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의 지구온난화 대책관련법제의 내용 및 과제

        최우용(崔祐溶)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東亞法學 Vol.- No.45

        일본은 1998년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삭감하기 위하여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의 책임과 시책을 정한 ‘지구온난화대책추진법’을 제정하였는데, 이 법은 일본의 지구온난화 방지대책의 기본 법률이 되고 있다. 이 법이 2008년 개정되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온실효과가스 산정, 보고, 공표제도의 개선, 배출억제등 지침의 책정, 국민생활에서의 온실효과가스억제 배출을 위한 행동촉진, 신규식림, 재조림, CDM사업에 의한 크레디트(삭감량)의 보전절차의 명확화, 지방자치단체 실행계획의 충실, 지구온난화방지활동을 위한 추진위원, 도도부현지구온난화방지활동추진센터 등의 재검토, 등을 담고 있다. 즉, 이 법은 일본이 체결한 교토의정서의 내용을 보다 충실히 수행하기 위하여 보다 충실한 온난화대처방안에 대해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온난화방지대책과 에너지정책에 문제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먼저 정책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에너지수요를 동반하는 국가시책이 계속되고 있고, 둘째 온실가스 배출예측 시스템이 결함되어 있으며, 셋째 배출량의 통계데이터를 둘러싼 문제, 넷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정책의 통합의 필요성의 문제가 있으며, 그 외, 사업자의 영업정책에서의 온난화 영향평가의 의무부과, 집행관리 시스템의 정비등의 과제가 아직 남아 있다. 이처럼 일본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지구온난화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처해 나가고 있다. 이는 지구온난화 대책위원회의 최종보고서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지구온난화방지를 위한 각 부문별 세부적인 지침을 수립하고 이에 상응하는 대응 논리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정부정책과 연계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적인 정책수립도 주목할 만하다. 오사카의 예에서 본 바와 같이 지방자치단체 역시 온대법의 이념과 내용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자율적인 운영을 강구해 나가고 있다. 특히 각 지방자치단체는 ‘제도화를 통한 온난화대책’을 위하여 지구온난화방지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책무를 정한 조례를 적극적으로 시행해 나가고 있다. 내각 산하의 위원회는 온난화 대책에 관한 중간보고서 및 최종보고서에서 환경세의 도입, 서머타임제의 도입, 신에너지 정책의 수립 등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는 바, 이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이제 우리는 지구온난화대책을 중앙정부의 시책에 맡길 것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가 자주적으로 대응하고 그 제도화를 도모하는 것은 지방분권의 관점에서도 많이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고찰한 일본의 여러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은 향후 우리의 제도 설계 및 계획수립에 많은 참고가 되리라고 본다.

      • KCI등재

        불편한 진실, 즐거운 불편

        류현종(Ryu, Hyunjo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3 글로벌교육연구 Vol.5 No.2

