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 사용 행동이 실 사용량에 끼치는 영향

        최훈(Hun Choi),유성열(Sungyeol Yu)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

        정보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사용을 계속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하는 것보다 기존 사용자를 지속시키는 것은 기업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정보 기술과 관련한 연구들은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따라서 기존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웹 사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웹의 지속적 사용을 위한 지속 사용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지속 사용 행동이 실제 사용량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웹의 지속적 사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발굴하였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후 기대인 사후 유용성, 사후 사용 편의성, 사후 즐거움, 사후 지각된 가치가 사용자의 만족, 사용 지속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끼쳤으며, 사용자의 사용지속의도 역시 모바일 웹의 실 사용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 결과와 더불어, 만족과 사용 지속의도에 중요하게 끼치는 영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 만족과 사용 지속의도를 높이는 전략이 서로 다르게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의 한계점과 실증적 시사점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Since the current mobile web market is already in its maturity, a research concerning the continued behavior of mobile Internet users should be carried ou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user's continued behaviors by theoretically constructing and empirically testing a continued model using real usage data. The model consists of four post-expectation factors (usefulness, ease of use, enjoyment, and perceived value) as well as user satisfaction, continuance intention, and the actual usage amount. To test the model, an on-line survey had been conducted, and we collected the actual usage data of survey respondents via the support of telecommunication companie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ost expectation variables were found to influence satisfaction, continuance intention, and actual usage amount of mobile web users. This paper ends with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n mobile web industry.

      • KCI등재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경험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녕셜 ( Xue Ning ),김기수 ( Ki Su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4

