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또한 지속 사용이 조직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통합기술수용이론에서 사용의도(사용)의 선행요인으로 제시되었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를 지속 사용의 영향요인으로 가설화하였으며, 이러한 선행요인과 지속 사용의 관계에서 IT리더십이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가설을 모형화하였다. 해군 장비정비정보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해병대 장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유용성,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정보시스템 지속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장병들의 시스템 지속 사용도 과업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과는 달리, IT리더십은 지각된 유용성, 주관적 규범과 지속 사용 사이에서만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통합기술수용이론을 바탕으로 지속 사용의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IT에 대한 상사의 리더십이 이들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정보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 관리자들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실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continuous use of the N-DELIIS, which used as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n ROK Navy and Marine Corps and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 of IT leadership in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s and continuous use.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ntinuous use on task performance of IT users. Our study hypothesized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hich presented as preceding factors of intention to use of IT(or IT use) on UTUAT, have influence on continuous use of the N-DELIIS. This study also includes hypotheses which address the positive moderating role of IT leadership in the main effects. Survey result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ve positive impact on the continuous use of the N-DELIIS. Unexpectedly, IT leadership has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s and continuous use of the system.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사용자 요구 기반 지속 가능한 포장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스킨 케어 제품을 중심으로 -

        전연매,장중식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5

        국제적으로 환경 보호가 심화됨에 따라 소비자는 포장의 친환경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계속 높이고 제품의 환경 보호 특성은 점차 중요한 선택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지속 가능한 포장 디자인은 사용자의 요구에 완전히 초점을 맞추지 않았으며 진정한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녹색 포장에 대한 사용자의실제 요구를 재검토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는 환경 보호 개념을 대중화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 경험과 환경 보호에 대한 참여감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Kano 모델을 사용하여 설문지를 설계하고 사용자 요구를 추출한 후 사용자 요구의 우선순위를 식별하고 사용자 요구를 지속 가능한 스킨케어 제품 포장의 디자인 요소로 변환하여 지속 가능한 스킨케어 제품 포장의 디자인 및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한 데이터 지원 및 디자인 전략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속 가능한 스킨케어 제품의 포장 디자인에 소형 휴대용 디자인을 통합하고 포장에 재료와 재활용 방법을 표시하면 사용자의 폐기물 분류를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키고 브랜드의 환경 보호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재활용 가능한 재료의 사용과 개봉, 폐쇄 및 사용의 용이성은 사용자의 기본 만족도를 보장하는 핵심 요구 사항이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만족도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부족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감소시키므로 지속 가능한 포장 디자인에서 이러한 기본요소를 우선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As environmental protection intensifies internationally, consumers continue to raise interest in the eco-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of packaging, an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characteristics of products have gradually become an important option. However, current sustainable packaging design is not fully focused on the needs of users, and it is difficult to achieve tru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fore,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review the actual needs of users for green packaging. This not only popularize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helps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but can also increase the user experience and sense of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support and design strategies to optimize the design and user experience of sustainable skincare product packaging by designing a questionnaire using the Kano model, extracting user needs, and then identifying the priorities of user needs and transforming user needs into design elements of sustainable skincare product packaging.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incorporating small portable designs into the packaging design of sustainable skincare products and marking the materials and recycling methods on the packaging can not only effectively guide the user's waste classification, but also significantly improve the user experience and enhance the brand's environmental protection image. At the same time, the use and opening, closing, and ease of use of recyclable materials are key requirements that ensure the basic satisfaction of users. These requirements directly affect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but the lack greatly reduces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so it is very important to meet these fundamental factors first in sustainable packaging design.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을 활용한 운동관련 웨어러블기기(wearable device)의 사용용이성과 사용만족이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우,김나래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운동관련 웨어러블기기의 사용용이성이 사용만족과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 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운동관련 웨어러블기기를 사용하는 사람 230명을 눈덩이표 집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 중 196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인구통계학적특성 3문항, 사용용이성 5문항, 사용만족 4문항, 지속행동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 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용용이성은 사용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용이성은 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용만족 은 지속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usability and the satisfaction of using exercise wearable device based on smart phone on adherence behavior. To achieve this purpose subject, data was collected by snowball sampling 230 people who use wearable devices, and out of 230 data, 196 data was selected on valid analysis. Research method was survey made of total 16 questions which are 3 question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 5 questions of usability, 4 questions of satisfaction, and 4 questions of adherence behavio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Firstly, usability has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Secondly, usability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adherence behavior. Thirdly, satisfac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adherence behavior.

      • KCI등재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에서 지속사용 행동에 관한 연구: 재무적 비용과 정신적 비용의 역할 관점에서