        이 글은 2011년 6월 8일 제주 P 초등학교에서 곽 교사가 6학년 학생들과 함께 실행한 지구 온난화 수업을 성찰한 것이다. 곽 교사의 수업은 '실생활-북극곰 커넥션'을 모티브로 지구 온난화의 원인과 영향을 살피고, 지구 온난화 해결을 위한 실천을 점검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과 결과를 촘촘한 연결고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지구 온난화 문제를 구체적으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학생들의 '지금-여기'의 문제에서 출발하지 않았고, 대안도 학생들이 고민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나-지구 온난화'의 커넥션은 구체화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이 수업에서 필자는 몇 가지 점을 성찰할 수 있었다. 첫째, 지구 온난화의 위험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쉽게 감지할 수 없기에, 학생들에게 추상적이고 모호할 수 있다. 그럴수록 수업의 주제가 삶의 주제가 될 수 있도록 치열하게 성찰하고 실천하는 고통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이 수업은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와 관련하여 필자의 행동을 묻는다. 수업을 참관하고 성찰하는 것은 '책임'과 '의무'를 공유하는 일이다. 정확한 과학적인 정보와 현실 인식을 가지고 내 삶을 살아가는 기술을 닦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지구 온난화 수업은 지구 온난화의 담론을 고려해야 한다. 보다 다양하고 넓은 지평에서 지구 온난화 문제를 바라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공정하고 정의로운 관점을 제시해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수업의 윤리성 못지 않게 수업의 정치성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너는 지구를 위해서 무엇을 하니?"라는 물음은 수업의 윤리와 정치에 관한 답을 요구한다. '좋은 삶'이란 단지 '착한 삶'이 아니라 현실을 보다 냉정하게 바라보는 '현명한 삶'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This aims to reflect on a lesson of 'Global Warming' which teacher K has performed with his 6th graders of P elementary school in Jeju-si. The instruction has proceeded on the ground of a motif, 'a connection between real life and polar bears.' They studied causes and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then checked practices for solving problems of global warming. Although they examined the link between causes and effects of global warming carefully, they didn't start from a 'now and here' problem and consider their own alternatives either. Nevertheless, this instruction made me reflect on some points. First, because dangers of global warming may not be detected easily, a keen reflection and practice with pains are rather required for allowing the main theme in a lesson to be acted in life. Second, the instruction threw a question, "what do you do for solving problems of a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to me. To reflect on a lesson is no more than to share a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For this, an one's art of life is required on the basis of a correct scientific information and an awareness of reality. Third, discourses on global warming should be considered in a lesson on that. Then we can think the issue on wider and more diverse horizons. A politics of instruction as well as an ethics of instruction is needed. A question, "What are you doing for earth?" that the lesson has thrown, is to require answers concerning both an ethics of instruction and a politics of instruction. A 'good life' is not only a 'life of virtue'. But 'Wise life' also is necessary.

      • KCI등재

        지구온난화 논쟁과 그 대안

        김일방 한국환경철학회 2018 환경철학 Vol.0 No.26

        지구온난화 문제는 21세기의 최대 쟁점 가운데 하나로 부상하였다. 그 결과 지구온난화 문제를 놓고 많은 논쟁들이 있어왔고 현재도 논쟁은 계속되는 중이다. 지구온난화 반대론자들은 온난화 찬성론자들의 주장을 가리켜 ‘과장된 호들갑,’ ‘역사상 가장 엄청난 날조극’ 등의 표현을 써가며 공격을 가한다. 반면에 온난화 찬성론자들은 반대론자들을 가리켜 ‘의심은 그들의 종합상품,’ ‘그릇된 정보를 퍼뜨리는 세력’이라 부르며 역시 맞대응을 펴고 있다. 이러한 논쟁을 지켜보노라면 과연 어느 쪽의 주장이 정당한지 심히 헷갈리게 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어느 쪽의 주장에 따라 우리의 행동방향을 설정해야 할지 선뜻 판단내리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지구온난화 문제는 우리 삶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문제 해결을 위해선 인류 공동의 행동방향 설정이 요구된다. 그러려면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통일된 합리적 의견이 사전에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먼저 이 논문은 지구온난화 문제를 놓고 ‘지구온난화는 엄연한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찬성측과 ‘지구온난화는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반대측 간의 치열한 쟁점들을 살펴본다. 다음에는 앞에서 살펴본 논의를 토대로 지구온난화 문제에 관한 가장 합리적인 견해는 무엇인지를 모색해본다. Global warming has emerged as one of the biggest issues in the 21st century. For a long time we have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 of global warming, and the debate is still ongoing. Opponents of global warming attack global warming supporters by saying 'exaggerated drama queen', 'the greatest fake fiction in history'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e Global warming supporters calls the opponents of global warming "the absurd distortion of science," "those who peddle false information." If you observe these arguments, it will be very confusing which one is right. It is not easy for us to gauge whether we should set our course of action based on which claim. Global warming has a direct impact on our lives, so we must have common measures to solve this problem. To do so, we must have a unified rational opinion on global warming. This paper starts from this problem consciousness. Firs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issues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global warming. This paper will then explore the most reasonable view of global warming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 KCI등재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구온난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현철,홍승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생태환경과 체험관을 활용한 지구온난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감수성,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제주도 서귀포시 J초등학교 6학년 학생으로 실험반 학생들에게는 지구온난화 교육을 실시하고 비교반 학생들에게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반은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 영역, 감수성 영역 및 행동 영역에서 환경소양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지구온난화에 대응 행동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개발된 프로그램이 행동 실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아울러 실험반에 국한하여 적용한 프로그램 학습 후의 설문에서도 본 연구의 지역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이 지구온난화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실천 의지와 방법 면에서 여러 사람에게 홍보하는 데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지구온난화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지구온난화 대응 행동 실천의지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소양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이와 같은 지역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환경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lobal warming teaching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It sought to determine how this program affected perception and awareness of, and practical actions taken toward improving, the environment. Study subjects were six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gwipo, Jeju province,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global warming teaching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had been taught by a conventional lecture-based program. Following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improvements i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 awareness, and action significantly improv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control group, perception and awarenes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Nonetheless, the global warming teaching program ha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learners than the conventional lecture-based program. Furthermor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nterest in sharing their knowledge of global warming. Study results strongly suggest implementing environmental awareness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 지구온난화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대응

