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경관을 고려한 농어촌마을 환경색채계획

        김현선(Kim hyun-sun),주정희(Joo Jung-hee),윤혜진(Yun hye-jin),김나라(Kim na-ra),김미숙(Kim mee-sook)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농어촌경관은 인공경관과 자연경관의 복합으로 나타나며 자연경관과 건축물이 동시에 인지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70년대 이후 개발 위주의 계획으로 무분별한 건축물이 세워 졌고 원색적인 색이 주를 이루는 도료의 발달로 우리나라의 농촌은 지역의 특성과는 조화롭지 못한 무질서한 색채로 도색되어왔다. 최근 들어 경관계획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지역의 총체적인 경관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색채는 가이드라인을 세우는 정도에서 언급되고 있다. 변화가 많고 빠르게 변하며 외장재의 종류도 다양하고 복잡하여 구체적인 색채계획이 불가능한 도시에 비해 농촌은 느리게 변하며 사용외장재도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풍경으로 인식되므로 구체적인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게 아름다운 농촌을 만드는데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대의 휴양지이며 농촌경관의 특징을 모두 가진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대표성 있는 대상지 세 곳(바다, 산, 항구)을 선정하여 자연경관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사례로는 제주특별자치도와 유사한 섬들을 대상으로 자연경관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의 사례, 오랜 역사자원의 소재 색이 이어져 온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일감 있는 지붕의 색, 자연경관, 특히 해변의 색과 조화가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대상지에 대해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으로 나누어 색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대부분 자연환경의 색보다 높은 채도와 무질서한 색의 사용이 경관의 질을 훼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상지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자연요소에서 색을 추출하여 색채 팔레트를 구성하는 근간으로 삼았으며 지정학적 특성상 섬거주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마을공동체 운영이 활발하며 단독가구가 주를 이루는 주택의 특징, 개개인의 아이덴티티를 중요시하는 주민의 특성을 고려하여 옆집과 다른 자신만의 아름다운 집의 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농촌의 색채계획은 자연경관과의 조화를 우선시하며 일방적인 계획이 아닌 거주자의 선택이 가능해야 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혹은 거주자의 변화에 따라 전체적인 조화 안에서 건축물의 색채도 변해야 색채계획이 지속될 수 있음을 알리고자 한다. The landscape of a rural village is a complex of artificial and natural sceneries and contains a characteristic that buildings and natural sceneries are perceived at the same time. Besides, it has more low-story buildings than a cityspace and is often viewed from a high place because mountains take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1970s, however, most artificial structures had been built without planning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rural villages had been painted to disorderly colors, igno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Even though the landscape planning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coloring still remains merely as a guideline in a process of planning the overall landscape in a region. Compared to a city where a detailed color planning is impossible due to rapid changes in a city and a variety and complexity of exterior materials, a rural village changes slowly and exterior materials can be viewed as a scenery of a constant pattern. Therefore creating a concrete color plan can effectively lead a rural village into a beautiful place. This study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sites (sea, mountain, and harbor for each) from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is the best vacation spot in Korea and contains all characteristics of rural landscapes, and conducted research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lor plans harmonious with the natural landscapes of the site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examples of harmonious color plans with natural landscapes on similar islands of Jeju and examples in which material colors of historic resources are kept alive. Through this process, those examples draw a conclusion that an unified color of the roofs and the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s, especially with the color of seashores are crucia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coloring by seperating the natural landscape and the artificial landscape for each site, and the result was that using a higher saturation than natural colors and chaotic colors destroys the quality of the landscap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hose colors extracted from the natural elements as the identity of the corresponding site to become the basis of the color palette, and let people to freely choose their own colors of their beautiful hou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sland village people that they have a strong pride in living in the island, have an active local community, live in single houses, and think individual identities important. This study points out that color planning will last only if color plannings in rural villages importantly consider the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s and give freedom of choice to the residents, and if the colors of buildings must harmoniously chang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ime and residents.