        김병수,이종원,강영식 한국경영정보학회 2010 경영정보학연구 Vol.12 No.1

        최근 경영정보와 마케팅 분야의 최근 연구들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지속사용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유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Mobile Data Services: MDS)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의 서비스 지속사용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들을 밝히고자 한다. MDS 소비자들은 서비스 사용에 대한 비용을 직접 지불한다. 그러므로 해당 서비스의 사용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는 이득과 사용할 때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지속사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의사결정 과정을 반영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얻을 수 있는 이득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을 고려하였으며, 지불해야 하는 비용으로 재무적 비용과 정신적 비용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고려된 변수들을 기대일치모형(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ECM)에 결합하여 MDS 사용자 지속사용을 설명할 수 있는 연구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모형에서 제안된 가설들 검증하기 위해서, 설문 응답 시점에서 3개월 이내에 MDS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총 20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PLS(partial least squares)를 이용해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은 서비스 지속사용 의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대로, 재무적 비용과 정신적 비용은 사용자들의 서비스 지속사용 의지를 저해하는 요인들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MDS 플랫폼에서 소비자들의 지속사용 행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략 개발과 시사점 제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감정적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동희 ( Dong-hee Cho ),이연준 ( Youn-joo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2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과 함께 핵심 산업으로 인공지능이 대두되고 있다. 그중 핵심기기로 인공지능 스피커가 주목받으며 홈 IoT 시장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성장세와는 달리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도는 낮다. 이러한 사용자의 불만족은 결국 사용자가 해당 제품의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적 성장 및 확산을 위하여 국내 인공지능 스피커 제품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 사용의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사용자 만족 중심의 이론과 사용자 경험의 감정 요인으로 감정적 애착의 선행요인들이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감정적 애착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에 매개효과를 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정적 애착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 향상을 위해 미흡한 기능 개선과 사용 편의성 향상을 통한 사용자 만족 향상도 중요하지만, 사용자가 자신만의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lifestyle)에 맞춘 디자인과 커스터마이제이션(customization)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애착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AI (Artificial Intelligence) has emerged as a major industry. Among variety products that are developed using the AI technology, AI speaker is gaining attention as a major product and shows rapid growth in consumer IoT (Internet of Things) market. Unlike the rapid growth and attention in the market, consumer satisfaction of AI speaker is low. Low satisfaction level is the important factor to ultimately end the usage of AI speaker. Methods In this study with the hope of securing continuous growth and the spread of the AI speaker,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 user’s continuous usage of the AI speaker usage have been explor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we looked at the impact of emotional attachment as an emotional source of emotional attachment as an emotional factor in user satisfaction theory and in prior research related to continuous use. It also confirmed that emotional attachment also mediated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Result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satisfaction level does affect the usage continuity; furthermore, users’emotional factors a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to allow users decision to use AI speakers continuously. Conclusion This shows that AI speakers to have an ability to be customized to create unity with user’s personal space is as important as the development of AI speaker technology to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and to increase the consumers’ usage continuity. Thus, by having AI speakers’ design to fit into user’s lifestyle, user’s emotional attachment toward the product will increase, ultimately increasing the continuity of the product usage.

      • KCI등재

        감성적 만족이 AI 스피커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 간의 비교 연구

        최은정(Choi, Eun Jung),장동길(Zhang, dongji)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2

        스마트 홈, 커넥티드 카, 스마트 웨어러블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서비스들에 음성 AI 기술의 접목이 왕성히 이루어지고 있다. AI 스피커는 대표적인 음성인식서비스 플랫폼으로서 높은 관심에 비해 그간 AI 스피커의 초기 수용에 관한 연구들로 집중되어 왔으며 지속사용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AI 스피커의 지속사용모델을 개발하고 AI 스피커의 지속사용모델이 국가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AI 스피커 실이용자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진행하여 총 523부(한국 255부, 중국 268부)를 수집하였고 AMOS를 활용한 SEM 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AI 스피커 대한 지각된 용이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용성이 높았고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이 높을수록 감성적 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AI 스피커 대한 감성적 만족이 높을수록 지속사용의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가설과 달리, AI 스피커 대한 지각된 유용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AI 스피커에 대한 감성적 만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문화 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한국과 중국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AI 스피커 맥락에서 기술수용모델의 중요 요인인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과 감성적 만족과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감성적 만족을 보고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지속사용모델 내 감정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국가 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이는 AI 스피커와 같은 혁신 서비스들의 지속사용 맥락에서 글로벌 공통적으로 유사한 사용자의 지속사용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Voice AI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applied to various smart devices and services such as smart homes, connected cars, and smart wearables. Despite high interest on AI speaker, most of the studies about AI speaker are on initial acceptance and academic research on continuous use is still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I speaker sustained use model and to verify whether the AI speaker sustained use model differs between countries. A total of 523 copi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targeting actual users of AI speakers in Korea and China.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the AI speaker, th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higher the perceived ease and usefulness, the higher the emotional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AI speaker,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Lastly,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ffect of emotional satisfaction with AI speakers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irst, in the context of AI speaker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emotional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was investigated. Second, emotional satisfaction was reported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intention to continue use. Third, the results in whic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in the sustained use model are interpreted as having similar user responses in common globally.

      • KCI등재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하형,우시진,정진섭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2 창조와 혁신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이 사용자들의 인지된 사용용이성 및 유용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했다. 기본적으로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하였으며, 인지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 매개효과는 물론,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 인지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이중 매개효과도 분석했다.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신뢰성, 편의성, 보안성은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으나, 쾌락성과 편재접속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신뢰성을 제외하고 모두 인지된 유용성에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편의성, 신뢰성, 보안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쾌락성, 편재접속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보면, 쾌락성, 편재접속성과 지속적 사용의도사이에 사용용이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신뢰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 유용성의 매개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중 매개검증의 결과 보면, 편재접속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 간에 모두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들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경로 및 그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으로도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 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 기술수용모델(TAM), 지속적 사용의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