        최병주(Byoung-Ju Choi)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학보 Vol.18 No.1

        지구 시스템은 수권, 대기권, 지권, 생물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요소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최근 150년 동안 생물권에 속해 있는 사람이 지권에서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의 탄소를 꺼내서 대기권으로 이동시켰다. 대기 중으로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온실효과를 증가시켜 전 지구적 대기와 해양의 온도상승과 각 지역에 기후변화를 만들고 있다. 이로 인해 지구 시스템의 현재 평형상태가 불안정해지고 새로운 평형상태로 옮겨가고 있다. 최근 120∼170년 동안 관측된 온실기체의 농도, 기온, 수온, 해수면 높이 자료가 이러한 변화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구시스템 수치 예측모델이 100∼300년 후 새로운 평형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전망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성경 속 역사와 근현대 역사에 있었던 지구시스템의 평형상태 변화와 현재 지구시스템의 평형상태 변화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21세기 초반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으로서 하나님이 만드신 지구시스템을 이해하고 관리하고 다스릴 책임이 있다고 믿는다면 그리고 미래 세대의 권리를 존중한다면, 지구온난화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람은 지구시스템과 새로운 관계를 설정하고, 온실기체 배출량을 줄일 대응 방안을 실천하며, 지구온난화의 큰 영향을 받는 생물들과 사람들을 위한 적응대책을 사랑으로 세워야 한다. 근본적으로는 지구시스템이 하나님의 창조원리에 따라 유지되고 있으므로 사람은 지구시스템이 안식년을 누릴 수 있도록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만약 우리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서 지구온난화가 일어난다 하더라도 지구의 마지막이 오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지구시스템은 새로운 평형상태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이동 과정은 미래에 생물권에서 살아갈 생물들과 사람에게 생존의 위협과 큰 고통을 가져다줄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지구시스템의 현재 평형상태를 잘 관리할 책임이 있다. The Earth system consists of the hydrosphere, atmosphere, geosphere, and biosphere, each of which is tightly interconnected. In the last 150 years, humans in the biosphere have taken out large amounts of carbon from the geosphere at a rapid rate and pumped it into the atmosphere. Excess carbon dioxid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nd enhances the greenhouse effect in the atmosphere, causing global atmospheric and ocean temperature rise and climate change in each region. This causes the current equilibrium in the Earth system to become unstable and move to a new equilibrium state. The greenhouse gas concentration, air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and sea level data observed for the last 120 to 170 years indicate this transition process, and the Earth system numerical prediction models predict what the new equilibrium state will be in 100 to 300 year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nge in the Earth system in the history of the Bible and the modern history and the change in the 21st century Earth system is examined. As a Christian living in the early 21st century, if we believe that we have a responsibility to understand, manage, and govern the Earth system created by God as well as we respect the rights of future generations, we must actively respond to global warming. To this end, humans must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with the Earth system, implement counter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set up adaptation measures with love for the creatures and people who are greatly affected by global warming. Fundamentally, since the Earth system is maintained according to God's creation principle, man needs to help the Earth system to take the Sabbatical year every seven year. Even if we do not take actions appropriately and global warming continues, the end of the Earth would not come, and the Earth system is expected to move to a new equilibrium state. However, during the transition to a new equilibrium state, plants, animals, and humans living in the biosphere will experience critical threats and great suffering.