      • KCI등재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

        이전(Lee, Jeon),성화룡(Seong, Hwa Ry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4

        촌락 가옥은 촌락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촌락 가옥에 대한 지리학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민가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가옥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경남 도서지역 가옥의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지역의 가옥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촌락 가옥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지붕 형태를 중 심으로 분류하는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우진각・맞배지붕과 같은 전통적인 지붕 형태를 가진 가옥이 많고, 전통적인 지붕 형태 이외의 가옥 유형에서는 단순평지붕 가옥이 많다. 두 개 이상의 지붕 형태를 가진 결합양식지붕 가옥 유형의 경우, 경사-평지붕 가옥이 경사-경사지붕 가옥보다 10여 배나 많다. 지붕 재료 중에서는 시멘트, 컬러강판, 인 조슬레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특정 지붕 재료가 특정 지붕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통해 연구지역의 주요한 가옥 유형을 ‘지붕 재료와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The rural housing is a key element of the rural landscape. The studies on the rural housing have focused on folk housing,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temporary rural housing. The research area is the eight rural settlements on the sea islands of Gyeongnam. This study may provide the base for an understanding Korean rural landscap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ural housing typ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ing types and materials. Most roofing types but the flat roofing type belong to the traditional roofing types. Among the combined-style roofing(결합양식지붕) types, the pitched-and-flat roofing(경사-평지붕) type is about ten times more frequent than the pitched-and-pitched roofing(경사-경사지붕) type. The most frequent roofing materials are cement, precoated steel plate(컬러강판), and artificial slate(인조슬레이트). Five typical types of rural housing are derived from the remarkable combinations of roofing types and roofing materials in the research area.

      • KCI등재

        교외지역 공장축사 지붕 색채의 평가

        정아름(AhReum Jung),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2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공업단지의 면적이 넓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단이 포함된 지역 경관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무분별한 공업단지의 확산은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무너뜨리는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적지 않으며, 지역 경관을 고려한 색채 계획을 통해 전반적인 이미지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그중에서도 공장 지붕 색채의 경우, 건축물의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지역 경관과의 연속성을 고려한 색채 계획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장단지의 지붕 색채 측색 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역 환경 색채의 적용하여 개선된 디자인의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공장 지붕 색채 개선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역 사진의 원본(사진A)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개선안(사진B)을 비교하여 개인적 선호도, 주변 경관과의 조화도, 주변 경관과의 연속성, 지역 환경과의 어울림, 색채의 기능성, 색채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개선안으로 제시된 사진B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그러나 두 사진을 동시에 보여주며 비교하였던 앞의 설문조사와 달리, 각 사진을 개별적으로 보여주며 실시한, SD법 분석에서는 사진B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주변 경관과의 조화성과 연속성, 개성이 높은 공업단지 지붕 색채 개선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Because of rapid industrialization, industrial complexes widely distributed. And it cast a long shadow over the landscape of the region. However, building of industrial complexes have a bad influence on harmony of landscape. The landscape harmonized with nature affect on the improvement of region image. Especially, the color of roof takes big part of structure image, the plan for harmonize with nature. Therefore, we draw a problem of the color of factory roof through in this study. Using the result of investigation, we suggest the improved design and survey the preference of the design. And we find the basis that region perception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changing color of factory roof. In the survey, we compared the picture of the Nam yangju industrial complexes(picture A) and the picture of the suggestion on the study(picture B). we surveyed person preference, harmony, continuity, gainliness with landscape, the funtionality and satisfaction of the color. As a result, the suggested picture B took positive estimation. However, the survey estimated the feeling of image with showing each picture one by one, picture B had some negative result. And some of respondent had opinions ‘harmony with nature, but not be bored.’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design suggestion for harmony, continuity with nature and the characteristic of region could improve the region image.