        스마트폰은 모바일폰의 새로운 세대로 유비쿼트스 컴퓨팅 기술의 좋은 예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해서 사용자들은 편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인터페이스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또한 단순한 전화나 문자 메시지보다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친구들과 연결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성능의 하드웨어와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스마트폰은 업무나 오락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하고 있다 (Charlesworth, 2009). Verkasalo 등(2010)은 스마트폰은 단순한 모바 일폰으로 뿐만 아니라 손안에 들어가는 컴퓨터로 사용될 수 있는 기기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한 스마 트폰을 통제하는 것은 이제 기기가 아니라 사용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사용자들이 스마트폰과 상호작용할 때 그들의 스마폰 사용 경험은 그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온다. Goto는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을 “어떤 기업이나, 서비스 또는 제품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전반적인 인식이나 포괄적인 상호작용”으로 정의하였다 (Wang et. al. 2008). 경험은 사람의 마음에 존재하는 사람과 세상 사이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호작용 과정이고, 새로운 상호작용들에 의해 유발된다. 이들 상호작용은 육체적, 감각적, 인지적, 감정적, 그리고 미적과 같은 다양한 경험들을 만들어낸다 (Davis, 1992). 이와 같은 관점에서 스마트폰 사용 후 그 기능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경험과 사용자들의 사회적 경험은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자 수의 증가와 다양한 스마트폰 제조기업과 서비스제공 기업들 사이의 경쟁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지배하는 요인들과 그들의 역학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효율적 인터페이스의 개발, 사용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그리고 관련 기술의 개발과 같이 사용자의 심리적인 관점에 대해 연구하기보다는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Lin and Ye, 2009; Abowd et. al., 2005; Verstockt et. al., 2009). 반면, 지난 몇 년간 사용자 경험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과 연구의 틀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Swallow et. al., 2005; Deng and Li, 2008; Wang et. al. 2008; Oza et. al. 2010). 사람들은 스마트폰 이용에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사용겸험이 그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를 도출하는데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인지과정에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 기반 위에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스미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자경험이라는 개념을 선행변수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태도와 행위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경험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용자경험은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두 가지 관점으로 표현하였다. 기능적 경험에는 이용가능성(usability)과 보안성(security) 그리고 사회적 경험에는 사회성(sociability)과 사회적 주체성(social identity)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사용자경험 요인들을 선행변수로 스마폰의 지속적 이용의도를 결과변수로 하고, 두 변수를 매개변수로 하는 하나의 인과관계(causal)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즐거움(perceived enjoyment: PE)과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PU)을 선행변수인 사용자경험 요인들과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 사이의 매개변수로 고려하였다. 그 이유는 최근 스마트폰은 업무를 위한 기능적 목적뿐만 아니라 오락이나 사회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PU와 PE가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이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모두 인지된 유용성 또는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능적 경험 가운데 이용가능성 요인과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성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능적 경험 가운데 보안성은 인지된 즐거움에만,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적 주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즐거움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기능적 경험 가운데 이용가능성과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성을 높임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을 높이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학술적이고 실무적인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스마트폰의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까지 경영정보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인 사용자경험이란 개념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나아가서 여러 사용자경험 요인들 가운데 스마트폰의 특성을 고려해서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요인들을 고려했다. 또한 본 논문은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경험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 요인들이 어떠한 역학관계로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폰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정보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우선 사용자경험은 아주 방대한 개념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지 그 일부만 다루었다. 사용자경험의 다른 측면들은 추후 연구들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사용자경험의 다양한 측면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경험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 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실증 자료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포 함되어 있어 분석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가 시행될 때에는 대학생이외 스 마트폰을 사용하는 다른 그룹의 사람들 수가 많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이 표본에 포함 되었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 서는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기 때문에 문화 및 다른 환경의 차이에 따른 편향성(bias)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거나 국가별 비교분석도 가능할 것이다. Smartphone is a new generation of mobile phones and it is a good example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Users can surf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the easy touch-screen interface. Also users can connect with their friends in more efficient ways than calling or texting messages. Besides, its prominent hardware and software support all kinds of applications for work and entertainment (Charlesworth, 2009). Verkasalo et al. (2010) pointed that Smartphone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mobile phone as well as a handheld computer, they also argued that it is the user rather than the device who controls the Smartphone. When users interact with Smartphone, their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 is derived from such interactions. Goto, K. defines User Experience (UX) as "the overall perception and comprehensive interaction an individual has with a company, service or product" (Wang et al., 2008). Experience is an intangibl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he world that exists in humans`` minds and is triggered by new interactions. These may create different types of experiences such as physical, sensual, cognitive, emotional, and aesthetic (Davis, 1992). From this aspect, after using Smartphone, users`` experience on the functions of it and their social experiences with it might be very important in decid- ing if they continue to use Smartphones. Given the growth of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and the competition among Smartphone manufacturers and service provide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ynamics that govern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However, previous researches on this topic have mostly focused on problems such as creating efficient interfaces, developing usable systems, and establishing technologies, which paid more attention to the facet of functions of the Smartphone itself rather than studying from users`` psychological perspective (Lin and Ye, 2009; Abowd et al., 2005; Verstockt et al., 2009). On the other hand, over the last few years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theory or framework of user experience (Swallow et al., 2005; Wang et al., 2008; Oza et al., 2010; Deng and Li, 2008). Since people spend more and more time with Smartphones, the experience users have with Smartphones is likely to be a key factor in the cognitive process users experience in developing their continued usage intention. Upon this basis,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es, we employ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UX) as the antecedents in this study to explain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users`` experience to assess their further attitudes and behaviors. Users’ experience is represented in two aspects, one is functional experience which includes usability and security, and the other is social experience which includes sociability and social identity.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to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UX factors as antecedent variables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s as consequent variables with two intermediary variables. Specifically, we considered perceived enjoyment (PE) and perceived usefulness (PU) as mediating factors between UX factors and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CUI) since it is widely used not only for functional purposes but for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 Then our research model was tested empirically by using a survey data collected from diverse Smartphone users. Our results suggest that experience about func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of Smartphone after using Smartphones can influenc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of their usage, which, in turn, influence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s. More specifically, we found that usa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PU and PE, while security has a strong effect on PE, although no such significant impact was observed on PU. Some previous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Smartphones are vulnerable and, therefore, securi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phones. However, security did not affect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phones significantly in our result. A plausible explanation for this result might be that approximately 60% of our survey respondents are students and they do not consider security issue seriously because they use Smartphones mostly for entertainment or social interactions rather than for job or work related purposes. However, it does not mean security issue is not important for usefulness of Smartphones or the current level of security of Smartphone is perfect. Moreover, sociability is found to affect both PE and PU, while social identity have significant impact on PU only. Besides, P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of using Smartphone and both PE and PU positively affected CUI. Main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which is a relatively new concept in MIS researches, was adopted to explain users’ continued intention to use Smartphones. Moreover, not only functional experience but social experience was included as user experience factors. This paper also makes contributions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s and the dynamics of these effects, which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martphone service providers. There are, however, some limitations inherent in this study. Although user experience is a broad concept, we focused only a part of it. Other aspects of user experience may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es. More systematic research on user experience may be also needed related with Smartphone usage. In our survey data, relatively larg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were included, therefore, we have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s. Since the survey data were gathered from Korean, the analysis results may be subject to culture and/or other environmental biases. In future researches, we may use survey data from users of different countries and also implement a cross country analysis.