      • KCI등재

        지구온난화를 바라보는 다른 시각, 다른 대처

        김대중 ( Kim Dae Ju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1 성경과신학 Vol.99 No.-

        본 논문은 근래 가장 큰 이슈들 가운데 하나인 지구온난화를 주제로 한다. 많은 기독교인은 지구온난화가 이산화탄소(CO<sub>2</sub>), 특히 인간이 만들어 낸 이산화탄소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믿는 경향이 있다. 만일 지구온난화가 계속된다면 지구는 조만간 끔찍한 대재앙을 만날 것이고, 그래서 이러한 파멸을 면하기 위해 인류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모든 노력을 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신념과 대조적으로 소위 복음주의 우파로 불리는 미국의 한 복음주의 그룹은 주장하기를, 인간이 만든 이산화탄소가 지구온난화에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는 명제는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고 한다. 따라서 그들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기 위해 엄청난 자금을 쏟아붓는 것은 지구온난화에 대한 비효율적이고, 비합리적, 비과학적인 대처이고, 무엇보다도 성경적 세계관과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고 말한다. 대신 그들은 제삼 세계와 지구촌 곳곳의 가난한 사람들이 겪고 있는 당면한 여러 문제, 예를 들면 위생 문제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 돈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복음주의 우파는 이러한 대처가 성경이 가르치는 환경적 청지기직(environmental stewardship)에 부응하는 길이라고 믿는다. 이 논문은 지구온난화에 관해 복음주의 우파가 가진 시각과 대처, 그리고 그 배경이 되는 그들의 기독교 세계관을 소개했다. 그리고 그들의 주장이 가진 장단점들을 분석한 결과, 지구온난화에 관한 그들의 입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인류가 좀 더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신학에 근거하여 지구온난화 문제에 지혜롭게 대처하는 데 이 논문이 이바지하길 바란다. This article focuses on global warming, which has been one of the hottest ethical issues of this era. The majority number of Christians tends to believe that Carbon Dioxide(CO<sub>2</sub>), especially manmade CO<sub>2</sub> has been the main cause of this phenomenon. Thus, unless putting every effort in reducing CO<sub>2</sub> in the atmosphere, humankind will inevitably have to face horrific catastrophes in the near future. However, one evangelical group in America, known as “Evangelical Right,” unlike this general understanding mentioned above, claims that this CO<sub>2</sub> produced by humankind has not been scientifically proven to be the decisive factor in causing global warming. They further assert that spending huge amounts of money in abating CO<sub>2</sub> in the atmosphere would rather be an inefficient, irrational, and unscientific countermeasure on the issue of global warming, and worst of all, not fit for biblical worldview. Instead, they contend that the money should be spent in solving the current issues that the third world nations and the poor around the world are facing such as water shortages and the improvement on living conditions. Moreover, these countermeasures, they believe, are biblically in compliance with environmental stewardship. This article has introduced the evangelical right’s perspective, along with their Christian worldview, and the countermeasures to global warming, analyzed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ir assertions, found, as a result, their claims on the global warming issue positive. In conclusion, this article has shown and asserted that humankind need to more wisely respond to global warming issues with sound and balanced biblical perspectives.