      • KCI등재
      • KCI등재

        고층아파트단지 계단실 지붕디자인 유형과 시각 선호도 현황

        이태경(Lee Tae-Kyung),이상홍(Lee Sang-Hong),박찬돈(Park Chan-Don)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9

        This study examines interactive effects in roof stair hall design of high-rise apartment, and attempts to discover their influence on peoples' visual preferences. It's purpose is to increase competition of apartment design and to propose architectural standards on townscape design through designing the roof stair hall of high-rise apartment. The number of the high-rise apartment built in Teagu city is 1479 units. And 59 apartment complexes which have over 300 units were surveyed among high-rise apartment in Taegu city.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visual preferences for roof stair hall design is different between day and night, citizen and experts. In analyzing the visual preference for roof high-rise design between day and night, the highest preference is decorated flat roof design for night time and there is no different preferences for day time in roof stair hall de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deciding which design elements of roof stair hall to consider in designing high-rise apartment on townscape for day and night time.

      • KCI등재
      • KCI등재

        고층아파트 지붕형태 분화(分化)에 관한 조사연구 - 대구광역시 고층아파트를 중심으로 -

        박찬돈,Park, Chan-Don 한국주거학회 200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oof styles about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in these days. Specially, it is focused on those in Daegu city. It has analyzed for 75 apartment complexes in Daegu city. Those complexes are all over 300 houses each and were built from 2004 to 2007. Generally, roof styles about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are classed as a flat roof style and a slope-sided roof style. Types of the flat roof style were divided a flat roof style and a eyebrows roof style. And, types of the slope-sided roof style were divided a single slope-sided roof style, a gable roof style, and a hipped roof style. The curved roof style didn't show up at these cas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lope-sided roof style including the gable roof style was revealed the most common roof style about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in Daegu city from 2004 to 2007. Among 76 cases of roof styles, the number of the gable roof style is 52, and the number of flat roof style is 18. Each roof style was changed for more decorative shape. Specially, in case of the flat roof style, 17 cases for 18 cases are built as a decorative flat roof style. and, 15 for 52 gable roof style cases are built as a decorative style, too. According this case study, we are able to know that the sort of roof style was advanced variously and decoratively, and the shape of roof style was combined more than 2 decorative factors. The roof style of high-rise apartment complex in future will be more various and decorative than this time and will be develop compositively.

      • KCI등재

        경남 함양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이전(Jeon Lee),이호욱(Ho W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3

        오늘날 우리나라 촌락에는 다양한 유형의 가옥들이 관찰된다. 본 연구는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바탕으로 가옥 분류의 기준을 설정하고 경남 함양군 10개 촌락의 가옥을 유형화하여 현대 촌락 경관 이해의 기초를 제시하려고 한다. 지붕 형태에서는 팔작지붕·맞배지붕·우진각지붕·단순평지붕·맞배형펜션지붕 등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지붕 재료에서는 컬러강판·아스팔트싱글·시멘트·인조슬레이트·기와 등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지붕 재료를 고려하여 촌락 가옥의 유형을 고찰해 본 결과, 팔작지붕-컬러강판 가옥, 단순평지붕-시멘트 가옥, 우진각지붕-인조슬레이트 가옥, 팔작지붕-기와 가옥, 맞배형펜션지붕-아스팔트싱글가옥, 맞배지붕-컬러강판 가옥, 맞배지붕-아스팔트싱글 가옥 등이 연구 지역의 대표적 가옥 유형으로 밝혀졌 다. The rural housing is a key element of the rural landscape. The studies on the rural housing have focusedon folk housing,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Korean rural hous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ing types and materials. The research area is the ten rural settlements in Hamyang-gun of Gyeongnam-do. Among the roofing types, the hipped-and-gable roof type, the gable roof type, the hipped roof type, the simple-flat roof type, and the gable/pension-style roof type are the most frequent types. Among the roof materials, precoated steel plate, asphalt shingle, cement, artificial slate, and roof tile are the most frequent materials. Seven housing types turn out to be the most frequent housing types in the research area: the first type is the hipped-and-gable roof housing with precoated steel plate; the second, the simple-flat roof housing with cement; the third, the hipped roof housing with artificial slate; the fourth, the hipped-and-gable roof housing with roof tile; the fifth, the gable/pension-style roof housing type with asphalt shingle; the sixth and the seventh, the gable roof with precoated steel plate and the gable roof with asphalt shing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