      • KCI등재

        해군 장비정비정보시스템의 지속 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강동덕,백승령,이문걸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해군 및 해병대에서 사용 중인 장비정비정보시스템의 지속 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고, 영향요인과 지속 사용과의 관계에서 IT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또한 지속 사용이 조직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통합기술수용이론에서 사용의도(사용)의 선행요인으로 제시되었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를 지속 사용의 영향요인으로 가설화하였으며, 이러한 선행요인과 지속 사용의 관계에서 IT리더십이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가설을 모형화하였다. 해군 장비정비정보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해병대 장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유용성,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정보시스템 지속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장병들의 시스템 지속 사용도 과업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과는 달리, IT리더십은 지각된 유용성, 주관적 규범과 지속 사용 사이에서만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통합기술수용이론을 바탕으로 지속 사용의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IT에 대한 상사의 리더십이 이들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정보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 관리자들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실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continuous use of the N-DELIIS, which used as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n ROK Navy and Marine Corps and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 of IT leadership in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s and continuous use.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ntinuous use on task performance of IT users. Our study hypothesized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hich presented as preceding factors of intention to use of IT(or IT use) on UTUAT, have influence on continuous use of the N-DELIIS. This study also includes hypotheses which address the positive moderating role of IT leadership in the main effects. Survey result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ve positive impact on the continuous use of the N-DELIIS. Unexpectedly, IT leadership has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s and continuous use of the system.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제품 사용 경험 요소와 지속적 사용 의도의 관련성 연구 -전동칫솔을 연구대상으로-