      • 토론 수업을 통한 지구온난화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조헌국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2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들이 지구온난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사고 과정을 거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 참여한 54명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에 대한 토론 수업을 실행하였고, 예비교사들의 과제와 토론 내용의 전사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구온난화에 대해 교사들은 원인 중심적 사고와 결과 중심적 사고의 두 가지 추론 방식을 택하였고, 지구온난화에 대한 심각성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원인 중심적 또는 결과 중심적 사고에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개념 이해의 측면에서도 예비 교사들은 오존층 파괴를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간주하고, 이산화탄소를 지구 온난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해수면 상승을 북극의 빙하 감소의 결과로 간주하였고, 지진과 해일 같은 자연재해가 지구온난화의 결과라고 오해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 교육을 위한 여러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 한국의 강한 자연 변동성으로 인한 출현 시간(TOE) 지연

        류지훈,윤진호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주로 (i) 지역 기온 변화에 대한 자연 변동성과 지구 온난화의 양적 분리와 (ii) 출현시점(TOE) 추정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췄다. 한국의 여름 온도는 자연 변동과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받는다. 지구온난화와 비교했을 때 자연 변동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명확하지 않다. 각 성분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간단한 통계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국내 기록적인 무더운 여름이었던 2018년 여름의 경우 자연 변동성이 최대 89.8%, 지구온난화 10.2%까지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지구온난화는 심각하지만, 자연의 변동성은 여름 기온에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앞으로 지구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구온난화가 더 중요해질 수 있다. 지구온난화가 자연적인 기온 변동보다 항상 더 강력한 해로 정의되는 TOE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한국 여름 기온의 TOE는 적용된 데이터와 방법에 따라 1999년부터 2073년까지 달라집니다. RCP 8.5와 SSP 585 시나리오에 따른 CMIP5와 CMIP6의 다중 모델 앙상블에서 TOE가 전 지구적으로 2036년까지 지연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모델만 사용하여 평가한 2005년입니다.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재분석 데이터가 2041이고 관측 데이터가 2047입니다. 재분석 및 관측 데이터의 TOE가 모형보다 지연되었으며, 이 영역에서 모형의 자연 변동성이 과소평가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또한 같은 좌표 수의 그리드로 나눈 재분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자연 변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적으로, 출현 시기에 있어서 자연 변동성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 KCI등재