        장지파 ( Zhang¸ Ji Fa ),고정욱 ( Go¸ Jung Wo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경험경제 시대에 제품의 핵심 가치는 단순한 기능과 조형에서 제품 사용자 경험(PUX)으로 옮겨갔다. 제품의 경험 만족도는 지속사용성을 높여 기업 제품의 시장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PUX와 제품의 지속사용성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과 검토가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 편의 제품인 전동칫솔의 PUX와 지속적 사용 의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PUX 요소, 경험 만족도 변화와 지속적 사용 의도 간의 연관 경로를 설정하고 조사와 분석,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은 1)“제품 특징 및 시장 현황 조사”, 2)“사용자 조사와 PUX요소 도출”, 3)“설문 조사 및 경로 분석 방법을 이용한 PUX 요소-지속적 사용 의도의 연관성 분석”, 4)“분석 결과 도출” 4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토대로 제품 지속사용성에 포함된 “현 보유 제품의 지속사용성”, “동일 모델의 지속사용성”과 “동종 제품의 지속사용성”은 각각 PUX 요소 집단 “만족성, 효율성과 사용 편의성”, “만족성, 브랜드 신뢰성, 구매 경제성과 사용 경제성”과 “효율성, 조작 간편성, 안전성, 브랜드 신뢰성”에 직접적 영향을 받고, 경험 만족도 변화를 통해서 PUX 요소 “만족성, 기능성, 보관성, 위생 유지성, 구매 경제성과 사용 경제성”에 간접적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알게 되었다. 연구결과는 기업에서 전동칫솔과 유사한 제품을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연구방법은 향후 다른 제품의 지속사용성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era of experience economy, core values of products have shifted from simple functions and formations to product user experience (PUX). Experience satisfaction of products increases sustainability and affects the improvement of market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products. However, existing studies are still limited in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PUX and persistent usage of product. Therefore, this study targets the daily convenient product-electric toothbrush as a research subject and attempts to explore and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PUX and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product. Study has established the causal influence path between PUX factors, experience satisfaction changing, and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product, and proceed with investigat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The research process consists of four stages: 1) ‘investigation of product features and market conditions’, 2) ‘user survey and extraction of PUX factors’, 3)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UX factors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path analysis methods’ and 4) ‘summary of analysis results.’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 as result, study has identified that ‘continuous intention of using current products’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nsory satisfaction, efficiency, ease of use’, ‘continuous intention of using the same model’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nsory satisfaction, brand reliability, purchase economic and usage economic’ and ‘continuous intention of using the same product’ is directly affected by ‘efficiency, ease of use, safety, brand reliability’. Study also has identified that continuous usage intention is indirectly affected by ‘sensory satisfaction, functionality, product caring, hygiene maintenance, purchase economy and use economy’ through experience satisfaction changing.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guidance when companies develop products similar to electric toothbrushes, and the research method is expected to be further applied in relevant research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other products.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을 활용한 운동관련 웨어러블기기(wearable device)의 사용용이성과 사용만족이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우,김나래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운동관련 웨어러블기기의 사용용이성이 사용만족과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 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운동관련 웨어러블기기를 사용하는 사람 230명을 눈덩이표 집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 중 196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인구통계학적특성 3문항, 사용용이성 5문항, 사용만족 4문항, 지속행동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 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용용이성은 사용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용이성은 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용만족 은 지속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usability and the satisfaction of using exercise wearable device based on smart phone on adherence behavior. To achieve this purpose subject, data was collected by snowball sampling 230 people who use wearable devices, and out of 230 data, 196 data was selected on valid analysis. Research method was survey made of total 16 questions which are 3 question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 5 questions of usability, 4 questions of satisfaction, and 4 questions of adherence behavio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Firstly, usability has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Secondly, usability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adherence behavior. Thirdly, satisfac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adherence behavior.

      • 신뢰, 지각된 관계 투자 및 후회 성향의 조절 효과가 온라인 서점의 지속 사용에 미치는 영향

        ( Gyu Dong Lee ),( Jae Eun Lee ),( Clive Sanford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2 유통정보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소비자-기업 맥락에서 웹사이트의 지속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적인 요소들에 대해 탐색했다. 저자들은 정보기술 지속 사용 모델에 근거해서 소비자의 신뢰와 지각된 관계 투자 노력이 온라인 서점의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웹사이트의 최초 수용과 수용 후 지속 사용 단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만족과 유용성에 대한 지각을 통제 변수로 반영했다. 유용성에 대한 지각과 만족은 웹사이트 수용시의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으나, 최초 수용 후 지속적인 사용에 있어서는 그 영향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통제 변수로 사용되었다. 또한 소비자가 후회를 경험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후회 성향이라는 개인 차이를 조절 변수로 반영했다. 설문 조사(N = 191) 결과, 신뢰와 지각된 관계 투자, 만족, 유용성, 그리고 지속 사용 의도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회성향은 신뢰와 지각된 관계 투자가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했다. 즉, 후회 성향이 낮은 사람들에게는 신뢰와 관계 투자 지각이 지속 사용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높은 후회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서는 두 변수들이 긍정적으로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후회 성향이 온라인 유통 채널의 지속적인 사용에 있어서 웹사이트 전환 행동에 대한 설명과 세분화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본문에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s of relational factors on continuance intention of Web sites in the consumer-business context. Based on the information technology continuance model, we explore the effects of trust and perceived relationship investment on the use of online bookstores including control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results of our survey (N = 191)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rust, perceived relationship investment, satisfac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Web sites. In addition, this paper employs regret proneness to explo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witching behavior. Regret proneness moderates the effects of trust and the perception of relationship investment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For individuals with low regret proneness, trust and perceived relationship investment are not significant antecedents of continuance intention. However, the relationships are positive for those with high regret proneness. Results suggests better understanding of continued use of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에서 지속사용 행동에 관한 연구: 재무적 비용과 정신적 비용의 역할 관점에서