        열수지 자료 해석에서 드러난 중학생의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이해

        정수임,유은정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6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middle school students could understand global warming and the greenhouse effect, and explain them in terms of global radiative equilibrium. From July 13 to July 24 in 2021, 118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o completed a class module on ‘atmosphere and weather’, participated in an online assessment consisting of multiple-choice and written answers on radiative equilibrium, the greenhouse effect, and global warming; 97 complete responses were obtained. After analysis, it was found that over half the students (61.9%) correctly described the meaning of radiative equilibrium; however, their explanations frequently contained prior knowledge or specific examples outside of the presented data.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92.8%) knew that the greenhouse effect occurs within Earth’s atmosphere, but many (32.0%) thought of the greenhouse effect as a state in which the radiative equilibrium is broken. Less than half the students (47.4%) answered correctly that radiative equilibrium occurs on both Earth and the Moon. Most of the students (69.1%) understood that atmospheric re-radiation is the cause of the greenhouse effect, but few (39.2%) answered correctly that the amount of surface radiation emitted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absorbed by the Earth’s surface. In addition, about half the students (49.5%) had a goo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in greenhouse gases and the absorption of atmospheric gases, and the resulting reradiation to the surface. However, when asked about greenhouse gases increases, their thoughts on surface emissions were very diverse; 14.4% said they increased, 9.3% said there was no change, 7.2% said they decreased, and 18.6% gave no response. Radiation equilibrium, the greenhouse effect, and global warming are a large semantic network connected by the balance and interaction of the Earth system. This can thus serve as a conceptual system for students to understand, apply, and interpret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Therefore, with the current climate change crisis facing mankind, sophisticated program development and classroom experiences should be provided to encourage students to think scientifically and establish scientific concepts based on accurate understanding, with follow-up studie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를 이해하고, 이를 지구 복사 평형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지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기권과 날씨’ 대단원 수업을 완료한 중학교 3학년 11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에 대한 선택형 및 서답형으로 구성된 학생 이해 온라인 평가를 2021년 7월 13 일부터 7월 24일까지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97명의 학생 응답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과반수(61.9%)가 넘는 학생들이 복사 평형의 의미를 옳게 기술하였으나 제시된 자료와 무관하게 사전 지식이나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학생들(92.8%)은 대기가 있는 지구에서 온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온실 효과를복사 평형이 깨진 상태로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으며(32.0%), 달과 지구 모두 복사 평형이 일어난다고 응답한 학생(47.4%)은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온실 효과의 원인으로 대기의 재복사를 찾아낸 학생은 다수(69.1%)였으나, 지구로 입사한 태양 복사량보다 방출한 지표 복사량이 더 크다고 응답한 학생은 소수(39.2%)에 불과하였다. 또한 절반 정도의학생들(49.5%)이 온실 기체의 증가와 대기 흡수, 이로 인한 지표로의 재복사의 관계를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온실 기체가 증가할 때, 지표 방출에 대해서는 증가(14.4%), 일정(9.3%), 감소(7.2%), 무응답(18.6%)으로 의견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는 지구계의 균형과 상호작용이라는 빅 아이디어로 연결된 커다란하나의 의미망이므로 학생들이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를 이해하고 적용하고 해석하는 개념 체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인류에 닥친 기후 변화 위기와 관련해 학생들이 정확한 이해에 근거하여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과학적 개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정교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경험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점검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 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지구 온난화 논쟁에 있어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주장, 근거 및 출처의 양상

        이규호(Lee, Gyuho)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2

        지구 온난화라는 용어는 대중에게도 매우 친숙한 용어이다. 하지만 여전히 매우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64명의 예비 초등 교사들을 상대로 지구 온난화에 대한 스스로의 이해 정도를 알아본 후 지구 온난화 수업 이후 생각을 조사하였다. 지구 온난화 수업은 온실효과, 되먹임 효과와 같은 주요 이론들의 설명과 함께 논쟁의 반대쪽 주장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수업 이전과 이후 지구 온난화를 지지하는 학생의 비율이 4배 이상 많았다. 하지만 수업 후 자신의 주장이 바뀐 학생은 25%에 달했다. 학생들은 표나 그래프와 같은 자료보다 배경 지식을 근거로 주장을 펼쳤으며, 그 중에서도 반론보다는 입론의 형태가 많았다. 학생들은 평균적으로 3개의 근거를 제시했으며, 근거의 출처는 대부분 정부기관, 연구소 등의 자료와 논문, 과학 전문 잡지 등의 학술 자료였다. 지구 온난화를 보다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정 교과를 선택하는 학생이 아니라, 필수 교과에서부터 지구 온난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이론과 경쟁 이론들에 대해 학습할 필요가 있겠다. The term global warming is generally very familiar. However, it is still subject to very sharp debate. In this study, 64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vestigated. First of all, this study surveys their own understanding for global warming, and then investigates their thoughts after the class about global warming. Global warming classes include explanations of major theories such as the greenhouse effect and the feedback effect, as well as explanations of arguments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ut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supported global warming was more than four times higher than before and after classes. However, after class, 25% of students changed their opinions. Students made their arguments based on background knowledge rather than data such as charts and graphs, and there were more arguments than objections. On average, the students presented three reasons, and most of them came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academic materials such as papers and scientific journal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global warming, students should learn basic and competitive theories to understand global warming from essential subjects, not from specific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