        김병수,이종원,강영식 한국경영정보학회 2010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12 No.1

        최근 경영정보와 마케팅 분야의 최근 연구들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지속사용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유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Mobile Data Services: MDS)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의 서비스 지속사용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들을 밝히고자 한다. MDS 소비자들은 서비스 사용에 대한 비용을 직접 지불한다. 그러므로 해당 서비스의 사용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는 이득과 사용할 때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지속사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의사결정 과정을 반영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얻을 수 있는 이득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을 고려하였으며, 지불해야 하는 비용으로 재무적 비용과 정신적 비용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고려된 변수들을 기대일치모형(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ECM)에 결합하여 MDS 사용자 지속사용을 설명할 수 있는 연구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모형에서 제안된 가설들 검증하기 위해서, 설문 응답 시점에서 3개월 이내에 MDS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총 20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PLS(partial least squares)를 이용해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은 서비스 지속사용 의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대로, 재무적 비용과 정신적 비용은 사용자들의 서비스 지속사용 의지를 저해하는 요인들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MDS 플랫폼에서 소비자들의 지속사용 행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략 개발과 시사점 제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감정적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동희 ( Dong-hee Cho ),이연준 ( Youn-joo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2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과 함께 핵심 산업으로 인공지능이 대두되고 있다. 그중 핵심기기로 인공지능 스피커가 주목받으며 홈 IoT 시장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성장세와는 달리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도는 낮다. 이러한 사용자의 불만족은 결국 사용자가 해당 제품의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적 성장 및 확산을 위하여 국내 인공지능 스피커 제품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 사용의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사용자 만족 중심의 이론과 사용자 경험의 감정 요인으로 감정적 애착의 선행요인들이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감정적 애착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에 매개효과를 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정적 애착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 향상을 위해 미흡한 기능 개선과 사용 편의성 향상을 통한 사용자 만족 향상도 중요하지만, 사용자가 자신만의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lifestyle)에 맞춘 디자인과 커스터마이제이션(customization)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애착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AI (Artificial Intelligence) has emerged as a major industry. Among variety products that are developed using the AI technology, AI speaker is gaining attention as a major product and shows rapid growth in consumer IoT (Internet of Things) market. Unlike the rapid growth and attention in the market, consumer satisfaction of AI speaker is low. Low satisfaction level is the important factor to ultimately end the usage of AI speaker. Methods In this study with the hope of securing continuous growth and the spread of the AI speaker,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 user’s continuous usage of the AI speaker usage have been explor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we looked at the impact of emotional attachment as an emotional source of emotional attachment as an emotional factor in user satisfaction theory and in prior research related to continuous use. It also confirmed that emotional attachment also mediated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Result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satisfaction level does affect the usage continuity; furthermore, users’emotional factors a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to allow users decision to use AI speakers continuously. Conclusion This shows that AI speakers to have an ability to be customized to create unity with user’s personal space is as important as the development of AI speaker technology to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and to increase the consumers’ usage continuity. Thus, by having AI speakers’ design to fit into user’s lifestyle, user’s emotional attachment toward the product will increase, ultimately increasing the continuity of the product usage.

      • KCI등재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사용후 대인관계 변화와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이은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 변화와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부산 및 경남지역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속동기와 사회적 압 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습관 적 이용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속동기와 사회적 압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사용후 대인관계의 변화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 속동기와 사회적 압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속동기와 사회적 압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를 변화시켜 페이스북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됨을 밝혔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Facebook access motivation impact up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20 college studen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provinces This research resulted in a number of key findings: First,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Seco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had a positive influences 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Thir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habitual use had a positive influences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Fourth,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mediates between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This study reveals that,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were a significant predictors of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indirectly affecte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through the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